재배학 요점 정리/재배학 역대 기출문제

농업직, 농업연구사, 농촌지도사 대비 2018년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 기출문제와 답안과 해설

롤라❤️ 2021. 4. 1. 15:34
반응형

 

 

 

 

<문제풀기>

1. 식물생장조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옥신류는 제초제로도 이용된다.

   ② 지베렐린 처리는 화아형성과 개화를 촉진할 수 있다.

   ③ ABA는 생장촉진물질로 경엽의 신장촉진에 효과가 있다.

   ④ 시토키닌은 2차 휴면에 들어간 종자의 발아증진 효과가 있다.

 

2. 멘델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포질에 있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양식이다.

   ② 쌍으로 존재하는 대립유전자는 배우자형성 과정에서 분리된다.

   ③ 한 개체에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가 함께 있을 때 한 가지 형질만 나타난다.

   ④ 특정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들은 다른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들에 대해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3. 작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용도에 따른 분류에서 토마토는 과수작물이다.

   ② 작부방식에 따른 분류에서 메밀은 구황작물이다.

   ③ 생육적온에 따라 분류하면 감자는 저온작물에 해당한다.

   ④ 생존연한에 따라 분류하면 가을밀은 월년생 작물에 해당한다.

 

4. 식물조직배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양번식 작물에서 바이러스 무병 개체를 육성할 수 있다.

   ② 분화한 식물세포가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전체형성능이라 한다.

   ③ 번식이 힘든 관상식물을 단시일에 대량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④ 조직배양의 재료로 영양기관을 사용한 경우는 많으나 예민한 생식기관을 사용한 사례는 없다.

 

5. 토양 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가 온 후 하루 정도 지난 상태인 포장용수량은 작물이 이용하기 좋은 수분 상태를 나타낸다.

   ②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모관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토양공극 내에서 중력에 저항하여 유지된다.

   ③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므로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이다.

   ④ 위조한 식물을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해도 회복하지 못하는 위조를 영구위조라고 한다.

 

6. 버널리제이션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맥류의 육종에서 세대단축에 이용된다.

   ② 월동채소를 춘파하여 채종할 때 이용된다.

   ③ 개나리의 개화유도를 위해 온욕법을 사용한다.

   ④ 딸기를 촉성재배하기 위해 여름철에 묘를 냉장처리한다.

 

7. C3와 C4 그리고 CAM작물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C4작물은 C3작물보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이 낮다.

   ② C3작물은 광호흡이 없고 이산화탄소시비 효과가 작다.

   ③ C4작물은 C3작물보다 증산율과 수분이용효율이 높다.

   ④ CAM작물은 밤에 기공을 열며 3탄소화합물을 고정한다.

 

8. 1대잡종의 품종과 채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료작물에서는 3원교배나 복교배에 의한 1대잡종품종이 많이 이용된다.

   ② 일반적으로 1대잡종품종은 수량이 높고 균일한 생산물을 얻을 수 있다.

   ③ F1종자의 경제적 채종을 위해 주로 자가불화합성과 웅성불임성을 이용한다

   ④ 자식계통 간 교배로 만든 품종의 생산성은 자연방임품종보다 낮다.

 

9. 종자코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펠릿종자는 토양전염성 병을 방제할 수 있다.

   ② 펠릿종자는 종자대는 절감되나 솎음노력비는 증가한다.

   ③ 필름코팅은 종자의 품위를 높이고 식별을 쉽게 한다.

   ④ 필름코팅은 종자에 처리한 농약이 인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농산물을 저장할 때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급등형 과실은 에틸렌에 의해 후숙이 촉진된다.

    ② 감자와 마늘은 저장 중 맹아에 의해 품질저하가 발생한다.

    ③ 곡물은 저장 중에 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 함량이 증가한다.

    ④ 신선농산물은 수확 후 호흡에 의한 수분손실이 증산에 의한 손실보다 크다.

 

11. 비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산태 질소는 지효성으로 논과 밭에 모두 알맞은 비료이다.

    ② 요소는 질소 결핍증이 발생하였을 때 토양시비가 곤란한 경우 엽면시비에도 이용할 수 있다.

    ③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를 혼파하였을 때, 인과 칼륨을 충분히 공급하면 두과 목초가 우세해진다.

    ④ 유기태 질소는 토양에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암모니아태나 질산태 질소로 변환된 후 작물에 이용된다.

 

12. 우리나라 작물 재배의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부체계와 초지농업이 모두 발달되어 있다.

    ② 모암과 강우로 인해 토양이 산성화되기 쉽다.

    ③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하고 기상재해가 높은 편이다.

    ④ 쌀을 제외한 곡물과 사료를 포함한 전체 식량자급률이 낮다.

 

13.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생식기관은 영양기관보다 내동성이 강하다.

    ② 포복성 작물은 직립성인 것보다 내동성이 강하다.

    ③ 원형질에 전분함량이 많으면 기계적 견인력에 의해 내동성이 증가한다.

    ④ 세포 내에 수분함량이 많으면 생리적 활성이 증가하므로 내동성이 증가한다.

 

14.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리를 이용하여 논의 잡초를 방제한다.

    ② 칠레이리응애로 점박이응애를 방제한다.

    ③ 벼의 줄무늬잎마름병을 저항성 품종으로 방제한다.

    ④ 기생성 곤충인 콜레마니진디벌로 진딧물을 방제한다.

 

15. 타식성 작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식성 작물에 비해서 타가수분을 많이 하기 때문에 대부분 이형접합체이다.

    ② 인위적으로 자식시키거나 근친교배를 하면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근교약세라고 한다.

    ③ 동형접합체 비율이 높아지면 순계분리에 의한 우수한 형질들이 발현되어 적응도가 증가되고 생산량이 높아진다.

    ④ 근친교배로 약세화한 작물체끼리 교배한 F1이 양친보다 왕성한 생육을 나타낼 때 이를 잡종강세라고 한다.

 

16. 채소류에서 재래식 육묘와 비교한 공정육묘의 이점으로 옳은 것은?

    ① 묘 소질이 향상되므로 육묘기간은 길어진다.

    ② 대량생산은 가능하나 연중 생산 횟수는 줄어든다.

    ③ 규모화는 가능하나 운반 및 취급은 불편하다.

    ④ 정식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기계정식이 용이하다.

 

17. 작물의 작부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럽에서 발달한 노포크식과 개량삼포식은 휴한농업의 대표적 작부방식이다.

    ② 답전윤환 시 밭기간 동안에는 입단화가 줄어들고 미량요소 용탈이 증가한다.

    ③ 인삼과 고추는 기지현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동일 포장에서 다년간 연작을 한다.

    ④ 콩은 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 등의 작부체계에 적합한 대표적인 작물이다.

 

18. 여교배 육종의 성공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한다.

    ② 육성품종은 도입형질 이외에 다른 형질이 1회친과 같아야 한다.

    ③ 여교배 중에 이전하려는 형질의 특성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④ 여러 번 여교배한 후에도 반복친의 특성을 충분히 회복해야한다.

 

19. 잡초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윤작과 피복작물 재배는 경종적 방제법에 속한다.

    ② 제초제는 제형이 달라도 성분이 같을 경우 제초 효과는 동일하다.

    ③ 동일한 계통의 제초제를 연용하면 제초제저항성 잡초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잡초는 광발아 종자가 많으므로 지표면을 검정비닐로 피복하면 발생이 줄어든다.

 

20. 작물의 내적 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물체 내 탄수화물과 질소가 풍부하고 C/N율이 높아지면 개화 결실은 촉진된다.

    ② 토양통기가 불량해지면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이 더욱 억제되므로 T/R율이 높아진다.

    ③ 근채류는 근의 비대에 앞서 지상부의 생장이 활발하기 때문에 생육의 전반기에는 T/R율이 높다.

    ④ 고구마 순을 나팔꽃 대목에 접목하면 덩이뿌리 형성을 위한 탄수화물의 전류가 촉진되어 경엽의 C/N율이 낮아진다.

 

정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답안과 해설>

 

1. 식물생장조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옥신류는 제초제로도 이용된다.

   ② 지베렐린 처리는 화아형성과 개화를 촉진할 수 있다.

   ❸ ABA는 생장촉진물질로 경엽의 신장촉진에 효과가 있다.

   ④ 시토키닌은 2차 휴면에 들어간 종자의 발아증진 효과가 있다.

③ ABA는 생장억제물질로 경엽의 신장억제에 효과가 있다

* 식물생장조절제

(1) 식물생장조절제의 뜻

① 식물체 내에는 어떤 조직이나 기관에서 형성되어 체내를 이행하면서 다른 조직이 나 기관에 대하여 미량으로도 형태적, 생리적인 특수한 변화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이 존재하는데 이것을 식물호르몬(plant hormone)이라고 한다.

②식물호르몬에는 생장호르몬은 옥신류(auxins), 도장호르몬은 지베렐린(gibberellin), 세포분열호르몬은 시토키닌(cytokinin), 개화호르몬은 플로리겐(florigen), 성숙ㆍ스트레스호르몬은 에틸렌(ethylene), 낙엽촉진호르몬은 아브시스산(abscissic acid,ABA) 등이 있다.

③ 식물의 생장과 발육에 극히 미량으로도 큰 영향을 끼치는 인공적으로 합성된 호르몬성 의 화학물질을 총칭하여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라고 한다.

 

(2) 옥신류

㉠ 발근 촉진: ㉡ 접목에서의 활착 촉진: ㉢ 개화 촉진: ㉣ 낙화 방지: ㉤ 가지의 굴곡 유도: ㉥ 적화 및 적과: ㉦ 과실의 비대와 성숙 촉진 ㉧ 단위결과 ㉨증수효과:

㉩ 제초제로 이용:옥신류는 세포의 신장생장을 촉진하되 식물에 따라서는 상편생장

(上 篇生長)을 유도하므로 선택형 제초제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페녹시 아세트산(phenoxyacetic acid)의 유사물질인 2,4-D, 2,4,5-T, MCPA가 표적인예이다. 2,4-D는 초기의 선택형 제초제들 중 하나로 현재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밖에 벤조산(benzoic acid)의 유사물질인 dicamba, chloramben, picloram(Tordon) 등이 제초제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3) 지베렐린

① 지베렐린의 발견 : ② 지베렐린의 생성과 작용 :

③ 지베렐린의 재배적 이용

㉠ 발아 촉진

㉡ 화성의 유도 및 촉진

ⓐ 저온과 장일에 의해서 추대하고 개화하는 월년생 작물에 하여 지베렐린의 처리

가 저온이나 장일을 대체하여 화성을 유도하고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 배추, 양배추, 당근, 상추, 무 등에서 저온처리를 대신하여 지베렐린액을 살포하면 추대, 개화한다.

ⓒ 스톡, 팬지, 피튜니아, 프리지어 및 기타 여러 가지 꽃에 지베렐린액을 살포하면 개화 촉진 효과가 있다.

ⓓ 추파맥류에서도 6엽기 정도부터 GA 100ppm 수용액을 몇 차례 살포하면 저온처리가 불충분해도 출수한다.

㉢ 경엽의 신장 촉진 : ㉣ 단위결과 : ㉤ 수량 증대: ㉥ 성분 변화:㉦ 기타:

(4) 생장억제물질

①B-Nine(B-9;N-dimethylamino succinamic acid)

②Phosfhon-D(2,4-dichlorobenzyl-tributyl phosphonium chloride)

③CCC[Cycocel,(2-chloroethyl) trimethylammonium chloride]

④ Amo-1618

⑤ MH(maleic hydrazide)

(5) 그 밖의 생장억제물질

① Rh-531[CCDP] ② BOH : ③ 2,4-DNC : ④ Morphactin(모르파크틴)

(6) 그 밖의 생장조절제

① 시토키닌(Cytokinin)

㉣ 시토키닌의 작용

ⓐ 발아를 촉진한다(2차 휴면에 들어간 상추 등).

ⓑ 잎의 생장을 촉진한다(무 등).

ⓒ 저장 중의 신선도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아스파라거스 등).

ⓓ 호흡을 억제하여 엽록소와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하고, 잎의 노화를 방지한다. (해바라기 등).

ⓔ 식물의 내동성 증대효과가 있다.

ⓕ 착과를 증진시킨다(포도).

ⓖ 모양과 크기를 향상시킨다(사과).

② ABA(Abscisic acid) : 오오쿠마(Ookuma, 大熊 1963)은 목화의 어린 식물로부터아브시스산(ABA)을 분리 이층(離層)의 형성을 촉진하여 낙엽을 촉진하는 물질, Conforth 등, (1965)이 단풍나무의 휴면을 유도하는 물질로 추출한 도민(dormin)도 역시 ABA임이 판명되어, ABA가 생장조절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주목받게 되었다.

ABA는 일반적으로 생장억제물질로 경엽의 신장 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데, 그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잎의 노화, 낙엽을 촉진하고 휴면을 유도한다.

㉡ 생육 중에 연속 처리하면 휴면아를 형성한다(단풍나무 등).

㉢ 종자의 휴면을 연장하여 발아를 억제한다(감자, 장미, 양상추 등).

㉣ 단일식물에서 장일 하의 화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나팔꽃, 딸기 등).

㉤ ABA가 증가하면 기공이 닫혀서 위조저항성이 커진다(토마토 등).

㉥ 목본식물에서는 냉해 저항성이 커진다.

㉦ 이 밖에 노화 및 탈리 촉진에도 기여하며, 수분대사 조절기능도 있다. 식물이

수분부족 상태에 놓이면 잎이 ABA 농도가 수십 배까지도 증가하는데, 이는 환

경의 변화에 따라 식물호르몬 농도의 변화 정도가 가장 큰 경우이다. ABA는 잎

의 기공을 폐쇄시켜 증산을 억제시킴으로써 식물을 수분의 부족상태에서도 견디

게 한다. 따라서, ABA는 스트레스호르몬이라고 불린다.

③ 에틸렌(ethylene) ~중략~

(7) 탈엽제 및 건조제

수확 전에 탈엽을 시키는 것이 유리할 때에는 탈엽제를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① ABA, 에스렐과 석회질소 등도 탈엽효과가 크다고 한다.

② 수확 전에 건조제를 뿌려서 목화, 아주까리, 콩과 목초의 채종 등 종자나 식물체의 건조를 촉진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2. 멘델의 유전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세포질에 있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양식이다.

   ② 쌍으로 존재하는 대립유전자는 배우자형성 과정에서 분리된다.

   ③ 한 개체에 서로 다른 대립유전자가 함께 있을 때 한 가지 형질만 나타난다.

   ④ 특정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들은 다른 유전자의 대립유전자들에 대해 독립적으로 분리된다.

정답 : 1

① 멘델의 유전양식은 유전질의 주체는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이며, 염색체는 핵의 변형인 것이므로 핵이 유전질 의 주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세포질도 유전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세포질유전이라 한다. 세포질의 색소체 DNA(cpDNA)에 있는 엽록체와 DNA(mtDNA) 미토콘드리아 유전자의 유전양식이다.

세포질은 대부분 자성배우자에 의해서만 다음 세대에 전달되며, 따라서 그 유전양식은 핵유전자의 경우와는 다르며 멘델법칙에 따르지 않으므로 비멘델식 유전이 라고 한다.

 

3. 작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용도에 따른 분류에서 토마토는 과수작물이다.

   ② 작부방식에 따른 분류에서 메밀은 구황작물이다.

   ③ 생육적온에 따라 분류하면 감자는 저온작물에 해당한다.

   ④ 생존연한에 따라 분류하면 가을밀은 월년생 작물에 해당한다.

정답 : 1

① 용도에 따른 분류에서 토마토는 채소(과채류)작물이다.

 

4. 식물조직배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양번식 작물에서 바이러스 무병 개체를 육성할 수 있다.

   ② 분화한 식물세포가 정상적인 식물체로 재분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전체형성능이라 한다.

   ③ 번식이 힘든 관상식물을 단시일에 대량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❹ 조직배양의 재료로 영양기관을 사용한 경우는 많으나 예민한 생식기관을 사용한 사례는 없다.

정답 : 4

④ 조직배양의 재료로 영양기관과 생식기관을 모두 사용(이용)할 수 있다.

* 조직배양

식물의 일부 세포, 기관, 조직을 기내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조직 자체의 증식 생장, 그리고

나아가서 각종 조직 및 기관의 분화, 발달에 의해서 완전한 개체를 육성하는 방법을 조직배양

(tissue culture)이라고 하는데, 이는 세포 자체가 단일세포로부터 완전한 개체를 재생할 수 있는

전형성능(totipotency)을 지니고 있다는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조직배양의 재료로는 단세포, 영양기관, 생식기관, 병적 조직, 전체 식물 등 여러 종류가 있고, 영양기관에서도 뿌리, 잎, 떡잎, 줄기, 눈 등의 여러 기관이 배양되며, 생식기관에서도 꽃, 과실, 배주, 배, 배유, 과피, 약, 화분 등의 여러 기관이 배양된다.

조직배양에 사용되는 배지(tissue culture media)는 배양조직의 영양요구도에 따라 조성을 달리하는데, 보통 MS(Murashige-Skoog)배지를 기본배지로 하여 배양재료에 맞게 배지를 만든다.

기본배지에는 N, P, K 등 다량원소와 Mn, Zn, Cu, Mo 등 미량원소 및 당ㆍ아미노산ㆍ비타민 등 유기물질, 그리고 옥신(NAA, IAA, IBA, 2,4-D), 시토키닌(kinetin) 등 식물호르몬을 포함한다.

① 세포나 조직의 배양의 응용

㉠ 세포의 증식, 기관의 분화, 조직의 생장 등 식물의 발생과 형태형성 및 발육의 과정과 이에 관여하는 영양물질, 비타민, 호르몬의 역할, 환경조건 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가능해진다.

㉡ 번식이 곤란한 관상식물을 단시일에 대량으로 육성할 수 있다(난초 등).

㉢ 세포 돌연변이를 분리해서 이용할 수 있다.

㉣ 바이러스나 그 밖의 병에 걸리지 않는 새로운 개체를 육성할 수 있다(감자, 딸기, 마늘, 카네이션, 구근류, 과수류 등).

㉤ 사탕수수의 자당, 약용식물의 알칼로이드, 화곡류의 전분, 수목의 리그닌, 비타민 따위 등의

특수물질(주로 2차 대사산물)이 세포나 조직의 배양에 의한 생합성에 의해서 공업적 생산

이 가능하다.

㉥ 농약에 대한 독성이나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을 세포나 조직배양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검정할 수 있다.

 

5. 토양 수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가 온 후 하루 정도 지난 상태인 포장용수량은 작물이 이용하기 좋은 수분 상태를 나타낸다.

   ②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모관수는 표면장력에 의해 토양공극 내에서 중력에 저항하여 유지된다.

   ❸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므로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유효수분이다.

   ④ 위조한 식물을 포화습도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해도 회복하지 못하는 위조를 영구위조라고 한다.

토양 입자의 표면에 흡착(吸着)·보존되어 있으면서 식생(植生)에 이용되지 않는 토양 수분.

정답 : 3

③ 흡습수는 토양입자표면에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므로 작물이 이용할 수 없는 무효수분이다.

* 토양수분의 형태(토양입자에 끌리는 힘에 따라 분류)

토양 내의 액상인 토양수는 토양수증기, 화합수, 흡습수, 모세관수, 중력수로 구분되며, 식물이 이용할수 있는 수분은 모관수와 중력수이다.

① 결합수(結合水, 化合水)

㉠ 점토광물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 수분으로 토양에서 분리시킬 수 없다.

㉡ pF 7.0(10,000bar) 이상으로 작물에 이용되지 못한다.

㉢ 105°C로 가열해도 비분리되는 수분이다.

② 흡습수(吸濕水)

㉠ 건토를 공기 중에 두면 분자 간 인력에 의해서 토양입자의 표면에 수증기가 응축, 피막상으로 흡착된 수분이다.

㉡ pF 4.5~7.0(31~10,000bar)의 범위이다.

㉢ 작물의 흡수압은 5~14기압이므로 작물이 거의 흡수ㆍ이용할 수 없다.

㉣ 105°C 가열시 분리되는 수분이다.

③ 모관수(毛管水)

㉠표면장력에 의해 모세관 상승으로 보유되는 수분이다.

㉡ pF 2.7~4.5(1/3~31bar)로서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유효수분이다.

㉢ 토양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토양공극 내에서 중력에 저항하여 유지되는 수분이다.

㉣ 토양입자의 주위나 소공극 및 대공극의 토양용액 가까이에서 액상의 피막으로 존재 하며 이를 내부 모관수와 외부 모관수로 구분한다.

㉤ 모관현상에 의해서 지하수가 모관공극을 상승하여 공급된다.

㉥ 토양의 모관수량은 온도, 염료 함량, 토성, 구조 등에 따라 다르다.

④ 중력수(重力水, 자유수)

㉠ 중력에 의해서 비모관 공극을 스며 내려가는 수분이다.

㉡ pF 0~2.7(1~1/3bar)로서 작물에 직접 이용되는 일은 드물다.

⑤ 지하수(地下水)

㉠ 지하에 정체되어 모관수의 근원이 되는 수분이다.

㉡ 지하수위가 너무 낮으면 토양이 건조하기 쉽고, 높으면 과습하기 쉽다.

 

6. 버널리제이션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맥류의 육종에서 세대단축에 이용된다.

   ② 월동채소를 춘파하여 채종할 때 이용된다.

   ❸ 개나리의 개화유도를 위해 온욕법을 사용한다.

   ④ 딸기를 촉성재배하기 위해 여름철에 묘를 냉장처리한다.

정답 : 3

③ 개나리의 개화유도를 위해 온욕법을 사용하는데, 온욕법은 버널리제이션과는 성질이 다르다

* 버널리제이션(춘화처리)의 뜻

작물의 개화를 유도 또는 화아의 분화, 발육의 유도를 촉진하기 위해서 생육의 일정시기 (주로 초기)에

일정기간 인위적으로 일정한 온도처리(주로 저온처리)를 하는 것을 버널리제이션 또는 춘화처리라고 한

다. 결국 버널리제이션은 저온에 의해서 식물의 감온상을 경과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버널리

제이션은 20세기 초 Gassner 등에 의해 발견되었고, Lysenko에 의해 그 이론이 구명되어, 야로비자치

야(Jarovizacija)의 학설로 제창되었다.

* 온욕법

Molisch는 11월에 개나리를 꺾어서 30℃의 온탕에 9~12시간 담갔다가 따뜻한 곳에 보관함으로써 개화

를 유도하는 데 성공하였는데, 이를 온욕법(溫浴法 ; warm bath method) 이라고 하였다. 온욕법은 버널리제이션과는 성질이 다르다.

 

7. C3와 C4 그리고 CAM작물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❶ C4작물은 C3작물보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이 낮다.

   ② C3작물은 광호흡이 없고 이산화탄소시비 효과가 작다.

   ③ C4작물은 C3작물보다 증산율과 수분이용효율이 높다.

   ④ CAM작물은 밤에 기공을 열며 3탄소화합물을 고정한다.

정답 : 1

① C4 작물은 C3 작물보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이 낮다.

 

* C3, C4, CAM 식물의 광합성 특성 및 생리적 생태적ㆍ형태적 특성 비교

② C4 작물은 광호흡이 없고 이산화탄소시비 효과가 작다.

③ C4 작물은 C3 작물보다 증산율은 낮고 수분이용효율이 높다.

④ CAM 작물은 밤에 기공을 열며 4탄소화합물을 고정한다

 

 8. 1대잡종의 품종과 채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료작물에서는 3원교배나 복교배에 의한 1대잡종품종이 많이 이용된다.

   ② 일반적으로 1대잡종품종은 수량이 높고 균일한 생산물을 얻을 수 있다.

   ③ F1종자의 경제적 채종을 위해 주로 자가불화합성과 웅성불임성을 이용한다

   ❹ 자식계통 간 교배로 만든 품종의 생산성은 자연방임품종보다 낮다.

답 : 4

④ 자식계통 간 교배로 만든 품종의 생산성은 자연방임품종보다 높다.

* 1대잡종 품종의 이점

1대잡종 육종(一代雜種育種 ; hybrid breeding)은 잡종강세가 큰 교배조합의 1대잡종(F1) 을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이다.

① 1대잡종 품종은 수량이 높고, 균일한 생산물을 얻을 수 있으며, 우성유전자를 이용하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② 매년 새로 만든 F1 종자를 파종하므로 종자산업 발전에 큰 몫을 담당한다.

㉠ 1대잡종 품종은 옥수수ㆍ배추ㆍ무 등 타식성 작물에서 이용되기 시작하여 1과당 채 종량이 많은

박과나 가지과 채소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 최근에는 벼나 밀 등 자식성 작물에서도 웅성불임성 등을 이용하여 1대잡종 품종이 육성되고 있

다. 중국은 2000년에 쌀 생산량의 60%를 1대잡종 품종이 차지하였다.

③ 1대잡종 육종은 잡종강세가 큰 교배조합 선발과 F1 종자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채종기 술이 중요하다.

㉠ 교배조합의 선발을 위하여 조합능력검정을 하고, 조합능력을 높이기 위해 자식계통 을 육성한다.

㉡ F1 종자의 경제적 채종을 위해 자가불화합성과 웅성불임성을 이용한다.

 

9. 종자코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펠릿종자는 토양전염성 병을 방제할 수 있다.

   ❷ 펠릿종자는 종자대는 절감되나 솎음노력비는 증가한다.

   ③ 필름코팅은 종자의 품위를 높이고 식별을 쉽게 한다.

   ④ 필름코팅은 종자에 처리한 농약이 인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2

② 펠릿종자는 종자대와 솎음노력비를 동시에 절감할 수 있다.

 

* 종자 코팅

종자 코팅이란 종자에 특수물질을 덧씌워 주는 것을 의미하며, 처리되는 정도에 따라 필름 코팅ㆍ종자

코팅ㆍ종자 펠릿으로 구분한다.

① 필름 코팅 : 필름 코팅(film coating)이란 친수성 중합체(polymer)에 농약이나 색소를 혼합하여 종

자의 표면에 5~15㎛ 정도로 얇게 덧씌워 주는 것을 말한다. 필름 코팅의 주된 목적은 농약을 종자에

분의처리(粉衣處理)하였을 때 농약이 묻거나 인체에 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고, 아울러

색을 첨가함으로써 종자의 품위를 높이고 식별을 쉽게 하는 데 있다.

② 종자 코팅 : 종자 코팅(seed coating)이란 코팅의 크기를 필름 코팅보다 약간 크게 한 처리로서, 농

약이나 양분을 첨가할 수 있다.

③ 종자 펠릿 : 종자 펠릿(seed pellet)이란 담배같이 종자가 매우 미세하거나, 당근같이 표면이 매우

불균일하거나, 참깨같이 종자가 가벼워서 손으로 다루거나 기계파종이 어려울 경우에 종자의 표면에 화

학적으로 불활성의 고체물질을 피복하여 종자를 크게 만 드는 것을 말한다.

㉠ 펠릿 종자는 파종이 용이하고, 적량파종(適量播種)이 가능하여 솎음노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종자

와 솎음노력비를 동시에 절감할 수 있다.

㉡ 또한, 펠릿시 종자에 근권정착미생물(根圈定着微生物 ;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의 첨가로 토양 및 종자전염성 병의 방제효과도 있어 농약사 용을 줄일 수 있다.

④ 그 밖의 종자 코팅 : 그 밖의 종자코팅에는 피막 종자(被膜種字 ; encrusted seed)ㆍ장환 종자(長丸

種子 ; seed granules)ㆍ테이프 종자(seed tape)ㆍ매트 종자(seed mat) 등이 있다.

 

10. 농산물을 저장할 때 일어나는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호흡급등형 과실은 에틸렌에 의해 후숙이 촉진된다.

    ② 감자와 마늘은 저장 중 맹아에 의해 품질저하가 발생한다.

    ③ 곡물은 저장 중에 전분이 분해되어 환원당 함량이 증가한다.

    ❹ 신선농산물은 수확 후 호흡에 의한 수분손실이 증산에 의한 손실보다 크다.

정답 : 4

④ 신선농산물은 수확 후 호흡에 의한 수분손실보다 증산에 의한 손실이 크다.

  

* 작물의 수확 후 생리작용 및 손실요인

작물을 수확하여 저장하면 다음과 같은 생리적 및 물리적 요인에 의하여 품질의 변화가 일어난다.

① 물리적 요인에 의한 손실 : 수확ㆍ선별ㆍ포장ㆍ운송 및 적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상처에 의하

여 손실이 발생한다. 감자의 경우 수확 후 손실의 약 20%가 물리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② 호흡에 의한 손실 : 작물은 수확 후에도 생명활동의 위하여 세포호흡을 계속하며, 그 결 과 저장양분

이 호흡기질로 소모되어 중량이 감소하고 수분이 발생하며 호흡열이 발생 한다.

과실 중에서 수확 후 호흡급등현상(呼吸急騰現象 ; climacteric rice)이 나타나기도 하 는데, 이 현상이

나타나는 과실로는 사과ㆍ배ㆍ토마토ㆍ복숭아ㆍ수박ㆍ멜론ㆍ감ㆍ살구ㆍ 무화과ㆍ망고ㆍ아보카도ㆍ바나나ㆍ키위ㆍ파파야 등이 있다.

③ 증산에 의한 손실 : 작물이 수확되면 어미식물로부터 수분공급은 중단되는 반면에 수확 물의 증산

(蒸散)은 계속되므로 수분이 손실되어 중량의 감소가 일어난다. 신선작물은 중량의 70~95%가 수분이므로 수분이 손실되면 위조, 위축이 일어나 모양ㆍ 질감 및 향기가 나빠져서 품질이 저하된다. 증산에

의한 수분손실은 호흡에 의한 손실 보다 10배나 큰데, 이 중 90%는 기공증산(氣孔蒸散), 8~10%는 표피증산(表皮蒸散)을 통하여 손실된다.

④ 맹아에 의한 손실 : 수확 직후의 작물은 일반적으로 휴면상태에 놓이므로 발아가 억제된 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휴면이 타파되고 발아, 즉 감자와 마늘 등 영양체 수확작물은 맹아(萌芽 ;sprouting)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된다.

⑤ 병리적 요인에 의한 손실 : 수확과정에서 받은 기계적 상처와 저장 중 생리적 요인에 의 하여 각종

병원균의 침입을 받아 부패하기 쉽다. 병원균에 의하여 나타나는 병들은 1차 감염 후 다시 2차 세균감

염이 일어나 급속히 양적ㆍ질적 손실을 야기한다.

⑥ 에틸렌 생성 및 후숙 : 과실은 성숙함에 따라 에틸렌(ethylene)이 다량 생합성되어 후숙 (後熟 ;

after-ripening, postmaturity)이 진행된다. 특히, 호흡급등형(呼吸急騰型) 원예작물에서 호흡급등기에 에틸렌 생성이 증가되어 급속히 후숙된다. 비호흡급등형(非 呼吸急騰型)이라 하더라도 수확시 상처를 받거나 과격한 취급, 부적절한 저장조건에서 는 스트레스에 의하여 에틸렌 생성이 급증할 수 있다. 엽채류와 근채류 등의 영양조직 은 과일류에 비하여 에틸렌 생성량이 적다

 

11. 비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질산태 질소는 지효성으로 논과 밭에 모두 알맞은 비료이다.

    ② 요소는 질소 결핍증이 발생하였을 때 토양시비가 곤란한 경우 엽면시비에도 이용할 수 있다.

    ③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를 혼파하였을 때, 인과 칼륨을 충분히 공급하면 두과 목초가 우세해진다.

    ④ 유기태 질소는 토양에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암모니아태나 질산태 질소로 변환된 후 작물에 이용된다.

정답 : 1

① 질산태 질소는 물에 잘 녹고 속효성으로 논에서는 용탈에 의한 유실이 심한 탈질현상이 심하므로 질산태 질소형 비료의 시용은 일반적으로 불리하고, 밭작물에 대한 추비에 가장 알맞다.

 

12. 우리나라 작물 재배의 특색으로 옳지 않은 것은?

    ❶ 작부체계와 초지농업이 모두 발달되어 있다.

    ② 모암과 강우로 인해 토양이 산성화되기 쉽다.

    ③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하고 기상재해가 높은 편이다.

    ④ 쌀을 제외한 곡물과 사료를 포함한 전체 식량자급률이 낮다.

정답 : 1

① 작부체계와 초지농업이 모두 발달되지 못하였다.

* 우리나라 재배의 특색

① 농용지 중에서 초지가 적다. 경지이용률은 세계 평균 11.49%에 비해 18.9%로 높지만 연년초지율이 세계 평균 26.9%보다 훨씬 낮은 0.6%에 불과하다.

② 지력이 낮은 편이다.

③ 기상재해가 큰 편이다.

④ 영세경영의 다비농업이다. 호당 경지규모가 1.48ha로 매우 적고 경지규모가 1.0ha 미 만 농가가 약 63%이다.

⑤ 전업농가가 대부분이다.

⑥ 윤작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⑦ 집약적 농업에서 생력농업으로의 전환기에 있다.

⑧ 외곡 도입량이 많다.

⑨ 주곡 위주의 농업이다.

⑩ 토지이용률이 낮다.

⑪ 축산의 비중이 낮다.

⑫ 농업기계화 정도가 낮다.

⑬ 농산물의 국제경쟁력이 약하다.

⑭ 식량자급률이 낮고, 양곡도입량이 많다. 식량 전체 자급률은 30% 이하이며 쌀자급률은 100% 근접

하나, 옥수수의 자급률은 0.8%, 밀의 자급률은 0.4%, 콩의 자급률은 7.1%에 지나지 않는다.

 

13.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생식기관은 영양기관보다 내동성이 강하다.

    ❷ 포복성 작물은 직립성인 것보다 내동성이 강하다.

    ③ 원형질에 전분함량이 많으면 기계적 견인력에 의해 내동성이 증가한다.

    ④ 세포 내에 수분함량이 많으면 생리적 활성이 증가하므로 내동성이 증가한다.

정답 : 2

② 포복성 작물은 직립성인 것보다 내동성이 강하다

* 작물의 내동성

① 생리적 요인

㉠ 세포의 수분 함량:세포 내의 자유수 함량이 많으면 세포 내 결빙이 생기기 쉬우므로 내동성이 저하된다.

㉡ 세포액의 삼투압: 세포액의 무기질 및 당 함량이 높으면 세포액의 삼투압이 높아 빙점이 낮아지고, 세포 내 결빙이 적어지면 세포 외 결빙에 의한 탈수저항성이 커지므로 원형질이 기계적 변형을 덜받게 되어 내동성이 증가한다.

㉢ 전분 함량: 전분 함량이 많으면 당분 함량이 저하되며, 전분립은 원형질의 기계적 견인력에 의한 파괴를 크게 한다. 따라서 전분 함량이 많으면 내동성은 저하한다.

㉣ 당분 함량: 가용성 당분 함량이 높으면 세포의 삼투압이 커지고, 원형질 단백질의 변성을 막으므로 내동성도 증대된다.

㉤ 원형질의 친수성 콜로이드: 원형질의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으면 세포 내의 결합수가 많아지고,

반대로 자유수가 적어져서 원형질의 탈수저항성이 커지며 세포의 결빙이 경감되므로 내동성이 커진다.

㉥ 원형질의 점도와 연도: 점도가 낮고 연도가 크면, 세포 외 결빙에 의해서 세포가 탈수 될 때나 융해시 세포가 물을 다시 흡수할 때 원형질의 변형이 적으므로 내동성이 크다.

㉦ 지유 함량: 지유와 수분이 공존할 때에는 빙점강하도가 커지므로 내동성을 증대시킨다.

㉧ 조직의 굴절률: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고 세포액의 농도가 높으면 조직즙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커지므로 내동성이 증가한다.

㉨ 세포 내의 무기성분: 칼슘이온(Ca2+)은 세포 내 결빙을 억제하는 작용이 크고 마그네슘이온(Mg2+)도 억제작용이 있다.

㉩ 원형질 단백질의 성질: 원형질 단백질에 -SH기가 많은 것은 -SS기가 많은 것보다 기계적 견인

력을 받을 때에 분리되기 쉬우므로 원형질의 파괴가 적고 내동성이 증대한다.

㉪ 원형질의 수분투과성: 수분투과성이 큰 것이 세포 내 결빙을 적게 하여 내동성을 증대 시킨다.

② 작물의 형태와 내동성(맥류의 경우)

㉠ 초형이 포복성인 작물이 직립성인 작물보다 내동성이 크다.

㉡ 파종을 깊이하여 관부가 깊어져서 생장점이 땅속 깊이 박히는 것이 내동성이 크다.

㉢ 엽색이 진한 품종 등이 내동성이 강하다.

③ 발육단계와 내동성

㉠ 작물은 영양기관보다 생식생장기에 내동성이 극히 약하다.

㉡ 자연포장에서의 가을밀은 2~4엽기의 영양체는 -17°C에서도 동사하지 않고 견디는 반면에, 수잉기의 생식기관은 불과 -1.3~1.8°C에서도 동해를 받는다.

④ 내동성의 계절적 변화

㉠ 경화(硬化, Hardening)

ⓐ 겨울작물의 내동성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차차 증대하고, 다시 높아지면 점점 감소된다.

ⓑ 월동작물이 5°C 이하의 저온에 계속 처하게 되면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증대되고 함수량의 저

하, 세포액의 삼투압 증대, 당분과 수용성 단백질의 증대 등을 초래하여 내동성이 커지는데, 이것을 경

화(Hardening)라고 한다.

ⓒ 경화된 것을 다시 높은 온도에 처리하면 경화상실(Dehardeninig)이 일어나 내동성이 약해진다.

㉡ 휴면: 가을철의 저온 단일은 수목에서 낙엽 및 휴면을 촉진하는데, 휴면아는 내동성 이 극히 강

하다.

㉢ 추파성

ⓐ 맥류는 추파성이 있어서 생육 초기에 일정한 기간의 저온을 경과하지 않으면 유수형성 및 출수개

화에 이르지 못하지만 저온처리해서 추파성을 소거하면 생식생장이 속히 유도되어 내동성이 약해진다.

ⓑ 일반적으로 추파성이 큰 품종일수록 내동성이 강하다.

 

14.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오리를 이용하여 논의 잡초를 방제한다.

    ② 칠레이리응애로 점박이응애를 방제한다.

    ❸ 벼의 줄무늬잎마름병을 저항성 품종으로 방제한다.

    ④ 기생성 곤충인 콜레마니진디벌로 진딧물을 방제한다.

정답 : 3

③ 벼의 줄무늬잎마름병을 저항성 품종으로 경종적(재배, 생태)방제한다.

* 병충해 방제

① 경종적 방제법 : 재배적 방법에 의하여 병충해를 방제하는 것을 말하며, 이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 토지의 선정

ⓐ 고랭지에서는 감자의 바이러스병 발생이 적어서 채종지로서 알맞다.

ⓑ 통풍이 나쁘고 오수가 침입하는 못자리에서는 충해가 많다.

㉡ 저항성 품종의 선택

ⓐ 남부지방의 조식재배에는 벼에 줄무늬잎마름병의 피해가 심한데 통일품종은 저항성이 극히 강하다.

ⓑ 밤의 혹벌은 저항성 품종의 선택으로, 포도의 필록셀라는 저항성 대목의 접목을 방지한다.

㉢ 종자의 선택

ⓐ 감자, 콩, 토마토 등의 바이러스 병은 무병 종자의 선택으로 방제된다.

ⓑ 벼의 선충심고병이나, 밀의 곡실선충병은 종자에 있는 선충을 구제하면 방제 된다.

㉣ 윤작: 기지의 원인이 되는 토양전염성의 병해충은 윤작에 의해서 경감된다.

㉤ 재배양식의 변경

ⓐ 벼에 있어서 보온 육묘를 하면 모부패병이 방제된다.

ⓑ 직파재배를 하면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이 경감된다.

㉥ 혼 식

ⓐ 팥의 심식충은 논두렁에 콩과 혼식하면 피해가 적어진다.

ⓑ 밭벼 사이에 심은 무는 충해가 적다.

㉦ 생육기의 조절

ⓐ 감자를 조파조수(早播早收)하면 역병, 됫박벌레의 피해가 적어진다.

ⓑ 밀의 수확기를 빠르게 하면 녹병의 피해가 줄어든다.

ⓒ 벼에서 조식을 하면 도열병이 경감되고 만식을 하면 이화명나방이 경감된다.

㉧ 작물의 시비법 개선: 질소비료를 과용하고 칼리나 규산 등이 결핍되면 모든 작물에서 병충해의 발

생이 심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포장의 정결한 관리: 포장을 정결하게 관리하여 잡초, 낙엽 등을 제거해 주면 병충해의 전염경로

가 없어지고, 통풍과 통광도 잘되어 작물이 건실하게 자라게 되므로 병충해가 경감된다.

㉩ 수확물의 건조: 특히, 화곡류는 수확물을 잘 건조하면 병충해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곡물의 수

분 함량을 12% 이하로 건조하면 바구미 등 병충해의 피해가 방지된다.

㉪ 중간기주 식물의 제거: 배의 붉은별무늬병은 주변에 중간기주 식물인 향나무를 제거함으로서 방제

가 된다.

 

15. 타식성 작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식성 작물에 비해서 타가수분을 많이 하기 때문에 대부분 이형접합체이다.

    ② 인위적으로 자식시키거나 근친교배를 하면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근교약세라고 한다.

    ❸ 동형접합체 비율이 높아지면 순계분리에 의한 우수한 형질들이 발현되어 적응도가 증가되고 생산량이 높아진다.

    ④ 근친교배로 약세화한 작물체끼리 교배한 F1이 양친보다 왕성한 생육을 나타낼 때 이를 잡종강세라고 한다.

③ 동형접합체 비율이 높아지면 순계분리에 의한 집단의 적응도가 떨어지므로 생산량이 낮아진다.

* 타식성 작물의 육종

①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타식성 작물은 타가수분을 하므로 대부분 이형접합체

이다. 이러한 타식성작물을 인위적으로 자식시키거나 근친교배(近親交配 ; inbreeding)를 하면 작물체의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근교약세(近交弱勢 ; inbreeding depression) 또는 자식

약세(自殖弱勢)라고 한다. 근교(자식)약세의 원인은 자식이나 근친교배에 의하여 이형접합체가 동형접

합체가 되고, 이형접합체의 열성유전 자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16. 채소류에서 재래식 육묘와 비교한 공정육묘의 이점으로 옳은 것은?

    ① 묘 소질이 향상되므로 육묘기간은 길어진다.

    ② 대량생산은 가능하나 연중 생산 횟수는 줄어든다.

    ③ 규모화는 가능하나 운반 및 취급은 불편하다.

    ❹ 정식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기계정식이 용이하다.

정답 : 4

④ 정식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기계정식이 용이하다.

* 채소류 육묘방법 중 재래식 육묘에 비하여 공정육묘의 이점

① 단위면적에서 모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재래식에 비하여 4~10배).

② 모든 과정을 기계화하므로 관리인건비 및 모의 생산비를 절감한다.

③ 정식 묘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기계정식이 용이하고 인건비를 줄인다.

④ 모 소질의 개선이 비교적 용이하다.

⑤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여 화물화가 용이하다.

⑥ 규모화가 가능하여 조합영농, 기업화 또는 상업농화가 가능하다.

⑦ 육묘기간 단축이 가능하고 주문 생산이 용이하여 연중 생산횟수를 늘릴 수 있다.

 

17. 작물의 작부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럽에서 발달한 노포크식과 개량삼포식은 휴한농업의 대표적 작부방식이다.

    ② 답전윤환 시 밭기간 동안에는 입단화가 줄어들고 미량요소 용탈이 증가한다.

    ③ 인삼과 고추는 기지현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동일 포장에서 다년간 연작을 한다.

    ❹ 콩은 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 등의 작부체계에 적합한 대표적인 작물이다.

정답 : 4

④ 콩은 간작, 혼작, 교호작, 주위작 등의 작부체계에 적합한 대표적인 작물이다.

① 유럽에서 발달한 노포크식과 개량삼포식은 윤작농업의 대표적 작부방식이다.

② 답전윤환 시 밭기간 동안에는 입단화가 진전(증가)되고 미량요소 용탈이 감소한다.

③ 인삼과 고추는 기지현상에 피해가 크기 때문에 동일 포장에서 다년간 휴작한다.

* 작부체계의 변천과 발달

① 대전법 : 대전법(代田法, 林田輪換法)은 개간한 토지에서 몇 해 동안 작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고,

그 후 지력이 소모되고 잡초 발생이 증가하면 경지를 떠나 다른 토지를 개간 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

작방법이다. 화전(火田)은 가장 원시적인 전법이다.

② 주곡식 대전법 : 주곡식 대전법(主穀式代田法)은 정착농업을 하면서 초지와 경지 전부를 주곡으

로 재배하는 작부방식이다.

③ 휴한농업 : 휴한농업(休閑農業)은 정착농업 이후에 지력감퇴를 방지하기 위하여 농경지의 일부를

몇 년에 한 번씩 휴한(休閑)하는 작부방식이다. 유럽에서 발달한 3포식 농법이 표적이다.

④ 윤작 : 농기구의 발달과 더불어 몇 가지 작물을 돌려짓기하는 윤작(輪作)이 발달하였다. 초기의

표적인 윤작방식에는 순3포식 농법, 개량3포식 농법, 영국의 노포크식 윤작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 초 맥과 두의 1년2작과 같은 형태로 시작되 었다.

⑤ 자유식 : 자유식(自由式)은 시장의 경기상황이나 생산자재의 가격변동 등에 따라 작목을 수시로

바꾸는 재배방식으로서, 지금은 농업인의 특정 목적에 의하여 특정 작물을 재배하는 수의식(隨意式)으

로 변천ㆍ발달하였다.

⑥ 답전윤환 : 답전윤환(畓田輪換)은 지력증진 등을 목적으로 논작물과 밭작물을 몇 해씩 교대로 재

배하는 작부방식이다.

01 연작과 기지

동일한 포장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을 연작(이어짓기)이라 하고 연작을 할 때에는 작물의 생육이 뚜렷하게 나빠지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기지(soil

sickness) 라고 한다.

(1) 연작의 필요성

수익성과 수요량이 크고 기지현상이 별로 없는 작물은 연작을 하는 것이 보통이며, 벼농사는 그 대표적

인 예이다. 기지현상이 있더라도 특별히 수익성이 높은 작물은 기지대책을 세우고 연작을 하는 일이 있

는데, 이는 채소 등에서 볼 수 있다.

(2) 작물의 종류와 기지

이어짓기는 작물의 생육상 이로운 점 등은 별로 없는데, 연작의 피해는 작물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① 작물의 기지 정도

㉠ 연작의 피해가 적은 작물: 벼, 맥류, 조, 수수, 옥수수, 고구마, 삼, 담배, 무, 당근, 양파, 호박, 연,

순무, 뽕나무, 아스파라거스, 토당귀, 미나리, 딸기, 양배추, 사탕수수, 꽃양배추, 목화 등

㉡ 1년 휴작 작물: 시금치, 콩, 파, 생강, 쪽파 등

㉢ 2~3년 휴작 작물: 마, 감자, 잠두, 오이, 땅콩 등

㉣ 3~4년 휴작 작물: 쑥갓, 토란, 참외, 강낭콩 등

㉤ 5~7년 휴작 작물: 수박, 가지, 완두, 우엉, 고추, 토마토, 레드클로버, 사탕무,

대파 등

㉥ 10년 이상 휴작 작물: 아마, 인삼 등

(2) 답전윤환의 효과

① 지력의 증강 : 밭 기간 동안에는 논 기간에 비하여 토양의 입단화 및 건토효과가

진전되고, 미량요소 등의 용탈이 적으며, 환원성인 유해물질의 생성이 억제되고, 채소나 콩과

목초는 토양을 비옥하게 하여 지력이 증강된다.

② 기지의 회피 : 벼를 재배하다가 채소를 재배하면 채소의 기지현상이 회피된다.

③ 잡초의 감소 : 담수상태와 배수상태가 서로 교체되므로 잡초의 발생량이 적어진다.

④ 벼의 수량 증가 : 클로버 등을 2~3년 재배하였다가 벼를 재배하면 벼의 수량이 초년도에 비교하여

후기에 30% 가량 늘고, 또 질소의 시용량이 절반 이하로 절약된다.

⑤ 노력의 절감 : 잡초 발생, 병충해 발생 등이 억제 및 절감되어 노력이 절감된다.

05 그 밖의 작부체계

(1) 간 작

한 가지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곳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간작(사이짓기)이라고

한다.

① 생육시기를 달리하는 작물을 일정기간 같은 토지에 생육시키는 것이므로 여름작물과 겨울작물이 조

합되는 것이 보통이다.

② 두 작물 중에서 경영적 입장에서 볼 때 주가 되는 작물이 주작물이 되고 종속적인 것이 간작물이

되며, 콩의 생육기간을 연장하게 하여 증수를 꾀하는 맥간작이 그 좋은 예가 된다.

③ 간작의 주목적은 주작물에 피해 없이 간작물을 생산하는 데 있다.

④ 주작물은 키가 작고 빨리 성숙한 품종을 선택한 것이 좋다.

⑤ 주작물은 파종시 간작물의 생육을 위하여 이랑 사이를 넓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⑥ 우리나라 간작 작물형식은 보리-콩ㆍ팥, 보리-목화, 보리-고구마 등이 좋은 예이다.

(2) 혼 작

생육기간이 거의 같은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포장에 섞어서 재배하는

것을 혼작(섞어짓기)이라고 한다.

① 작물 사이의 주작물과 부작물의 관계가 명확한 경우도 있으나 명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② 혼작을 하는 것은 두 작물의 여러 가지 생태적 특성에 의해서 혼작을 하는 것이 두 작물을 분리해

서 따로따로 재배하는 것보다 합계 수량이 많아야 의미가 있다.

③ 혼작물 선택시, 특히 키, 비료흡수, 건조나 그늘에 견디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두 작물에 상호 피해

가 없는 것이 좋다.

④ 우리나라 혼작 작부체계 예는 다음과 같다.

㉠ 점 혼작: 콩-수수ㆍ옥수수, 고구마-콩 등

㉡ 난 혼작:콩-수수ㆍ조, 목화-참깨ㆍ들깨, 조-기장, 조-수수, 오이-아주 까리, 기장-콩,

팥-메밀 등

(3) 교호작

콩의 두 이랑에 옥수수 한 이랑씩처럼 생육기간이 비슷한 작물들을 서로 건너서 교호

로 재배하는 방식을 교호작(엇갈아짓기)이라고 한다.

① 간작에 비하면 주작물과 간작물, 전작물과 간작물의 뚜렷한 구별이 없다.

② 교호작에 있어서도 작물들이 토양, 비료, 공간의 이용이나 서로의 생리ㆍ생태적인 면에서 알맞기 때

문에 각각 분리해서 재배하는 것보다 단위면적당의 합계 수량이 더욱 많아야 의미가 있다.

③ 우리나라 교호작 방식은 콩 2줄에 옥수수 1줄을 심는 재배방식이 이용된다.

(4) 주위작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 다른 작물들을 재배하는 것을 주위작(둘레짓기)이라

고 한다.

① 주위작의 주목적은 포장 주위에 공간을 생산에 이용하는 것이다.

② 우리나라 주위작 작부방식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논두렁콩이 표적인 예이다.

㉡ 참외, 수박 밭의 둘레에 옥수수, 수수 등을 심으면 방풍의 효과가 있다.

㉢ 경사지의 밭에 닥나무, 뽕나무 등을 심으면 방풍과 토양보호의 효과가 있다.

㉣ 우리나라에서 강낭콩은 주로 여름작물의 주위작으로 재배된다.

 

18. 여교배 육종의 성공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한다.

    ❷ 육성품종은 도입형질 이외에 다른 형질이 1회친과 같아야 한다.

    ③ 여교배 중에 이전하려는 형질의 특성이 변하지 않아야 한다.

    ④ 여러 번 여교배한 후에도 반복친의 특성을 충분히 회복해야한다.

정답 : 2

② 육성품종을 도입형질 이외에 다른 형질이 반복친과 같아야 한다.

* 여교잡육종법:양친 A와 B를 교배한 F1에 어버이의 어느 한쪽을 다시 교잡하는것을 여교잡이라고 하며, 여교잡을 이용한 육종법을 여교잡육종법이라고 하고, 재배되고 있는 우량 품종이 가지고 있는 한 두 가지 결점을 개량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내병성 품종의 육성이나 특수한 형태적 특성에서와 같이 목적하는 형질이 쉽게 감정되는 형질에 대한 육종에 적용되는 육종법이다. 여교배를 한 잡종은 BC1F1, BC2F1,…… 등

으로 표시한다. 여교배를 여러번 할 때 처음 한 번만 사용하는 교배친을 1회친(一回親 ; donor parent)

이라 하고, 반복해서 사용하는 교배친을 반복친(反復親 ; recurrent parent)이라고 한다.

㉠ (A×B)×A 방식과 (A×B)×B 방식 또는 [(A×B)×B]×B와 같은 교잡방식이 있으며, (A×B)×B 방

식으로 여교잡을 할 때 A를 1회친(화분친)이라 하고, B를 반복친(자방친)이라고 한다.

㉡ A의 특정 형질, 예를 들면 내병성 등을 B에 옮기려고 할 때 등에 여교잡법이 이용된다.

㉢ 비실용품종을 1회친으로 하고 실용품종을 반복친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교배 선발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집단의 크기로 비교적 짧은 세대 동안 비실용품종의 우수한 특성을 이전하여 품종을 개량할 수 있

다.

㉣ 여교잡육종에서는 연속적으로 교배하면서 이전하려는 1회친의 특성만을 선발함으로 육종의 효과가

확실하고 선발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재현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목표 형질 이외의 다른 형질

에 대한 새로운 유전자조합을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 여교배육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첫째 만족할 만한 반복친이 있어야 하고,

둘째 여교배를 하는 동안 이전 형질 (유전자)의 특성이 변하지 말아야 하며,

셋째 여러 번 여교배 를 한 후에 반복친의 특성을 충분히 회복해야 한다.

㉥ 우리나라의 ‘통일찰’ 벼품종은 여교배육종에 의하여 육성된 것으로, 메벼인 통일벼를 반복친으로 하

였고, 찰벼 IR833을 1회친으로 하였다. 통일벼는 다수성 초형을 가진 우량 품종 이고, 이전하려는 찰성

유전자(wx)는 여러 번 교배하여도 특 성이 변화하지 않으며, 반복친의 다수성 초형은 단순열성 (sd-1)

으로 회복이 잘된다. 따라서, ‘통일찰’벼를 성공적으로 육성할 수 있었다.

 

19. 잡초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윤작과 피복작물 재배는 경종적 방제법에 속한다.

    ❷ 제초제는 제형이 달라도 성분이 같을 경우 제초 효과는 동일하다.

    ③ 동일한 계통의 제초제를 연용하면 제초제저항성 잡초가 발생할 수 있다.

    ④ 잡초는 광발아 종자가 많으므로 지표면을 검정비닐로 피복하면 발생이 줄어든다.

정답 : 2

② 제초제는 제형이 달라도 성분이 같을 경우 제초 효과는 차이가 있다.

ⓑ 같은 성분의 제초제일지라도 제형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적절한 제형

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제형에 따라 처리방법이 달라지므로 노력사정, 제초제 처

리기구의 보유 유무에 따라 적합한 제형을 선택해야 한다.

 

* 잡초의 방제

잡초의 방제에 있어서는 잡초의 발생과 종자의 유입을 적게 하는 예방의 방향과 발생

한 잡초를 없애는, 즉 제거의 방향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잡초 중에서 돼지풀ㆍ도꼬

마리ㆍ개 망초ㆍ미국가막사리ㆍ메귀리 등은 모두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잡초이다. 부

레옥잠은 관상용으로 도입되었고, 어저귀는 섬유작물로 도입되어 잡초화된 것이다.

① 잡초의 예방 : 잡초로 이미 오염되어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으로부터 잡초

종자나 영양번식체 등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조처이며, 잡초방제의 가

장 실질적 인 방법의 하나가 된다.

㉠ 윤작:~중략~ ㉡ 방목:~중략~ ㉢ 소각 및 소토:~중략~ ㉣ 경운:~중략~

㉤ 퇴비 중의 잡초 종자의 경감:~중략~ ㉥ 종자 선별:~중략~ ㉦ 재배방식:~중략~

㉧ 피복: 풀, 짚 또는 플라스틱필름으로 포장을 피복하면 잡초의 발생을 경감시키는 효과도 있

다.(특히, 잡초는 광발아성 종자가 많으므로 흑색비닐로 피복하면 발생억제효과가 있다.)

㉨ 관개:~중략~

② 잡초의 제거 : 잡초의 근절은 현재 생육하고 있는 잡초를 완전무결하게 죽여 없애

고 더 이상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지만 실제로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잡초

방제란 개념은 크게 피해를 받지 않을 정도까지 잡초의 생육을 막거나 억제하여 주는

조처 및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 기계적(물리적) 방제

ⓐ 수취, 베기, 경운, 태우기, 침수, 훈연 등의 방법들이 있으며 잡초가 침해에 가장 약한 시기를 통하

여 작물과의 경합력을 억제하고 번식을 막아줄 목적으로 실 시된다.

ⓑ 맨손, 호미, 괭이, 낫, 중경기 등을 사용해서 되도록 생육 초기에 제거하는 것이 좋다.

㉡ 생태적 방제(재배적 방제법 또는 경종적 방제법)

ⓐ 흔히 재배적 방제법 또는 경종적 방제법이라고도 하며, 잡초와 작물의 생리ㆍ생 태적 특성의 차이

에 근거를 두고 잡초에는 경합력이 저하되도록 유도하는 대신 작물에는 경합력이 높아지도록 재배관리

를 해주는 방법이다.

ⓑ 처리내용으로는 파종기를 조절하거나 파종량, 비료의 종류, 시비량과 시기를 조 절하고, 관수를

달리하며 지면피복 또는 윤작체계 확립으로 잡초 생육을 억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 겨울철에 경운을 하면 지하경이 동사하므로 잡초가 감소한다.

㉢ 생물학적 방제

ⓐ 생태계의 파괴 없이 먹이사슬의 유지 보존을 하면서 곤충이나 미생물 또는 병균의 천적관계를 이용

하여 잡초의 세력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목적은 잡초의 박멸이나 근절에 있지 않고 경제적으로

무시해도 좋을 만큼의 밀도로 생존하도록 감소 또는 조절하는 데 있다.

ⓑ 이에 이용되는 천적으로는 특별한 종류의 잡초만을 가해하는 병원균이나 곤충, 소동물, 어패류 및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식물을 들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적용 대상 잡초의 폭이 좁다는 단점이 있다.

ⓒ 생물학적인 방제에 이용될 수 있는 천적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전제조건을 만족 시켜야 한다.

∙가급적 철저하게 먹이를 섭식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서 평형상태에 도달할 경우에도 문제 잡초의

발생량이 경제적 허용범위 이내로 제한될 수 있어야 한다.

∙먹이(잡초)가 없어져서 천적의 자연감소가 불가피하게 된 경우라 하더라고 결코 문제 잡초 이외의

유용식물을 가해하지 않아야 한다.

∙널리 불규칙으로 산재해 있는 문제 잡초를 선별적으로 찾아다니며 가해할 수 있는 이동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천적의 천적이 없어야 하고, 새로운 지역에서의 환경과 다른 생물에 대한 적응성, 공존성 및 저항성이

있어야 한다.

∙잡초보다 신축성이 있게 빠른 번식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상호 집합체의 불균형 에 대한 대응능력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 이 방법은 최근 제초제 과용에 대한 폐해를 줄이고, 환경친화형 농업을 실현한다

는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나, 아직은 실용화 단계에 와 있지 않다.

∙곤충을 이용한 방제: 선인장(좀벌레)ㆍ고추나물속(무구풍뎅이)

∙식물병균을 이용한 방제: 녹병균ㆍ곰팡이ㆍ세균ㆍ박테리아ㆍ선충ㆍ바이러스

∙어패류를 이용한 방제: 잉어ㆍ붕어ㆍ흑색달팽이ㆍ초어

∙상호대립 억제작용성의 식물을 이용한 방제: 메밀짚ㆍ호밀ㆍ귀리

∙동물을 이용한 방제: 오리

③ 화학적 방제

㉠ 가장 현재 많이 행해지는 방법으로 제초제를 사용해서 잡초를 고사케 하는 방법이다.

㉡ 화학적 잡초방제의 장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제초제의 사용폭이 넓고 효과가 커서 비교적 완전한 제초가 가능하다.

ⓑ 제초효과가 상당한 기간까지 지속적이며, 경비가 가장 절약된다.

ⓒ 사용이 간편하며 무한히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화학적 방제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약제를 부주의하게 사용하였을 경우에 인축과 작물에 약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많다.

ⓑ 약제를 적용할 수 있을 때까지의 부단한 지식과 훈련 및 교육이 요구된다.

④ 종합적 방제(Integrated Weed Management, IWP)

㉠ 종합적 방제란 주어진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방제법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

는 것을 말하며, 이의 목적은 불리한 환경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유해생물의 군락을

유지시키는 데 있다.

㉡ 잡초의 개체군 또는 군락을 효과적으로 방제키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으로 소기의 방제 목적을 달

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제초제에만 의존하지 말고 예방적, 경종적, 물리적, 기계적 및 생물학적 방제법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제초제와 혼합하여 전 생육기간 동안 종합적으로 관리할 때 효과적인 방제를

기할 수 있다.

㉢ 잡초의 완전 제거가 아니라 경제적 손실이 없는 한도 내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제를 요구하는 방법

이다.

㉣ 종합적 방제법이 대두하게 된 배경을 다음과 같다.

ⓐ 한 가지 방법으로만 제초를 반복하면 특정 방제수단에 저항성을 지닌 집단으로 분화할 우려가 있

다.

ⓑ 약제사용 증가로 인해 토양에 의한 잔류독성 및 약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환경친화형 병해충 방제의 필요성이 생겼다.

예방적 방제법(preventive control nethod)

㉠ 잡초의 발생과 종자의 생산 및 낙하를 적게하는 방법

㉡ 다른 곳에서 생산된 잡초의 종자나 영양체가 경작지에 유입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 잡초위생(sanitation) : 새로운 종자 및 영양체를 생성할 수 없게 청결한 상태로 유지

(10) 제초제에 의한 제초

① 제초제의 구비조건

㉠ 잡초종, 억제력, 제초기간 등의 제초효과가 커야 한다.

㉡ 인축 및 공해에 한 안전도가 높아야 한다.

㉢ 농민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해야 한다(제제, 혼용가능성, 구입, 취급 등).

㉣ 온도, 습도, 광선, 경종 등 조건의 차이에 있어서 효과가 안전해야 한다.

㉤ 소비자나 생산자 양쪽에 가격이 적절해야 한다.

㉥ 생육, 수량, 품질 등에 있어서 약해가 적어야 한다.

㉦ 약량, 시기 등에 있어서 처리상의 안전성이 있어야 한다.

㉧ 노력절감을 위하여 타 약제와 혼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제초제의 종류 및 특성

㉠ 디페닐에테르계

ⓐ bifenox; CNP(MO):보온절충 못자리 및 수도본답, 건답직파 등에 처리한다.

㉡ 아마이드계

ⓐ Butachlor(마세트):수도본답, 건답직파, 맥류나 콩밭의 일반 밭작물과 원예작물에 이용된다.

ⓑ Alachlor(라쏘):콩, 양파, 무, 배추, 고추, 딸기, 감자, 고구마 등의 대부분의 밭작물에 쓰인다.

ⓒ Propanil(스탬 F-34):못자리, 담수직파ㆍ건답직파 및 잔디밭에 주로 이용되는 경엽처리 제초제이다.

㉢ 트라이진계

ⓐ Simazine(CAT):과수원, 옥수수, 딸기 등의 밭작물에 토양처리제로서 이용된다.

㉣ 요소계

ⓐ Methabenzthiazuron(트리부닐):보리, 양파, 마늘 등의 밭에 토양처리제 및 발생 초기에 경엽처리제로

이용된다.

ⓑ Linuron(아파론, 아파록스):콩, 보리 등의 일반 밭작물에 파종 복토 후에 토양처리제로서 사용된다.

㉤ 카바메이트계

ⓐ Thiobencarb(사단):물못자리는 파종 후 10~14일, 본답에서는 써레질 후 7일 이 내, 보리는 파종, 복

토 후에 토양처리제로 사용된다.

㉥ 비피리딜리움계

ⓐ Paraquat(그라목손):비선택성 제초제로 주로 비농경지의 비선택성 제초제로 경엽처리되며 과수원에서

도 쓰이고 있다. 맥류의 경우 파종 전 처리하기도 한다.

㉦ 페녹시계

ⓐ 2,4-D:제초제의 원조로서 오늘날까지도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것으로 수도본답, 잔디밭 또는 일반

밭작물에 이용된다. 처리시기는 수도본답의 경우 이앙 후 20~40일경이다.

ⓑ MCPB:작용기구가 호르몬 작용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호르면형 제초제이다.

㉧ 혼합제제 제초제

ⓐ 푸마시:Machete와 Pyrazalate의 혼합제제로서 수도본답에 이앙 후 3~5일에 처리한다.

③ 제초제의 활성에 따른 분류

㉠ 선택성 제초제:선택성 제초제(2,4-D, butachlor, bentazon)는 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지만 잡초에만 피

해를 주는 제초제이다.

㉡ 비선택성 제초제:비선택성 제초제(glyphosate, paraquat 등)는 작물과 잡초가 혼재되어 있지 않은 지역

에서 비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초제이다.

㉢ 접촉형 제초제:접촉형 제초제(paraquat, diquat 등)는 처리된 부위에서 제초효과가 일어나는 처리제이

다.

㉣ 이행성 제초제:이행성 제초제(bentazon, glyphosate 등)는 처리된 부위로부터 양분이나 수분의 이동경

로를 통해 이동하여 다른 부위에도 약효가 나타나는 제초제이다.

㉤ 처리대상이 되는 재배양식에 따른 분류

ⓐ 논 제초제

ⓑ 밭 제초제

㉥ 제품의 형태에 따른 분류

ⓐ 제초제는 제품의 형태(形態)에 따라 입제(粒劑 ; GR)ㆍ유제(乳劑 ; EC)ㆍ수화제 (水和劑 ; 제)ㆍ수용제

(水熔劑 ; SP)ㆍ캡슐현탁제(CS)ㆍ유탁제(乳濁劑 ; EW)ㆍ 미립제(黴粒劑 ; MG)ㆍ분산성 액제(分散性液劑 ;

DC) 등 여러 제형이 있다.

ⓑ 같은 성분의 제초제일지라도 제형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적절한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제형에 따라 처리방법이 달라지므로 노력사정, 제초제 처리

기구의 보유 유무에 따라 적합한 제형을 선택해야 한다.

㉦ 제초제의 처리시기

ⓐ 파종 전 처리:경기하기 전에 포장에 paraquat(Gramoxone), TOK, PCP, EDPD, CBN.G-315(론스타)

등의 제초제를 살포한다.

ⓑ 파종 후 처리 또는 출아 전 처리:파종 후 3일 이내에 PCP, TOK, Simazine(CAT), Machete, Afalon,

Swep, Lasso, Ramrod, Karmex 등의 제초제를 토양전면에 살포한다.

ⓒ 생육 초기 처리 또는 출아 전 처리:잡초의 발생이 심할 때에는 생육 초기에도 Stam F-34(DCPA),

2,4-D, Ssaturn-S, Pamcon, Simazine(CAT), CI-IPC 등의 선 택형 제초제를 살포한다.

④ 제초제 사용상의 유의점

㉠ 제초제의 선택과 사용시기 및 사용농도를 적절히 한다.

㉡ 파종 후 처리의 경우에는 복토를 다소 깊고 균일하게 한다.

㉢ 인축에 유해한 것은 특히 취급에 주의한다.

㉣ 제초제의 연용에 의한 토양조건이나 잡초 군락의 변화에 유의해야 한다.

㉤ 농약, 비료 등과의 혼용을 고려해야 한다.

㉥ 제초제에 한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⑤ 제초제 저항성 잡초

㉠ 제초제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동일 계통의 제초제를 연용함에 따라 제초제에 저항성 을 나

타내는 잡초들의 발생이 나타나고 있다.

㉡ 자연상태에서 특정 제초제에 저항성을 지닌 돌연변이체들이 생겨난 후 그 중 적응성 이 높은 생태형이

번성하면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 우리나라 논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계통이 발생하여 작물수량을 감소시켜 문제가

되고 있다.

㉣ 제초제 저항성 잡초는 물달개비ㆍ미국외풀ㆍ마디꽃ㆍ알방동사니 등이 있다.

 

20. 작물의 내적 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물체 내 탄수화물과 질소가 풍부하고 C/N율이 높아지면 개화 결실은 촉진된다.

    ② 토양통기가 불량해지면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이 더욱 억제되므로 T/R율이 높아진다.

    ③ 근채류는 근의 비대에 앞서 지상부의 생장이 활발하기 때문에 생육의 전반기에는 T/R율이 높다.

    ❹ 고구마 순을 나팔꽃 대목에 접목하면 덩이뿌리 형성을 위한 탄수화물의 전류가 촉진되어 경엽의 C/N율이 낮아진다.

정답 : 4

④ 고구마 순을 나팔꽃 대목에 접목하면 덩이뿌리 형성을 위한 탄수화물의 전류가

억제되어 경엽의 C/N율이 높아진다.

* 작물의 내적 균형

(1) 작물체 내에서의 내적 균형의 의의

작물의 생리적 또는 형태적인 어떤 비율이나 균형이 작물 생육의 특정한 방향을 표시하는 좋은 지표가

되기 때문에 재배적으로 중요시되는 작물의 생체조직의 양분이나 형태의 비율을 구하여 작물의 생육과

관련시켜 해석하는데 그 지표로는 C/N율(C/N ratio), T/R율 (Top/Root ratio), G-D균형(G-D

balance)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화성(flowering)유도에 외적 환경요인인 일장, 온도가 요구되지

만, 작물의 생리 적인 면에서 보면 C/N율, Auxin이나 Gibberellin 등 식물 Hormone의 체내 수준이 일

정 수준에 달하여야 한다.

(2) C/N율

① 의의 : 작물 체내의 탄수화물과(C)과 질소(N)의 비율을 C/N율(C/N ratio) 또는 탄수화 물 질소

비율이라고 하며, C/N율이 작물의 생장, 생육과 화성 및 결실 등이 발육을 지배 하는 근본적인 내적 요

인이 되리라는 견해를 C/N율설(C/N ratio theory)이라고 한다.

② C/N율설 : 체내 탄수화물과 질소, 수분과의 비율이 화성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설로서

KrausㆍKraybil(1918)의 토마토를 재료로 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수분과 질소를 포함한 광물질 성분이 풍부하다 해도 탄수화물의 생성이 불충분하면 생장이 미약하

고 화성 및 결실도 불량하다.

㉡ 탄수화물의 생성이 풍부하고 수분과 광물질 성분, 특히 질소도 풍부하면 생육은 왕 성하지만 화성

및 결실은 불량하다.

㉢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약간 쇠퇴하고 탄수화물의 생성이 조장되어 풍부해지면 화성 및 결실은 양

호하게 되지만 생육은 ②의 경우보다 약간 감퇴한다.

㉣ 탄수화물의 증가를 저해하지 않고 수분과 질소의 공급이 더욱 감소되면 생육은 더욱 감퇴하고 화

아는 형성되나 결실하지 못하며 더욱 심하면 화성도 이루어지지 못한다.

③ C/N율설의 적용

㉠ 작물에 있어서 개화ㆍ결실이 가장 양호한 것은 질소분이 과다하지 않고 일광이 좋아 광합성이 조

장되는 위 ㉢과 같이 유도하는 것이 좋다.

㉡ 작물에 있어서 극단적 질소의 과다나 광의 부족은 생육과 개화ㆍ결실이 모두 불량해 지는 것이 일

반적 견해로 보인다.

㉢ 환상박피(girdling):줄기의 일부분을 둥글게 환상박피하여 유관속의 일부인 체관을 제거하면 형성

층으로부터 바깥쪽의 외부까지 제거하거나, 또는 줄기의 군데군데 에다 칼질을 하면 동화물질의 전류가

그 부분에서 억제되어 환상박피나 각절한 윗부 분에 있는 눈에는 탄수화물의 축적이 조장되고 C/N율이

높아지므로 따라서 화아분 화가 촉진되고 과실의 발달이 조장된다.

㉣ 고구마의 인위개화: 고구마 순을 덩이뿌리가 형성되지 않은 나팔꽃을 대목으로

하여 접목하면 경엽으로부터의 덩이뿌리 형성을 위한 탄수화물의 전류가 억제되고 경

엽에서의 탄수화물 축적이 조장되어 C/N율이 높아지므로 화아 형성 및 개화가 가능

하다.

④ C/N율설의 비판

㉠ C/N율을 적용할 때는 C와 N의 비율뿐 아니라 C와 N의 절량이 중요하며, 즉

개화ㆍ 결실에는 C와 N의 비율뿐만 아니라 C와 N의 절대량이 함께 증가할 때 조장

된다.

㉡ C/N율의 영향은 시기나 효과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하는 결점이 있다. 요컨, C/N율설은 C와 N이 풍부하고 C/N율이 높을 때 생육, 개

화, 결실을 조장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으나, 모든 작물에 전반적으로 적용하기에

는 불합리한 소지가 있다.

㉢ 고구마의 인위개화에 나팔꽃에 접목만으로는 개화시키기 어렵고 반드시 9~10 시간 의 단일처리

를 전제조건으로 개화가 유도되듯이 화아 형성, 개화유도에 춘화처리, 플로리겐, 지베렐린 등의 영향이

수반되어야 한다

.

(3) T/R율

① 의 의

㉠ 작물의 지하부 생장량에 대한 지상부 생장량의 비율을 T/R율(Top/Root ratio) 또 는 S/R율

(Shoot/Root ratio)이라 하며, 지하부의 생장을 주로 세심히 살필 때는 이역수 R/S율(Root/Shoot ratio)

을 사용하기도 한다.

㉡ 생장량은 생체중 또는 건물중으로 표시한다.

㉢ T/R율의 변동은 생육상태의 변동을 표시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 T/R율은 T(지상부)와 R(지하부)의 중량 비율이므로 그 절대 중량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지만

T/R율에 관계하는 조건이 절대 중량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간접적으로 는 절대 중량과도 같은 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 T/R율, 즉 근채류는 근(뿌리)의 비대가 이루어지기 전에 지상부의 생장이 왕성

하기 때문에 생육전반기에는 T/R율이 높아지고, 괴경중에 대한 경엽중의 비율은 정식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므로 이 경우 T/R율의 증가 경향은 괴경중의 감소 경향과 일치하며 따라서 T/R율과 절

대 수량 사이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계가 인정된다. 즉, T/R율의 감소(R/S율의 증가)는 절대 수량의 증

가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 T/R율의 변동을 추구하는 것이 작물 생육의 정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상태, 나가서는 유리 또는 불

리한 조건을 고찰하는 지표가 될 때가 많다.

② T/R율에 미치는 재배조건의 영향

㉠ 파종기 및 정식기: 지하 저장기관을 수확의 목적으로 하는 고구마나 감자의 경우 덩이뿌리의 무

게 또는 덩이줄기의 무게에 대한 지상부의 비율을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질수록 지하부의 중량 감소가

지상부의 중량 감소보다 크기 때문에 T/R율이 커지므로 적기파종과 적기이식이 필요하다.

㉡ 일사: 일조량이 적어지면 체내 탄수화물의 축적이 감소되는데 이는 지상부의 생장 보다 뿌리의

생장을 더욱 저하시키므로 T/R율이 커져 불리하다.

㉢ 비료: 질소를 과다 시용하면 지상부의 질소 집적이 많아지고 단백질 합성이 왕성해 지며 탄수화

물의 잉여가 적어져서 지하부로의 전류가 상적으로 감소하므로 지하 부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T/R율이 커져 불리하다.

㉣ 토양수분: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뿌리의 생장보다 지상부의 생장이 더욱 저해되므로 T/R율은

감소한다.

㉤ 토양통기: 토양통기가 불량하여 뿌리의 산소 부족을 가져오므로 유기호흡이 저해되면 지

상부보다도 지하부의 생장이 더욱 저해되므로 T/R율은 증대된다.

㉥ 가지의 신장 중 가지치기를 하면 T/R율이 커진다.

㉦ 가지의 신장이 정지된 후 가지치기를 하면 T/R율은 작아진다.

㉧ 과수에 해서 적엽을 하면 지상부의 생장보다도 지하부의 생장이 더욱 감퇴되므로 T/R율은 커진다.

③ 적화 및 적과 : 꽃이나 어린 과실을 따면 동화물질의 소모가 적어지고 지상 및 지하부의 생장이 조

장되는데 지하부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더욱 조장되므로 T/R율은 작아진다.

(4) G-D균형(G-D balance)

Loomis(1993)는 작물의 내적 균형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G-D균형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즉, 식물의 생

육을 생장(growth)과 분화(differentiation)의 두 방면으로 고찰하고, 양자 간의 균형 여하가 작물의 생

육을 지배하는 요인으로 생각하여 생장과 분화의 균형(G-D균 형)을 들어 제시하였다.

① 생장은 세포의 분열과 증대에 유래하므로 그 기본은 원형질의 증가인데 이를 위해서는 질소나 뿌리

에서 흡수되는 물과 무기양분 및 잎에서 합성되는 탄수화물이 필요하다.

② 분화는 세포의 성숙에 유래하며 세포막의 목화 및 코르크화나 탄수화물, 알칼로이드, 고무, 지유 등

의 축적이 필요한데 그 주재료는 탄수화물이다. 그리고 세포액의 농도가 어느 정도 높아질 필요가 있으

며 이를 위해서는 당분의 증가와 수분의 감소가 필요하다.

③ G-D는 생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쳐 생육과 성숙을 지배하는 요소가 C/N율설의 경우보다도 복잡하

며 따라서 작물의 발육관계를 보다 더 모순 없이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 반면에 이것을 발육현상의 설

명에 적용할 때에는 재단적인 한 개의 학설로 되기가 곤란하므로 오늘날에 있어서는 거의 사용되고 있

지 않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