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질 재료 ]
1. 목재의 특징 → 무생물 재료, 무게에 비해 강도가 크다,
열전도율이 낮다(플라스틱, 돌 등)
2. 목재의 구조 / 무른 나무, 굳은 나무
* 춘재 → 봄, 여름에 자란 세포, 재질이 연함(활엽수/ 포플러, 오동나무)
* 추재 → 가을, 겨울에 자란 세포, 재질이 치밀하고 단단함(침엽수/ 향나무, 낙엽송)
* 부름켜 → 성장하면서 목질이 형성하는 층(형성층)
3. 목재의 건조와 방부
1) 건조의 목적 → 함수율 15%가 되게
2) 건조방법 → 자연건조법(공기건조법)
(가)침수법:물에 담갔다가 건조하는 방법
※뒤틀림 현상.항렬 현상이 적어지고 방충,방부 효과가 있다.
(나)공기건조법:통풍이 잘되는 그늘진곳에 쌓아서 건조
※땅으로 부터 40~50 cm 띄우고 바람 방향과 직각으로 쌓는다.
※양쪽끝 마구리 방향을 페인트 또는 창호지로 도포
※두께 3 cm의 판재인 경우 침엽수= 2~6개월 소요 활엽수= 6~12 개월 소요
※원목의 경우 1~3년 소요
인공건조법(고주파 건조법 <두꺼운 나무> 등)
3) 목재의 방부 → 충해 / 흰개미(목재의 적)
* 수용성 방부제 / 실내용
※ 방부제의종류 cu a2(구리 아졸계)
①수용성방부제(CCA방부제) → Cr,크롬, Cu구리, As,비소(청산가리)의 화합
※대체용제→ACQ(알킬암모늄),CUA2(구리아졸계)
② ACC방부제 → Cr,크롬, Cu,구리의 화합물(광산의 갱목에만 사용)
③ 유용성 방부제 → ①크레오스트유:흑갈색용액,방부력이 우수하나,냄새가 심해 내부사용이 곤란
②콜타르:흑색으로 침투가 약하므로 도포용으로 사용
③유성페인트,아스팔트,오일스테인(기름에 녹여사용
④pcp(판타크로온,나프텐산 금속염)방부제,
방부력이 가장 우수하고 페놀에 녹여 사용
▣ 방부 처리 방법
(가)상압처리
①도포법:페인트칠 5~6 mm 깊이(내부 침투는 안됨)
②침지법:7~10일 10~15 mm 비교적 방부 효과가 있음
③온랭법
※뜨거운 방부액에 담구었다가 차거운 방부액에 담그는 방법
④확산법:수용성 방부제가 수분속에서 확산되는 성질을 이용
⑤표면 탄화법:표면을 3~10 mm깊이로 태우는방법
※방부 효과가 가장 없음
⑥가압 처리법
※충세포법:나무의 기공속에 방부제로 채우는 방법 (세포속에)
※베델법:영국인 베델이 개발한 방부법(유용성 방부제를 사용)
※버닛법:수용성 방부제를 사용
# 공세법(루정법):방부액을 가압으로 넣었다가 압력을 빼어주면
약액이 빠져 나오므로(약액 재활용)비용절감
①루핑법:공기압축후→약액주입(약액 회수)
②로우리(독일)법:약액 주입후→공기 압축
※베델법과 루핑법의 중간정도
4. 목재의 종류/ 통나무 → 조각재 → 제제목 →대나무→
가공재 합판:(집성재→MDF→파티클보드→플로어링)
*제제목→각재 W < 4T 판재→W > 4T
*후판재 3cm~7.5cm미만
*판재=두께 cm 미만 폭12cm미만
▣ 가공재 /합판:얇게깎은 나무를 결대로 직각되게 압축한것
*3.5.7.9
*집성재:나무조각을 본드로 붙인것
*MDF중밀도(섬유판):나무가루를 본드로 압축한것
*파티클보드:나무조각 분쇠한것을 본드로 압축한것
*플로어링:나무 마루판
▣ 합판의 특징
※ 나뭇결이 아름답다
※수축,팽창의변화가없다
※고른 강도가 유지 된다
※내구성과 내습성이 크다
※넓은 판으로 이용이 가능 하다
▣ 목재의 강도 → 인장강도 > 압축강도
* 보통합판 → 홀수 개의 단판을 직교하여 구성
* 섬유재/ 녹화마대(나무에 붕대 감은 듯한 마대), 볏짚 등
[ 석질 재료 ]
1. 석재의 특징
* 장점 → 외관이 매우 아름답다, 내구성과 강도가 크다, 가공성이 있으며, 변형되지 않는다
* 단점 → 무거워서 다루기 불편하다, 가공하기가 어렵다, 가격이 비싸다
2. 암석의 종류
* 화성암(火成岩)
(가) 심성암: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굳어서 생성
(나) 화산암:화산 폭팔에의해 생성된 돌(현무암,안산암,사문암)
* 화강암(우리나라 돌의 70%, 전철 승강장), 현무암, 안산암 → 디딤돌, 계단, 석탑 등
*수성암(水性岩)
* 퇴적암(= 수성암)/ 응회암, 점판암(판 모양의 디딤돌, 포장) → 화석으로 함수율이 높다(흡수율)
*변성암(變性岩)
* 변성암(고압, 고열에 의해 변화한 돌)/ 대리석(석회질이 변성) → 외장용 사용불가, 내장용
*석재의 압축강도:화강암→대리석→안산암→사암→응회암
*가공석=폭이 두께의 3 배미만
*각석= W<3T T:두께 W=폭
*판석:두께가 15 cm 미만 폭이 두께의 3 배이상
*마른돌:가로30 cm X 30 cm 길이 50~60 cm
*견칫돌(송곳니):돌의 무게가 약 70~ 100 kg 뒷 길이는 앞 길이의 1.5배
3.자연석
1) 자연석의 모양
* 입석, 횡석, 평석, 환석(둥근돌), 각석(3각, 4각 등), 사석(비스듬한 돌/ 해안절벽), 와석, 괴석
※ 절리:마그마가 식으면서 생긴 큰 금 (화성암) *주상절리 *파상절리
층리:퇴적암(수성암)에서 나타나는 퇴적층무늬
조면:풍화 또는 침식에 따른 거친 자연석 표면(야면)
뜰녹:오랜 풍화작용 영향으로 철이 산화 하거나
인산암 조면에 생기는 고색 무늬
석리(石理):구성 광물질에 의해 생기는 무늬
석목:돌의 결
2) 자연석의 종류
※ 석가산(돌로 만든 가상의 산〈돌무더기〉)의 재료 → 산석 > 하천석
* 다듬돌 → 각석 또는 주석(기둥모양)과 같이 일정한 규격으로 다듬어 건축이나 포장 등에 쓰임
* 견치돌 → 재두각추체, 규격화된 돌/ 석축, 용벽
* 잡 석 → 10~30cm 정도의 기초석
* 호박돌 → 호박형의 천연석, 가공하지 않은 지름 18cm 이상의 돌
※ 호박돌의 용도 → 수로의 사면보호, 연못 바닥, 원로 포장, 때로는 기초용
※ 호박돌 쌓는 방법 → 육법 쌓기, 줄 눈 어긋나게 쌓기
* 조약돌 → 가공하지 않은 천연석, 7.5~20cm 정도의 돌
* 자 갈 → 0.5~7.5cm 정도로 석축의 뒷 채움돌
※ 돌가공 순서 → 꼭두기(혹두기) → 정다듬 → 도두락다듬 → 잔다듬(가장 미세, 마지막 단계)
[ 기타 재료 ]
1. 물의 특징 → 반영, 움직임, 음악적, 냉각
* 정적인 상태의 물 → 호수, 연못, 물장
* 동적인 상태의 물 → 폭포, 분수, 계단폭포(캐스 케이드) 등
2.
(1)시멘트(cement)
주원요=석회석(81%) 점토(16%) 광물질 재료(3%)
*광물질재료=sio2(규산),Feo2(산화철),Ao2 o2(산화 알미늄)
기타(siag)
위의 재료를 섞어 회전 가마에 넣고 구워 급냉시킨다.
동어리(linker)+석고가루→ 분쇄=시멘트
1) 시멘트(1포에 40Kg)의 종류
* 포틀랜드 시멘트
① 보통 포틀랜드
② 중용열(수화열 적어 균열이 방지/ 댐),
③ 조강 포틀랜드(급할 때, 겨울, 물속, 조기공사시 사용하며,
수화열이 커, 3일이면 210Kg/㎠이상의 강도)
*시멘트의 수화(水和) 반응= cao(석회석)+H2o+ca cor D2+125cal/g
빨리 수화 반응하고 빨리 굳을수록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천천히 수화 하고 천천히 굳을수록 열이 발샹하지 않음
④ 백색 포틀랜드/ 치장용, 컬러 시멘트 가능
* 혼합 시멘트
※공통사항 콘크리트부피 20~25% 수밀성 내화학성에강함
① 슬래스 시멘트(고로 시멘트) →제철소 용광로에서 생성된 광재(slag-용광로 재)를 넣어
수화 반응의 속도를 조절함으로 서서히경화 하여 균열이 적어 폐수시설, 하수도, 항만용 으로사용
② 플라이애시 시멘트 →화력발전소의 분탄가루, 보일러 연통 재, 강도가 크고 슬래스와 용도 같음
※플라이 애시(fly ash) 화력 발전소의 분탄 가루를 재 가공 한것
③ 포촐란 시멘트 → 실리카흄, 포촐란을 넣어 만든 시멘트, 조기강도 큼
실리카 시멘트 :실리카흄( 규산질)을 넣어 만든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 1일 후 강도가 나옴(고가)
*알루미나(산화알미늄)
※ 혼합제(넣는량이 많다)
(1) 슬래그(slag)용광로에서 채집
(2)슬래그애쉬(slyash)화력 발전소의 미분탄
(3)실리카흄(실리카 금속물질 제조시 생성)
(4)포졸란((a)천연 포졸란(화산재)
(b)인공 포졸란(슬래그,슬래그애쉬,실리카흄등)
※공통점:수화 반응이 늦고 수화열이 적으며 서서히 굳으므로
균열발생이 적고 수밀성이 증대 된다.
※혼화제
(1)AE)제 (Air Entrainingagent)공기 연행제 동결,융해 저항성,방수 화학성이 적다.
(2)감수제(분산제)주로 혼합 시멘트에 사용
(3)지연제:응결지연
(4)방수제:방수룰 요하는 콘크리트에 사용(파라핀,지방산 유제,아스팔트,등)
※ KS는 재령 28일(4주) 압축강도가 보통 245Kg/㎠로 규정
*중용열 시멘트= 수화열이 적으며 균열이 방지됨(댐이나 큰 구조물에 사용됨)
단 경화 하는데 2~3 개월 정도로 지하구조물,원자로등을 만드는데 사용
*저열 시멘트=용도 댐, 지하구조물(품질이 낮다)
*조강시멘트= 수화 반응 속도가 빨라 동절기 나 급한 공사에 사용(경화 하는데
7일정도)한다 * 균열이 발생
(2)콘크리트 제품
* 시멘트 벽돌 → 190×90×57mm, 보도블록 → 300×300×60mm/ 말리는 특성
* 점토 벽돌 → 표준형 190×90×57mm, 기존형 210×100×60mm/ 굽는 특성(도자기 식)
[ 금속 재료 ]
철
선철:철광석을 녹여 만든 철(불순물이 많다)
주철:일반적인철(주물)
강철:탄소성분,열처리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단단한 철
연철:열처리로 연하게 만든철
* 금속 → 열전도율이 크다, 산, 알칼리에 큰 반응을 한다
※ 철선 → 연강의 강선을 아연도금한 것, 철사/ 거푸집 잡아매기 및 철근 묶음
※ 거푸집 → 콘크리트 틀, 일시적인 구조물
※ 거푸집 박리제 → 타르, 폐광(엔진오일)류, 몰타르, 식용유 등/ 콘크리트 틀 위에 폐광유
* 비철금속 → 알루미늄(보크사이트:알루미늄의 원광석),
구리 / 황동(놋쇠)= 구리 + 아연, 청동= 구리 + 주석
※ 스테인리스 스틸 = 강철 + 크롬 / 녹이 없다
● [ 기타 재료 ]
*고분자 화합물:단백질+탄수화물
*합성화합물: 합성고무(라텍스).합성섬유,합성수지 열가소성수지(열을 가하면 변화됨,80도~)
열경화성수지(프라스틱),에폭시수지(접착제),우레탄수지(경기장 바닥 방수포장)
※ 열가소성수지:80~100 도씨 이하에서 변형됨
*아크릴수지(프라스틱 유리), 염화비닐수지(PVC:poly vinyl chloride),
폴리스틸렌(스티로폼),폴리에틸렌(PE),폴리 아미드(나일론)
※열경화성수지=100!150도씨 이상까지녹지 않음 (페놀 멜라민+요소)
※실리콘수지=500도씨까지 녹지 않음
*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 소형선박, 인공폭포, 인공 정원석, 벽천 등
* 특성 : 잘 구부러진다, 가공성이 좋아 복잡한 모양 성형, 내산성/내알카리성 녹슬지 않음.
가볍고, 강도와 탄력이 크다, 착색/광택이 좋다
단점 : 내열성 부족, 저온에서 잘 파괴된다.
● 도장재료
유성 페인=안료+건성유(oil)+희석제(시너)
에나멜페인트:앙료+바니시(니스)
*건성유:아마인유(삼씨기름)
수성 페인트=안료+카세인+아교
에멀젼 페인트:안료+카세인+아교
(콜로이드=물+기름
바니시(니스) a,유성바니시:수지+건성유 b휘발성 바니시:래크(천연수지사용*건조속도가
빠르다:실내) 래커:합성수지사용
합성수지도료:페놀계,비늴계,에폭시,아크릴요소,멜라민,비닐,실리콘수지~
방청도료:녹막이페인트
1,광명단:pb(304)를 보일유에 녹인 유성
2,징크로 메이트:알루미나 나 아연 철판에 사용
3,방청 산화 도료:산화철이나아연분말을 합성수지에 녹인 도료
4,워시 프리이머:뿜어서 칠하는 도료 인산을 첨가한도료
※도장순서 1,바탕만들기→2,초벌칠→3,퍼티대기→4,연마→5,재벌칠→
6,연마→7,정벌칠→8,왁스
철재 도장 1,바탕만들기→2,퍼티대기(틈막기)→3,연마→4,초벌칠→
5,연마→6,재벌칠→7,연마→8,정벌칠→9,왁스
●유리재료
유리원료= 규산(sio2) 소다(규산의녹는 온도를 낮추어준다)
석회(녹은 규소의 틀을 유지)
규산+소다+석회를 썩어 1400~1600도씨에서 녹여 서서히
냉각시켜 만듬
●생태 복원재료
1,식생매트(깔개) 2,식생자루 3,식생호안(湖岸)블럭 4,식생롤(수생식물,부들,등의종자를붙인 롤)
씨드스프레이:종자붙이기
●[ 토목 공사 ]
1. 토공 → 시설물을 위한 토목적 토공/ 식재지반 토공, 기계 토공 후 인력토공으로 마무리
※ 정지작업 → 흙쌓기, 터닦기(이용 목적에 따라...)
* 토공용 기계
① 버킷 →백호우:(굴착기,포크레인): 흙의 굴착 및 적재에 이용(바스켓)
② 멀티라인 → 쓰레기 등의 적재(멀티-여러, 타인-넥타이/ 여러개로 묶는 것)
③ 브레이커 → 암반 등의 깨내는 경우에 사용
④ 클램셸 → 조개 껍질처럼 양쪽으로 열리는 버킷을 흙을 집는 것처럼 굴착하는 기계
자갈, 좁은 곳을 깊게 팔 때 유용 (셸-shell/ 조개 바가지)
⑤덤프트럭→ 흙을 옮기는데이용
2. 토량변화와 더돋기
* 더돋기 → 토질, 성토높이, 시공방법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는 높이의 10% 미만을 더 쌓는다
※ 타이어 로드(loader = 적재) → 낮은 곳의 흙을 높은 곳으로 적재
※ 파워 셔블 → 높은 곳의 흙을 낮은 곳으로 깍아 내린다
※ 그레이더(맷돌) → 운동장면을 평탄화 한다
※ 도저 → 흙을 모은다
3. 안식각과 비탈경사
* 안식각(Φ) → 휴식각, 휴지각/ 돌, 흙 등을 쌓았을 때, 안정된 상태의 각도
* 비탈면 경사 → h : w = w/h(수평높이(h) 10 : 15 수평거리(w), Φ = 0.666.....7×00 = 약 34도)
* 지형 → 등고선
* 능선 → U자형, 계곡 → 등고선이 거꾸로 된 U자형
[ 콘크리트 공사 ]
1. 기본 상식
* 시멘트 풀 → 시멘트 + 물
* 모르타르 → 시멘트 + 모래(잔골재) + 물
* 콘크리트 → 시멘트 + 모래 + 자갈 + 물(부피율 1 : 2 : 4<철근사용시>, 일반부피율 1 : 3 : 6)
※ 레미콘 제작 : 물 → 모래 → 시멘트 → 자갈 → 반죽, 물은 시멘트의 40~70%
※ 급결제(응결 강화 촉진제) → 물 속 공사, 겨울철 공사시 염화칼슘(시멘트 중량의 1% 첨가)
문제점 → 균열, 부식
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1) 관계되는 용어
* 반줄질기 → 물량의 다소에 따른 반죽의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
* 워커빌리티 → 콘크리트 칠 때 적당한 유동성과 점성이 있어 시공부분에 잘 채워지고
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정도, 시공연도
* 블리딩 → 배합이 부적당한 경우 물이 분리되는 현상(피를 흔린다는 의미), 곰보가 생김
3. 슬럼프 시험 →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방법(워커빌리티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4. 배합법의 표시
1) 배합법의 표시/ 무게배합 → 콘크리트 1㎥/ 시멘트 387Kg, 모래 660Kg, 자갈 1,040Kg
2) 물-시멘트비(W-물의 중량/C-시멘트 중량 × 100) → 수화작용에 필요한 물의 양 32~37%
* 일반적인 물 → 시멘트비 40~70%
* 수밀을 요하는 콘크리트 55% 이하
* 정밀도를 지정하지 아니한 보통의 경우 70% 이하
5. 콘크리트 양생방법(보양)
* 습윤양생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최소 5일간 습윤상태 유지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최소 3일간 유지(가마니 등으로 덮어 습윤상태 유지)
[ 돌쌓기와 돌놓기 ]
1. 자연석 무너짐 쌓기 → 상석은 비교적 작고, 윗면을 평평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있도록
* 돌틈식재 → 비옥한 흙을 채워 화양목, 철쭉 등의 관목류와 초화류
2. 자연석 놓기
* 3, 5, 7 등의 홀수 개로 구성
* 경관석 짜임 → 경관석을 몇 개 어울려 놓는 것, 중심이 되는 큰 주석과 보조의 부석의 조화
* 디딤돌 놓기
① 종류 → 보행의 편의와 지피식물의 보호, 한 면이 넓적하고 평평한 자연석
② 배치 → 크고 작은 것을 섞어 직선보다는 어긋나게 배치
③ 돌 간의 간격 → 보행폭은 돌과 돌사이의 중심
④ 돌의 좁은 방향이 걸어가는 방향
⑤ 높이는 지표보다 3~5cm 높게 해줌
⑥ 디딤돌이 움직이지 않게 굄돌, 모르타르, 콘크리트로 안정해 줌
* 징검돌 놓기 → 물 위 노출 높이는 10~15cm를 원칙으로 함
3. 마름돌 쌓기
* 잘쌓기/ 배수관 설치 → 뒷면의 배수를 위해 2㎡(2㎡~3㎡)마다 배수관 설치
* 메쌓기 → 모르타르, 콘크리트를 사용 않고 쌓는 법
* 돌 쌓는 방법 → 모르타르 배합비/ 보통1 : 2~1 : 3, 줄눈의 폭은 10mm가 표준
하루에 1.5m(20줄 정도) 이하로 쌓는데, 보통은 1.2m 정도가 좋다(17줄 정도)
가장 튼튼한 방법 → 영국식 쌓기/ 길이와 마구리가 반복
[ 원로포장 ]
1) 보도블록 포장 → 아래서 위로, 잡석(자갈)/ 콘크리트/ 모래/ 블록 순으로 덮는다(가장 많이 쓰임)
2) 판석포장 → 24시간 물에 불린 후 사용
판석(석재타일) 18cm 218cm
모래 30cm
콘크리트 70cm
보조 기증터(잡석)100cm
* 재료 → 점판암(천연슬레이트), 화강석 등
* 판석 고정 → 모르타르로 고정시키는 것이 원칙
* 판석 배치 → +자형 보다는Y자형이 시각적으로 좋음
* 판석 줄눈의 폭 → 보통 10~20mm, 깊이 5~10mm 정도
[ 수경공사 ]
1. 월류구 (overflow-벽면), 일류구(해일처럼-중앙)
2. 벽천의 3요소 → 물의 운동으로 소리를 즐김, 좁은 공간 경사지 벽면을 만듬, 수조 순환펌프
[ 배수공사 ]
1. 지하층 배수
* 속도랑(암거) 설치
* 벌어리 암거(맹암거 - 땅 속 수로)/ 굵은자갈 - 잔자갈 - 굵은모래 - 흙
* 유공관 암거(구멍이 있는 관) 설치/ 굵은자갈 밑 유공관 - 잔자갈 - 굵은모래 - 흙
2. 암거 배수망의 설치
* 어골형 → 주관을 중앙에 비스듬이 설치, 경기장, 평탄한 지역의 배수 균일
* 자연형 → 지형의 등고선을 따라 주관과 지관을 설치하는 방법
[ 기타 ]
1. 조경 시설물/ 단일시설
* 그네 → 놀이터의 중앙을 피하고, 가급적 부지의 외곽부분 설치
* 미끄럼대 → 북향(남향은 뜨거워짐), 스테인레스 접착부위는 아르곤 가스용접
* 모래터 → 둘레는 지표보다 15~20cm 가량 높이고, 모래 깊이는 30~40cm 정도로 유지
※ 양지에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엎어 줄 것
* 퍼걸러 → 태양광선을 차단, 그늘 제공 및 휴식/ 콘크리트, 목재, 철재, 인조목 등을 사용
특히 기둥은 벽돌쌓기나 마름돌쌓기로 하고, 콘크리트 위에 판석, 타일로 마감
퍼걸러 천장면은 등나무 등의 덩굴식물으 올리거나 그늘막을 덮기도 함
2. 기타 시설물
1) 경계시설/ 볼라드 → 인도에 차가 못 들어오게 막은 것/ 플랜터 - 폐타이어 화분 이용
2) 조명시설/ 조명의 조도(밝기) → 정원, 공원 0.5Lux 이상, 원로, 시설물 주변은 2.0Lux 이상
* 광원의 종류 → 열효율은 나트륨 등이 가장 높다(가로등, 터널 등)
수은램프 → 수목과 잔디의 황녹색을 살리는데 최적
3. 경사도와 계단 → 일반적으로 15도가 넘는 경우, 계단 설치 / 계단 경사는 30~35도 정도가 적당
① 기울기 15°이상
② 2H + W = 60~70 Cm
③ 높이 2M이상이거나 중간에 방향이 바뀌면 계단참을
만든다.
④ 통나무로 계단을 만드는 경우 발판 넓이는 두 발자욱
H 발판높이 W 발판넓이
12 36~46
15 30~40
18 24~34
[ 식재공사 ]
1. 이식 시기 및 습성
* 대체적인 이식 적기 → 가을의 5~10도 이하, 생육이 정지되는 휴면기
1) 낙엽활엽수류(대체적으로 이식 시기가 동일)
* 가을 이식 → 잎이 떨어진 휴면기간, 보통 10월~11월
* 봄 이식 → 해토(땅이 녹는 시기) 직후부터 4월 상순까지
2) 상록활엽수류/ 동백, 사철, 가시(남부지방...)
* 추위에 대한 저항력 부족
* 이식 적기는 3월 하순~4월 중순(낙엽활엽수보다 조금 늦게)
* 6~7월의 장마 때(기온이 오르고 공중습도가 높을 때)/ 세포분열이 잘 됨
3) 침엽수류(냉기에 약함)
* 해토 후부터 4월 상순까지
* 9월 하순~10월 하순까지(낙엽활엽수 보다 1개월 정도 빠름)/ 겨울에는 안함
2. 굴취(나무캐기) → 관목은 넓게, 교목은 깊게한다
* 뿌리감기 굴취법 → 분의 크기는 수간 근원지름의 4~6배로 한다
※ 분의 크기는 : 낙엽수 〉활엽수
* 뿌리분의 지름 = 24+(R-3)×N/ 단위(cm), d(상록수=4, 낙엽수=5)
예) 소나무 근원지름 15cm 경우, 24+(15-3)×4 = 72cm
3. 운반/ 뿌리분 들어내기 → 목도(작은나무), 크레인, 포크레인, 체인 블록, 레커(손수레)
* 목도의 재료 → 참나무
* 목도의 길이 → 1.5m
* 목도의 운반량 → 1/50kg, 4/200kg
※ 차량 이동시 뿌리부분은 안쪽에 가지부분은 뒤쪽을 향하게 한다
4. 식재순서
① 표토 겉기(유기물층)/ 따로 분리해서 거름으로 사용
② 구덩이 파기/ 분의 1.5~3.0배
③ 거름, 표토 넣기
④ 나무 앉히기, 전생지 방향(가지가 많은 부분이 남쪽)
⑤ 속흙 넣고, 물조임 → 죽쑤기(속흙의 3/4, 약75%)
⑥ 나머지 흙 채우기/ 다지기
⑦ 물집 만들기/ 나무와 거리를 두고 도랑파기
⑧ 물주기/ 관수
⑨ 멀칭/ 수분증가 방지 → 짚 덮기
⑩ 전정/ 가지치기, 구조조정
※ 흙죔 → 수분을 꺼리는 나무의 경우, 예) 건조한 곳에 사는 소나무, 향나무 경우(물죔 안함)
5. 식재 후의 유지관리
1) 이식 후 수목이 고사하는 경우
* 이식 후 충분이 관수하지 않았을 경우
* 이식 적기가 아닌 경우
* 깊이 심었을 경우
* 뿌리를 너무 많이 잘라냈을 경우
* 이식 전후의 입지조건이 전혀 다를 경우
* 늙고 허약한 나무일 경우
* 뿌리돌림이 반드시 필요한 수목을 그냥 옮겨 심을 경우
* 뿌리 사이에 공간이 있어 바람이 들어가거나 햇볕에 말랐을 경우
* 바람, 동물에 의해 요동이 있었을 경우
* 지하에 각종 오염물이 있을 경우
* 지엽의 증산량이 뿌리 흡수량보다 많을 경우
* 미숙퇴비(열을 많이 발생)나 계분을 과다하게 시비했을 경우
* 배수가 불량한 토양일 경우
2) 지주 세우기
* 나무 보호를 위한 조치 → 단각지주, 이각지주, 삼발이
* 바람을 막기 위한 조치 → 삼각지주(가장 많이 사용), 사각지주(미관상 좋고, 가장 튼튼)
3) 수간의 수피감기 → 엽면적이 큰 거대한 수목일수록 수간에서 수분증산이 많음(12~22%)
* 수간에 진흙 발라주는 방법 → 밀봉
* 수피감기의 효과 → 동해나 병충해 방지(이식나무는 저항력이 없다), 햇빛에 줄기 타기 방지.
수분증발 방지, 소나무 좀의 피해 방지(수피감기의 이유 1순위)
※ 주의 → 수피감기는 더위 예방과 상관없다
4) 멀칭 → 볏짚, 풀 등 수목 주위와 토양 덮음
5) 중경 → 수분 증발 억제/ 삽, 괭이로 파 엎어 수분의 모세혈관을 차단
6) 시비 → 새 뿌리 내리면서 시비 시작
7) 뿌리돌림 → 뿌리분 안에 미리 세근을 발달시켜 이식력을 높임/ 이식전에 실시
※ 목적 - 노목이나 쇠약한 나무의 세력 갱신
※ 방법 및 요령 - 근원지름의 3~5배(일반이식(4~6배)보다 좁게 잘라줌),
단, 자르면 안 되는 부분은 직근 뿌리와 사방 뿌리이다(뿌리 피 벗김 - 환상박피)
* 흙 되메우기 → 물주입 금지/ 뿌리돌림 후 반드시 흙죔
6. 농약 포장지 색깔
① 살균제 → 분홍색(머규롬 - 황분홍)
② 살충제 → 녹색(나무를 살린다)
③ 제초제 → 황색(반만 죽인다)
④ 비선택형 제초제 → 적색(싹 죽인다)
⑤ 생장 조절제 → 청색(푸른 신호등)
● 콘크리트 시공
1) 콘크리트 공사
* 시멘트 풀 → 시멘트 + 물
* 모르타르 → 시멘트 + 모래(잔골재) + 물
* 콘크리트 → 시멘트 + 모래 + 자갈 + 물(부피율 1 : 2 : 4<철근사용시>, 일반부피율 1 : 3 : 6)
※ 레미콘 제작 : 물 → 모래 → 시멘트 → 자갈 → 반죽, 물은 시멘트의 40~70%
※ 급결제(응결 강화 촉진제) → 물 속 공사, 겨울철 공사시 염화칼슘(시멘트 중량의 1% 첨가)
문제점 → 균열, 부식
2)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
* 워커빌리티(workobility) → 콘크리트 칠 때 적당한 유동성과 점성이 있어 시공부분에
잘 채워지고 분리를 일으키지 않는 정도, 시공연도
*커시스턴시(comsistancy) → 반죽질기(물량의 다소에 따른 반죽의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
*프래스시티(plasticity) →성형성
*피니셔 빌리티(finishability) → 마감성
* 블리딩(bleeding) → 배합이 부적당한 경우 물이 분리되는 현상(피를 흔린다는 의미), 곰보가 생김
*레이턴스(laitance) →블리딩 현상후 굳으면 하얀층이 생김
* 슬럼프 시험(slump test)
1,슬럼프 콘에 3회에 걸쳐 콘트리트를 넣고 다짐봉으로 다짐
2,슬럼프 콘을 수직으로 들어올려 콘크리트가 내려않는 수치(예:12+/-2 cm)
3회 반복 시험하여 평균치를 낸다.
*콘크리트의 배합
1,중량배합 → 1 m/3 당 시멘트 378 kg 모래660 kg 자갈 1.040 kg
2.용적배합 1m/3당 → 철근콘크리트 → 1:2:4 (예,시멘트,320 kg, 모래 0.45 cm/3, 자갈 0.90 m/2)
무근콘크리트 → 1:3:6 (예,시멘트 220 kg, 모래 0.47 m/2, 자갈 0.94 m/3)
* 배합법의 표시
3) 물-시멘트비(W-물의 중량/C-시멘트 중량 × 100) → 수화작용에 필요한 물의 양 32~37%
* 일반적인 물 → 시멘트비 40~70%
* 수밀을 요하는 콘크리트 55% 이하
* 정밀도를 지정하지 아니한 보통의 경우 70% 이하
4) 콘크리트 양생방법(보양)
* 습윤양생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최소 5일간 습윤상태 유지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최소 3일간 유지(가마니 등으로 덮어 습윤상태 유지)
※<거푸집 재료>
1.격리재(separater):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끼워 넣어 간격을 맞추는 재료
2,간격재(spacer):철근과 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
3,박리제:콘크리트 형판헤서 틀과 쉽게 분리하기 위해
미리 안쪽에 바르는 약제,경유,제유,아마인유,등의 유제와 합성수지를 사용
4,긴장재,콘크리트를 부었을때 거푸집이 벌어지거나 우그러지지 않도록 연결및 고정한다.
● 돌쌓기와 돌놓기
1) 자연석 무너짐 쌓기 → 상석은 비교적 작고, 윗면을 평평하게 하고,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있도록
* 돌틈식재 → 비옥한 흙을 채워 화양목, 철쭉 등의 관목류와 초화류
2) 자연석 놓기/ 3, 5, 7 등의 홀수로 구성
* 경관석 짜임 → 경관석을 몇 개 어울려 놓는 것, 중심이 되는 큰 주석과 보조의 부석의 조화
* 디딤돌 놓기
① 종류 → 보행의 편의와 지피식물의 보호, 한 면이 넓적하고 평평한 자연석
② 배치 → 크고 작은 것을 섞어 직선보다는 어긋나게 배치
③ 돌 간의 간격 → 보행폭은 돌과 돌사이의 중심
④ 돌의 좁은 방향이 걸어가는 방향
⑤ 높이는 지표보다 3~5cm 높게 해줌
⑥ 디딤돌이 움직이지 않게 굄돌, 모르타르, 콘크리트로 안정해 줌
* 징검돌 놓기 → 물 위 노출 높이는 10~15cm를 원칙으로 함
3) 마름돌 쌓기
* 잘쌓기/ 배수관 설치 → 뒷면의 배수를 위해 2m2(2m2~3m2)마다 배수관 설치
* 메쌓기 → 모르타르, 콘크리트를 사용 않고 쌓는 법
* 돌 쌓는 방법 → 모르타르 배합비/ 보통1 : 2~1 : 3, 줄눈의 폭은 10mm가 표준
하루에 1.5m(20줄 정도) 이하로 쌓는데, 보통은 1.2m 정도가 좋다(17줄 정도)
가장 튼튼한 방법 → 영국식 쌓기/ 길이와 마구리가 반복
● 원로포장
1) 보도블록 포장 → 아래서 위로, 잡석(자갈)/ 콘크리트/ 모래/ 블록 순으로 덮는다(가장 많이 쓰임)
2) 판석포장 → 24시간 물에 불린 후 사용
* 재료 → 점판암(천연슬레이트), 화강석 등
* 판석 고정 → 모르타르로 고정시키는 것이 원칙
* 판석 배치 → +자형 보다는 Y자형이 시각적으로 좋음
* 판석 줄눈의 폭 → 보통 10~20mm, 깊이 5~10mm 정도
● 배수
1) 암거 배수망의 설치
* 어골형 → 주관을 중앙에 비스듬이 설치, 경기장, 평탄한 지역의 배수 균일
* 자연형 → 지형의 등고선을 따라 주관과 지관을 설치하는 방법
● 조경시설물/단일시설물
1) 조경 시설물/ 단일시설
* 그네 → 놀이터의 중앙을 피하고, 가급적 부지의 외곽부분 설치
* 미끄럼대 → 북향(남향은 뜨거워짐), 스테인레스 접착부위는 아르곤 가스용접
* 모래터 → 둘레는 지표보다 15~20cm 가량 높이고, 모래 깊이는 30~40cm 정도로 유지
※ 양지에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엎어 줄 것
* 퍼걸러 → 태양광선을 차단, 그늘 제공 및 휴식/ 콘크리트, 목재, 철재, 인조목 등을 사용
특히 기둥은 벽돌쌓기나 마름돌쌓기로 하고, 콘크리트 위에 판석, 타일로 마감
퍼걸러 천장면은 등나무 등의 덩굴식물으 올리거나 그늘막을 덮기도 함
* 기타 시설물
① 경계시설/ 볼라드 → 인도에 차가 못 들어오게 막은 것/ 플랜터 - 폐타이어 화분 이용
② 조명시설/ 조명의 조도(밝기) → 정원, 공원 0.5Lux 이상, 원로, 시설물 주변은 2.0Lux 이상
* 광원의 종류 → 열효율은 나트륨 등이 가장 높다(가로등, 터널 등)
수은램프 → 수목과 잔디의 황녹색을 살리는데 최적
● 수목 이식
1) 낙엽활엽수류(대체적으로 이식 시기가 동일)
* 가을 이식 → 잎이 떨어진 휴면기간, 보통 10월~11월
* 봄 이식 → 해토(땅이 녹는 시기) 직후부터 4월 상순까지
2) 상록활엽수류
* 추위에 대한 저항력 부족
* 이식 적기는 3월 하순~4월 중순(낙엽활엽수보다 조금 늦게)
* 6~7월의 장마 때(기온이 오르고 공중습도가 높을 때)/ 세포분열이 잘 됨
3) 침엽수류(냉기에 약함)
* 해토 후부터 4월 상순까지
* 9월 하순~10월 하순까지(낙엽활엽수 보다 1개월 정도 빠름)/ 겨울에는 안함
● 굴취
1) 굴취 방식
* 관목은 넓게, 교목은 깊게한다
* 뿌리감기 굴취법 → 분의 크기는 수간 근원지름의 4~6배로 한다
※ 분의 크기는 : 낙엽수 〉활엽수
* 뿌리분의 지름 =24 + (R-3)× d/ 단위(cm), d(상록수=4, 낙엽수=5)
예) 소나무 근원지름 15cm 경우, 24 + (15-3)×4 = 72cm
● 운반
* 운반/ 뿌리분 들어내기 → 목도(작은나무), 크레인, 포크레인, 체인 블록, 레커(손수레)
* 목도의 재료 → 참나무
* 목도의 길이 → 1.5m
* 목도의 운반량 → 1/50kg, 4/200kg
※ 차량 이동시 뿌리부분은 안쪽에 가지부분은 뒤쪽을 향하게 한다
● 식재
1) 식재순서
① 표토 겉기(유기물층)/ 따로 분리해서 거름으로 사용
② 구덩이 파기/ 분의 1.5~3.0배
③ 거름, 표토 넣기
④ 나무 앉히기, 전생지 방향(가지가 많은 부분이 남쪽)
⑤ 속흙 넣고, 물조임 → 죽쑤기(속흙의 3/4, 약75%)
⑥ 나머지 흙 채우기/ 다지기
⑦ 물집 만들기/ 나무와 거리를 두고 도랑파기
⑧ 물주기/ 관수
⑨ 멀칭/ 수분증가 방지 → 짚 덮기
⑩ 전정/ 가지치기, 구조조정
※ 흙죔 → 수분을 꺼리는 나무의 경우, 예) 건조한 곳에 사는 소나무, 향나무 경우(물죔 안함)
● 이식후 유지관리
1) 이식 후 수목이 고사하는 경우
* 이식 후 충분이 관수하지 않았을 경우
* 이식 적기가 아닌 경우
* 깊이 심었을 경우
* 뿌리를 너무 많이 잘라냈을 경우
* 이식 전후의 입지조건이 전혀 다를 경우
* 늙고 허약한 나무일 경우
* 뿌리돌림이 반드시 필요한 수목을 그냥 옮겨 심을 경우
* 뿌리 사이에 공간이 있어 바람이 들어가거나 햇볕에 말랐을 경우
* 바람, 동물에 의해 요동이 있었을 경우
* 지하에 각종 오염물이 있을 경우
* 지엽의 증산량이 뿌리 흡수량보다 많을 경우
* 미숙퇴비(열을 많이 발생)나 계분을 과다하게 시비했을 경우
* 배수가 불량한 토양일 경우
2) 지주 세우기
* 나무 보호를 위한 조치 → 단각지주, 이각지주, 삼발이
* 바람을 막기 위한 조치 → 삼각지주(가장 많이 사용), 사각지주(미관상 좋고, 가장 튼튼)
3) 수간의 수피감기 → 엽면적이 큰 거대한 수목일수록 수간에서 수분증산이 많음(12~22%)
* 수간에 진흙 발라주는 방법 → 밀봉
* 수피감기의 효과 → 동해나 병충해 방지(이식나무는 저항력이 없다), 햇빛에 줄기 타기 방지.
수분증발 방지, 소나무 좀의 피해 방지(수피감기의 이유 1순위)
※ 주의 → 수피감기는 더위 예방과 상관없다
4) 멀칭 → 볏짚, 풀 등 수목 주위와 토양 덮음
5) 중경 → 수분 증발 억제/ 삽, 괭이로 파 엎어 수분의 모세혈관을 차단
6) 시비 → 새 뿌리 내리면서 시비 시작
7) 뿌리돌림 → 뿌리분 안에 미리 세근을 발달시켜 이식력을 높임/ 이식전에 실시
※ 목적 - 노목이나 쇠약한 나무의 세력 갱신
※ 방법 및 요령 - 근원지름의 3~5배(일반이식(4~6배)보다 좁게 잘라줌),
단, 자르면 안 되는 부분은 직근 뿌리와 사방 뿌리이다(뿌리 피 벗김 - 환상박피)
* 흙 되메우기 → 물주입 금지/ 뿌리돌림 후 반드시 흙죔
●[ 조경 수목관리 ]
1. 조경수목의 전정
* 전정 → 건전한 생육과 모양 유지를 위해 나무의 일부분을 감량시켜주는 작업
* 목적 → 예술적인 측면(토피어리), 실용적인 측면(태풍피해, 주위시설물 피해방지)
생리적인 측면(개화, 결실촉진, 수세회복, 갱신유도)
* 전정의 종류
① 생장조장 → 병충해 피해지, 고사지, 꺽어진 가지, 곁움 제거 등으로 생장도움
② 생장억제 → 발육억제, 형태고정/ 산울타리 전정,
※ 소나무순 자르기(순따기/5~6월, 강한순은 완전제거, 나머지순은 1/2~1/3만 남김,
순따기 할땐 반드시 맨손으로 한다), 활엽수 잎따기
적심(摘心)-생장억제
③ 갱신에 도움 → 낡은 가지치고, 새 가지 자리잡음
④ 개화, 결실에 도움 → 해거리 방지(한 해 걸러서 나타나는 현상)의 과수원 전정
⑤ 생리조절 → 이식할 때, 지하가 잘린만큼 지상부를 전정하여 균형유지
* 인공수형 / 토피어리 → 동물모양, 글자 등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인위적으로 전정
※ 일본목련 / 잎에서 꽃이 핌, 한국목련 / 꽃에서 잎이 남
2. 전정시기
1) 겨울 전정(마취된 상태) → 대부분의 조경수목은 겨울에 전정함(11월~3월)
* 낙엽수의 경우, 휴면 중이라 전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병해충 피해가지 발견이 쉬움
※ 낙엽수는 회복이 늦다, 상록수는 봄, 가을에 함, 꽃나무는 꽃이 진 후 전정, 벚나무는 전정안함
* 겨울 전정시 고려사항 → 상록 활엽수는 추위에 약하므로 강전정을 피함
* 봄 전정 → 새로운 가지와 잎이 나오는 3~5월에 실시
* 낙엽수는 최대의 성장기로 순지르기나 눈따기 등 약전정(소나무 순지르기) 함
* 여름 전정 → 6월~8월에 실시, 꽃나무는 6월에 전정을 끝냄
※ 꽃나무 전정 적기 → 화아분화 1~2월 전 또는 꽃 진 직후 가을
강 전정을 안해도 되는 나무 → 벚나무, 느티나무
향나무 → 봄에 왕성한 성장 후 전정, 겨울에 치면 봄에 성장이 어렵다
* 전정 횟수 → 침엽수 1회, 상록수 중 맹아력 큰 나무 3회, 보통인 경우 2회, 낙엽수 2회
* 전정 순서와 전정할 가지
전정 순서 → 전체 수형스케치
- 위에서 아래로, 밖에서 안으로, 굵은 가지에서 잔가지 순으로 전정.
전정할 가지 → 도장지(튀어나온 가지), 안으로 향한 가지, 고사지, 안으로 향한 가지,
줄기에 움돋은 가지, 교차한 가지, 평행지, 신초(맨 위에 하나만 남김)
* 전정방법 → 좁은 톱으로 전정 - 끌로 매끈하게 해주고 - 유성페인트, 방부제 바름
바깥 눈 7~10mm 위쪽 눈과 평행한 방향(90도, 눈이 커져서 가지 됨)
* 소나무 순지르기 → 5~6월에 2~3개 순을 남기고 중심ㅅ누을 포함한 나머지 순은 제거,
남길 순도 1/2~2/3 손으로 꺽어 버림
소나무류는 묵은 잎을 뽑아 투광을 좋게 하고, 생장억제 함
※ 잣나무 잎 솎기 → 2~3년생 잣나무에 실시, 8~9월에 맨손으로 훓어 줌
3. 강전정과 약전정 → 활엽수가 침엽수(겨울에는 전정금지)에 비해 강전정에 잘 견딤
* 가로수 전정 → 지하고 2.5m 이상
4. 거름주기
* 비료 → 화학 비료(비싸다, 소량사용),
유기질 비료(퇴비, 일반유기질/ 싸다, 다량사용)
* 비료의 3요소(4요소) → 질소(N), 인(P), 칼륨(K), - 칼슘(Ca)
* 질소의 역할 → 부족현상/ 생장이 위축, 성숙이 빠름
과잉현상/ 도장(徒長), 종류 - 황산암모늄(토양 산성의 주범/ 산성비)
* 인의 역할 → 세포핵 분열 촉진
* 칼륨의 역할 → 저항성 향상
※ C/N 율 → 질소(뿌리에서 올라옴)에 대한 탄수화물(뿌리에 모임)의 비율
C/N 율이 낮으면 도장지, 성숙이 늦음, 높으면 생장장애, 꽃눈이 많아짐(조치 - 단근)
C/N 율의 가장 좋은 비율은 1 : 1 비율, T/R 율(T : 뿌리, R : 가지)
* 선상 거름주기 → 군식된 수목을 따라 도랑을 파 거름 줌(주목, 장미, 철쭉, 벚나무에 효과)
* 천공 거름주기 → 몇 군데에 구멍을 뚫고 거름 줌(흙과 거름을 썩어 줌 - 6개월 후 효과)
5. 관수 (물주는 시기)
* 물 주지 말아야 할 시간 → 11~16시(햇빛을 피해서 줌)
* 인위적인(정원) 물주기는 1년에 5회 정도
※ 꽃 핀 곳은 뿌리지 말 것, 잎과 봉우리는 좋다
[ 각종 피해 ]
1. 서리 해의 예방 → 짚싸기(재일 좋은 방법은 흙덮기, 그러나 비용과 시간이 맣이 듬)
* 상렬 → 추위로 인해 나무껍질이 수선 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
* 상종 → 서리에 의해 종기가 생김/ 단풍, 배롱나무는 반드시 수피감기 할 것
※ 침엽수류는 서리피해가 없다, 껍질이 거칠다
2. 공해 → 주로 여름 한 낮에 습도가 높을 때 피해가 크다(이산화황, 아황산가스)/
소나무 , 전나무, 자작나무, 느티나무, 독일가문비나무(기공이 많이 열림)
골프장 중에서 일교차가 큰 쪽(동남쪽)이 수피가 잘 터진다(단풍, 배롱나무 등)
3. 수목의 외과수술
1) 시기 → 4~5월(생육이 왕성 할때)
부패부 제거→살균,살충처리→방수,방부처리→동공충전→매트처리→인공나무껍질→
수지처리
* 동공 충진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고무, 에폭시 레진, 폴리우레탄폼 등
2) 수간 주입(나무 줄기에 주사) → 시기는 4~9월 증산작용이 왕성한 맑은 날(흡수가 빠름)
* 구멍 뚫기 → 2곳, 수간 밑 5~10cm, 반대쪽 10~15cm,
* 구멍 각도 → 20~30도, 구멍 지름 → 5mm, 구멍 깊이 3~4cm,
* 수간 주입기 → 높이 180cm 정도에 고정
3) 엽면 시비 → 잎에 양분을 공급하여 회복시킴, 영양제를 필요 농도로 희석
지상부 몸 전체가 충분히 젖도록 분무 살포(희석비율 - 500~1000배)
4. 병충해의 종류
A,<병해>
1,바이러스(virus) → 모자이크병
2,마이코 플라즈마(파이코 플라즈마) →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 →( 대추나무빗자루병,
벗나무 빗자루병(진균)) * 테트라사이클린
3,세균(bacterla) → 세균성 연부병,뿌리혹병
4,진균(fungi)→ 대부분 수목의 병(흰가루병,붉은무늬병,갈반병,그을음병,벗나무 빗자루병
(살균제를 살포)
5,병환 (사이클) 병원→전반( )→침입→잠복기→감염→표징→병징→병사
B,<주요충해>
*잎을 갉아먹는 해충(식엽성해충)→나방류애벌레
※미국흰불나방애벌레,송충이,집시나방애벌레,회양목명나방애벌레.
오리나무잎벌레,텐트나방(티프유제,매트수화제)
* 즙을 빨아먹는 해충 → 진딧물,깍지벌레(개각충),방패벌레, 응애,방패벌레,
슬립스,매미
*구멍을뚧는 해충 → 소나무좀벌레,바구미류,솔수염하는소,박쥐나방애벌레
* ‘측백하늘소’가 가해하는 나무 → 측백, 편백, 화백, 향나무(똥을 나무 안에 배설)
* 미국 흰불나방 → 연 2회 발생/ 알 - 번데기 - 성충×2회
처방 → ‘그로포수화제’로 박멸
※ 농약 뿌리는 시기
① 살충제 → 맑은 날 오전
② 살균제 → 비오기 전날, 오후는 햇빛과 화학작용 반응(5일~1주일 간격으로 3번)
③ 살비제 → 응애를 죽인다
④ 살서제 → 쥐약
* 빗자루병 → ‘옥시테트라 사이클린’(수간 주입) ※
파라치온액제 가능
1g 당 100배의 물 희석
*진딧물 → 메타유제,마라톤유제 #천적:무당벌레,풀잠자리,꽃등애,기생벌
*깍지벌레 →침투성약제(수푸라사이드,메치온유제,기계유) #천적:무당벌레,
풀잠자리,기생벌
*응애→ 살비제(테디온,디포폴,나크수화제) #천적:무당벌레,풀잠자리,거미
* 솔잎혹파리 → 잎 기부에 혹을 만들고 즙을 빨아 먹음/ ‘포스팜액제’
※소나무재선충=솔수염하늘소가 옮김
※참나무시들음병=광릉긴좀애벌레가옮김
[ 잔디관리 ]
1. 잔디깍기
*효과 →분얼을 촉진한다→밀도를 높인다→잡초발생을 억제한다
→병해를 감소시킨다
* 깍은 후의 잔디길이 → 가정, 공원, 공장의 잔디/ 2~3cm
* 페어웨이 → 2.0~2.5cm
* 예취기의 종류 → 핸드모어(150㎡ 미만의 잔디밭)
그린모어(골프장 그린, 테니스코트장용)
로터리모어(150㎡ 이상의 학교, 공원, 수목지역)
갱모어(1500㎡ 이상의 골프장, 경기장)
* 잔디밭 관리에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 → ‘크로바’(약제/ 2~4D)
2. 뗏밥넣기(유실된 잔디 채우기)
* 점토 : 밭흙 : 유기물 → 1 : 1 : 1 or 2 : 1 : 1 비율
* 가는 모래 : 밭흙 : 유기물 → 2 : 1 : 1 비율
- 뗏밥 넣는 시기
* 남방형 잔디(동양 들잔디) → 6~7월에 각 1회(휴면기엔 실시 안함)
* 뗏밥의 두께 → 가정/ 0.5~1.0cm,
※ 잔디밭이 고온 다습시 → 붉은 녹병 발생
※ 공원 조도 → 0.5Lux
'조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사와 실무에 도움을 주는 조경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4장. 조경설계 (0) | 2022.02.11 |
---|---|
조경기사와 실무에 도움을 주는 조경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3장. 조경계획 (0) | 2022.02.10 |
조경기사와 실무에 도움을 주는 조경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2장. 일본조경 (0) | 2022.02.09 |
조경기사와 실무에 도움을 주는 조경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 서양조경사 정리 (0) | 2022.02.08 |
조경기사(기능사) 시험 대비 필기 핵심 요약만 모아서 알기쉽게 요점 정리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