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미중갈등 심화, 미국 실업수치 실망감, 유가상승 등 뉴욕증시 관련 주요 이슈 및 수혜주 총정리

롤라❤️ 2020. 5. 22. 08:42
반응형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점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전일 美 상원이 미국 회계 기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중국 기업의 미 증시 상장을 폐지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美 국무부는 대만에 신형 어뢰 판매를 승인했음. 이에 장예수이 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대변인은 “중국에 대한 제재를 위협하는 미국 의회의 법안에 강하게 반대한다며, 법안이 채택될 경우 그 법안에 대한 검토에 바탕해 분명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홍콩특별 행정구에 대한 국가보안법 제정 안건이 전인대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했음. 트럼프 美 대통령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추진과 관련해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 면 우린 매우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힘.
한편,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 위원회(NEC) 위원장은 중국과의 1단계 무역합의는 온전하며 재협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중국이 합의를 준수할 충분한 의향을 가지고 있다고도 언급했음.

美 실업 대란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美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자 수가 전주대비 24만9,000명 줄어든 243만8,000명(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부진한 수치로, 지난 9주 동안 실업 급여 신청자 수는 약 3,860만 명에 달했음. 다만, 신규 신청자 수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은 확 인됐음.
여타 지표는 엇갈린 모습. 정보제공업체 IHS마킷의 5월 미국 제조업 및 서 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39.8, 36.9를 기록해 여전히 부진한 수치를 나타냈지만, 전월 확정치보다는 상승했음.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한 4월 미국의 경기선행지수는 98.8을 기록해 전월보다 4.4% 하락했지만, 시장 예상치보다는 양호했음.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발표한 4월 기존 주택판매(계절 조정치)도 433만채로 전월보다 17.8% 급감했지만, 시장 예상보다는 양호했음.

한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경제 경로가 매우 불확실하고 위험하다는 견해를 재차 밝혔지만, 수차례 언급한 내용인 만큼 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 리처드 클라리다 Fed 부의장과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은 경제 지원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이란 의지를 재차 확인했음.

국제유가는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이행 및 원유 재고 감소 모 멘텀이 지속되며 상승세를 기록. 외신에 따르면, 석유수출국기구(OPEC) 및 러시아 등 OPEC+의 5월 이후 현재까지 원유 수출 감축 수준이 하루평균 600만 배럴 수준에 달하 는 것으로 전해짐. 전일 美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지난주 美 원유 재고는 약 498만 배럴 감소해 2주 연속 감소세를 나타냄. 아울러 봉쇄조치 완화에 따른 원유 수요 증가 모멘텀이 지속된 점도 국제유가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
다만, 美/中 무역분쟁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유가 상승을 제한. 트럼프 美 대통령은 "또라이"와 같은 막말을 동원해 중국을 비난했으며, 전일 美 상원은 중국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을 막을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음. 또한 美 국무부는 대만에 신형 어뢰 판매를 승인했음.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7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43달러(+1.28%) 상승한 33.92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 가격은 美/中 갈등 심화 속에 혼조세를 나타냈으며, 달러화는 강세를 나타냄.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달러 강세 및 경제회복 기대감 속에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복합산업,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은행/투자서비스, 기술장비, 식품/약품 소매 등이 하락한 반면, 경기관련 소비재, 제약, 보험, 자동차, 통신서비스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 는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급락 속에 #마이크론테크놀로지(-3.04%), #텍사스인스트루먼트(-3.42%), AMD(-3.09%) 등 반도체 업체들이 대부분 하락했고, 애플(-0.75%), #마이크로소프트(-1.20%), #아마존(-2.05%), #넷플릭스(-2.55%) 등 주요 기술주들도 대체로 하락. 반면, #테슬라(+1.48%)는 공장 정상화 기대 속 상승.

#다우 -101.78(-0.41%) 24,474.12, #나스닥 -90.90(-0.97%) 9,284.88, S&P500 2,948.51(-0.78%), #필라델피아반도체 1,790.96(-2.71%)

#뉴욕상관업종-테마-종목



#IT대표주 -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SDI, #SK하이닉스, #삼성전기 등



#소매 - #신세계,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이마트, #롯데하이마트, #대구백화점 등



#자동차 -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현대모비스 등


#증권 - #삼성증권, #미래에셋대우, #대신증권, #키움 증권,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등




#은행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기업은행, #BNK금융지주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