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현대차 세계 첫 수소전기 대형트럭 양산체제 구축, 세계식량계획(WFP)의 북한주민 식량 지원 소식 테마 등 관련 주요 테마 및 수혜주 총정리

롤라❤️ 2020. 7. 6. 21:51
반응형

- 국내증시 테마 시황 -

▷금일 국내증시가 3차 추경 기대감 및 中증시 폭등 속에 1% 넘게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현대차 세계 첫 수소전기 대형트럭 양산체제 구축 및 수출 소식에 수소차 테마가 상승했고, 삼성전자 2분기 실적 선방 기대감 및 한국 1분기 SSD 수출 1위 소식 등에 반도체 대표주, SSD,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들이 일제히 상승.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SK그룹 최태원 회장의 배터리 회동 예정 소식에 전기차 및 2차전지 테마도 상승했으며, 세계식량계획(WFP)의 북한주민 식량 지원 소식 등에 농업 테마도 상승.

▷아울러 게임/모바일게 임 테마가 한한령 해제 기대감 및 언택트 수혜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연일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인터넷 대표주도 상승. 이 외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음성인식, 증강현실(AR), 태풍 및 장마, 타이어, 자동차 대표주, 태블릿PC, 그래핀, 미디어(방송/신문), PCB(FPCB 등), 제4이동통신, 남-북-러 가스관사업, 온실가스(탄소배출권), 공기청정기, 폴더블폰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항공/저가 항공사, 슈퍼박 테리아,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아스콘, 면역항암제, 테마파크, 리츠(REITs), 영화 등 일부 테마가 하락.


- 수소차 -

"현대차, 세계 최초 수소전기 대형트럭 양산 및 수출 소식에 수소차 테마 강세."

▷현대차는 금일 언론을 통해 세계 최초로 양산한 수소전기 대형트럭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10대를 스위스로 수출했다고 밝힘. 주요 자동차 업체가 전시용 콘셉트카를 선보인 적은 있으나, 일반 고객 판매를 위해 양산체제를 갖춘 건 현대차가 처음인 것으로 알려짐.

▷현대차는 스위스에 올해 말까지 40대를 추가로 수출한 뒤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총 1,600대를 공급할 것이라고 언급.

▷ 이 같은 소식에 #영화테크, #일진다이아, ₩코오롱인더, #제이엔케이히터 등 수소차 테마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한편, 코오롱인더는 2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 전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수소차

수소연료전지전기차(FCEV)는 연료로 활용하는 수소가 공기 중에 있는 산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비롯한 유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임. 전기차와 비교해 높은 에너지효율, 빠른 충전시간, 긴 주행거리 등의 장점을 갖고 있음. 최근 국내 자동차업체들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업체들도 수소차 개발 행렬에 동참하고 있어 관련 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종목명

신도기연(-30.00%)

세원(-12.35%)

일지테크(-1.31%)

에스에너지(-0.50%)

라이트론(0.00%)

디아이티(0.14%)

효성(0.16%)

S&T모티브(0.25%)

우수AMS(0.26%)

동양피스톤(0.41%)



- 반도체 관련주 -

"삼성전자 2분기 실적 선방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테마상승."

▷삼성전자가 오는 7일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코로나19 영향에도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분기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각 51조1,401억원, 6조4,703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가전과 스마트폰 사업부의 부진에 도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가 코로나19 특수로 높은 수요를 보이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한국이 올해 1분기 SSD(솔리드 스테이브 드라이브) 수출 1위에 올라선 것으로 전해짐. 한국은 올해 1분기(1~3월) 23억7,497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해 대만(20억3,646만 달러)을 앞지르고 분기 기준 SSD 수출국가 1위에 올랐으며, 이는 ITC가 WTO회원국 무역통계를 기반으로 SSD 수출내역을 공개하기 시작한 2007년1분기 이후 13년만에 첫 성과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온테크, SKC 솔믹스, 뉴파워프라즈마 등 반도체 관 련주가 상승세를 기록.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종목명

SK하이닉스(0.70%)

삼성전자(2.61%)

DB하이텍(6.29%)



- 2차전지/전기차 -

"현대車 정의선-SK 최태원 '배터리 회동' 예정 소식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7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만나 미래 전기차 배터리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짐. 이에 지난 5월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시작된 현대차-배터리 3사간 회동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두 총수는 7일 오전 SK이노베이션 충남 서산 배터리 공장에서 만나 배터리 관련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외 새로운 사업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음.

▷이에 금일 현대모비스, SK이노베이션, 에코프로비엠, 천보 등 2차전지/전기차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2차전지

2차전지(Secondary battery)란 한 번 쓰고 버리는 배터리가 아닌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를 의미함. 즉,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임. 2차전지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 모바일/휴대용 IT기기의 성장과 함께했으며, 최근에는 전기차/하이브리드카 등 중대형전지 시장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

종목명

스카이이앤엠(-1.89%)

두산솔루스(-1.29%)

이노메트리(-0.75%)

명성티엔에스(-0.64%)

나인테크(-0.53%)

켐트로스(-0.48%)

필옵틱스(-0.39%)

디에이테크놀로지(-0.37%)

세방전지(-0.17%)

솔브레인홀딩스(0.00%)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고, 도로주행 허용과 상용화 추진 등 정부의 정책지원 역시 구체화되고 있어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종목명

세원(-12.35%)

코다코(-2.89%)

이지웰(-2.73%)

코디(-2.00%)

스카이이앤엠(-1.89%)

두산솔루스(-1.29%)

수성(-0.73%)

LS ELECTRIC(-0.63%)

센트랄모텍(-0.16%)

나노스(-0.13%)


- 농업 -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 북한주민 식량 지원 재개 예정 소식 등에 농업테마 상승."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방송(VOA)은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코로나19 국제 대응 보고서를 인용해 "북한의 학교와 보육원, 정부 기관들이 지난달 코로나19으로 인한 폐쇄를 해제한 가운데 북한 주민 77만1,000명에 대한 영양 지원을 재개할 것"이라고 보도했음.

▷한편, 국제연합(UN) 식량농업기구(FAO)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6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전월대비 2.4% 상승한 93.2포인 트를 기록했다고 밝힘. 세계식량가격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올 들어 처음인 것으로 전 해짐.

▷이 같은 소식에 #조비, #경농, #롯데정밀화학, #효성오앤비 등 농업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특히, 롯데정밀화학은 셀룰로스 사업부의 주력 제품인 Anycoat의 대체육 시장 진출이 기대된다는 증권사 분석도 긍정적으로 작용.

▷아울러 마라톤 장마가 전망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기상청 중기예보(10일 예보)에 따르면, 금요일인 10일부터 다음주 수요일인 15일까지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는 마라톤 장마가 이어질 것으로 전해짐.

농업

종묘, 비료, 농약 등의 친환경 방제기업군으로 국제 곡물가격 상승시 부각되는 섹터. 곡물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는 지구 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인한 공급 감소, 유가 급등으로 인한 생산 및 유통 비용 증가, 경작지 감소, 곡물을 이용한 대체에너지 원료로의 수요증가 등이 있음. 곡물가격 상승이 일반 물가 상승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애그플레이션 우려감이 심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종목명

대동공업(-1.30%)

대동금속(-0.36%)

우진비앤지(0.00%)

동양물산(0.00%)

대유(0.36%)

농우바이오(0.47%)

효성오앤비(1.59%)

대동기어(1.69%)

아세아텍(1.72%)

카프로(1.7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