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중국, 한국 여행상품 판매재개. 신종돼지독감바이러스 발견, 윤석열 대선 3위, 홍콩보안법 통과 등 관련 주요 테마 및 수혜주 총정리

롤라❤️ 2020. 6. 30. 18:11
반응형

-국내증시 테마 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 상승. 중국에서 한국 여행상품 판매 재개 소식에 화장품/면세점/여행/카지노/게임 등 중국소비주들이 상승. 중국에서 신종 돼지독감 바이러스 발견 소식에 백신/진단시약/방역 테마도 상승했고, 신종 돼지독감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육계/수산 테마도 상승. 현지시간으로 전일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호실적 발표 등에 반도체 관련주들도 상승. 여론조사에 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차기 대권주자 선호도 3위를 기록했다는 소식에 정치/인맥(윤석열) 테마도 상승. 보잉 737맥스 안정성 입증 시험비행 소식 등으로 항공기부품 테마가 상승했고, 홍콩 보안법 中 전인대 통과 소식 등에 美中 갈등 우려 부각 속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도 상승. 이 외에 건설기계, 광고, LED장비, 화폐/금융자동화기기, MLCC, 타이어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U-Healthcare(원격진료),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와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 면역항암제, 보톡스, 줄기세포, 치매,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가 하락. 이 외에 자동차 대표주, 자전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중국소비관련주 -

"중국에서 한국 여행상품 판매 재개 소식에 중국소비관련주 강세."

▷한국관광공사는 언론을 통해 7월1일부터 아시아 최대이자 중국 최대 여행 기업인 트립닷컴의 중국 브랜드 '씨트립'과 함께 한국 관광상품 판촉에 나선다고 밝힘. 이는 2017년 한한령 이후 중국 전역에 한국 관광상품의 첫 공식판매가 이뤄지는 것 임.

▷이 같은 소식에 한국화장품제조,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등 화장품 테마가 급등, 글로벌텍스프리, 호텔신라, 신세계 등 면세점, 초록뱀, 키이스트, JYP Ent. 등 엔터테인먼트, 노랑풍선, 롯데관광개발 등 여행, 파라다이스, GKL 등 카지노 등의 중 국소비관련주가 상승.

▷한편, 언론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개인에게 호텔과 관광시설 등 단일 여행 상품을 이벤트성으로 판매하는 것이라며, 한 한령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짐.

국내 상장 중국기업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계 기업들. 이들 기업들의 사업은 중국 내수산업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중국의 경기와 실적 연관성이 큰 특징을 갖고 있음.

종목명

크리스탈신소재(-1.70%)

에스앤씨엔진그룹(0.00%)

이스트아시아홀딩스(0.00%)

글로벌에스엠(0.36%)

골든센츄리(3.04%)

윙입푸드(3.06%)

씨케이에이치(4.48%)

로스웰(5.22%)

헝셩그룹(5.34%)

GRT(5.56%)



-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육계/수산 -

"中 신종 돼지독감 바이러스 발견 소식에 백신/진단시약/방역/육계/수산테마 상승."

▷언론 에 따르면 중국에서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돼지독감 바이러스가 새롭 게 발견된 것으로 알려짐. G4라고 명명된 해당 바이러스는 신종인플루엔자(H1N1) 계통으로 돼지에 의해 옮겨지나,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짐.

▷중국 내 연구진은 G4가 팬데믹을 유발한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인간 감염에 필요한 모든 필수적인 특징들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 대인간의 전염 증거는 없다고 밝힘. 다만, 돼지 사육 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시급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러한 소식에 체시스, 이글벳, 파루 등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테마가 상승.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체리부로, 마니커, 사조오양, 동원수산 등 육계, 수산 테마도 상승.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은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출혈성 돼지 전염병임.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가능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으며, 이병률이 높고 고병원성(급성)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거의 100%에 이르기 때문에 양돈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질병임.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감염된 동물, 물렁진드기 등과의 접촉을 통한 직접 전파와 오염된 차량, 잔반 급여 및 도구 등 비생체접촉매개물을 통한 간접 전파 등으로 확산됨.

종목명

미래생명자원(-0.15%)

고려시멘트(0.00%)

오디텍(1.27%)

선진(1.46%)

씨티씨바이오(1.60%)

이지홀딩스(1.72%)

코미팜(3.01%)

윙입푸드(3.06%)

대한뉴팜(3.59%)

동우팜투테이블(3.59%)



- 반도체 관련주 -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 호실적 발표 등에 반도체관련주 상승."

▷현지시간 6월29일 美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지난 3~5월(3분기) 매출 액이 54억 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13.6%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추정치를 상회 하는 양호한 실적인 것으로 알려짐. 또한, 올해 4분기 가이던스로 매출액 57억5,000만~62억5,000만달러, 영업이익 12억8,000만 달러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언론에 따르면 美 반도체기업 자일링스가 6월27일로 종료된 회계기준 1분기 실적 전망치를 상향조정한 것으로 알려짐. 현지시간 29일 자일링스는 1분기 매출 전망치를 기존 6억6,000만~7억2,000만 달러에서 7억2,000만~7억3,400만 달러로 상향조정한 것으로 전해짐.

▷이러한 소식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테크윙, #케이씨텍, #SFA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반도체 재료/부품

반도체 재료(소재),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군.

종목명

에프에스티(-14.09%)

뉴파워프라즈마(-4.00%)

SK머티리얼즈(-1.72%)

오션브릿지(-1.66%)

에스앤에스텍(-1.31%)

피에스엠씨(-0.36%)

동진쎄미켐(-0.35%)

에프엔에스테크(-0.23%)

원익머트리얼즈(-0.18%)

오킨스전자(0.00%)



- 희귀금속(희토류 등) -

"美 홍콩 특별대우 박탈 및 홍콩 보안법 中 전인대 통과 소식 속 美/中 간 갈등 심화 전망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29일(현지시간) 윌버 로스 美 상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수출 허가 예외 등 홍콩에 특혜를 주 는 美 상무부의 규정이 중단됐다"며, "홍콩에 대한 특별대우를 없애기 위한 추가 조치 또한 검토되고 있다"고 밝힘. 아울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도 "홍콩에 대한 방위 장비 수출을 중단하고, 이중용도기술(dual-use technology)의 수출을 중단하기 위한 조 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힘.

▷금일 오전 외신에 따르면 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 대) 상무위원회가 홍콩 국가보안법을 통과시켰다고 전해짐.

▷이에 美/中 갈등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부각되며 EG, 티플랙스, 삼화전자, 대원화성 등 희귀금속(희토 류 등)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희귀금속이란 생산량이 적고, 생산지가 한정되어 있는 금속으로 전자제품의 필수 재료인 콜탄(탄탈럼), 전지의 원료인 리튬, 희토류, 몰리브덴 등의 금속들이 포함됨. 특히, 희토류의 경우 중국이 전세계 생산량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열과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전기 · 전자 · 촉매 · 광학 · 초전도체 등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음.

종목명

쎄노텍(-5.10%)

에스맥(-1.09%)

노바텍(-0.99%)

에코마이스터(-0.91%)

POSCO(-0.85%)

에스모 머티리얼즈(0.00%)

혜인(1.12%)

유니온머티리얼(2.11%)

유니온(3.20%)

대원화성(3.23%)



- 정치/인맥(윤석열) -

"윤석열 검찰총장, 차기 대권주자 선호도 3위 소식 속 윤석열 테마 상승."

▷오마이뉴스 의뢰로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실시한 차기 대권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10.1%로 3위를 차지했으며, 야권 후보군 중에서는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전해짐. 한편, 1위는 이낙연 의원으로 30.8%를 차지했으며, 2위인 이재명 경기지사는 15.6%를 차지함.

▷이러한 소식 속 서연, 덕성, 모베이스전자 등 정치/인맥(윤석열) 관련테마가 상승.


- 항공기부품 -

"보잉 737맥스 안전성 인증을 위한 시험 비행 소식 및 보잉 주가 급등에 일부 항공기 부품 관련테마 상승."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美 연방항공청(FAA)이 29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보잉 737맥스 기종의 안전성 인증을 위한 비행시험을 시작할 것으로 전해짐.

▷비행은 보잉 본사가 위치한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이뤄질 것으로 전해졌으며, 앞서 추락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자동실속방지시스템(MCAS) 작동 여부와 급강하 및 비상착 륙시험, 태평양 연안 상공비행 등이 실시될 것으로 전해졌음. 이에 지난밤 美 증시에 서 보잉은 14.40% 급등 마감했음.

▷이 같은 소식에 금일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아스트 등 일부 항공기부품 테마가 상승.

항공기부품

항공기 부품 생산업체. 글로벌 항공기 제조 시장은 Boeing, Lockheed Martin, Airbus Group 등이 과점하는 형태를 띄고 있으며, 항공기 제조 계획에 따라 자체 제조 또는 아웃소싱을 통해 모듈 및 부품을 조달 받고 있음. 항공 산업의 경우 안전성이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장기간 거래실적, 신뢰관계 등을 사전에 확보해야해 단기 진입이 어려운 산업임.

종목명

오르비텍(-10.99%)

이디티(-4.69%)

대한항공(-0.57%)

현대위아(-0.29%)

이엠코리아(-0.18%)

한화에어로스페이스(0.00%)

샘코(0.00%)

휴니드(0.76%)

한국항공우주(1.06%)

하이즈항공(1.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