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한국판 뉴딜 정책 발표 및 5G 기축 인프라 투자 소식, 홍콩 특별지위 박탈 행정명령, 모더나의 코로나19 임상 대상자 전원 항체 등 테마주정리

롤라❤️ 2020. 7. 16. 08:18
반응형

- 국내증시 테마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상 승. 한국판 뉴딜 정책 발표 및 5G 기축 인프라 투자 소식 등에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정의선 수석부회장의 친환경 시장 선도적 지위 확보 관련 발언과 한국판 뉴딜 정 책 발표 모멘텀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수소차, 전기차 테마도 상승.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 행정명령·中 제재법안 서명 소식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도 상승. 모더나의 코로나19 임상시험 대상자 전원 항체 소식 및 임상3상 시작 소식 등에 모더나 관련주도 상승. 전일 한국판 뉴딜 정책 발표 속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의 테마도 상승. 철강/조선/건설 등의 경기민감 업종 테마도 상승. 한 수원의 사업비 8조원 규모의 체코 원전사업 도전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도 상승. 이 외에 PCB(FPCB 등), 폴더블폰, 갤럭시 부품주, 카지노, LED장비, 공작기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여행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모더나의 코로나19 임상시험 대상자 전원 항체 형성 소식 속에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개발 등), 백신/진단시약/방역, 마스크 테마가 하락. 이 외에 구충제, 리모델링/인테리어, 제약업체, 보톡스, 인터넷 대표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

"5G 기반 구축 인프라 투자 소식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 상승."

▷금일 최기영 과학기 술정보통신부 장관은 통신3사 CEO와 간담회를 열고 디지털 뉴딜 이행을 위한 5G 기반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 방안을 논의함. 특히, 통신 4사(이통3사와 SK브로드밴드)는 5G 이동통신 인프라 조기구축을 위해 오는 향후 3년간 통신인프라 등에 약 24조5,000억원~25조7,000억원(잠정)을 투자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외신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내년부터 5G 사업에서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를 전면 배제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오이솔루션, 이노인스트루먼트, 이수페타 시스, 케이엠더블유 등 5G/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5G(5세대 이동통신)

5G란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로 초고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기술임. 5G는 최저 100Mbps에서 최대 20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낼 수 있으며, 4G LTE에 비해 70배 이상 빠른 수준임. 또한, 1㎢ 반경 안에서 100만개 기기에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속 500㎞ 고속열차에서도 자유로운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짐. 이에 따라 끊김없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중앙 서버와 주고받아야 하는 자율주행차 및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5G 기술이 빠르게 도입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종목명

알에프텍(-2.82%)

LG유플러스(-1.20%)

우리로(-1.13%)

아이크래프트(-0.83%)

오파스넷(-0.13%)

나무기술(0.00%)

라이트론(0.00%)

매직마이크로(0.00%)

감마누(0.00%)

SK텔레콤(0.23%)

통신장비

통신용 시험 및 계측장비, 중계기, 기지국안테나, 각종 관련 부품 등의 유무선 통신장비 관련 업체군들. 통신장비산업의 업황은 관련 서비스 사업자들의 네트워크 투자 추이와 스마트폰 등 기술 진화에 큰 영향을 받음. 차세대 통신망에 대한 투자 및 스마트폰 활성화에 따른 관련투자 확대로 수혜가 예상됨.

종목명

파인디지털(-2.44%)

알엔투테크놀로지(-2.40%)

텔콘RF제약(-2.37%)

인포마크(-1.46%)

우리로(-1.13%)

AP위성(-1.01%)

폴루스바이오팜(0.00%)

라이트론(0.00%)

컨버즈(0.00%)

감마누(0.00%)


- 모더나 관련주 -

"모더나, 코로나19 임상 시험서 대상자 전원 항체 형성 소식에 백신테마 상승."

▷14일(현지시간) 로 이터 통신에 따르면, 美 제약사 모더나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초기 임상 시험 에서 실험 대상자 전원에게 항체를 형성하는데 성공했다고 알려짐. 아울러, 오는 27일(현지시간)부터 코로나19 백신 3상 임상시험을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임. 한편, 이번 3상 임상시험은 미국 내 87개 연구시설에서 치뤄지며, 참가자는 임상시험 첫날 100㎍의 실험용 백신을 접종받고 29일 뒤 두 번째 접종을 하며, 일부에게는 플라시보(가짜 약)를 투여받을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모더나의 창립멤버인 로버트 랭거 MIT 교수를 지난해 8월 비상근 사내이사로 영입한 에이비프로바이오와 모더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바른손이 동반 상한가를 기록. 또한, 바른손의 최대주주인 바른손이앤 에이도 급등, 유전자 진단시약(각종 바이러스 진단키트) 및 유전자체료제 신약의 주원료로 쓰이는 뉴클레오시드를 생산하는 파미셀도 급등. 모더나와 DNA 및 RNA 염기서열 분석 서비스 계약을 맺었으며, 현재 사업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소마젠(REG.S)도 상승.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COVID-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대 유행함에 따라 진단/치료제 및 백신 개발 등으로 부각되는 종목군. 코로나19(COVID-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는 19년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뒤 전 세계로 확산,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

종목명

EDGC(-16.35%)

옵티팜(-12.70%)

필로시스헬스케어(-10.96%)

수젠텍(-9.48%)

씨젠(-9.22%)

녹십자(-9.00%)

랩지노믹스(-7.71%)

휴마시스(-7.60%)

카이노스메드(-5.77%)

진매트릭스(-5.69%)



- 희귀금속(희토류 등) -

"트럼프 대통령, 홍콩 특별지위 박탈 행정 명령·中 제재법안 서명 소식 등에 희귀금속 테마 상승."

▷현지시간으로 전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홍콩 국가보안법에 책임을 져야 한다며,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종식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 아울러, 중국의 홍콩보안법 시행에 관여한 중국 관리들과 거래하는 은행들을 제재하는 내용으로 美 상원과 하원을 통과한 법안에도 서명했음.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추가 무역 협상에는 당장 관심이 없다고 발언.

▷이와 관련, 유니온, 삼화전자, 유니온머티리얼, 티플랙스 등 희귀금속( 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

희귀금속(희토류 등)

희귀금속이란 생산량이 적고, 생산지가 한정되어 있는 금속으로 전자제품의 필수 재료인 콜탄(탄탈럼), 전지의 원료인 리튬, 희토류, 몰리브덴 등의 금속들이 포함됨. 특히, 희토류의 경우 중국이 전세계 생산량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열과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전기 · 전자 · 촉매 · 광학 · 초전도체 등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음.

종목명

에스맥(-1.41%)

에코마이스터(-0.23%)

에스모 머티리얼즈(0.00%)

LG상사(0.33%)

POSCO(1.08%)

대원화성(1.15%)

EG(2.06%)

혜인(2.12%)

노바텍(3.05%)

쎄노텍(4.29%)



- 자동차 대표주/수소차/전기차/자동차부품 -

"정의 선 수석부회장, 친환경 시장 선도적 지위 확보 관련 발언 속 자동차 테마 상승."

▷전일 개최된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수석부회장은 2025년 전기차를 100 만대 판매해 시장 점유율 10% 이상을 확보하겠다고 밝힘. 또한, 현대차 그룹은 저탄소, 제로탄소 시대를 위해 전기차, 수소전기차 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기술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면서 친환경차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을 보임.

▷아울러,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경쟁우위를 점한 수소전기차 부분에서 연료전지시스템에 대한 설명에 집중하면서 단순 완성차 판매를 넘어 수소기술을 타산업에 전파해 전체 시장 규모를 키우려는 사업의지를 보임.

▷이러한 소식 속 현대차, 기아차, 코오롱머티리얼, 세종공업, 유에스티, 유라테크, 현대공업 등 자동차 대표주, 수소차, 전기차, 자동차부품 테마가 상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