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학 요약

농업직, 농업연구사, 농촌지도사, 방통대 - 토양학 정리- 5 토양의 물리적 성질

롤라❤️ 2021. 3. 9. 07:47
반응형

제 5 장 토양의 물리적 성질

 

**주요 학습 내용**

1. 토양의 입경구분과 토성에 대한 이대

2. 토양공극과 입단화에 대한 이해

3. 토양의 견지성ㆍ색ㆍ온도에 대한 이해


. 토양의 입경구분과 토성 

1. 입경구분의 의의

① 무기성분 입자들의 모양은 단순한 것이 아니지만 편의상 구형으로 보고 크기에 따라 분류한다

② 토양을 풍건한 후 2mm의 체로 쳐서 입자의 지름이 2mm 이상의 것을 자갈이라 하고, 그 이하의 것을 세토라 하며, 세토를 다시 모래ㆍ미사ㆍ점토 등으로 나누는데, 이와 같 은 구분을 입경구분이라고 한다

③ 우리나라에서의 입경구분 기준은 국제토양학회법 또는 미국농무부법에 따라 구분한다.

[ 토양의 입경구분과 입자수 및 비표면적 ]

 

 

 

2. 토양의 무기입자

1) 자갈 - ① 물과 염기의 흡착력이 거의 없다.

② 식토 중에 적당량 함유되어 있으면 물과 공기의 유통을 좋게 한다.

2) 모래 - ① 양분의 흡착과는 관계가 없으나 점토 주변에 있으면서 골격 역할을 한다.

② 대공극이 많아지므로 통기와 물의 유통을 좋게 하고 경운도 용이해진다.

3) 미사 - 거친 것은 모래와 비슷한 성질을 지니며, 가는 것은 표면에 점토입자가 부착되 는 경향이 있어서 식물생육에 매우 이롭다

4) 점토 - ① 물과 양분의 흡착ㆍ흡수에 의한 용적의 변화, 가역성, 점착력 등이 크다

② 표면적이 크므로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반응을 좌우한다.

 

3. 무기입자의 표면적

입자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크며, 표면적이 클수록 모든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면적이 클수록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성질을 지배한다.

1) 토양의 입자수 ⇒ 

2) 토양의 내표면적 ⇒ (1개의 입자의 표면적) × (일정량 중의 토립수)

3) 토양의 비표면적 ⇒

4) 측정 - BET 흡착법(질소 가스법), ethylene glycol, glycerine 등의 흡착법

 

*보충정리

토양의 비표면적은 토양의 여러 가지 현상을 지배하는 주요한 인자이며, 토양을 조성하는 입자 중에서 점토함량에 의한 비표면적에 전적으로 좌우된다. 즉, 토 양 중 점토함량에 의한 비표면적이 그 토양 전체의 비표면적이라고 볼 수 있다

 

4. 입경구분의 기계적 분석

1) 침강법 - 침강속도는 입자반경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입경구분을 실시한다. 즉, 입자가 큰 입자는 침강속도가 빠르고 입자가 작은 입자는 침강속도가 느 린 성질을 이용한다.

☞ 침강법에 의한 입경구분 실험 순서

① 토양을 과산화수소(30%)로 처리하여 부식을 분해시키고 묽은 염산으로 석회를 제거한다.

② 이렇게 한 후 NaOH나 sodium hexanetaphosphate(Calgon)와 같은 분산제를 사 용하여 Na-점토로 한다.

③ 현탁액은 0.2mm의 체로 粗砂를 사별한다.

④ 조사를 분리한 현탁액은 진탕병에 옮겨 입자를 분산시킨 후 침강법으로 세사 이하 를 정량한다. 즉, 세사 이하의 입자는 물속의 침강속도의 차에 의하여 분리된다.

식에서, V : 입자의 침강속도(cm/sec) g : 중력가속도(dyne/cm)

D : 토양의 비중 d : 물의 비중

η : 물의 점성계수(dyneㆍcm-2ㆍsec) r : 입자의 반경(cm)

2) 피펫법 - 토양의 현탁액을 일정시간 정치했다가 pippet를 이용하여 일정한 깊이에서 현 탁액 일정량을 취하여 토양입자를 조사하는 데 이용된다.

3) 비중계법 - 토양의 분산액에 특수한 비중계(hydrometer)를 꽂고 그 농도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5. 토성의 결정

1) 토성의 정의 - 토양의 무기질 입자의 입경조성에 의한 토양의 분류를 토성이라고 한 다. 즉 모래, 미사, 점토의 함유 비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2) 3각 도표법에 의한 토성의 판단

① 국제 토양학회와 미국 농부부에서 제시한 3각 도표법에 근거하여 토성을 결정한다

② 삼각형의 각 정점을 모래ㆍ미사 및 점토의 100%로 취하고, 각 邊 상에 그 토양의 모 래ㆍ미사 및 점토의 함량을 취하여 對邊과 평행하게 그은 직선교점으로부터 토성을 결정한다

③ 토성명이 경계선 상에 해당될 경우에는 작은 입자가 많은 토성명을 따른다

3) 간이법

① 야외에서 토성을 판단할 경우에는 손으로 토양을 만져 보거나 때로는 렌즈를 사용하 여 검정하기도 한다

② 올바른 토성 결정을 위해서는 흙을 물로 잘 축인 다음 손가락 사이에서 잘 비벼 보아 야 한다

ⅰ) 모래 - 까슬까슬한 느낌이 있다

ⅱ) 미사 - 건조했을 때 밀가루나 활석가루를 비비는 느낌이 있으며, 젖었을 때에는 어 느 정도 소성이 있다

ⅲ) 점토 - 건조하면 매끈거리는 감이 있고, 젖었을 때에는 가소성과 점착력이 크다

4) 토성명에 사용되는 기호

 

 

 

5) 토성과 작물생육 - ① 식토(C)는 보수, 보비력이 크지만 통기성이 불량

② 사토(S)는 통기성이 좋지만, 보수, 보비력이 불량

③ 양토(L)는 식토와 사토의 중간성질로 식물생육에 가장 유리

6) 토성과 작물의 병해

① 벼의 깨시무늬병 - 화강암계 사질계 토양에서 발생하기 쉽다

② 감자의 더뎅이병 - 경사질 토양에서 많이 발생한다

③ 뽕나무의 바이러스병 - 유기물이 적은 사질계 토양에서 많이 발생한다

④ 거칠은 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

- 감자의 더뎅이병ㆍ아마의 잘록병ㆍ고구마의 덩굴쪼김병ㆍ목화의 잘록병

밀의 비린깜부기병

⑤ ⅴ) 중점토에서 자주 발생하는 병 - 맥류의 홍색설부병ㆍ애립균핵설부병

⑥ ⅵ) 토양전염성병균은 대부분 호기성이므로 사질계토양에서 병발생이 왕성하다

 

Ⅱ. 토양의 공극

일정한 토양용적 내의 압자와 입자 사이에 공기나 물로 채워지는 틈새기가 있는데 이것을 토양의 공극이라 하는데, 토양내에 이 부분이 적당히 존재할 때 작물의 생육이 좋기 때문에 토양공극은 작물생육에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토양공극은 토양의 밀도(비중)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1. 토양의 밀도 ⇒

1) 진비중(입자밀도)

① 3상 중에서 고상만의 밀도를 나타낸다

② 일반적으로 토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갖는다

③ 보통 2.5∼3.0g/cm3 이며, 일반 경작지는 약 2.65g/cm3 이다

④ 심토는 표토의 진비중보다 크고, 유기물이 많을수록 진비중 값은 작아진다.

2) 가비중(용적밀도)

① 자연토양의 밀도로서, 고상ㆍ액상ㆍ기상이 종합된 밀도를 의미한다

② 토양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을 나타낸다

ⅰ) 구조가 잘 발달되어 식물생육에 유리한 토양일수록 값이 작다.

ⅱ) 사토ㆍ심토ㆍ미경지는 가비중이 크고, 유기물이 많거나 기경지는 가비중이 작다.

ⅲ) 입단화가 잘 될수록 공극량이 많아 가비중 값이 작다.

③ 대체로 1.0∼1.2 범위내에 있다.

[ 토양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의 밀도(단위 : g/cm3) ]

 

 

 

2. 토양의 공극

무기입자와 무기입자 사이에 공기(기상)나 물(액상)로 채원진 공간을 공극이라 한다

1) 공극률

* 참 고

토양 공극률은 진비중과는 무관하고, 가비중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2) 공극의 분류

① 일반적 분류

ⅰ) 모세관공극(소공극) - 모세관현상에 의해 토양수분이 존재하는 작은 공극

ⅱ) 비모세관공극(대공극) - 중력수가 빠지고 토양공기가 존재하는 큰 공극

② 특수분류

ⅰ) 토성공극 - 기본 입자사이의 공극, 즉 입단내의 공극으로 주로 소공극이다

ⅱ) 구조공극 - 입단사이의 공극으로 주로 대공극이다

ⅲ) 특수공극 - 근계, 소동물, 가스 발생 등에 의한 공극이다

3) 공극의 효과

① 대공극은 공기의 통로가 되며 소공극은 수분을 보유하므로 이 두 공극의 균형이 중요 하다. 즉, 공극의 절대량보다 대공극과 소공극의 적당한 비율이 중요하다

② 입단간공극과 입자간공극의 적당한 비율은 일반적으로 1 : 1이 가장 적당하다

4) 토양 공극량에 관여하는 요인

① 토성 - ⅰ) 사질계 토양은 대공극이 소공극보다 많고, 식질계토양은 소공극이 대공극 보다 많다

ⅱ) 사질계토양이 식질계토양보다 가비중은 크고 공극률은 작다

② 토양구조 - 단립구조보다 입단구조가 공극률이 크다

③ 배열상태 - 정렬구조가 사열구조에 비해 공극률이 크다

④ 입단의 크기 - 입단이 클수록 모세관공극은 줄어드나 비모관공극이 많아지며 공극률 도 커진다

[ 토성별 용적밀도 및 공극량 ]

 

 

 [ 공극량과 입단크기와의 관계 ]

 

 

 

Ⅲ. 토양의 입단화

토양구조가 입단으로 발달되면 비모세관공극(대공극)과 모세관공극(소공극)이 증대될뿐만 아니라 대공극과 소공극이 1:1 정도의 비율이 되므로 공기의 유통과 수분의 저장능력이 증대되기 때문에 식물생육에 유리하다.

1. 입단의 생성

1) 양이온(토양 염기)의 작용

① 음전하로 대전된 점토 사이에 연결되어 입단 생성에 영향한다

② 수화도가 작은 Ca은 입단생성에 유리하며, 수화도가 큰 Na은 입단파괴작용을 한다

2) 석회시용

① 석회시용으로 인하여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되므로 입단 화가 활발해진다

② 석회시용은 Ca 시용효과도 있다

3) 유기물의 작용

① 유기물시용으로 인하여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지므로 입단화가 촉진된다

② 완숙퇴비보다 미숙퇴비가 효과적이다

③ Ca-포화교질보다 H-포화교질이 입단화에 효과적이다

4) 토양미생물의 작용

① 균류의 균사와 미생물 분비물인 폴리우로니드의 작용 등이 있다

② 세균보다는 균류(사상균)의 작용이 훨씬 효과적이다

③ 지렁이의 몸을 통해 배설된 토괴의 입단화 작용을 한다

5) 식물뿌리의 작용

①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면 뿌리 주위의 토양수분이 줄어들어 토양이 수축을 일으키거 나, 根毛의 결합작용 또는 뿌리가 죽음으로써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받기 때문에 입 단이 형성된다

② 잔뿌리가 많은 식물이 입단화에 유효하며, 적절한 輪作이 입단화를 촉진한다

③ 클로버, 알팔파 같은 콩과식물은 입단화를 촉진한다

④ 옥수수, 목화, 사탕무 등은 구조 파괴자로 알려져 있다

6) 토양개량제의 작용

① 토양의 입단화ㆍ통기성ㆍ배수성ㆍ보수성ㆍ경운의 용이성에 효과적이다

② 클릴리움 시용시 토양 무게의 약 0.1%의 비율로 건토에 시용한다

③ 입단형성에 적합한 수분량은 25∼60%가 유리하다

 

2. 입단의 파괴작용

① 수분이 과소하거나 과다할 때의 경운

② 토양의 건조와 습윤의 반복

③ 동결과 융해의 반복

④ 입자의 결합제인 유기물의 분해

⑤ 강우와 기온의 변동

 

3. 토양의 입단화도와 분산도

일반적으로 물속에서 곧 붕괴되는 입단은 입단으로서의 의의가 적기 때문에 이것을 제외한 물속에서도 쉽게 붕괴되지 않은 내수성입단을 측정대상으로 하며, 입단화 정도의 표시법에는 입단화도 및 분산도를 사용한다

1) 입단화도 - 기본입자(논:1∼2mm, 밭:0.25∼0.5%) 이하의 부분이 입단화의 결과 그 크기 이상의 내수성입단으로 된 비율을 나타낸다

2) 입단화도의 측정순서

① 풍건된 논토양의 무게를 측정한다(30g이라고 하자).

② 이를 물 속에서 사별한 후 1mm의 체로 걸러 체 위에 남아 있는 양을 측정한다(20g 이라고 하자). 여기에는 내수성입단과 1mm 이상의 입자가 혼합되어 있고 체를 빠져 나온 10g은 1mm 이하이며 내수성입단을 이루지 못한 것이다.

③ 이를 손으로 잘 비벼서 다시 물속에서 사별한 후 1mm의 체로 걸러 체 위의 것을 측 정한다(5g이라고 하자). 이것은 1mm 이상의 입자이고 체를 빠져나온 15g은 1mm 이 하로서 내수성입단을 형성한 것이다.

④ 따라서 1mm 이하의 입자의 총 무게는 25g이며, 1mm 이하의 입자로서 내수성입단을 이루고 있는 것은 최초의 20g에서 마지막에 남은 5g을 제외한 15g이다.

⑤ 결국 입단화도는 (15/25)×100 = 60% 이다.

3) 분산도 - 입단화도와 반대 입장, 즉 기본입자 이하의 부분 중에서 입단화를 이루지 못 하고 분산된 입자의 비율을 나타낸다

① Puri의 분산계수 - 기본입자의 크기는 0.002mm이다.

② Middleton의 분산계수 - 기본입자의 크기는 0.05mm이다.

- 분산도가 20 이상이면 입단화가 좋지 않은 토양이다.

 

4. 토양의 구조

단립과 토괴로부터 발달하여 입단이 되는데, 이와 같이 토양입자의 집단화 또는 배열을표시하는 것을 토양구조라고 한다

1) 입상 - ① 외관이 거의 구상이고, 입단이 둥글다.

② 건조조건하에서 생성되고, 유기물이 많은 곳에서 발달한다

③ 1cm 이하의 빵조각구조로서 작토 또는 표토에 많으며 작물생육에 유리하다

2) 괴상 - ① 다면체를 이루며, 밭토양과 삼림의 하층토에 많다

② 여러 토양의 B층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입단 상호간의 간격이 좁다

3) 주상 - ① 반건조∼건조지방의 심토에서 발달하며, 우리 나라 해성토의 심토에서 볼 수있다

② 점토질 논토양과 알칼리성 토양에서 발달한다

4) 판상 - ① 습윤지대의 A층에서 발달하며 논의 작토 밑에서 볼 수 있다

② 토양 수분의 수직배수가 불량하다

5) 과립상 - 단괴가 작고, 입단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물에 젖으면 부풀어 내부의 큰 틈이 막힌다.

 

Ⅳ. 토양의 견지성

토양은 수분량에 따라 그 역학적 성질이 매우 달라진다. 포화수분 이상에서는 유동성과 점성을 나타내고, 수분이 감소됨에 따라 강성을 나타내는데, 이 때에는 질긴 감이 든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변화에 따른 토양의 상태변화를 견지성이라고 한다

 

1. 강성(견결성)

① 토양이 건조하여 딱딱하게 되는 성질로서, 토양입자는 van der Wals 힘(분자간 인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② 점토함량이 많을수록 강하며, 같은 점토 함량인 경우 판상(montmoriilonite 계)일수록 강하고, 주상(allophane 계)일수록 약하다.

③ 고결도 - 토양을 소성수분 상태에서 충분히 이긴 다음 입단을 파괴하여 단립화시킨 후 건조한 시료에 대해 절단저항을 측정한 것

④ 연결도 - 자연상태에서 건조한 토양의 견결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토양을 용기에 채 워 넣고 아래쪽으로부터 모관상승에 의하여 흡수시킨 다음 그대로 건조시킨 시료에 대해 절단저항을 측정 한 것

 

2. 이쇄성(취쇄성, 송성)

① 견결성과 소성의 중간적 성질로서, 반고태 상태이다

② 경작하기 좋은 토양 상태로서 경운이 가능한 상태이다

 

3. 가소성(소성)

① 견지성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질로서,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파괴되는 일이 없이 모양 이 변화되고, 힘이 제거된 후에도 원형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이다

② 소성 한계와 액성 한계의 차를 나타내는 소성계수(PI)는 점토함량에 기인하므로 토양 중 교질물의 함량을 표시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③ 소성 상태에서 경운을 하면 입단이 파괴된다. 따라서 소성계수가 낮은 토양이 耕土에 유리하다

④ 점토와 유기물이 많을수록 소성계수가 크다

⑤ 소성계수 - montmorillonite > illite > halloysite > kaolinite > 가수 halloysite

⑥ ⇒ 논토양 : 0.88

⇒ 밭토양 : 0.56

 

4. 응집성과 부착성

1) 응집성 - 토양입자간의 견인력 또는 연결력을 말한다

① 물리적 - 수분이 많을 때 토양입자 표면의 수막면의 장력에 의한 힘

② 화학적 - 수분이 적을 때 입자표면의 활성원자에 의한 힘

③ 점토(특히 건조한 경우)는 크고, 부식토와 사토는 낮다

④ 석회시용으로 응집성을 교정할 수 있다. 즉, 석회를 시용하면 응집성이 약한 것은 강 하게, 강한 것은 약하게 된다

⑤ 응집성이나 가소성이 큰 토양은 물리성이 불량해지므로 농작업에 불리하다.

2) 부착력 - ① 토립과 다른 물질과의 결합력을 말한다

② 점토(용수량이 80% 일 때 가장 크다)가 가장 크고, 부식은 중간, 사토는 낮다

 

5. 팽창과 수축

토양의 팽창과 수축은 수분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팽창과 수축이 크면 토양구조가 불안정하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토나 부식함량이 많을수록, 점토는 팽창형(예, montmorilloniteㆍvermiculite) 점토가 많을수록 팽창과 수축이 크다

1) 팽창의 양상

ⅰ) 점토나 부식 표면의 물의 흡착으로 인하여 팽창한다

ⅱ) 내부표면을 갖는 팽창형 점토의 층간에 물의 흡수로 인하여 팽창이 일어나며, 층간 에 수분이 침입할 때 함께 들어오는 흡수이온이 Ca인 경우에는 팽창이 작고, Na인 경우에는 팽창이 크다

2) 수축

① 구조수축 - 토양구조가 잘 발달되고 식물 뿌리의 발달이 좋아 대공극이 많은 토양에 서 물의 감소량에 비해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의 수축

② 정규수축 - 수분의 감소만큼 수축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축

③ 잔류수축 - 脫水가 계속되다가 점토나 부식이 산화철 등의 방해요인에 의하여 더 이 상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의 수축, 즉 방해요인에 의하여 수분의 감소 만큼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④ 수축한계 - 수분이 감소하더라도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점

⑤ 건축도 - ⅰ) 토양이 건조할 때 부피가 줄어드는 정도

ⅱ) 건축도가 크면, 식물뿌리가 끊어지고, 수분증발이 많아 생육에 불리하다

ⅲ) 사질토는 비슷하고 양토는 20% 내외이며 부식토와 중점토는 30%이고 흑니토는 90%에 달한다

 

6. 토양의 경도(치밀도)

①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입경조성ㆍ공극량ㆍ용적중ㆍ토양수분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② 토층의 투수성, 식물뿌리의 신장 및 농기계의 주행에 대한 저항력 등의 작물재배에 중 요한 의의를 가진다

③ 정상적 생육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20mm(1.18mg/cm3) 이하가 알맞고, 근채류에는 18mm(0.80mg/cm3) 이하가 바람직하다

④ 경도가 높은 토양은 고상율이 높고 가밀도가 커서 공극률이 작다

[ 토양의 경도와 3상의 분포 및 가밀도와의 관계 ]

 

 

 

Ⅴ. 토양의 빛깔

토양의 색은 토양의 성질 또는 생성과정을 아는 데 중요한 사항의 하나이며, 그 토양의풍화과정이나 이화학적 성질의 유래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토양의 비옥도를 판정하는 자료로 삼을 수도 있다.

 

1. 토양색의 지배 인자

토양의 색은 주로 유기물과 철에 의해 결정된다

1) 유기물 - 부식화가 진행될수록 흑색을 띤다

2) 철 - 토양상태에 따라 존재형태를 달리하여 색이 변화한다

 

 

3) 망간 - 흑백색이나 갈색을 띤다

4) 함수량 - 습윤한 상태에서는 색이 짙고, 건조하면 담색을 보인다.

5) 통기성 - 통기 상태가 좋은 표토나 배수가 좋은 습윤지방의 심토는 황색∼적색 계통의 색을 보이며, 배수가 불량한 곳이나 저습지 등에서는 회록색 또는 회청색을 보인다

6) 모암 - 산성암은 淡色, 중성암은 暗色, 염기성암은 濃赤色을 나타낸다

7) 조암광물 - 석영, 장석, 백운모, 탄산염 등은 흰색을 보인다

- 철이 들어 있는 광물은 황색 내지 적색을 보인다

8) 풍화정도 - 표토가 황색인 것은 적색인 것보다 풍화가 더 진행되었다

 

* 참 고

논토양의 독특한 회색은 Fe+2․FeS․부식물 등이 섞여 있기 때문이며, glei 층 의 청회색은 FeO 때문이다

 

2. 토양색의 표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표시법은 Munsell 기호에 의한 것이며, 이 표시법은 토양색을색상ㆍ명도ㆍ채도로 나타낸다

① 색상 - 40 색상으로 구분한다

② 명도 - 흑을 0, 백을 10으로 하여 모두 11단계로 구분한다

③ 채도 - 무채색의 축을 0으로 하여 각 색상과 명도를 10단계로 구분한다

④ 예를 들어 토양색이 ‘5YRㆍ5/6’로 표시되었을 경우, 5YR은 색상, 5/ 은 명도, 6/ 은 채 도를 나타낸다

 

Ⅵ. 토양의 온도

작물의 생육이나 미생물의 생육과 토양생성작용에 대한 주요 요소의 하나는 토양온도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온도가 낮아지면 유기물의 분해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다량의 부식이 쌓이게 되지만, 온도가 높아지면 유기물의 분해가 빨라져서 무기화작용이 매우 촉진된다. 따라서, 냉대와 냉온대지방에서는 부식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온대나 열대지방에서는 유기물의 분해가 신속히 일어나므로 부식이 쌓이지 않는다.

 

1. 토양 표면의 온도 결정

수열량과 방열량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1) 수열 - 비열, 열전도도, 토양색, 피복물, 경사도, 방향 등

2) 방열 - 물의 증발량, 열복사

 

2. 토양의 비열

비열이란 어떤 물질 1g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서 비열이 높을수록 온도변화가 적다

① 비열 크기 - 공기(0) < 무기성분(0.2) < 유기성분(0.4) < 수분(1)

② 토양 4성분 중에서 물의 비열이 가장 크므로 토양 온도변화는 토양 수분함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③ 사양토는 이른 봄에 지온상승이 빠르므로 작물 생장 및 성숙이 바르게 되어 화훼나 시 장 작물의 재배에 알맞다

④ 밀은 식토에서, 보리는 사토에서 자란 것이 품질이 좋다

3) 토양의 열전도율

① 무기성분 > 유기성분 > 액상 > 기상

② 대립 > 소립

③ 부식의 열전도율은 낮으므로 토양내 부식함량이 많을수록 열전도가 늦다.

④ 밀집구조 > 엉성한 구조

⑤ 사토 > 양토 > 식토 > 이탄토

 

4. 토양색

- 색이 진할수록 토양온도가 높다

- 흑 > 남 > 적 > 갈 > 녹 > 황 > 백색

5. 토지의 경사방향 - 광선을 받는 면적은 수열량과 반비례한다

- 평지가 비해 경사지에 수열량이 많아 온도가 높다

6. 피복식물 - 피복식물이 있으면 지온의 변동이 적다

- 잎이 밀생하고 초장이 높을수록 지면부근의 일교차는 적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