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학 요약

농업직, 농업연구사, 농촌지도사, 방통대 - 토양학 정리- 6 토양수분과 토양공기

롤라❤️ 2021. 3. 9. 14:42
반응형
제 6 장 토양수분과 토양공기

 

**주요 학습 내용**

1. 토양수의 표시법에 대한 이해

2. 토양수의 물리적 분류에 대한 이해

3. 토양수의 특정항수에 대한 이해

4. 토양수분의 이동에 대한 이해

5. 토양공기의 특징에 대한 이해


. 토양수의 흡착력과 표시법 

 

1. 흡착력

토양 중의 수분은 부착력(토양입자 표면과 물분자와의 결합)과 응집력(물분자간의 결합)에 의해 존재한다

 

2. 토양 수분 표시법

① 토양수는 토양에 의한 물의 흡착력으로 표시하는데, 이는 토양 중에 간직된 물을 토양 입자로부터 떼어내는 데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② 토양에 의한 물의 흡착력은 bar(mbar)나 기압과 같은 압력(atm)으로 나타내며, 水柱높 이의 대수를 취한 pF(장력)로도 나타낸다

③ 토양수가 적으면 토양입자로부터 떼어내는데 많은 힘이 들며(장력이 높다), 토양수가 많 으면 토양입자로부터 떼어내는데 적은 힘이 든다(장력이 낮다)

* 참 고

1atm = 1.0133bar = 1.033kg/cm2 = 1,033cm 水柱 = 760mm Hg柱 = pF 3

 

Ⅱ. 토양수의 물리적 분류

토양입자와 토양수분간의 결합력의 차이에 의한 분류를 토양수의 물리적 분류라 한다.

1. 결합수(combined water)

① 토양입자의 한 구성 성분으로 되어 있는 수분으로서, 결정수ㆍ화합수라고도 한다.

② 토양을 100∼110℃로 가열해도 분리되지 않는 10,000bar(pF 7) 이상인 수분이다

③ 식물에는 흡수되지 않지만 화합물의 성질에 영향을 준다.

 

2. 흡습수(hygroscopic water)

① 분자간 인력에 의하여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된 수분이다

② 31bar(pF 4.5) 이상의 힘으로 흡착되어서 식물이 이용하지 못하는 무효수분이다

③ 100∼110℃에서 8∼10 시간 가열하면 제거된다.

④ 토양 입자의 표면에 10분자층의 두께로 흡착되며, 물이 흡착될 때에는 遊離에너지가 열로 방출되는데 이것을 습윤열이라고 한다

⑤ 흡습량은 토양의 표면적에 비례한다

 

3. 모세관수(capillary water)

① 토양입자 사이의 소공극에 모세관력ㆍ표면장력에 의해 유지되는 수분으로서 모관수의 대부분은 지하수의 상승에 의해 유지된다

② 흡착력은 1/3∼31bar(pF 2.54∼4.5)이며, 식물에게 유효한 수분이다

③ 토양입자의 표면 가까이에 있는 모세관수는 내부모세관수로서 식물에는 거의 이용되지 못한다

④ 표면장력이나 중력에 견뎌 유지되어 있는 내부모세관수 바깥쪽의 물은 외부모세관수로서 주로 이용되는 모세관수이다

⑤ 온도가 높을 때에는 물의 표면장력이 감소, 무기염류가 가해지면 표면장력 증가한다

 

4. 중력수(gravitational water)

① 대공극에서 중력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수분으로서, 중력수 또는 자유수라고 한다.

② 흡착력는 1/3bar(pF 2.54) 이하의 수분이다

③ 대부분 불필요하게 과잉으로 존재하는 수분이며 배수에 의하여 제거된다.

④ 물이 아래로 침투되어 내려갈 때 양분이 함께 용탈된다.

 

Ⅲ. 토양수의 특정항수

한 토양내에서 토양수의 토양입자에 의한 흡착력은 연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지만, 토양수의 운동성 또는 토양의 물리성에 주어지는 영향이 비교적 확실하게 변하는 수분량이 있게 된다. 이것은 토양수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그 주요한 것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흡습계수

① 풍건토양을 포화습도의 대기 중에 두었을 때 토양입자와 수분과의 결합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풍건토양의 수분함량을 나타낸다

② 풍건토양의 일정량을 100∼110℃로 가열하여 줄어든 수분량을 건토에 대한 중량 백분율 로 환산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이를 흡습계수 또는 흡습도라 한다

③ 흡습도는 토양입자의 표면적에 의해 결정되는데, 모래가 많을수록 적어지고 점토나 부 식이 많을수록 커진다.

④ 포화습도 상태에서는 31bar이며, 50%의 관계습도에서는 1,000bar이다

[ 몇 가지 토양의 흡습도와 표면적 ]

 

 

2. 위조점 및 위조계수

위조점은 식물뿌리의 흡수력의 세기에 따라서도 다르며, 식물의 종류에 따라 흡착력도 다소 다르다.

1) 초기위조점

① 토양수분이 점차 감소됨에 따라 식물이 시들기 시작하는 수분량이다

② 흡착력은 약 10bar(pF 3.9)이며, 관수를 하면 회복 가능한 수분상태이다

2) 영구위조점

① 초기위조점을 넘어 계속해서 수분이 감소되면 포하습도의 공기 중에 둔다 하더라고 시든 식물은 회복되지 않는데, 이 때의 수분량을 영구위조점이라 한다

② 흡착력은 약 15bar(pF 4.2)이다

③ 일반적으로 위조계수는 영구위조점을 말한다.

3) 유효수분

① 포장용수량에서 위조점(영구위조점) 사이의 수분량을 말한다

② 무효수분은 영구위조점 이상의 수분을 말한다

 

3. 수분당량

① 물로 포화시킨 토양에 중력의 1,000배(1,000G)에 상당하는 원심력을 작용시킬 때 토양 중에 남아 있는 수분이다

② 큰 공극 중의 모세관수의 대부분이 제거된 상태이며, 이 때의 흡착력은 0.5∼1bar이다

 

4. 포장용수량

① 많은 물이 토양에 가해진 후 과잉수의 대부분은 대공극을 통하여 중력에 의해 透水된 후 표층토의 수분량을 포장용수량이라고 한다. 즉, 중력에 저항해서 표면장력에 의한 모세관작용으로 소공극에 남아있는 수분량이다

② 흡착력은 1/3bar(pF 2.54)이다

 

5. 최대용수량

① 중력에 견뎌 모세관이 물로 최대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 즉 머물고 있는 수면과 접촉한 바로 위 토양에 함유된 수분이다

② 토양의 전공극이 수분으로 포화된 상태이며, pF 값은 0이다

③ 자연에서는 배수가 불량하고 지하수면이 높은 곳에서 나타난다.

④ 최소용수량은 수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고 수면과 연결되는 모세관작용의 영향을 받지 않은 때에 보유된 수분으로서, 표장용수량과 거의 같다.

 

6. 최적수분함량

① 식물에 이용되는 물은 0.1∼10bar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모세관수와 중력수의 일부 로서 유효수의 범위에 들어가지만, 식물의 생육에 대해서는 최적수분이라고 할 수 없다.

② 작물이 정상적으로 생육하기 위해서는 유효수분 중에서도 0.1∼1bar의 물이어야 하며, 1bar(1기압)만 넘어도 작물의 생육은 순조롭지 못하게 된다.

③ 식물의 생육에 대한 최적수분함량은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ㆍ식물의 종류 및 생육시기ㆍ 기후조건 등에 따라 다르지만, Wollny는 일반농작물의 수분적량은 용수량의 60∼80%라 고 하였다.

7. 점착점

토양입자의 점착성이 증가하여 손이나 용기에 토양이 더럽게 묻지 않는 상태 를 점착점 또는 점조점이라고 한다

[ 토양수분의 장력계수 ]

 

 

 

Ⅳ. 토양수의 이동

 

1. 포화이동

① 모든 공극이 물로 차였을 때의 물의 이동으로서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② 공극을 통과하는 투수량은 水頭의 기울기와 매체의 단면적에 비례하고, 매체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③ 라이시미터(lysimeter) - 투수량을 측정하는 기구로서, 침투수와 함께 용탈되는 염류의 용탈상황도 알 수 있다

☞ 포화이동의 이론적 배경 - “Darcy의 법칙” ⇒

식에서, f : 토양 공극을 통과하는 물의 속도(cm/sec)

k : 포화투수계수(cm/sec)

h : 수면으로부터 토양의 하단까지의 수두차(cm)

l : 물이 통과하는 토양의 두께(cm)

Q : 단위시간당 매체를 통과한 물의 유출량(cm3/sec)

A : 물이 통과하는 매체의 전체 단면적(cm2)

 

2. 불포화이동

중력수가 빠지고 난 다음에 포장용수량 상태에서 모관수의 이동으로서 토양 수분 이동의 대부분은 불포화이동이다

1) 원동력 - 모세관력ㆍ장력ㆍ표면장력ㆍ수막조절작용

2) 이동력 - ⅰ) 모세관의 반경에 반비례하고 표면장력의 2배에 비례한다

ⅱ) 공극이 작으면 느리게 이동하나 멀리 이동하므로, 식토의 경우 이동속도 는 느리지만 이동거리 및 지하수의 이동 높이는 높다

ⅲ) 공극이 크면 빠르게 이동하나 멀리 이동하지 못하므로, 사토의 경우 이동 속도는 빠르지만 이동거리 및 지하수의 이동높이는 낮다

 

3. 수증기의 이동

① 토양 공기 중 관계습도는 거의 100%이다

② 수증기는 수증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③ 모(세)관 응축 - 대공극에서는 수증기 상태이다가 소공극에서 수분으로 응축되는 현상

 

Ⅴ. 토양수분의 증발산

1. 증발 - 수분이 지표면이나 수면에서 대기 중으로 확산하는 현상

2. 증산 - 수분이 식물체에 흡수되어 기공 등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확산하는 현상

3. 증산계수 - 식물의 건물 1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증산량(g)의 값을 증산율 또는 증산 계수라고 하는데, 대략 200∼1,000 정도이다

4. 토양수분의 증발억제

① 피복법

② 지표면을 얇게 경운하여 모세관을 끊어 수분증발 억제한다. 하지만 잘못 실시하면 수분 증발을 초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잡초제거

④ 방풍림 설치

⑤ 내건 재배법(dry farming) - 휴한기에 비가 올 때마다 경운하여 토양 중에 수분 저장

 

Ⅵ. 토양의 수분상태

여러 가지 환경조건에 따라 토양수분의 변화의 질서를 나타내는 토양의 성질을 토양수분의 상태(soil moisture regime)라고 하는데, 이것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풍화와 용탈 또는 물의 포화상태에서의 식물뿌리의 산소결핍 등에 대한 수분의 유효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토양수분의 상태는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1. Aquic 토양

① 습윤하고 물로 포화되어 있는 토양이다.

② 유리산소가 거의 없으며 하층토는 심한 환원(청회색의 환원층)상태여서 작물재배가 불가능하다

 

2. Udic 토양

① 물로 포화되지는 않으나 연중 습윤한 토양이다.

② 배수불량지나 저지대에 위치하며 하층에는 회색을 나타내는 glei 층 발달한다.

③ 용존산소가 부족하고 산성이며 낮은 비옥토로 작물재배에는 불리한 토양이다.

 

3. Ustic 토양

① Aquic과 Udic 토양의 중간적 수분함량을 보이는 토양이다.

② 다른 조건이 좋으면 작물재배에 유리한 유효수로서 역할을 한다

4. Aridic 토양 - 가장 건조한 토양으로 관수를 해야만 작물을 재배 할 수 있는 토양

5. Xeric 토양 - 겨울에는 습윤하고 여름에는 건조한 토양으로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 의 토양이다

 

* 보충정리

일반적으로 전강우량의 약 20%는 유거수로서 지표를 흘러 지나가고, 그 나머지 80%는 토양 중으로 스며 들어간다. 토양 중으로 스며 들어간 물 중 약 30%는 지하수가 되며, 그 나머지 70%는 토양에 머물러 중력적 상태의 토양수로 존재 하게 된다.

 

Ⅶ. 토양 수분 측정

 

1. 중량법

- 습윤한 토양 무게 측정 후 100∼110℃의 건조기에 5∼6 시간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 여 이 차이로 수분 함량 측정한다

 

2. 석고블록법(저항괴법)

- 석고로 만든 block의 수분을 전기전도도, 열전도도 등으로부터 측정하여 이것과 평형 상태에 있는 주위의 토양수분을 구한다

 

3. 중성자법

- 중성자의 감속정도를 측정하여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같은 장소에서 토양구조 를 파괴하지 않고 빠르고 쉽게 수분함량을 시간별ㆍ깊이별로 반복해서 여러 번 측정할 수 있다

 

4. tensiometer법(장력계법)

- 포장용수량 이상의 수분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물이 보유한 장력만을 측정한다

 

Ⅷ. 토양 공기

1. 토양 공기 조성의 특징

토양공기는 대기공기에 비하여 산소의 농도가 낮고,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다

① 산소의 농도가 낮은 원인

- 식물뿌리와 미생물의 호흡으로 인한 산소의 손실이다

②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원인

- 식물뿌리와 미생물의 호흡ㆍ석회시용ㆍ유기물 분해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

 

[ 대기와 토양 공기의 조성 ]

 

 

 

2. 공기 유통

1) 공기의 이동방향

- 산소는 대기에서 토양으로 이동하며, 이산화탄소는 토양에서 대기 중으로 이동한다

2) 공기 유통의 원동력

- 농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인 확산작용이 공기 유통의 가장 큰 원동력이며, 그 밖에 온도변화ㆍ토양수분 경감ㆍ바람ㆍ기압의 변화 등의 원인이 있다.

3) 공기 유통 불량시 생물활동

① 미생물 - ⅰ)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이 줄고 혐기성 미생물의 활 동왕성해진다

ⅱ) 혐기성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토양물질이 환원작용을 받아서 환원성 유 해 물질들이 생성ㆍ집적되며 유기물의 분해가 느려져서 결국 식물생육 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② 식물 - ⅰ)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뿌리의 정상적인 호흡이 불가능하게 된다

ⅱ) 뿌리의 호흡이 불량해지므로 양분 및 수분의 흡수가 저하되어 식물생육이 불량해진다

ⅲ) 정상적 생육을 위해서는 손실된 산소의 재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 는데, 이를 산소확산율(ODR)이라 하며, 20×10-8g/cm2/min 이하에서는 뿌 리 생육이 정지되고 30∼40×10-2g/cm2/min 이상에서 잘 자랄 수 있다

③ 작물의 산소 요구량 -ⅰ) 높은 작물 : 토마토, 감자, 사탕수수, 완두, 보리

ⅱ) 중간 정도인 작물 : 옥수수, 밀, 연맥, 대두

ⅲ) 낮은 작물 : 기장, 풀 종류

④ 통기불량으로 인하여 CO2가 증가하면 이것이 환원작용을 받아 메탄가스(CH4)ㆍ유기 산 등의 유해물질이 되어 식물생육에 불리하게 작용하며, 물과 반응하여 탄산화작용 을 일으켜 토양산성화를 초래한다

 

3. 토양 공기 유통의 조성책

1) 토양처리 - ① 명거나 암거 배수 시설 설치

② 심경

③ 세사를 객토하여 식질 토양을 개량

④ 유기물, 석회 물질 및 토양 개량제 등을 시용하여 작토의 입단화를 조장

2) 재배적 조치 - ① 작물 재배 기간 중 중경

② 파종할 때 미숙 퇴구비를 두껍게 덮지 않는다.

③ 벼 육묘시는 아건(못자리 그누기), 본답에서는 중간 낙수

④ 답전 윤환 재배

⑤ 습한 밭토양에서의 작물의 휴파나 습답에서의 벼 휴립 재배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