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학 요약

농촌지도사, 농업연구사, 농업직 시험대비 - 토양학 핵심 요약 11. 논토양과 밭토양

롤라❤️ 2021. 3. 16. 07:41
반응형

제 11 장 논토양과 밭토양

**주요 학습 내용

1. 논토양의 일반적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이해

2. 보통답과 저위생산답에 대한 이해

3. 우리나라 밭토양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이해

4. 밭토양의 비옥도 향상 방법에 대한 이해


. 논토양의 일반적 성질 

논은 표고가 낮은 지역이나 또는 표고와는 관계없이 주위의 지형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늘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하수위가 높고, 또한 벼를 재배하는 기간에는 담수기간이 길기 때문에 담수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가 해마다 거듭되는 조건하에 있다. 논토양에 담수하면 토양층에서는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ㆍ미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며, 물의 관리방법이 달라지면 이들의 사정도 달라져서 그 내용이 매우 복잡해진다.

 

1. 담수에 의한 토양상태의 변화 (토층 분화)

토양에 담수하면 곧 토양과 대기간의 정상적인 기체교환과정이 깨어진다. 즉, 담수 후 시간이 경과하면 논토양은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토층분화라 한다.

1) 산화층 - ① 작토의 표면과 물이 접하는 부분의 표층 수 mm∼1cm 정도까지는 비교적 산 소함량이 많은데 이를 산화층이라 한다.

② 산화층이 존해하는 이유는 물에 접한 표층토에 관개용수 중의 용존산소가 공 급되거나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수생미생물(조류)들이 생성한 산소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③ 산화층은 철이 산화철(Fe2O3) 형태로 존재하므로 적갈색을 나타낸다

2) 환원층 - ① 산화층 아래의 산소가 부족하여 혐기성 미생물이 활동하는 층으로 논토양의 대부 분을 이룬다. 따라서 논토양의 특징은 곧 환원층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② 환원층은 철이 아산화철(FeO) 형태로 존재하므로 청회색을 나타낸다

 **참 고

논토양의 독특한 회색은 Fe+2․FeS․부식물 등이 섞여 있기 때문이며, glei층의 청회 색은 FeO 때문이다

 

2. 담수에 의한 미생물의 변화

① 담수 후 수시간 내에 토양에 있던 산소는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소모되어 환원상태가 발달하면 혐기성 미생물들의 활동이 왕성해진다.

② 이와 같은 혐기성미생물들에 의하여 토양 내 물질은 환원분해를 받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 기물 분해속도가 감소하게되고 환원성 물질이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물질들은 토층 내에 집 적되어 그 농도가 높아지면 벼의 생육에 해롭다.

③ 환원성 유해물질 생성으로 인한 피해정도는 CEC가 낮은 사질계 토양이 CEC가 높은 식질계 토양보다 더 크다.

 **참 고

환원층에서 혐기성미생물에 의한 환원분해로 인해서 유기물 중의 탄수화물은 알 콜․이산화탄소․메탄가스․수소가스 등을 생성하며, 유기물 중의 단백질은 암모 니아․아민류(R-NH2)․메르캡탄(mercaptan)류․황화수소 등을 생성하게 되며 이들 물질이 토양내 집적하게 되면 작물생육을 해롭게 한다.

 

3. 담수에 의한 물리화학적 변화

1) 수소이온농도(pH)

① 대부분의 토양 pH 값은 담수 후에는 모두 중성으로 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담수토양의 평균 pH 값은 6.5∼7.5를 나타낸다

②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pH도 높으며, 염기성분이 적고 유기물이 많을수록 pH는 낮다.

참 고

담수했을 때 산성인 토양의 pH 값이 커지고 알칼리성인 토양의 pH 값이 작아지는 경향은 Na-염류토양에서는 Na2CO3-H2O 계, 석회질토양에서는 CaCO3-CO2-H2O 계, 그리고 일반 산성토양에서는 Fe(OH)3-Fe+3 계와 관계가 있다.

 

2) 산화환원전위(Eh)

① 토양 내의 산소가 없어지면 혐기성미생물들이 전자의 수용체를 필요로 하므로 토층 내의 산화상태의 화합물들이 환원이 된다. 따라서 토양은 환원상태로 발달하게 되며 Eh는 감소 하게 된다.

② 환원되는 순서 - 유리산소 > 질산 > 망간 > 철 > 황산염

③ 일반적으로 밭토양의 Eh는 0.5∼0.7volt이며, 논토양은 0.3volt 이하가 된다. 한편 청회색 을 띠는 Glei층은 0.1∼0.3volt가 된다.

④ 산화환원전위는 담수토양의 비옥도에 미치는 영향면에서 가장 중요하며, 식물영양분의 방출 과 소실ㆍ식물의 양분흡수를 방해하는 독성물질의 생성ㆍEhㆍpH 및 각종 식물영양분들의 이온평형ㆍ흡착ㆍ방출 등에 영향을 끼친다.

3) 비전도도(EC ; 전기전도도)

EC는 용액 내 존재하는 이온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로서 전기저항의 역수로 표시한다

① 토양에 담수하면 Fe+2 및 Mn+2의 농도가 증가되고, NH4+ㆍHCO3- 및 RCOO-의 농도가 증가 되며, Fe+2나 Mn+2에 의하여 토양교질에 흡착된 각종 양이온들이 치환되므로 토양용액의 비 전도도는 처음에는 증가되다가 최고에 달한 후에는 안정된 상태로 낮아진다.

② 일반 논토양에서는 25℃에서의 비전도도가 2∼4mmho/cm이지만, 유기물이 많은 사질계 논토 양에서는 벼재배에 유해한 한계인 4mmho/cm 이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참 고

Ponnamperuma(1976)는 토양환원의 정량적인 연구나 그 결과의 활용면에서 Eh값보 다는 Eh 값(volt)을 0.059로 나눈 값에 해당하는 pE값(전자활성도의 역대수)를 이용 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고, 이 값과 각종 식물영양성분과의 관계를 확립하였다.

보충정리

담수토양의 바람직한 여러 화학적 지표들

① pH - 6.6 ② Eh - 0.01∼0.12volt

③ EC - 2mmho/cm(25℃) ④ pE - 0.2∼2.0

 

4. 논토양에서의 암모니아 생성 촉진

논토양에 함유된 전질소의 양은 약 0.3% 정도이나, 그 대부분은 유기태질소이고, 약 1∼3% 정도가 무기태질소이다. 유기질소화합물은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암모니아를 생성하는데 건토처리나 지온상승, 석회시용 등의 영향을 받아 촉진되면 암모니아 생성이 증대된다.

1) 건토효과

① 습한 토양을 건조시키면 토양유기물이 고아물질 토양으로부터 분리되어 미생물에 의하여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건조된 토양을 담수하면 미생물의 활동은 촉진되어 암 모니아의 생성량이 많아지는데 이 효과를 건토효과라고 한다.

② 건토효과는 유기물 함량이 많은 토양에서 건답보다는 습답에서, 2모작보다는 1모작 논에 서, 하층토보다는 표층토에서, 또한 퇴구비의 시용이 많은 논에서 효과가 크다.

2) 지온상승효과

논토양의 지온을 높히면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되어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촉진되어 암모니아가 생성이 증가한다.

3) 알카리효과

석회와 같은 알카리물질을 토양 중에 가하여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고 토양유기물을 분해되 기 쉽게 변화하여 암모니아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효과이다.

 

5. 담수에 의한 인산의 변화

담수상태 하에서 토양이 환원되면 인산제2철이 약산에 쉽게 용해되는 인산제1철로 변화하고 인산이온을 토양용액 중으로 방출한다. 또한 H2S가 인산철의 철을 FeS로 침전시킴으로써 인산을 용출시키고, 환원상태 하에서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해 인산이 용출된다.

 

Ⅱ. 우리나라 논토양의 주요 특성

 

1. 물리적 특성

①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에 전농경지에 대한 정밀토양조사를 끝냈으며, 토양조사분류의 기본단 위인 토양통수는 1983년 현재 모두 375개, 그 중 논토양의 토양통수는 151개로 밝혀졌다.

② 우리나라 논토양의 유형별 분포면적을 정밀토양조사 결과에서 추정한 것을 보면 작물생산기 지로서의 토양의 바탕이 보통이라고 생각되는 논토양통(보통답)의 분포면적 비율은 32.6%에 불과하고, 보다 개선되어야 할 특성을 지닌 토양통군인 사질답ㆍ미숙답ㆍ습답ㆍ염해지ㆍ특이 산성답 들의 분포면적비율은 각각 32.3%, 23.4%, 9.0%, 2.5% 및 0.2%로서 모두 67.4%나 되 어 토양단면의 특성을 개량할 필요가 있었다.

 

2. 화학적 특성

① 벼의 생산력을 지배하는 토양의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물리성으로는 토양단면 전체의 토성 이나 구조ㆍ통기ㆍ통수성 등이 중요하지만, 화학성으로는 주로 경토(耕土)의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벼뿌리의 약 80% 이상이 표층 10cm 내에 분포되어 있고, 이 부위에서 식물영양 성분을 흡수하여 생육을 완수하기 때문이다.

② 우리나라 논토양의 년차별 변동을 살펴보면 복합비료의 성분에서 공급되는 인산과 칼리는 점차 증가되고 있는 반면 Ca와 Mg는 감소되고 있으며, 유기물이나 유효규산의 함량은 큰 변동이 없다.

 

3. 건답

①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나 곡간지의 배수가 양호하고 지하수위가 낮은 논에 있어서 작물재배기간 중에 담수하면 작토층은 어느 정도 환원이 되지만, 심토층은 산화상태를 지속하는 논토양이다.

② 작토층의 환원으로 가용화된 수용성 Fe+2나 Mn+2가 물의 하강이동에 의해 산화상태에 있는 하층에 운반되며, 여기에서 다시 산화상태로 되므로 불용화되어 침전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하층 에 적갈색의 무늬가 생기는데, 이와 같은 층을 집적층이라고 하며, 이것을 논 podzol 이라고 하였 다. 이와 같은 작용이 심하게 일어나는 토양은 작토의 성분들이 하층으로 용탈되어 작물의 재배 에 모자라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이 뚜렷한 논을 특수성분결핍토양이라고도 한다.

③ 우리나라의 논은 배수가 양호한 사력질의 논과 새로 개간한 논을 제외하고는 거의 podzol화 작용을 받아 작토층의 성분이 부족하고 하부 쟁기바닥 근처에 영양성분이 쌓여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논은 작토의 화학성을 파악하고 부족한 성분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4. 습답

① 해안평탄지의 배수가 매우 불량한 논들과 같이 지하수위가 높아 배수를 하려고 해도 좀처럼 하기 어렵고 암거배수나 명거배수시설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논을 습답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지하수위가 높아 연중 담수상태에 있으므로 암회색의 glei 층이 표층 가까이까지 발달되어 있으며, 환원에 의해 생긴 Fe+2ㆍMn+2 등의 영양성분이 가용화되며, 배수가 안되기 때문에 토층 내에 쌓여 있게 된다.

③ 이와 같은 논에서는 양분부족이 문제가 아니라 식물영양성분의 함량이 풍부하지만 그 농도 가 지나치게 높고 이들 간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벼가 흡수하지 못하고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혐기적분해과정에서 유기물이 서서히 분해되기 때문에 중간생성물이 유기산류나 황화수소 등 양분흡수를 방해하는 물질들이 토층 내에 쌓이게 되므로 벼의 생육이 부진하게 된다.

④ 습답에서 재배되는 벼는 생육초기에 질소의 흡수랴이 비교적 많으므로 분얼이 왕성하고 빛 깔이 진하여 잘 된 것 같이 착각을 일으키기 쉽지만, 양분흡수량간의 균형이 깨어져서 식물 체가 약하게 되어 각종 병발생이 많아지고 유효경이 적어 후기의 생육이 심히 부진해지는데, 이를 추락현상이라고 하며, 이러한 논은 배수하여 지하수위를 낮추는 것이 첫째 조건이다.

**참 고

유기산류나 황화수소 및 염류의 높은 농도에 의한 벼의 양분흡수가 방해되는 순서는 대체로 H2O > K > P > Si > NH4 > Ca > Mg 이라고 한다.

 

Ⅲ. 저위생산답

일반 재배법으로는 평균이하의 수량을 보여서 개량할 필요가 있는 논으로서 전체 농경지의 18.5%, 전체 논 면적의 2/3를 차지한다.

 

1. 사력질답

① 모래와 자갈함량이 너무 많아 침투속도가 매우 빠르며 보수일수가 0.5∼2일 이하이며 양분보 유력이 약하고 용탈이 심하여 대체로 비료의 분시효과가 큰 토양이다.

② 양질의 점토함량이 많은 질흙을 객토함으로써 배수를 조절하여 관개용수의 절약과 지하에서 올라오는 환원된 철의 급격한 농노증가를 막아주는 것이 상책이다.

③ 배수가 양호한 사력질답에서는 유기물을 시용하면 양이온흡착능이 커져서 효과가 기대되지 만 배수가 불량한 사력질답에 생짚을 시용하면 오히려 심한 환원과 유해물질의 생상량이 증 가되므로 벼의 생육이 더욱 불량해진다.

④ 배수가 불량한 사질토에서는 유기물의 분해가 더디므로 유기물의 함량이 비교적 많고 환원 적 분해중간생성물인 유기산류가 토층에 쌓여 벼의 생육에 해롭게 되므로 석회질을 시용해 도 효과가 크다.

⑤ 사토에서는 양분함량이 적을뿐만 아니라 완충능이 작기 때문에 비료를 시용하면 벼에 반응 이 재빨리 일어나서 벼가 왕성하게 생육하지만, 비료분을 오래 간직하지 못하므로 후기에는 양분부족으로 추락현상이 나타난다.

 

2. 습답

① 저지대에 위치하고 하층에 이탄층이나 불투수층으로 인하여 수직배수가 불량하거나 지하수 위가 높아서 생기는 저습지, 또는 인공적으로 담수하여 높은 토양에서 발생한다.

② 습해나 냉해를 받기 쉽고 토양의 환원이 심하여 유기물의 혐기적 분해로 유해물질인 황화수 소와 각종 유기산이 다량 집적되기 쉬워 벼의 생육장해를 일으키기 쉽다.

③ 습답은 모래가 많은 논이든 점토가 많은 논이든 간에 암거배수나 명거배수시설을 하고 물관 리를 적절히 하여 작토의 Eh값이 -100mv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④ 개량 후에는 분해되지 못한 유기물이 분해되어 암모니아태를 토양에 공급하므로 질소비료의 시용량을 다른 저위생산답에 비해 조금 시용해도 된다.

**참 고

질소시비를 늘려야 할 경우 - 생육기간이 길수록

- 따뜻한 지대일수록

- 토양 유기물이 적은 곳일수록

-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일수록

 

3. 미사와 점토가 많은 논(중점답)

① 점토의 함량이 40% 이상인 토양을 중점토라 하는데, 작토층에 불투수층이 형성되어 경운이 곤란하고 물의 수직배수가 불량하여 한 여름에는 뿌리가 부패되는 호마엽고병이 발생한다

② 이와 같은 논은 일반적으로 작토의 이화학성이 불량하므로 배수를 촉진하고 지하수위를 낮 추기 위하여 암거배수나 명거배수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심경(深耕)대상지로서 깊이 갈고, 인산ㆍ석회ㆍ유기물 등을 다량 시용하고 추경(秋耕)을 하여 2모작을 하거나 건답상태 에서 월동시켜서 토립의 입단화를 촉진시켜 통기 및 통수성을 증대시키고 흙의 굳기를 낮추 어 주어 생산력을 증대시켜야 한다.

 

4. 염류토

① 우리나라의 干X지는 바닷물의 영향을 받아 염류함량이 많으며, 따라서 벼의 생육이 매우 불 량하다. 이것은 일반 논에 비해 염류농도가 5% 이상되는 토양으로 유기물의 함량이 1/10 정 도, 치환성 석회의 함량이 1/3 정도, 활성철의 함량이 1/4 정도로 적지만, 마그네슘과 칼륨 의 함량은 5배 이상 많고 나트륨의 함량은 20배 이상 많으며, 25℃ 에서의 비전도도는 30∼ 40mmho/cm 로서 논벼 재배의 적정한계인 2mmho/cm 보다도 15∼20배나 높다.

② 암거배수나 명거배수시설을 하고, 교질의 분산을 방지하면서 염분을 물로 씻어내야 한다. 이 를 위해서 처음에 염분농도가 비교적 높은 물을 사용하다가 점차 염분농도가 낮은 물을 사 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염분을 제거하는 동안에 유기물을 시용하면 토층내의 배수가 좋 아지고 여러 가지 유기산이 제염을 촉진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

③ 민물의 자원이 부족해서 건조기에 물을 대줄 수 없는 곳에서는 생짚이나 청초를 표층에 깔 아두어 수분증산을 막아주면 하층토에 있던 염분이 상층으로 올라와 쌓이는 정도가 크게 줄 어들어 효과적이다.

④ 벼보다는 밭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에서는 석고(CaSO4ㆍnH2O)를 시용하면 Ca+2 이온 은 Ca-교질을 형성하고 SO4-2는 Na2SO4로 되어 물에 씻겨 내려가므로 pH 값을 높이지 않고 Ca-교질을 만들어 교질입자를 분산시키지 않고 염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배수 가 불량한 논에서는 석고 중의 황이 토층에서 빠져 나가지 못하고 쌓이면 황산산성토양으로 되기 쉽다.

 

5. 퇴화 염토

염류토를 심하게 제염하여 작토층에 양분이 부족한 토양으로서, 심경하여 하층토에 집적 된 양분을 작토층으로 되돌리며 부족한 양분을 공급해야 한다.

 

6. 특이산성토양(황산산성토양)

① 토층 내에 황이 많아서 토양을 건조시키면 황이 산화되므로 황산이 생겨 pH값이 3.5이하가 되어 물에 잠겨 있어도 다른 토양과는 달리 pH값이 5.5 정도밖에는 높아지지 못하는 토양을 황산산성토양이라고 한다.

② 강한 산성 때문에 밭작물을 재배하기도 어렵고 미생물의 활동이 어렵기 때문에 유기물이 전 혀 분해되지 않아 표층 가까이에 많이 쌓여 있는 곳도 있다.

③ 산성이 강하기 때문에 활성의 알루미늄이 많고 환원이 심하여 여러 가지 양분흡수저해물질 이 생성되므로 벼의 양분흡수량이 감소되어 수량이 매우 적다.

④ 황산산성토양은 다량의 석회물질을 시용하는 동시에 칼리질비료를 산화층인 표층에 여러 번 나누어 시용함으로써 수량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토층 내의 황함량이 없어지 도록 해야 한다.

⑤ 배수가 불량한 염해지를 개량하기 위해 석고와 같은 물질을 시용하면 황산산성토양이 될 염 려가 크므로 소석회를 시용해야 한다.

7. 특수성분결핍토(노후화답)

- 저위생산답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① 사질토양이나 화강암을 모재로 한 산간 토양에서 자주 발생한다

② 각종 식물 영양분이 하층토에 용탈ㆍ집적되어 작토층에 이들 성분이 부족한 토양으로 서, 특히 작토층 내에 철이 부족한 토양에서 발생한다

③ 작토층에 철이 없으므로 토색은 건조기에 회백색, 담수하면 청회색를 나타낸다

④ 각종 무기양분의 부족, 특히 철 부족으로 인하여 H2S에 의한 피해가 발생해서 뿌리 활 력이 감퇴하고 벼잎에는 호마엽고병(깨씨잎마름병)이 생긴다

⑤ 노후화답의 특징 - ⅰ) 작토로부터 활성철이 용탈되었다

ⅱ) 담수기에는 환원층에서 H2S가 발생한다

ⅲ) 표층이 회백색으로 표백되었다

ⅳ) 벼뿌리는 산화철이 부착되지 않아 백색을 나타낸다

⑤ 개량 - ⅰ) 적색 산흙ㆍ염기류를 함유한 갈철광분말ㆍ비철토ㆍ퇴비철 등의 철을 함유한 물질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ⅱ) 점질토를 객토하여 심한 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ⅲ) 심경하여 하층토에 집적된 무기양분을 작토층으로 되돌린다

ⅳ) 無황산근 비료 시용으로 황화수소의 피해를 방지한다

ⅴ) 작토층에 부족한 무기양분을 공급한다

ⅵ) 규산질비료(규산석회, 규회석)와 칼륨질비료 시용한다

 

**참 고

- 고위수량답의 조성방안

① 작토층 - 18cm 이상 ② C/N 율 - 11∼12

③ 지하수위 - 70cm ④ 투수량 - 20∼30mm/1일

⑤ 건토효과 - 7∼8mg ⑥ 염기포화도 - 50∼70%

⑦ 인산흡수계수(PAC) - 1,000∼1,500mgP2O5/100g

**참 고

- 인산흡수력

① 흙의 인산을 불용화하여 고정시키는 힘

② 점토표면의 양전하에 의한 흡수력(AEC)과 가리흙 중의 각종 양이온들의 화학 적 결합에 의한 불용화능력 때문에 발생

③ 인산흡수계수(PAC)는 점토함량이 많을수록 크고, 밭보다는 논 가리흙에서 크다

[ 논의 유형별 화학성분의 함량 ]

 

 

**참 고

추락현상 - 생육후기에 작토층에 양분부족으로 인하여, 특히 철부족으로 인한 황화 수소(H2S)에 의한 생육불량 현상으로, 황화수소에 의한 흡수피해 순서는 P > K+> Si+4 > NH4+ > Mg+2 > Mn+2 이다

Ⅳ. 밭토양의 특성

우리나라 농업은 벼농사를 주축으로 하여 왔기 때문에 토양이 비옥하고 물가두기가 쉽거나 수리시설이 가능한 평야지는 논으로 이용되어 온 반면 물대기가 어려운 경사지의 토양은 주로 밭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 나라 밭토양은 식물생육과 관련한 모든 성질이 좋지 않은 편이다

 

1. 우리나라 밭토양의 분포 현황

1) 지형별 분포 - 우리나라 밭면적 중 74%가 곡간지와 구릉지 및 산록지에 산재해 있으 며 해안 또는 하천주변의 평야지에 분포하고 있는 것은 9%에 불과하다.

2) 경사도별 분포 - 90% 정도가 2∼3%의 경사지에 있으며 평야지에 분포하는 것은 9.1% 밖 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부분의 밭은 경사가 급한 지형적인 불리성 때문 에 침식을 많이 받게 되어 작토의 유실이 많고 용탈이 심하여 지력이 저 하된 척박한 토양으로 되어 있다.

 

2. 우리나라 밭토양의 일반적 성질

① 밭토양은 관개를 하지 않으므로 논과는 달리 관개수에 의한 양분의 천연공급이 없고 오히려 강우에 의한 염기의 용탈이 심하다.

② 산성화가 많이 진전되어 석회시용효과가 대체로 높은 편이며, 산성반응에서 농도가 높아진 활성철과 알루미늄에 의하여 인산이 고정되므로 인산의 비옥도는 매우 낮다.

③ 밭토양은 산화적 경향에 있기 때문에 유기물의 집적이 어려워 그 함량은 대체로 2.0% 이하이다.

④ 유사한 작목을 계속 재배할 경우 특정성분이 작물에 의하여 과다하게 수탈되거나 시비된 특 정성분이 과잉으로 축적되어 심한 영양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여러 가지 연작장해의 문제점 을 야기할 수 있다.

⑤ 대체로 토심이 20∼50cm로 대체로 얕고 작토의 깊이도 10cm 정도밖에 되지 못하며 토양경 도가 높아 작물뿌리의 신장이 나쁘며 표토의 유실이 많은 편이다.

⑥ 토양의 모재가 화강암이나 화강편마암과 같은 산성암에서 유래되어 기후가 온난하고 여름철 에 우량이 많으면 염기의 용탈이 심하여 토양이 산성으로 되기 때문에 산성토양이 많이 분 포되어 있다.

⑦ 저위생산성인 토양이 많다. 생산성이 비교적 높은 보통밭(41.8%)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는 수량이 떨어지는 밭으로서 전체의 58.2%를 차지한다.

⑧ 세립질(細粒質과) 력질(礫質)토양이 많다.

**참 고

① 세립질토양

ⅰ) 식질ㆍ미사식양질ㆍ식양질 토양으로 전 면적의 48.2%를 차지

ⅱ) 투수성이 불량하고, 한발시에 토양이 단단하게 되어 작물뿌리 신장 불량

ⅲ) 우기에는 점착성이 강하여 농작업의 어려움

② 조립(粗粒)질 토양

ⅰ) 사질ㆍ사력질 토양으로 전 면적의 24.1%를 차지

ⅱ) 토양은 한발의 해를 입기 쉽고 자갈이나 모래분이 많아 비옥도가 매우 낮음

 

[ 밭토양 표토(10cm)의 화학적 성질 ]

 

 

 

3. 밭토양의 유형별 특징

1) 소채류나 시설원예지 밭토양

① 유효인사이 밭토양개량목표인 200ppm의 2∼4배 정도나 되고 치환성 칼륨도 목표치 0.5me/100g를 초과하거나 2배 이상되고 있어 특수성분의 과다집적에 의한 양분간의 불균 형이 심하다.

② 일반적으로 인산이 토양 중에 과다하게 있을 경우 작물의 아연결핍증을 유발하기 쉽고 칼 륨의 과도한 시비는 길항작용에 의한 마그네슘 결핍증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2) 제주도의 화산회 밭토양

① 주된 점토광물은 allophane으로서 토양이 검고 유기물함량은 육지토양보다 훨씬 높아 2∼ 19.8%를 나타낸다.

② 인산고정력이 큰 토양이어서 유효인산함량이 매우 낮다.

③ 양이온 교환용량은 높지만 교환성 염기의 결합력이 약하여 염기의 용탈이 쉽게 일어난다.

④ 토심은 깊고 투수성이 좋아 배수가 양호하지만 토양이 경송하고 전용적밀도가 낮아 바람 에 날리기 쉽고 한발의피해를 받기 쉽다.

⑤ 제주도토양은 화산회의 퇴적정도에 따라 적황색으로부터 흑색으로 변해가며 토색이 짙을 수록 지력이 낮아 적황색→암갈색→농암갈색→흑색의 순으로 수량성이 낮아진다.

⑥ 인산과 규산의 시용효과가 크며 토양수분의 보존과 토양의 비산을 방지하도록 유기물의 피복이 필요하다.

3) 준평야지 밭토양

- 작토와 유효토심이 깊고 경토가 낮으며 공극률이 높아 작물뿌리의 신장이 좋으며 유효수 분범위도 넓고 보수량도 많아 한발의 피해도 비교적 적은 편이다.

4) 기복이 있는 곳의 밭토양

① 경도와 전용적밀도가 높은 식질로서 뿌리의 신장이 불량하며 유효수분범위도 좁고 부수량 도 적어 한발의 피해를 받기 쉽다.

② 저구릉기복지에는 심토에 치밀한 조직의 경반층을 가진 반층토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생 산성이 낮은 원인이 되고 있다.

5) 경사지 밭토양

- 사질토로서 보수력이 낮고 투수력이 높으며 유효토심이 얕아 보수량도 적기 때문에 생산 성이 극히 낮다.

6) 보통밭

① 주로 평야지, 곡간(谷間), 선상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토양배수가 양호하고 토성은 사양질 또는 식양질이며 토양수분 및 양분을 간직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이고 유효토심은 50cm 이상 깊은 것을 말한다.

② 이러한 유형의 것은 토양 및 작물에 대한 특별한 비배관리를 하지 않아도 생산력이 비교 적 높은 편이다.

7) 사질밭

① 주로 하천유역 평야지 및 선상지 또는 곡간지에 분포하고 토성이 사질 또는 력질토(礫質 土)로서 토양수분 및 양분을 간직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낮아 비료의 분시효과가 크게 나 타나며 관개를 하지 않으면 높은 수량을 얻기 어렵다.

② 근본적인 토양개량을 위해서는 객토와 유기물의 다량시용이 요구된다.

8) 중점밭

① 산록경사지, 홍적대지(洪積臺地), 저구릉지 및 곡간지에 분포하며 대체로 7% 이하의 경사 를 가진 식질토양이다.

② 점토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토양수분과 양분을 간직할 수 있는 힘이 높은 반면, 투수력이 낮아 관개수량이 과도하면 일시적인 습해가 우려되는 토양이다.

③ 중점밭의 일부는 표토하부에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경반층을 가지고 있어 생산력이 매 우 낮은 토양도 있다.

④ 중점밭은 대체로 인산흡착량이 많기 때문에 인산시비량을 많이 하여야 생산력을 높일 수 있다.

9) 미숙밭

① 개간연대가 짧아 숙전(熟田)이 되지 못한 밭을 말하며, 곡간 선상지, 산록경사지, 구릉지에 분포한다.

② 유기물함량이 매우 낮아 대체로 토색이 붉으며 토양내 양분의 축적량이 적어 시비의존도 가 매우 높다.

③ 토양의 완충력이 대체로 낮기 때문에 시비관리 여부에 따라 생산성의 기복이 심한 편이다.

④ 토양개선을 위해서는 다량의 유기물시용이 요구되며 특히 최근에 개간된 밭은 많은 양의 석회와 인산의 시비가 요구된다.

10) 고원밭

① 고산지대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토성이 식양토 또는 식토로서 점토함량이 많아 중점밭 과 유사하나 해발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기온이 낮아 다량의 유기물이 두껍게 퇴적되어 있어 땅이 비옥하고 흑색이나 농암갈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② 고원밭은 비옥하고 또 여름기온이 낮은 지대에 분포하기 때문에 여름 결구배추나 무재배 의 특산지가 되고 있다.

 

 

[ 밭토양의 작물재배 용도별 표토 특성 ]

 

 

Ⅴ. 밭토양의 비옥도 향상

1. 비옥도

작물의 생산량을 지배하는 토양학적인 요인을 말하는 것으로 내적ㆍ외적요인이 있다

1) 내적요인 - 토성ㆍ토양반응ㆍ유기물과 미생물ㆍ산화화 환원ㆍ교질의 이화학적 성질로서 토 양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력을 의미한다

2) 외적요인 - 기후적 조건ㆍ경토의 배양ㆍ관배수ㆍ시비 등 토양을 관리하고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법과 관련한 비배관리를 의미한다

2. 객토

① 작토의 두께가 얇은 경우ㆍ토성불량 및 특수성분 결핍토의 경우로 나누어 실시한다

② 객토 할 경우에는 기존 토성과 반대되는 토성으로 객토한다

③ 결핍양분을 공급하고 점토와 유기물을 시용하여 양이온치환용량을 향상시킨다

④ 객토의 효과가 가장 뚜렷히 나타나는 토양은 사토이다

3. 토양 개량

1) 석회시용 - 토양반응을 중성화하고 입단화를 촉진한다

2) 인산비료의 공급 - ① 반응을 중성으로 한 이후 시용한다

② 산성토양에 시용 할 경우 구용성 인산비료를 시용한다

3) 미량요소의 공급

① B - ⅰ) 개간지토양이나 석회가 풍부한 토양에서 결핍증세를 보인다

ⅱ) 채소ㆍ과수재배에서 많이 요구된다

② Cu - 부식함량이 많은 이탄토나 적은 사질토에서 결핍증세를 보인다

③ Zn - 감귤원에서 결핍증세를 보인다

4) 유기물 시용

① 물리성 향상 - 지온상승ㆍ입단화촉진ㆍ보수력 증대

② 화학성 향상 - CEC 증대ㆍ완충능 증대ㆍ중금속의 유해작용 억제ㆍ양분의 공급 및 유효 화ㆍ인산의 유효도 증가

③ 미생물의 생육 촉진 - hormone, vitamin 공급ㆍ유용한 화학 반응 촉진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