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처리장치와 데이터 처리
3.1 처리장치
▪ 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와 주기억장치(main memory)로 구
성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control unit)와 산술논리연산장치(ALU : Arithmetic and Logic
Unit)로 구성된다.
▪ 컴퓨터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에서 입력․처리․출력은 기본적인 처리과정으로서, 데이터는 처리되기 전에 입
력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져 기억된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의
해 처리되며, 처리된 결과, 즉 정보는 출력장치로 보내어져 출력된다.
▪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데이터는 먼저 주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제어장치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
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산술논리연산장치로 하여금 처리하게 한다.
▪ 현재 정보통신산업은 인터넷․멀티미디어․통신․방송 등 모든 형태의 정보기술이 하나로 통합되고 연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처리장치의 발달, 즉 중앙처리장치의 눈부신 성능향상과 주
기억장치의 기술진보라고 할 수 있다.
3.2 데이터의 저장과 표현
▪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bit)로서 비트는 두 가지 형태인 1(on 상태) 또는
0(off 상태)으로 저장되는데 전류가 흐르는지(1), 흐르지 않는지에(0) 의해 그 상태가 결정되며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만든다.
▪ 한 개의 비트는 단지 0 혹은 1의 값만을 표현할 수 있어 단지 한 개의 비트만으로는 컴퓨터시스템을 사
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를 모두 표현할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컴퓨
터 설계자는 주기억장치내에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직렬로 된 비트들을 쓰는데 보통 8개의
비트를 모아 정보를 표현하며, 이때 8비트를 1바이트(byte)라고 한다.
▪ 컴퓨터 내부의 정보표현은 2진법수(2진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2진법 수는 0과 1이라는 비트의 조합으
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2진수는 일상적으로 읽고 쓰는데 어려운 점이 많아, 2진수로의 변환이 쉬운 8진법
수(8진수) 또는 16진법수(16진수)로 나타내기도 한다.
▪ 컴퓨터의 응용에서는 수치 값보다 문자를 다루어야 할 경우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문자들을 비트의 조
합에 의해 표현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코드로 나타내며, 코드의 종류로는 6비트 BCD, 7비트 혹은 8비트
의 ASCII, 8비트의 EBCDIC와 ANSI, 16비트의 UNICODE 등이 있으며 오늘날 컴퓨터에서는 주로 ASCII와
UNICODE가 사용되고 있다.
▪ ASCII는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 제조회사들이 사용하는 코드이다.
이 ASCII 코드는 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시스템에서는 7비트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한 비트는
검증비트(parity bit)로 사용되고 있다.
▪ UNICODE는 IBM, 마이크로소프트, 선마이크로시스템 등과 같은 유명 컴퓨터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결성하
여 개발하였다. 유니코드는 컴퓨터와 응용프로그램들로 하여금 세계 각국의 언어를 좀 더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EBCDIC는 IBM사를 비롯한 몇몇 컴퓨터회사에서 초창기 많이 사용되었으며, 8비트 코드로서 256개의 영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표현하는 것이다. EBCDIC 코드의 8비트 중 왼쪽 4비트를 존(zone), 나머지 4비트
를 디지트(digit)라 하여 두 부분으로 구분한다. 이 존 부분과 디지트 부분은 모두 다 2진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4비트는 1/2바이트에 해당되며 종종 니블(nibble)이라고도 한다.
3.3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주기억장치는 입력된 데이터를 질서정연하게 기억시키고 데이터가 들어 있는 기억장소를 직접 찾아가기
위해서 바이트(byte)단위 또는 워드(word)단위로 기억장치를 분할해서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억용량의 단위는 주로 바이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오늘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억용량의 단위는 KB(Kilo
Bytes), MB(Mega Bytes), GB(Giga Bytes), TB(Tera Bytes) 이며, 앞으로 사용하게 될 단위는 PB(Peta Bytes)
가 될 것이다.
▪ 주기억장치 내부의 각 바이트는 그와 관련된 고유한 단일 주소를 갖게 된다. 주기억장치 내부에 있는 주
소는 각 바이트를 식별하는 데 쓰인다. 이것은 주기억장치가 컴퓨터시스템에 접속될 경우 지정되는 고유
한 주소인 것이다.
▪ 숫자나 영문자 또는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그 문자는 지정된 비트의 형
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문자가 주기억장치의 어느 한 위치에 한 번 기억되면 그 문자는 다른 문자가 같은
위치에 기억될 때까지 그대로 남게 된다. 주기억장치의 이런 기능은 두 가지의 중요한 순서를 가진다.
- 첫째는 한 번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의 한 위치에 수록되면 그 내용이 바뀔 때까지 남아 있게 된다. 이것
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처리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둘째는 읽혀져서 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로 옮겨진 데이터가 전에 기억시킨 데이터를 대신하여 저장되
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를 읽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기억장치의 동일한 위치에서
여러 레코드(record)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는 수백 개 또는 수천 개의
레코드를 처리할 수 있다.
3.4 컴퓨터명령어의 형태와 실행
▪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명령어는 컴퓨터시스템의 전자회로가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명령
(machine language instructions)으로 저장되어 있는데, 이것을 실행프로그램이라고 한다.
▪ 컴퓨터 작동을 지시하는 기계어명령어의 형식은 크게 명령부(operation part)와 오퍼랜드부(주소
부)(operand part)로 나누어지고, 오퍼랜드부는 다시 레지스터, 데이터 주소, 데이터의 길이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 중앙처리장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프로그램명령어가 명시한 대로 계산하고 데이터를 이동시
키며,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조작을 제어한다.
▪ 산술논리연산장치는 가․감․승․제와 같은 산술명령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자회로가 있으며, 또한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가리키는 논리명령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전자회로도 가지고 있다.
▪ 제어장치는 입력과 출력의 제어, 중앙처리장치 내에서의 산술논리연산장치의 연산을 제어하고 주기억장치
에서 다른 기억장치로 또는 다른 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3.5 기억장치의 발달과정과 반도체 기억장치
▪ 기억장치의 구성요소는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많은 열을 내지 말아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작
아야 하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초창기 컴퓨터시스템은 주기억장치로서 진공관을 사용했다.
1950년대 MIT에서 자기코어기억장치(magnetic core storage)를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 반도체기억장치(semiconductor memory)가 등장하게 됨으로써 마이크로전자의 중요함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는 신뢰성이 높으며 간편하다. 경제적이고 많은 용량을 갖는 기억장치는 반도체기술에 의해 실현되었다.
▪ RAM은 크게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SRAM(Static RAM)과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내
용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리프레싱(refreshing)이 요구되는 DRAM(Dynamic RAM)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주로 캐시메모리(Cache Memory)로 이용되고 후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기억장치로 많
이 이용되고 있다.
▪ ROM(Read Only Memory)은 메모리가 제작될 때 데이터를 이 안에 기록한다. ROM에 기록된 데이터는
읽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을 다른 데이터로 변경할 수는 없다.
▪ PROM(Programmable ROM)은 컴퓨터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사용할 때는 ROM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컴퓨터시스템에 사용될 때는 내용을 바꿀 필요가 없고 다만 읽기만 한다.
▪ 버블메모리는 RAM과 같은 주저장 장치로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기에는 RAM보다는 느리다는 품질상의 문
제를 안고 있지만 버블메모리는 주변의 불안정한 환경에 극히 영향을 받지 않으며, 동시에 축전지 수명이
RAM보다 휠씬 길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는 최종 사용자가 쉽게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만
든, 비파괴메모리 기술을 적용한 메모리의 한 형태이다. 플래시메모리는 다양한 새로운 입출력장치와 저장
장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3.6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처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드(field), 레코드(record), 파일(file)이라고 하는 논리적인 개체의
관계에 대해 알아야 한다. 여기서 필드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이며,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하나의
처리단위인 레코드를 형성하고, 이 레코드들이 모여 하나의 파일을 구성한다.
▪ 주요 용어 - ANSI ANSI는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의 약어로서 미국 내에서 기술표준 개발을 육성하기 위해 설립 된 제1차 기관이다. ANSI는 산업계에 소속된 기술자 그룹들과 함께 일하며, 세계표준화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및 세계전자기술 위원회인 IEC(Internation Electro-technical Commission)의 일원이다. ANSI가 제정한 컴퓨터에 관한 표준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아스키 가 있다 - 검증 비트 (=패리티 비트)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원래의 정보에 덧붙이는 비트이다. 시스템의 논리 구조에 따라 1로 된 비트들의 개수가 항상 짝수 또는 홀수가 되도록 바이트의 끝에 붙인다. 예를 들어, 7비트 의 0010110이라는 데이터에서 짝수 패리티가 되게 하기 위해서는 1의 패리티 비트를 붙여 00101101로 한다. 또 같은 데이터에 대해 홀수 패리티 비트가 되게 하려면 0의 패리티 비트를 붙인다. - 레지스터 산술적·논리적 연산이나 정보 해석, 전송 등을 할 수 있는 일정 길이의 정보를 저장하는 중앙 처리 장치내의 기억 장치이다. 저장 용량에는 제한되어 있으나 주기억 장치에 비해서 접근 시간이 빠르고, 체계적인 특징이 있다. 컴퓨터에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임시로 기억하는 누산기, 기억 주소나 장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주소 레지스터를 비롯하여 컴퓨터의 동작을 관리하는 각종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 페치(fetch) 컴퓨터 중앙 처리 장치가 기억 장치에 들어 있는 기계어 명령이나 자료를 수행시키기 위하여 CPU 내로 가져 오는 일을 하거나, 필요한 자료가 즉시 이용 가능한 위치에 있지 않을 때, 그 자료를 저장되어 있는 곳으로부 터 꺼내 오는 일이다. - 니블 1바이트의 절반, 즉 4비트를 하나의 단위로 한 것. 따라서 하나의 바이트는 상위 니블(상위 4비트)과 하위 니 블(하위 4비트)로 구분할 수 있다. - 기계어 명령어 컴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어로서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명령으로 이루어진 언 어이다. 기계어는 2진수에 대응시킨 비트의 조합패턴으로 표현 되고, 레지스터와 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왕래 를 기술해야 한다는 점 등으로 인간의 말과 기술은 거리가 있어 예측이 어렵고 작업성이 극히 낮다.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에 기계어가 직접 사용되는 일은 거의 없다. - 워드머신 기억 장치를 바이트 단위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컴퓨터를 바이트 머신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32비트나 64비 트 등 단어 단위의 컴퓨터를 워드머신이라고 한다. - EPROM & EEPROM EPROM은 자외선을 통해 내용을 지우고 롬라이터를 통해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이며, EEPROM은 전기적으로 메모리의 내용을 소거하거나 쓸 수 있는 ROM으로 종래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메모리 의 내용을 소거하는 EPROM과 비교해서 내용의 읽기·쓰기가 용이하다. |
[주관식 연습문제]
1. 처리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데이터 처리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라.
<해설>
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로 구성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control unit)
와 산술논리연산장치로 구성된다. 컴퓨터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에서 입력․처리․출력은 기본적인 처리과정으로서,
데이터는 처리되기 전에 입력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여져 기억된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데
이터는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며, 처리된 결과, 즉 정보는 출력장치로 보내어져 출력된다. 데이터가 처리될
때마다 그 데이터는 먼저 주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제어장치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프로그램에 있는 명령어를
번역하여 산술논리연산장치로 하여금 처리하게 한다.
2.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비트와 바이트에 대해 설명하라.
<해설>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bit : binary digit)로서 비트는 두 가지 형태인 1(on 상태) 또는 0(off 상태)으로
저장되는데 전류가 흐르는지(1), 흐르지 않는지에(0) 의해 그 상태가 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 개의 비트는
단지 0 혹은 1의 값만을 표현할 수 있어 단지 한 개의 비트만으로는 컴퓨터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
하는 데 필요한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를 모두 표현할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컴퓨터 설계자는 주기억장치내
에 실제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직렬로 된 비트들을 쓰는데 보통 8개의 비트를 모아 정보를 표현하며,
이때 8비트를 1바이트라고 한다.
3. RAM, ROM, PROM, 버블메모리, 플래시메모리에 대해 설명하라.
<해설>
RAM은 크게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SRAM(Static RAM)과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내용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리프레싱(refreshing)이 요구되는 DRAM(Dynamic RAM)으로 구분된다.
ROM(Read Only Memory)은 메모리가 제작될 때 데이터를 이 안에 기록한다. ROM에 기록된 데이터는 읽어
서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을 다른 데이터로 변경할 수는 없다.
PROM(Programmable ROM)은 컴퓨터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사용할 때는 ROM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컴퓨터시스템에 사용될 때는 내용을 바꿀 필요가 없고 다만 읽기만 한다.
버블메모리는 RAM과 같은 주기억 장치로서 보편적으로 이용되기에는 RAM보다는 느리다는 품질상의 문제를
안고 있지만 버블메모리는 주변의 불안정한 환경에 극히 영향을 받지 않으며, 동시에 축전지 수명이 RAM보다
휠씬 길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는 최종 사용자가 쉽게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만든,
비파괴메모리 기술을 적용한 메모리의 한 형태이다. 플래시메모리는 다양한 새로운 입출력장치와 저장장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객관식 연습문제]
1. 다음 중 처리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중앙처리장치 ② 보조기억장치
③ 제어장치 ④ 산술논리연산장치
<정답> ②
<해설>
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로 구성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다시 제어장치(와 산술논리
연산장치로 구성된다.
2. 데이터 저장의 기본 단위로 1 또는 0인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단위는?
① bit ② byte③ word④ nibble
<정답> ①
<해설>
주기억장치 내부에 기억된 데이터의 기본단위는 비트(bit : binary digit)로서 비트는 두 가지 형태인 1(on 상
태) 또는 0(off 상태)으로 저장되는데 전류가 흐르는지(1), 흐르지 않는지에(0) 의해 그 상태가 결정되며 이는
컴퓨터 하드웨어 내에 있는 전자회로가 만든다.
3. 숫자 데이터의 표현에서 2진수 값 (10101101)2을 8진수와 16진수로 나타낸 값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413, BA ② 313, CB
③ 255, AD ④ 213, AC
<정답> ③
<해설>
2진수는 일상적으로 읽고 쓰는 데 어려운 점이 많아, 2진수로 변환하기 쉬운 8진법수(8진수) 또는 16진법수
(16진수)로 나타내기도 한다. 8진법은 2진수 3자리를 하나로 묶어 0에서 7까지 나타내도록 하고, 16진법은 2
진수 4자리를 하나로 묶어 0에서 15까지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16진법의 수는 10, 11, 12, 13, 14, 15
가 두 자리씩을 차지하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이를 각각 A, B, C, D, E, F로 대치하여 나타낸다.
- 2진수 (10101101)2을 8진수로 나타내기: 수의 낮은 자리(오른쪽)부터 3자리씩마다 8진수의 1자리로 표시하면
된다.
- 2진수 (10101101)2을 16진수로 나타내기: 수의 낮은 자리(오른쪽)부터 4자리씩 묶어 16진수의 1자리로 표시
하면 된다. 이때 16진수의 10부터 15까지의 값은 A부터 F로 대치된다.
4. 문자데이터 표현을 위한 코드 중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개인용 컴퓨터 제조회사들
이 사용하고 있으며 7비트 혹은 8비트로 구성된 것은?
① UNICODE ② ASCII③ EBCDIC④ BCD
<정답> ②
<해설>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의 종류로는 6비트의 BCD, 7비트 혹은 8비트의 ASCII(, 8비트의 EBCDIC(, 그리고
16비트의 UNICODE가 대표적이다. 이중 ASCII는 미국 정보교환 코드로서 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문자의 표
현에는 7비트만을 이용하고 1비트는 검증비트로 사용하고 있다.
5. UNICODE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 기술된 것은?
① 세계 각국의 언어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② 세계 모든 지역 간의 국제적인 통신 교류를 가능하게 된다.
③ 나타낼 수 있는 문자열의 수는 65,536개이다.
④ 7비트 혹은 8비트로 구성된다.
<정답> ④
<해설>
유니코드는 컴퓨터와 응용프로그램들로 하여금 세계 각국의 언어를 좀 더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7비트체제의 ASCII가 128개까지의 문자열만을 표현하는 문자코드인 까닭에 영어를 제외한 한국어, 일어, 중국
어 등의 다양한 언어들을 표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유니코드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 결성목적은
바로 이와 같은 컴퓨터의 언어별 문자표현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것에 기반을 두었다. 즉, 표준코드 개발을 통
하여 컴퓨터 집단 및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유니코드의 16비트
코드는 2바이트를 취함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문자열은 216, 즉 65,536개에 이른다. 유니코드는 한글, 한자,
히브리어, 일본어, 그리스어의 대소문자 등과 같은 세계의 모든 언어들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코드를 가지고
있다.
6. 다음의 기억용량 단위에서 소용량 단위에서 대용량 단위로의 크기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TB < MB < GB < KB
② GB < KB < MB < TB
③ KB < MB < GB < TB
④ KB < TB < MB < GB
<정답> ③
<해설>
기억용량의 단위는 KB(Kilo Bytes), MB(Mega Bytes), GB(Giga Bytes), TB(Tera Bytes), PB(Peta Bytes)이다.
1Byte = 8 bits(한 문자 표현, 유니코드 제외)
1KB(킬로바이트) = 210 바이트(1,024 Bytes)
1MB(메가바이트) = 220 바이트(1,024 KB)
1GB(기가바이트) = 230 바이트(1,024 MB)
1TB(테라바이트) = 240 바이트(1,024 GB)
1PB(페타바이트) = 250 바이트(1,024 TB)
7. 주기억장치에 데이터 저장 할 때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프로그래머는 수억 개 또는 수십억 개의 레코드를 처리할 수 있다.
② 문자가 주기억장치에 기억되면 다른 문자가 같은 위치에 기억될 때까지 남아 있는다.
③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기억장치의 동일한 위치에서 여러 레코드를 처리할 수 있다.
④ 숫자나 영문자 또는 특수문자가 읽혀지면 지정된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한다.
<정답> ①
<해설>
숫자나 영문자 또는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그 문자는 지정된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문자가 주기억장치의 어느 한 위치에 한 번 기억되면 그 문자는 다른 문자가 같은 위치에
기억될 때까지 그대로 남아 있는다. 주기억장치의 이런 기능은 두 가지의 중요한 순서를 가진다.
첫째는 한 번 데이터가 주기억장치의 한 위치에 수록되면 그 내용이 바뀔 때까지 남아 있게 된다. 이것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처리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둘째는 읽혀져서 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로 옮겨진 데이터가 전에 기억시킨 데이터를 대신하여 저장되기 때
문에 주기억장치의 특정한 위치를 읽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기억장치의 동일한 위치에서 여러 레코드
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머는 수백 개 또는 수천 개의 레코드를 처리할 수 있다.
8. 컴퓨터에서 명령어의 실행은 제어장치가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가져다가 ( )에 넣어 두는 동작으로 이
루어진다. 괄호에 적합한 내용은?
① 저장 레지스터
② 인덱스 레지스터
③ 메모리 레지스터
④ 명령어 레지스터
<정답> ④
<해설>
컴퓨터에서 명령어의 실행은 중앙처리장치 중 제어장치가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어를 가져다가 명령어 레지스
터에 넣어 두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명령어 레지스터는 하나의 임시기억영역으로서 한 번에 한 개의 명령어
를 기억할 수 있는데, 명령어 레지스터는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내에 있다.
9. 다음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이다. 기술된 내용이 잘못된 것은?
① DRAM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기억장치로 많이 이용된다.
② PROM은 휘발성 메모리로 저장된 내용을 반복적으로 바꿀 수 있다.
③ ROM은 제작될 때 데이터가 기록되며 변경이 불가능하다.
④ SRAM은 주로 캐시메모리로 이용된다.
<정답> ②
<해설>
반도체기억장치는 크게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로 구분된다. 이러한 RAM
은 다시 쓰고 지우기가 반복적으로 가능하여 주로 주기억장치로 이용되는DRAM(Dynamic RAM)과 주로 캐시
메모리로 이용되는 SRAM(Static RAM)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ROM은 메모리가 제작될 당시 내용이 수록되어
변경이 불가능한 mask ROM, 사용자가 한 번에 한해 내용을 기록할 수 있으나 변경이 불가능한
PROM(Programmable ROM), 롬라이터를 통해 프로그램을 입력하는 EPROM(Erasable PROM), 전기적으로 쉽게
지울 수 있고 롬라이터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으로 구분된다.
10. 다음의 반도체 메모리 중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어 주로 캐시메모리에 사용되는 것은?
① SRAM ② PROM③ DRAM④ EEPROM
<정답> ①
<해설>
RAM은 크게 전원이 공급되는 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SRAM과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내용의 소멸을 방지
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리프레싱(refreshing)이 요구되는 DRAM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주로 캐시메모리(Cache
Memory)로 이용되고, 후자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기억장치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11. 다음에서 플래시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최종 사용자가 내용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② 파괴메모리 기술을 적용했다.
③ USB, MP3등의 대용량 메모리로 사용된다.
④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등에 사용된다.
<정답> ②
<해설>
플래시메모리는 최종 사용자가 쉽게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만든, 비파괴메모리 기술을 적용한 메모리의 한
형태이다. 플래시메모리는 다양한 새로운 입출력장치와 저장장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최근 USB,
MP3,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컴퓨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통대, 컴공, 컴활, 워드 등 대비 컴퓨터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6. 소프트웨어와 정보 시스템 (0) | 2022.06.18 |
---|---|
방통대, 컴공, 컴활, 워드 등 대비 컴퓨터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5. 보조기억장치와 데이터 저장 (0) | 2022.06.17 |
방통대, 컴공, 컴활, 워드 등 대비 컴퓨터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4. 컴퓨터의 입출력 (0) | 2022.06.17 |
방통대, 컴공, 컴활, 워드 등 대비 컴퓨터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2. 컴퓨터와 통신 산업의 발전 (0) | 2022.06.16 |
방통대, 컴공, 컴활, 워드 등 대비 컴퓨터의 이해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 정보사회와 컴퓨터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