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산업독성과 산업위생과의 관계
1. 산업위생은 작업장에서 근로자에게 건강상의 장해를 초
래할 수 있는 작업환경요인과 스트레스를 인지․예측․평가하
고 관리하는 과학과 기술이다. 그러므로 산업위생활동에서
독성학․산업의학․역학․공학 등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
한 그에 따라서 근로자 건강보호를 위한 활동은 시스템 과
정으로 여러 활동 및 학문이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2. 산업위생활동에서는 위해성 평가에 따라 유해요인을 관
리한다. 위해성 평가는 ① 유해인자가 가지고 있는 독성, ②
시간적 빈도와 기간, ③ 공간적 분포, ④ 노출대상의 특성,
⑤ 조직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해인자가 가지고 있는 위
험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라 유해요인을 관리한다. 즉, 유해요인을 예측하고 인지하
는 것은 평가의 첫째 단계이고 이러한 우선순위에 따라 측
정하고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둘째 단계이
다.
3. 근로자는 호흡기계․소화기계․피부 등을 통해서 화학적 인
자에 노출된다. 이러한 경로를 모두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호흡기를 통해서 노출되는 것을 추정하는 방법인
산업위생에서 전통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이 방법은 근로자
호흡기 30㎝ 근처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개인시료라고 한다.
화학적 인자에 대한 노출은 추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생물
학적 모니터링이다. 이것은 생물학적 변수(소변․혈액․조직
등)를 이용하여 노출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각 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로자에 대한 화학적
인자의 노출 정도를 추정할 때는 각각의 방법이 가지고 있
는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절히 병행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 생각해보기
▪DDT, 기적의 살충제일까?
- 1940년대 기적의 살충제로 각광받은 DDT
- 생태계와 인간에게 치명적인 DDT
- 저개발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DDT
<예상문제>
1.다음 중 유해인자의 관리대책 중 유해물질이 취급되는 근원에
서 관리하는 대책이 아닌 것은?
① 대치 ② 격리 ③ 제거 ④ 공정변경
정답 : 2
격리(isolation)는 공기 중으로 발생하는 화학물질에 근로자가 노출되
지 않도록 격리시키는 것이다. 즉, 유해인자를 관리하는 방법은 아니다.
2.다음은 산업위생의 정의이다. 틀린 것은?
① 근로자와 일반대중에 대한 건강장해를 예방한다.
② 유해요인을 인지/예측/평가하는 학문이다.
③ 직업병을 판정하는 분야도 포함된다.
④ 작업환경측정과 산업환기는 산업위생의 중요한 분야이다.
정답 : 3
산업위생은 근로자에게 건강상의 장해를 줄 수 있는 유해요인을 예측
/인지/평가/관리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에는 독성학, 공학, 산업위
생 등이 관련되어 있다. 모두가 건강상의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
는 예방활동이다. 따라서 직업병을 판정하는 활동은 산업의학에 해당
되는 건강검진이다.
3.다음은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점을 열거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호흡기계나 눈에 자극을 주는 물질들도 효율적으로 모니터
링할 수 있다.
② 건강상의 악영향을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③ 노출된 유해물질에 대한 종합적인(호흡기계, 피부, 소화기계
등)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④ 인체에 흡수된 내재용량이나 중요한 조직부위에 영향을 미
치는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답 : 1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건강상의 악영향을 보다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실제
유해인자가 인체 내로 흡수되어 생물학적 변수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2) 노출된 유해인자에 대한 종합적인(호흡기계, 피부, 소화기계 등) 흡
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모든 흡수 정도가 생물학적 변수로 나타
나기 때문이다.
(3) 인체에 흡수된 내재용량(인체 내에 있는 양)이나 중요한 조직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양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4) 호흡기계나 눈에 자극을 주는 물질들은 반감기가 매우 짧아 생물학
적 변수에 의해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은
개인시료에 의한 측정에 의해서만 모니터링할 수 있다..
4.다음은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피부와 소화기계에 의한 흡수도 평가할 수 있다.
② 근로자의 혈액, 소변 등을 채취하므로 공기 중에서 농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간단하다.
③ 반감기가 긴 물질의 시료채취 시기는 특별히 중요하지 않다.
④ 근로자의 혈액, 소변에서 물질의 대사산물이나 유해물질 자
체를 측정한다.
정답 : 2
근로자의 혈액, 소변 등을 채취하므로 공기 중에서 농도를 측정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분석도 어렵다. 왜냐하면 생물학적 시료는 그
특성이 쉽게 변하고 구성성분이 고분자물질이기 때문이다. 그에 비하
면 공기 중 시료는 근로자에게 공격적이지 않고 채취가 비교적 간단
하다.
5.유해요인에 대한 위해성 평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유해요인에 대한 노출 정도
② 유해요인이 가지고 있는 독성
③ 근로자가 취급하는 정도
④ 근로자의 작업방법
정답 : 4
해설 : 유해요인에 대한 노출 정도는 공간적 분포이고, 유해요인이 가지
고 있는 독성, 근로자가 취급하는 정도는 시간적 빈도에 해당되어 모
두 위험성 평가항목이다. 근로자의 작업방법은 근로자 개인의 작업특
성에 따라 위해성은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을 정량화하여 위해
성을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산업독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 안전,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산업독성학 요약 정리 11. 직업역학2 (3) | 2022.08.25 |
---|---|
환경, 안전,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산업독성학 요약 정리 10. 직업역학1 (1) | 2022.08.25 |
환경, 안전,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산업독성학 요약 정리 8. 중금속의 독성 (2) | 2022.08.24 |
환경, 안전,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산업독성학 요약 정리 7. 유기용제의 특성 (2) | 2022.08.23 |
환경, 안전, 산업위생관리기사 등 산업독성학 요약 정리 6. 면역독성 (4)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