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 장 자연 변형의 역사
▣ 자연 변형
〇 개념
인간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자연으로부터 자원을 얻고 자연에 삶터를 형성하면서
자연고유의 형태, 구조, 질료, 생태학적 혹은 생리적 과정을 변형시키는 것
〇 자연과 문화
- 기원 전 약 6000년 경 농경 시작 ; 신석기 혁명 (고든 차일드)
- 세계는 비유전적 학습과 발견, 발명, 축적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소되고 변동되는데
인간이 나름대로 형성한 세계. 비유전적 과정을 거치는 세계를 문화라 부름
- 가족은 노동력을 충당하는 기본단위가 되며, 여러 가족들이 형성한 친족집단은
생업의 중요한 일이 있을 때 품앗이 등의 노동력 교환이나 협동조직을 충당해 주는
중요한 사회단위가 됨
▣ 도구와 기술
〇 도구는 사람이 자기 신체의 연장으로서
자신과 외부의 자연환경 사이를 매개시키는 인위적 수단임
〇 도구와 기술은 농경과 사육을 시작하면서 이전 단계들에 비해
도구와 기술변동의 속도, 정도가 현저하게 달라졌으며,
산업혁명 이후부터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보였음
〇 신석기유적(함북 경흥 서포항)
- 기경도구 (땅 가는 도구) ; 돌보습, 돌괭이, 뿔괭이
- 조리용 도구 ; 갈판, 갈돌
〇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신선기 중기 유적
돌보습, 돌낫, 갈돌
* 돌보습 - 경작을 위해 땅을 파거나 알뿌리 캐는데 쓰이는 도구
〇 청동기시대
- 기경 도구 ; 돌보습, 돌도끼, 돌괭이, 곰배괭이
- 수확 도구 ; 돌낫, 반월형 석도 (신석기 후기부터 사용)
- 조리용 도구; 갈돌
〇 기원전 3~4세기부터 철기 보급
- 따비는 철제 날을 끼운 갈이용 도구로 한사람이 들고 땅을 갈게 되어 있는데
주걱형, 코끼리 이빨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 학계에서는 따비가 훗날 소가 끄는 쟁기형태로 발전하는 원시형으로 인정
- 철기시대는 따비가 점차 쟁기로 발전해 간 시기임
〇 우경
- 철기쟁기와 함께 우경 보급 (신라 지증왕 정책적 장려)
▣ 자연과 인간의 관계
〇 곡물출토
- 탄화 곡물 ;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신석기 유적에서
피 혹은 조로 보이는 탄화 곡물 출토
- 탄화 조 ; 평양 남경 신석기 후기 유적에서 탄화 조 출토
- 탄화 미 ; 경기도 여주 흔암리 청동기 유적에서 출도
(길이와 폭의 비례가 1.68인 단립형)
〇 농서
- 강희맹의 금양잡록(15세기 말) ; 품종의 차원에서 80여종에 이르는 작물 언급
(벼가 27개 품종으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
- 서유구의 임원경제지((19세기) ; 70종에 가까운 벼 품종기록
작부체계(농법)와 비배
〇 휴한법
- 우리나라에서의 오랜 기간 동안의 토지이용 방식
- 한번 농사지은 토지를 일정기간 묵혀두어 지력을 회복시킨 다음
다시 농사를 짓는 방식
※ 세역직파법
1년 농사짓고 1년을 거르는 농사법
〇 연작법
- 고려 말, 조선 초에 도입된 계속 이어서 농사를 짓는 법
- 인간이 별도로 유기물을 확보하여 토지에 투여하여 토지를 재구성하는 방법
〇 이앙법
- 조선 후기에 널리 확산
▣ 유기농업의 등장과 전개과정
- 우리나라 유기농업은 1976년 기독교단체인 정농회가 발족하면서 시작
- 정농회의 첫 유기농업은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풀무원에서 실행
- 관련단체 ;
한국유기농업환경연구회, 한 살림, 광록회, 생활협동조합중앙회,
한국카톨릭농민회, 여성민우회
- 유기농업은 수입개방에 대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
정부나 농민단체로부터 인정
- 유기농업은 중. 소농의 노동집약적 관리방식에 적합하며
특히 생태계의 종 다양성의 원리에 입각한 다품목소량재배에 적합성을 갖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작규모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농업방식으로 인정
- 유기농업은 전통농업이 아니라 현대농업의 일부임
- 유기농업실천가들은 토지를 단지 물리적 대상이 아니라
신체와 마찬가지로 어떤 생명의 실체를 지닌 유기체로 인식하고 있음
'농업농촌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3. 전통사회와 현대 개방국면 속 농업의 정체성 (1) | 2022.10.27 |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2. 농업에 담긴 자연관과 생태학적 신념 (7) | 2022.10.26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0. 농촌정보화와 전자상거래, 농촌관광 (2) | 2022.10.25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9. 농업교육 (0) | 2022.10.25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8. 농촌의 조직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