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의 이해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1. 자연 변형의 역사

롤라❤️ 2022. 10. 26. 08:08
반응형

제 11 장 자연 변형의 역사


▣ 자연 변형
개념
인간이 자신의 생존을 위해 자연으로부터 자원을 얻고 자연에 삶터를 형성하면서
자연고유의 형태, 구조, 질료, 생태학적 혹은 생리적 과정을 변형시키는 것
자연과 문화
- 기원 전 약 6000년 경 농경 시작 ; 신석기 혁명 (고든 차일드)
- 세계는 비유전적 학습과 발견, 발명, 축적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소되고 변동되는데
인간이 나름대로 형성한 세계. 비유전적 과정을 거치는 세계를 문화라 부름
- 가족은 노동력을 충당하는 기본단위가 되며, 여러 가족들이 형성한 친족집단은
생업의 중요한 일이 있을 때 품앗이 등의 노동력 교환이나 협동조직을 충당해 주는
중요한 사회단위가 됨

▣ 도구와 기술
도구는 사람이 자기 신체의 연장으로서
자신과 외부의 자연환경 사이를 매개시키는 인위적 수단임

도구와 기술은 농경과 사육을 시작하면서 이전 단계들에 비해
도구와 기술변동의 속도, 정도가 현저하게 달라졌으며,
산업혁명 이후부터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보였음
신석기유적(함북 경흥 서포항)
- 기경도구 (땅 가는 도구) ; 돌보습, 돌괭이, 뿔괭이
- 조리용 도구 ; 갈판, 갈돌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신선기 중기 유적
돌보습, 돌낫, 갈돌
* 돌보습 - 경작을 위해 땅을 파거나 알뿌리 캐는데 쓰이는 도구
청동기시대
- 기경 도구 ; 돌보습, 돌도끼, 돌괭이, 곰배괭이
- 수확 도구 ; 돌낫, 반월형 석도 (신석기 후기부터 사용)
- 조리용 도구; 갈돌
기원전 3~4세기부터 철기 보급
- 따비는 철제 날을 끼운 갈이용 도구로 한사람이 들고 땅을 갈게 되어 있는데
주걱형, 코끼리 이빨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음
- 학계에서는 따비가 훗날 소가 끄는 쟁기형태로 발전하는 원시형으로 인정
- 철기시대는 따비가 점차 쟁기로 발전해 간 시기임
우경
- 철기쟁기와 함께 우경 보급 (신라 지증왕 정책적 장려)

▣ 자연과 인간의 관계
곡물출토
- 탄화 곡물 ;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신석기 유적에서
피 혹은 조로 보이는 탄화 곡물 출토
- 탄화 조 ; 평양 남경 신석기 후기 유적에서 탄화 조 출토
- 탄화 미 ; 경기도 여주 흔암리 청동기 유적에서 출도
(길이와 폭의 비례가 1.68인 단립형)
농서
- 강희맹의 금양잡록(15세기 말) ; 품종의 차원에서 80여종에 이르는 작물 언급
(벼가 27개 품종으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
- 서유구의 임원경제지((19세기) ; 70종에 가까운 벼 품종기록
작부체계(농법)와 비배
휴한법
- 우리나라에서의 오랜 기간 동안의 토지이용 방식
- 한번 농사지은 토지를 일정기간 묵혀두어 지력을 회복시킨 다음
다시 농사를 짓는 방식

※ 세역직파법
1년 농사짓고 1년을 거르는 농사법
연작법
- 고려 말, 조선 초에 도입된 계속 이어서 농사를 짓는 법
- 인간이 별도로 유기물을 확보하여 토지에 투여하여 토지를 재구성하는 방법
이앙법
- 조선 후기에 널리 확산

▣ 유기농업의 등장과 전개과정
-
우리나라 유기농업은 1976년 기독교단체인 정농회가 발족하면서 시작
- 정농회의 첫 유기농업은 경기도 양주군에 있는 풀무원에서 실행
- 관련단체 ;
한국유기농업환경연구회, 한 살림, 광록회, 생활협동조합중앙회,
한국카톨릭농민회, 여성민우회
- 유기농업은 수입개방에 대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
정부나 농민단체로부터 인정
- 유기농업은 중. 소농의 노동집약적 관리방식에 적합하며
특히 생태계의 종 다양성의 원리에 입각한 다품목소량재배에 적합성을 갖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작규모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농업방식으로 인정
- 유기농업은 전통농업이 아니라 현대농업의 일부임
- 유기농업실천가들은 토지를 단지 물리적 대상이 아니라
신체와 마찬가지로 어떤 생명의 실체를 지닌 유기체로 인식하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