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장. 전통사회와 현대 개방국면 속 농업의 정체성
▣ 전통사회 농민과 농업의 정체성
〇 농본주의 ; 농업이 국가와 사회의 기본적 활동이라는 의미
〇 진농서 ; 조선후기 사족들이 농서를 지어 국왕에게 바치는 관습
〇 짚
농경에서의 짚은 씨앗을 보존하고 새 생명을 키워내는 한편
제왕맞이에서의 짚은 생식력을 받는 여성의 몸을 받쳐주고 생식력을 보호
※ 씨오쟁이 ; 씨앗 저장도구
※ 제왕맞이 ; 아이를 갖게 해달라는 기원의례
〇 두레
농번기에 대규모의 인력이 필요한 경우에 결성되는 행사인데
지연관계가 농가들의 참여를 의무화하는 근거가 되었음
〇 촌락공동체 의례
- 촌락공동체 의례로서 대표적인 행사가 당제임
- 정월초하루부터 섣달까지 일년 동안 행해지는 의례와 풍속들 중
상당수가 촌락공동체 의례이고 이들은 절기와 아울러 농사력을 따라 배열
- 촌락공동체 의례와 놀이에서는 집합적인 신격의 성관계와 생식을 통해
촌락 주민들의 풍요가 도모되어 왔음
▣ 농본주의 담론과 문화유산
〇 사직 ; 사는 토지의 신, 직은 곡식의 신
〇 권농정구농서윤음
조선후기 정조 국왕이 전국의 지식인에게 농업문제의 방안을 구하였고
이에 응하여 많은 지식인들이 농서와 농정서를 올렸음
▣ 개방국면에 대한 저항문화
〇 쌀은 민족의 생명줄
쌀이 생존의 핵심수단이라는 의미와 함께
쌀이야말로 우리민족으로 하여금 이 세상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생명의 근원이며 통로라는 의미를 가짐
〇 쌀 및 벼농사의 비교역적 기능 (NTC)
쌀 개방의 시장경제적, 상품경제적 합리성 논리에 맞서는 것으로
당장의 단일한 상품경제적 차원을 넘어 환경보전, 식량안보, 고용유지,
지역의 균형적 개발 등 복합적이고 장기적인 전망을 가진 기능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논리
'농업농촌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5. WTO 및 FTA 협상 동향 (0) | 2022.10.28 |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4. 우루과이라운드(UR)협상과 우리 농업 (5) | 2022.10.27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2. 농업에 담긴 자연관과 생태학적 신념 (7) | 2022.10.26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1. 자연 변형의 역사 (2) | 2022.10.26 |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방통대 대비 농업농촌의 이해 10. 농촌정보화와 전자상거래, 농촌관광 (2) | 2022.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