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증시 테마섹터 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속에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하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하락 테마가 우세. 특히, 밤사이 Fed의 제로금리 장기화 방침 및 파월 의장의 경제 회복 우려 발언 속에 美금융주가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은행, 생명보험/손해보험, 증권 등 국내 금융 관련 테마도 동반 하락. 아울러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동반 하락하는 등 반도체 대표주와 IT 대표주들이 하락했고, #탄소나노튜브, #카지노, #정유, #키오스크,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페인트, #구제역/광우병 수혜, #MLCC, #그래핀, #화폐/금융자동화기기, #수산, #조선기자재, #건설 대표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독일의 수소산업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수소차 테마가 상승했고, 아이폰12 부품 주문량 확대 전망 및 애플 신고가 행진 속에 아이폰 테마도 상승. 테슬라 주가 급등 등에 일부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승했고, 코로나19 2차 유행 우려 속에 일부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개발 등) 테마가 상승. 이 외 유전자 치료제/분석,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구충제(펜벤다졸 등)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가 상승했고,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전자파, #PCB(FPCB 등), #전력저장장치(ESS), #해운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 수소차 -
"독일, 수소산업 투자 확대 소식에 수소차 관련주 강세."
▷언론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10일(현지시간) 기존 수소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개발 계획에 약 70억 유 로(9조4,749억원)를 새로 투입하기로 했으며, 이와 별도로 20억 유로(2조7,071억원)를 국제적인 수소 에너지 개발 협력 사업에 투자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2030년까지 수소 에너지 생산설비를 5GW(기가와트)까지 늘릴 계획임.
▷이와 관련 유진투자증권은 중심국가인 독일의 적극적인 수소산업 성장전략 채택으로 EU 전체가 준비 중인 수소정책도 동일한 스탠스로 확정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에스퓨얼셀, 두산퓨얼셀, 제이엔케이히터, 지엠비코리아 등 수소차 테마가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한편, 제이엔케이히터는 157.2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97%) 규모 수소추출기 공급계약 체결 소식도 호재로 작용.
수소차
수소연료전지전기차(FCEV)는 연료로 활용하는 수소가 공기 중에 있는 산소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비롯한 유해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임. 전기차와 비교해 높은 에너지효율, 빠른 충전시간, 긴 주행거리 등의 장점을 갖고 있음. 최근 국내 자동차업체들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동차업체들도 수소차 개발 행렬에 동참하고 있어 관련 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종목명
일지테크(-4.27%)
디아이티(-3.77%)
S&T모티브(-2.81%)
현대차(-2.69%)
원익머트리얼즈(-2.59%)
코웰패션(-2.54%)
현대모비스(-2.37%)
STX중공업(-2.20%)
디와이(-2.15%)
글로벌에스엠(-1.70%)
- 전기차/2차전지 -
"테슬라 트럭신차 효과로 주가 급등 등에 전기차/2차전지 일부 관련주 상승."
▷지난밤 나스닥지수가 종가기준 10,0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한 가운데,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8.97% 급등하며 사상 첫 1,000달러대에 진입했음.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기 트레일러 트럭 세미가 현 재 개발과 시험운행을 종료하고 양산 준비 단계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중국에서 생산한 모델 3가 지난달 1만1,095대가 팔리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음.
▷ 이 같은 소식에 #상아프론테크, #동화기업, #LG화학, #성창오토텍 등 일부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한편, LG화학은 중국 화학소재 업체 산산과 $11억(약1 조3,000억원) 규모 'LCD 편광판' 사업 매각 조건부 계약을 체결한 점도 연일 긍정적으로 작용.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고, 도로주행 허용과 상용화 추진 등 정부의 정책지원 역시 구체화되고 있어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종목명
한국단자(-4.11%)
코스모신소재(-3.76%)
캠시스(-3.44%)
SK이노베이션(-3.21%)
로스웰(-3.10%)
아진산업(-2.94%)
알파홀딩스(-2.85%)
코디(-2.85%)
S&T모티브(-2.81%)
LS ELECTRIC(-2.80%)
- 아이폰 -
"아이폰12 부품 주문량 확대 전망 및 애플 신고가 행진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애플이 올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12 부품 주문량을 기존대비 +20% 이상 확대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애플이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아이폰 부품 주문량을 크게 늘린 것은 2016년 아이폰7 이후 4년 만 이라고 밝힘. 이에 관련 부품업체인 LG이노텍, 아이티엠반도체, 비에이치 등은 4분기 로 갈수록 실적 개선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
▷한편, 지난밤 나스닥지수가 종가기준 10,0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한 가운데, 애플은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이 같은 분석 속에 LG이노텍, 이녹스첨단소재, 비에이치, 아이티엠반도체 등 일부 아이폰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한편, 프로텍은 한국기계연구원과 반도체 생산성 100배 높이는 갱 본더 장비 개발 소식도 전해지며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와이엠티는 주당 1주 무상증자 결정도 호재로 작용하며 상한가 마감.
아이폰
미국 애플사의 휴대 전화 시리즈로 2007년 첫 출시됐으며, 1년 주기로 신제품을 공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인 아이팟(iPod), 휴대폰, 인터넷 및 이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하며, OS로 iOS라는 독자적인 플랫폼을 사용. 카메라, OLED/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칩셋 및 프로세서(AP), D램, 낸드플래시, 기판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 다양한 부품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업체들이 관련주로 부각. 아이폰 판매량 및 신제품 공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음.
종목명
LG디스플레이(-3.57%)
실리콘웍스(-3.14%)
한솔테크닉스(-2.95%)
SK하이닉스(-2.53%)
하이비젼시스템(-2.44%)
코스나인(-2.14%)
삼성전자(-1.99%)
앤디포스(-1.57%)
넥스턴(-1.54%)
삼성전기(-1.49%)
- 은행/생명보험/손해보험/증권 -
"Fed 제로금 리 장기화 방침 및 파월 의장 경제 회복 우려 발언 속 은행/생명보험/손해보험/증권등 금융주 하락."
▷美 연방준비제도(Fed)가 이틀간의 FOMC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현행 제로금리(0.00~0.25%)로 동결한 가운데, 장기간 제로금리 방침을 밝힘. 이어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경제 회복 에 대한 우려섞인 발언을 내놓았음.
▷파월 의장은 "경제 회복 속도는 코로나19 방역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며, "미국 경제의 회복 속도가 매우 불확실하다"고 지적했 음. 또한, "경제 활동이 재개되기는 했지만 아직 매우 미약한 상태"라며, "완전한 회 복은 사람들이 경제 활동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때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
▷이에 제로금리 정책 장기화와 고용회복 기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는 우려에 지난밤 美 증시에서 뱅크오브아메리카(-5.74%), 웰스파고(-8.95%), AIG(-6.84%) 등 금융주가 일제히 약세를 나타냈음.
▷이 같은 소식 속에 금일 #기업은행, #KB금융 등 은행,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한화생명 등 생명/손해보험,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등 증권 등 국내 금융 관련 테마들이 하락세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