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 식용작물학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농업연구사, 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식용작물학 요약정리 - 11 벼의 이앙재배

롤라❤️ 2020. 12. 5. 09:29
반응형

학습개요

우리나라의  벼  재배양식은  생력화  방향으로  진행하여  손이앙재배에서  기계이앙재배와  직파재로  바뀌었다.  기계이앙은  중간모  또는  어린모를  사용하며,  중간모는  실내에서  싹을  틔운  육묘상자를  비닐피복못자리,  부
직포못자리,  마른못자리  등으로  옮겨  육묘한다.  기계이앙의  재식방법과 시비방법은  지대와  재배형에  따라  다르고,  생육과정에  따라  물관리가  다르다.  헛새끼칠때는  중간물떼기를  하여  뿌리에  산소를  공급해  주고  이삭
이  완전히  팬  후  30~40일  경에는  완전물떼기를  한다.


■  학습목표
1   우리나라  벼  재배양식의  변천을  설명할  수  있다.
2   손이앙재배와  기계이앙재배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3   기계이앙중간모와  어린모의  모소질을  비교할  수  있다.
4   기계이앙재배의  비료주기를  설명할  수  있다.
5   기계이앙재배의  물관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주요용어
건모
: 이앙하기에  알맞고  이앙  후  착근이  빠른  튼튼한  모를  말한다.
중간물떼기
: 참새끼치기  종지기가  지나  최고새끼치기때를  중심으로 즉,  출수  전  45~35일  경에  약  1주일간  물떼기를  하여 
논바닥을  실금이  생기고  발자국이  날  정도로  말리는 것.  중간물떼기를  통해  질소의  흡수를  억제시켜  헛새끼
치기를  방지하고  토양  중에  용해된  유해물질을  배수를 통해  배제한다.
조식재배
: 중,만생종인  다수성  품종을  일찍  파종,  일찍  이앙(5월상․중순)하여  영양생장기간을  연장해  줌으로써  수량구성
요소  중  특히  단위면적당  이삭수를  확보하여  다수확을  꾀하는 재배법.


목차
1. 벼 재배양식의 변천
2. 모 기르기
3. 본논 준비
4. 모내기
5. 물 관리와 웃거름 주기


1. 벼 재배양식의 변천

1) 벼의 재배양식

 

 

손이앙
 못자리에서 모를 쪄 작은 다발로 묶어 본논으로 운반한 후 못줄에 맞추어 손가락으로 2~3개체를
3cm 깊이로 심는다.
 소요시간 : 22~25hr/10a

기계이앙
 육묘상자를 이앙기계 위에 올려 모내기
 모심는 깊이 : 2~3 cm
 소요시간 : 2~4hr/10a

직파재배
 논에 물을 얕게 대고 트랙터 부착 골뿌림 파종기를 이용하여 3~4cm 깊이의 골을 만들면서
동시에 볍씨 파종 (무논골뿌림)
 출아 후 물을 대면 파종 골이 메워져 파종 후 20~30일에 벼줄기가 1.5~2.0cm 깊이로
묻혀 쓰러짐견딜성 향상

 

재배기간 중 총 노동시간 비교
재배양식별 재배면적 비교

 

 직파재배가 적은 이유?
입모가 불안하고, 잡초방제가 어렵고, 벼가 쓰러지기 쉽다.

2. 모기르기

1)재배양식별 모소질

 

기계이앙모와 손이앙모의 모소질

 

 모소질 :
모가 가지고 있는 성질로, 모소질은 모의 초장과 잎 수, 지상부 건물중으로 평가한다.

2) 건모육성

건모(건강한 모)
 모생육이 균일해야 한다.
 모소질이 모내기 작업에 알맞아야 한다.
 모가 병해충에 침해되지 않아야 한다.
 모의 생리적 활성이 높아 모낸 후 뿌리내림과 새끼치기가 잘 되야 한다.

모의 생리적 활성 측정방법
 C/N율 조사 : 
• C/N율 > 1 : 모낸 후 몸살이 적고 관수 저항성이 크다.
• C/N율 < 1 : 뿌리 내림과 새끼치기가 잘된다.
※ 밭못자리 모는 질소와 녹말 함량이 동시에 높아 C/N율이 1에 가깝다.

손이앙 vs 기계이앙
 기계이앙모가 손이앙모보다 어려 모낸 후의 뿌리내림 한계온도가 1~2℃ 낮다. 
 통일형 품종은 뿌리내림 한계온도가 일반형 품종보다 약 2℃ 높으므로 지나친 조식은 냉해를 받기 쉽다.
 기계이앙모는 모가 얕게 심어져서 새끼칠마디가 낮아 참이삭수의 확보가 유리하다.
 직파재배와 어린모는 둘째 마디, 중간모는 셋째 마디, 손이앙모는 다섯째 마디에서 첫새끼치기가 이루어진다.
 기계이앙재배한 벼가 새끼친줄기가 더 많다.
 최고새끼치기때(최고분얼기)가 손이앙재배보다 5~7일 지연된다.
 영양생장 기간이 길어진다.
 기계이앙재배의 출수기(이삭팰때)가 손이앙재배보다 3~7일 늦다.
 어린모가 중간모보다 더 지연되므로 어린 모는 남부 1모작지대에서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다.
 기계이앙재배와 손이앙재배의 벼 생산성은 동일하다.
 기계이앙재배는 여뭄비율과 1,000립중이 낮으나, 단위면적당 이삭꽃(영화) 수가 많다.

3) 기계이앙모의 육묘과정

상자육묘
 모판흙(pH 4.5~5.5 정도의 산흙 또는 논흙)에 비료 3요소와 살균제(라도밀 입제, 다찌란 분제, 
다찌가렌 분제 등) 처리
 볍씨고르기, 볍씨소독, 볍씨담그기(침종), 싹틔우기(최아)를 하여 싹이 1mm인 볍씨를 파종

 

파종량과 모판흙량
못자리 종류

 

부직포 못자리

 부직포 : 흰색 혹은 검정색의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0.1~0.2mm 두께로 미세한 구멍이 있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제작된 천
 부직포를 덮은 육묘상자에서 모가 자라며, 4엽기 때 벗겨준다.

비닐피복 못자리

 육모상자의 모판흙 표면까지 수분이 올라오도록 한다.
 육묘상자를 못자리에 옮긴 후 할죽을 세우고 비닐을 씌운다.
 3엽기에 비닐에 구멍을 내어 통풍을 좋게 하며, 4~5엽기에 비닐을 제거한다.
 물은 모판 밑바닥 2~3cm를 유지하다 모내기 5~7일 전에는 물떼기를 한다.

마른못자리

 마른 논에 육묘상자를 놓고 2~3mm 정도 싹이 튼 볍씨를 손으로 파종하거나, 실내에서 싹을
키운 육묘상자를 옮겨놓은 후 할죽을 꼽고 비닐을 덮는다.
 마른 못자리는 배수가 잘되는 논에 설치하며, 물 사정이 나쁜 논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못자리 종류

 

싹키우기(출아촉진)
 주/야 32/30℃ 암흑조건에서 2일간 실시
 어린 싹이 5~10mm 자라면 푸른싹 만들기 실시

푸른싹만들기(녹화)
 본엽의 발생을 촉진
 주/야 각각 25/20℃ 야광조건에서 1~2일간 실시
⇒ 초엽으로부터 1, 2엽의 녹색잎 출현
※ 푸른싹을 만들 때 강한 볕과 주/야간의 심한 일교차는 백화모의 원인이 된다.

모 굳히기(경화)
 처음 8 일 동안( 모굳히기 전기) 은 주/야 20/15℃가 알맞고, 
그 후 20~25일간(후기)은 주간 15~20℃ 와 밤 10~15℃ 가 적당
※ 높은 습도와 심한 온도변화는 입고병과 뜬모가 발생하기 쉽다.

 

 

다단식 육묘선반 어린묘

 어린모 기르기는 싹키우기를 한 다음 육묘상자를 다단식 선반 위에 올려 모를 기른다.
 비닐하우스 내에 백색 부직포로 볕가림(차광)을 하면 모 생육이 좋고 잘록병도 예방할 수 있다.
 1일 2회 정도 물을 뿌려 준다.
 어린모는 8~10일 동안 좁은 공간에서 모를 기르기 때문에 자동화육묘시설을 이용 대량 생산 가능
 모내기할 때 배유양분이 30~50% 정도 남아 있어
중간모에 비해 초기 생육이 좋다.
 중간모보다 잎수가 적어 출수기가 3~5일 지연된다.


3. 본논 준비

1) 경운과정지

논 갈이와 논고르기

 논갈이를 하여 밑걸음을 주고 논고르기 하는 것
 논갈이는 모내기 전 약 10일 쯤 시작하고 모내기 전 3~5일 경 밑거름을 주고 논고르기를 한다.
 논갈이와 논고르기는 논토양을 좋게 하고 모내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해준다.


논 갈이 방법의 변천

 

 

심경다비

 축력을 이용한 논갈이 : 8~10cm / 경운기나 트랙터 : 15cm 이상
 논 깊이갈이(심경)는 벼 뿌리의 생리적 기능을 높이고 오래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쓰러짐견딜성(내도복성)이 커지고 벼수량이 증가한다.
∴  벼 다수확을 위해 심경다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논 고르기 작업

 

 

논고르기 (정지, 논써리기)

 써레질 : 축력을 이용한 논고르기
 어린모 기계이앙 : 중간모보다 어리므로 레이저균평기를 사용하여 논바닥을 평평하게 써레질하는 것이 중요
 논바닥이 고르지 않으면 심은 모가 물 속에 잠기거나 이앙기계 식부침이 바로 꼽히지 않아 모가 물위에 뜨게 된다.


2) 밑거름주기

 

지대 및 논의 종류에 따른 시비 기준량
밑거름 웃거름 비율 기준표

 

밑거름

 단일 성분 비료보다 복합비료가 더 유용하며, 완효성 복합비료가 좋다.
 완효성 비료: 비료성분이 전생육 기간동안 서서히 용출되는 비료로 이용율이 60%로 높다.
 보통 비료의 이용율은 질소 30~40%, 인산 10~20%, 칼리 40~45% 이다.
∴  완효성 복합비료는 기준량보다 20~30% 줄여서 시용한다.


밑거름 주는 작업

 

 

밑거름

 전층시비 : 논토양의 환원층에 비료를 시용하여 잘 섞어주는 것
 측조시비이앙기를 이용 완효성 비료를 시비하면 모내기와 동시에 3요소를 전량 밑거름으로 줄 수 있어 노력절감 효과가 크다.
 논의 유기물 함량이 2.5% 이하인 논은 퇴비를 10a 당 1~2톤 시용한다.


4. 모내기

1) 모내기와 안전출수기

안전출수기

 출수 후 40일간의 일평균 기온이 22.5℃ 되는 때부터 거꾸로 계산한다.
 이 때 22.5℃를 안전여뭄적온이라고 하며, 이는 가을의 저온 등 기상재해를 감안하여 여뭄기간 동안의
최적온도(20~22℃)를 약간 높게 한 것이다.

모내기적기

 안전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를 거꾸로 계산하여 산출한다.
• 조생종 : 1700℃
• 중생종 : 1900℃
• 중·만생종 : 2100℃

 

지대별 품종군에 따른 기계이앙 적기

 

2)심음배기(재식밀도)

 

지대와 재배형에 따른 심음배기 기준

 

5. 물거름과 웃거름 주기

1. 벼의 생육과 논물

 

벼 생육과정에 따른 물관리

 

2) 웃거름 종류

벼재배와 거름 주기

 보통논의 경우 질소는 밑거름으로 50%를 주고 나머지 50%는 웃거름으로 시비한다.
 웃거름 : 새끼칠거름, 이삭거름, 알거름 (20:20:10)
 질소비료의 알거름은 완전립율을 떨어뜨려 최근에는 이삭거름 시비때 알거름도 함께 시비한다.
 새끼칠거름은 모낸 후 12~14일 쯤에 주고, 이삭거름은 출수 전 25일 경 시비한다.
 인산은 전량 밑거름으로 시비하고, 칼리는 밑거름과 이삭거름을 70:30으로 분시한다.


연습문제

1.  기계이앙재배의  물관리에  대해  설명하라.
정답  :  벼의  생리생태에  알맞은  관개수량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르다.  물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는  이삭밸때이고,  다음은  모낸  직후  뿌리내릴때와  이
삭꽃생길때이며,  그  다음이  출수개화기이다.  참새끼칠때와  여뭄때는  물이  적
어야  좋고,  헛새끼칠때는  물이  필요없다.
2.  기계이앙재배에서  중간물떼기가  필요한  시기는?
①  헛새끼칠  때 ②  참새끼칠  때 ③  이삭팰  때 ④  여뭄때
정답  :  ①
해설  :  중간물떼기는  출수  전  40~30일에  5~10일간  논바닥이  갈라질  정도
로  물을  빼  헛새끼치기를  억제한다.
3.  기계이앙모의  육묘과정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①  푸른싹만들기  →  싹키우기  →  싹틔우기  →  모굳히기
②  푸른싹만들기  →  싹틔우기  →  싹키우기  →  모굳히기
③  싹키우기  →  삭틔우기  →  푸른싹만들기  →  모굳히기
④  싹틔우기  →  싹키우기  →  푸른싹만들기  →  모굳히기
정답  :  ④
해설  :  기계이앙모는  싹틔우기(최아)와  싹키우기(출아촉진),  푸른싹만들기(녹
화)  그리고  모굳히기(경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4.  생육과정에서  관개수량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는?
①  이삭밸  때 ②  이삭꽃생길  때 ③  출수개화기     ④  참새끼칠때
정답  :  ④
해설  :  벼는  이삭밸때  가장  많은  물을  필요로  하며  전체  관개수량의  23%를 
차지한다.
5.  기계이앙에  적당한  어린모의  모소질은?
①  모키  3~5cm,  잎  1.0~2.0매(묘령),  뿌리  3~4개
②  모키  5~7cm,  잎  1.0~2.0매(묘령),  뿌리  4~5개
③  모키  8~10cm,  잎  1.5~2.0매(묘령),  뿌리  5~6개
④  모키  10~12cm,  잎  3.0~4.0매(묘령),  뿌리  7~8개
정답  :  ③
해설  :  어린모는  볍씨에  배유양분이  30~50%  남아  있는  상태가  좋다.  기계
이앙에  적당한  어린모의  잎수는  2.5~3.0,  묘령  1.5~2.0이다.


■요약정리

1.  우리나라의  벼  재배양식은  기계이앙재배가  90%  이상이고  직파재배는 10%  미만이며,  기계이앙은  중간모와  어린모를  이용한다.
2.  기계이앙재배의  모내는  적기는  안전출수기를  고려하며,  어린모는  중간모 보다  5일정도  일찍  모내기  한다.
3.  기계이앙의  심음배기는  지대와  재배형에  따라  다르며,  거름주기는  평야지 1모작논의  경우에  질소는  밑거름  50%,  웃거름으로  새끼칠  거름  20%와  이삭거름  30%를  시비한다.   인산은  전량  밑거름으로  주고,  칼리는  밑거름 70%와  이삭거름  30%로  분시한다.
4.  물관리는  모내기때는  얕게  하고,  뿌리내릴  때는  깊게  대며,  헛새끼칠때는 중간물떼기를  하고  여뭄때는  물걸러대기를  한다.
5.  완전물떼는  시기는  출수  후  30~40일이  적당하고,  너무  빠르면  벼  수량 과  쌀  품질이  떨어지고,  반대로  늦을  때는  수확작업이  지연되어  동할미,  즉 금간  쌀이  많이  발생한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