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 식용작물학

농업직 공무원, 농촌지도사, 농업연구사 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 식용작물학 요약정리 - 13 벼의 스트레스와 방제

롤라❤️ 2020. 12. 6. 09:34
반응형

■  학습개요
벼는  생육과정  중에  환경적ㆍ생물적  스트레스를  받아  생육이  저해되고 수량이  떨어지며  쌀품질이  나빠진다.  우리나라에서  벼의  환경적  스트레스는  주로  냉해와  한해  및  풍수해  등  기상요인에  의한  것이다.  생물적 
스트레스는  10여  종의  병해충과  20~30종의  잡초  등이  주된  요인이다.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한  벼의  스트레스  종류와  세기는  벼  생육과정에  따라  다르다.  우리나라  벼의  병ㆍ해충ㆍ잡초는  재배양식이  변화하고  품종이  다양해짐에  따라  발생양상이  복잡해지고  있다.  생물적  스트레스는  주
로  약제방제를  통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  학습목표
1   벼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생물적 스트레스를 분류할 수 있다.
2   지연형  냉해와  장해형  냉해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3   벼의  냉해  및  한해  대책을  설명할  수  있다.
4   벼의  주요  병해충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5   우리나라  논의  우점  잡초를 열거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주요용어

- 지연형  냉해 (delayed-type cold  damage)
: 영양생장기에  저온의  내습으로  인한  활착지연,  생육지연,  새끼치기지연  등으로  이삭수와  단위면적당  이삭꽃
수가  감소하며,  특히  출수기의  지연으로  등숙기간이  저온에  처하게  됨으로써  등숙이  크게  떨어지고  청미가  많
이  발생하는  등  수량감소가  현저한  냉해형을  말한다.
- 장해형  냉해(sterile-type  cold damage)
: 영양생장기에는  기상이  양호했으나  생식생장기  특히  감수분열기  또는  출수개화기에  일시적으로  저온이  내습
하여  화분모세포가  장해를  받거나  약이  열리지  않거나, 화분이  비산하지  못하거나,  화분관이  신장하지  않는  등 
수분  및  수정이  저해되어  불임을  일으키는  냉해.
- 관수
: 생육  중에  있는  벼가  홍수로  인해  벼잎  끝까지  물에 잠긴  상태.
- 침수   
: 벼잎  끝이  물에  잠기지  않은  상태.

■ 목차
1. 벼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방제
2. 벼의 생물적 스트레스와 방제

1. 벼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방제 

1)  냉해(cool weather damage)

* 벼스트레스의 종류

-환경적 스트레스 (environmental stress; 
비생물적 스트레스(abiotic stress))
 온도ㆍ수분ㆍ바람ㆍ토양ㆍ약제ㆍ대기오염물질

-생물적 스트레스 (biotic stress)
 병ㆍ해충ㆍ잡초

* 냉해

 벼의 냉해는 생육기간 중 기온 또는 수온이 적온보다 낮아서 벼가 피해를 입는 현상
• 발아 및 출아(싹나기) 불량, 뿌리내림 불량, 새끼치기억제, 생육 및 출수 지연, 이삭의 추출불량 및
쭉정이(불임) 유발, 여뭄장해 및 품질저하 등

 

벼 생육과정에 따른 생육적온과 저온 장해 한계온도 및 냉해양상

 

 냉해 이삭
• 배동받이때(유수형성기) 냉해를 입어 이삭꽃이
자라지 못하는 이삭
 내냉성(찬기견딜성)
• 벼가 저온에 견디는 힘  

 

 

 

 

 

찬기견딜성(내냉성) 검증

 

* 벼냉해의 종류

-지연형 냉해
영양생장기의 저온에 의해 출수기가 지연되어 여뭄이 불량하여 수량이 감소한다.
-장해형 냉해
이삭밸때와 출수기 때의 저온으로 인해 수분, 수정장해가 일어남으로써 불임률이 높아 수량이 감소한다. 
-혼합형 냉해
장기간 저온으로 지연형과 장해형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지연형 냉해의 발생경과 및 수량감소 요인
장해형 냉해의 발생경과 및 수량감소 요인

 

장해형 냉해의 발생경과 및 수량감소 요인

 장해형 냉해 발생
• 꽃밥(약)의 단백질 감소
• 호흡활성 감소
• 타페트세포(tapetal cell)의 이상비대

벼 냉해 방제
 냉해 상습지역은 내냉성이 강한 조생종 또는 중생종으로 2~3개 품종을 재배하여 위험을 분산시킨다.
 규산질 및 유기질 비료를 주어 벼를 튼튼하게 한다.
 냉해발생이 예상될 때는 질소 시용량을 줄인다.
• 장해형 냉해 – 이삭거름 생략
• 지연형 냉해 – 알거름 생략
 인과 칼리는 20~30% 추가 시용한다.

 이삭밸때는 논물을 15~20cm로 깊게 대고, 찬물을 대는 논은 비닐 튜브 혹은 돌림도랑을 설치하여 관수온도를
높여 준다.
 출수기의 저온으로 이삭이 늦게 패는 논은 다찌가렌*을 엽면시비한다.
• 다찌가렌 – 뿌리의 활력을 높이고 잎의 노화를 지연시켜 여뭄이 좋아진다.

2) 한해

특징
 벼의 한해는 가뭄(한발) 때 수분부족에 의한 벼의 생육장해를 말하며, 심하면 벼가 시들어 고사한다.
• 이삭밸때(감수분열기) 가뭄견딜성(내한성)이 가장 약하고 피해도 가장 심하며, 다음이 출수개화기, 
배동받이때(유수형성기), 새끼칠때 순이다.

 

가뭄에 의한 한해의 모습
생육과정에 따른 한해 양상 1
생육과정에 따른 한해 양상 2

 

한해의 특징
 가물 때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한해가 커진다.
• 질소로 인해 벼의 생육이 왕성해져 수분소모량이 많아지고 세포의 투수성이 증대되어 탈수되기 쉬우며
뿌리가 깊이 뻗지 못한다.
• 질소의 웃거름은 잎새의 질소농도를 높혀 기공이 크게 열리게 하므로 한해 피해를 입기 쉽다.

벼 한해 대책
 한해가 염려되는 논은 내한성 품종을 마른논 직파재배 한다.
 가물어 늦심기할 때는 웃자란 모를 20cm 정도 잘라내고 모내기 하며, 밀식하고 질소 거름을 적게 시비한다.
 모를 못 낸 논은 7월 중에 대파작물을 파종한다.
• 대파작물(수확시기) :
⁻ 시금치 · 열무 · 얼갈이 배추(9월)
⁻ 메밀 · 팥 · 녹두(10월)
⁻ 가을감자 · 사료작물(11월)

3) 수해

 

침, 관수된 벼
벼 생육과정에 따른 관수피해 양상
벼 생육과정별 침·관수 정도와 수량감소율

 

벼 수해양상 및 대책
 벼의 수해는 맑은 물보다 흐린 물에서 피해가 더 크고, 흐르는 물보다 정체된 물에서 피해가 더 크다.
 물에 잠긴 논은 서둘러 물을 빼야 한다.
 물이 빠질 때 벼 잎과 줄기에 묻은 흙 앙금과 오물을 씻어줘야 한다.
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로 물걸러대기를 해서 뿌리의 활력을 높여 준다.

4) 풍해

 

흰 이삭 피해

 

흰 이삭피해
 벼의 풍해는 출수한 지 1주일 전후로 이삭이 바람에 약할 때 많이 발생한다.
 이삭이 팬 후에 벼가 쓰러지면 광합성과 양분전류가 저해되어 여뭄이 나빠진다. 
⇒ 쭉정이와 싸래기가 많아 수량과 품질이 저하된다.
 쓰러진 벼를 5일 이내에 4~6포기씩 묶어 세워 피해를 줄인다.
 태풍통과 예상지는 물을 깊게 대 흰 이삭 발생과 벼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2. 벼의 생물적 스트레스와 방제

1) 병해

방제가 필요한 식물병(10여종)
 상자육묘 병해 : 키다리병ㆍ모도열병ㆍ모마름병ㆍ모썩음병
 본논 병해(생육저해) : 잎도열병ㆍ잎집무늬마름병ㆍ흰잎마름병ㆍ바이러스병ㆍ깨씨무늬병
 이삭 병해(쌀품질 저하) : 이삭도열병ㆍ세균성 벼알마름병ㆍ이삭누룩병ㆍ벼이삭마름병

* 국가방제 대상 병해 5종

 

 

잎도열병

• 잎새에 갈색 또는 회백색의
병반이 생기는데 심하면 잎새
전체가 갈색으로 변해 피해가
크다.
• 질소를 과다시용하거나
비가 자주오거나 흐린 날씨에
많이 발생한다.

 

 

 

이삭도열병

• 이삭, 이삭가지, 알벼 등에
발생
• 출수 후 10일 동안 가장 많이
발생
• 출수 후 15일 이내에 발생한
이삭도열병은 수량감소율이
약 65%에 이른다.

 

 

잎집무늬마름병

• 7월 중순 이후 고온(30~32℃) 
다습(96% 이상)일 때 구름과
같은 무늬를 만들며 위쪽으로
번져간다.
• 성숙기에 끝잎의 잎집까지
번졌을 때 벼수량이
40 ~50% 감소한다.

 

 

 

깨씨무늬병

• 출수 후 비료분이 부족할 때
잎에 작고 타원형의 암갈색
병반이 무수히 발생
• 병원균이 기동세포의 표피를
직접 뚫거나 기공을 통해 침투

 

 

 

세균성 벼 알마름병

• 출수 후 4~5일 이내에 비가
계속될 때 발생
• 알벼의 표면이 붉은색으로
변하며, 심하면 이삭 전체가
붉게 되고 현미 발육이
정지되어 쭉정이가 된다.

 

* 병해의 피해
 병해에 의한 벼의 수량 감소율: 연평균 13%
 적절한 약제방제를 통해 50~70%까지 병해를 줄일 수 있다.

2) 충해

충해 양상
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은 10여종으로 대부분 잎이나 줄기를 갉아먹는다.
 국가 방제 대상 해충(6종) :
• 비래해충 : 벼멸구, 흰등멸구, 혹명나방
• 월동해충 : 이화병나방, 노린재류, 벼물바구미

* 국가방제 충해대상 6종

 

 

벼물바구미

• 1988년 발견
• 1년에 1회 발생
• 잎맥을 따라 흔적이
남는다.

 

 

벼멸구

• 매년 6~7월 중국대륙으로부터 날라와 2~3세대 발생

 

 

흰등멸구

• 매년 중국에서 날라와 3~4세대 발생
• 한 번 발생마다 피해가 아주 크다.

 

 

이화명나방

• 애벌레가 줄기 속으로 먹어 들어간다.
• 6월 상순과 8월 상·중순의 2회에 걸쳐 발생한다.

 

 

 

 

 

혹명나방

• 유충이 잎새 표피를 갉아 먹어 잎이 흰색으로
변한다.
• 연 3회 발생

 

 

 

먹노린재

• 벼이삭을 가해하여 쌀에
얼룩점이 생김
• 성충이 들판의 낙엽 밑에서
월동

 

 

충해 피해
 해충으로 인한 벼의 수량 감수율 : 연평균 7.5%
 약제방제로 해충피해를 90% 이상 줄일 수 있다.
• 저항성 품종의 재배
• 해충 발생 동향과 예찰 정보에 의한 올바른 농약 선택과 적기 살포
• 전염원 및 월동장소 제거, 지력증진, 시비관리 등 재배환경 개선
• 천적의 보호 및 증식

3) 잡초

잡초 발생현황
 우리나라 논 잡초의 60%가 일년생이고 40%가 다년생이다.
 잡초는 20~50종이 주를 이루며 피와 물달개비 등의 일년생과 올방개 벗풀 등과 같은 다년생이
우점종을 이룬다.

 

논의 주요잡초 종류 들

 

 피
• 직파재배에서 60개/m2의 빈도일 경우 60% 수량 감수
• 이앙재배의 경우 37% 감수

 

 

물달개비

• 일년생 광엽잡초로 벼와 경합이 가장 심하다.
• 한 포기에서 생산되는 종자수가 1000~2000개
수준
∴ 10a의 논에 10포기만으로 200~600포기 발생

 

 

 

 

올방개

• 대부분 덩이줄기로 번식하며 한 개가 수십개의
덩이줄기 생산
• 한 번 형성된 덩이줄기는 5~7년 생존

 

 

 

 

벗풀

• 초장이 벼와 비슷하여 볕쬐임을 방해한다.
• 질소함량이 벼의 2배 정도로 양분탈취가 심함
• 덩이줄기에 의해 번식

 

 

 

* 잡초 방제
 잡초 종류에 맞는 제초제를 적기에 알맞은 양을 살포하며, 어린모 및 직파논은 적용고시 제초제를 사용한다.
 본논에 입제 제초제를 살포한 경우 논물을 3~4cm 깊이로 1주일 이상 유지한다.
 마른논에 직파할 때는 논갈이를 하고 로터리 후 파종하여 잡초발생을 줄인다.
 마른논 직파재배에서 이른 파종의 경우 경엽처리 비선택성제초제와 토양처리 제초제를 함께 살포한다.
 재배양식에 따른 종합적 관리체계를 개발한다.

 

■ 연습문제

1.  벼의  지연형  냉해와  장해형  냉해로  인한  피해증상을  설명하라.
정답  :  지연형  냉해는  영양생장기  저온에  의해  출수기가  지연됨으로써  여뭄
이  불량하여  수량이  감소되는  것을  말한다.  영양생장기  저온은  뿌리내림을 
불량하게  하고  초기생육을  지연시켜  새끼치기를  억제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이삭수를  감소시킨다.  지연형  냉해를  입은  벼는  출수기가  늦어져  가을저온에
서  여뭄때를  경과하게  됨으로써  발육정지립  증가ㆍ여뭄비율  저하ㆍ낟알무게 
저하  등  여뭄장해가  생긴다.
장해형  냉해는  이삭밸때와  출수기때의  저온으로  인해  수분ㆍ수정장해가  일
어남으로써  불임률이  높아져  수량이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장해형  냉해가 
발생하면  화분이  들어  있는  꽃밥의  단백질이  감소하고  호흡활성이  낮아지며, 
화분(꽃가루)에  양분을  공급하는  타페트세포가  이상비대하여  제기능을  하지 
못한다.  저온이  장기간  지속되면  지연형과  장해형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혼
합형  냉해가  발생한다.

2.  벼가  냉해와  한해  및  수해를  모두  받기  쉬운  때는?
①  새끼치기때 ②  이삭밸  때 ③  이삭팰  때 ④  여뭄때
정답  :  ②
해설  :  벼가  냉해를  받기  쉬운  때는  못자리때,  이삭밸때,  여뭄때이고,  또한 
이삭밸때  가뭄견딜성이  가장  약하며,  벼가  수해를  가장  받기  쉬운  시기는  이
삭밸때부터  출수기  사이이다.

3.  강한  건조풍이  단시간  내에  과다증산  및  탈수를  일으켜  발생하는  벼의 
피해는?
①  백수피해  ②  관수피해 ③  불시출수     ④  적고발생
정답  :  ①
해설  :  출수한  지  3일  이내에  건조풍이  심하게  불면  벼는  과다증산과  탈수를 
일으켜  백수(흰  이삭)가  발생한다.

4.  다음  중  바이러스에  의한  벼의  병해는?
①  도열병 ②  줄무늬잎마름병 ③  흰잎마름병 ④  깨씨무늬병
정답  :  ②
해설  :  바이러스병은  애멸구가  매개하는  줄무늬잎마름병,  끝동매미충과  번개
매미충이  매개하는  검은줄무늬잎마름병과  오갈병이  있다.

5.  다음  중  중국에서  날아오는  비래해충은?
①  애멸구 ②  이화명나방 ③  벼잎선충 ④  벼멸구
정답  :  ④
해설  :  벼멸구와  흰등멸구  및  혹명나방은  매년  6~7월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중국에서  날아오는  비래해충이다

 

■ 요약정리

1.  우리나라에서  벼의  환경적  스트레스는  주로  냉해와  한해  및  풍수해  등 
기상요인에  의한  것이고,  생물적  스트레스는  병해와  해충  및  잡초가  주된  원
인이다.
2.  벼의  냉해는  화분이상에  의한  장해형  냉해와  출수기  지연으로  인한  지연
형  냉해가  있는데,  장기간  저온일  경우에는  장해형과  지연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혼합형  냉해가  발생한다.  벼가  냉해를  받기  가장  쉬울  때는  못자리
때,  이삭밸때,  여뭄때  등이다.
3.  벼의  한해는  이삭밸때  가물면  이삭꽃이  퇴화하고  불임립이  증가해서  수량감소가  크다.
4.  벼의  수해는  침수보다  관수의  피해가  더  크며,  벼의  풍해는  흰이삭과  변색립이  발생하고  벼가  쓰러진다.
5.  우리나라에서  벼에  발생하는  병해충  가운데  피해가  큰  11종은  국가가  방제대상으로  정하고  있으며,  약제  방제를  통해서  피해를  병해는  50~70%까지 해충피해는  90%이상  경감시킬  수  있다.



※ 혹시 부족하지만 저의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었다면, 단 1초만 투자해 주세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