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기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15. 감염관리

롤라❤️ 2021. 10. 20. 09:48
반응형

15. 감염관리

 

01 감염
1. 감염
1) 감염을 암시하는 임상지표

검사종류 정상 수치(성인기준) 감염 징후
백혈구(WBC) 5,000~10,000/mm3 대체로 급성 감염 시 증가
호중구 60~70% •세균성 급성 감염 시 감소
•화농성 급성 감염 시 증가
림프구 20~40% •세균/바이러스성 만성 감염 시 증가
•폐포까지 들어온 미생물 파괴
적혈구 침강속도
(
ESR)
•남자: 15mm/hr
•여자: 20mm/hr 염증 시 증가

 

* 감염 단계

잠복기 •미생물이 신체로 침입한 후 성장·증식을 하는 단계
•질병을 일으키기 전
1~2일에서 수 주까지 지속


전구기 •질병 초기의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발열, 피로, 불쾌감, 짜증 등)
•질병 전염력이 높은 시기


질병기 질병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회복기 •질병의 증상이 사라지고 건강한 상태로 돌아오는 시기
•감염 정도와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기간이 달라짐

 

2. 감염 회로
1) 병원성 미생물(병원체)
(1) 세균, 바이러스, 진균, 유충 및 원충 등
(2) 관리: 철저한 손위생, 소독·멸균으로 관리

2) 저장소(병원소)
(1)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위한 서식지 ex 사람, 동물, 토양, 음식, 대소변 등
(2) 관리: 대상자를 물과 비누로 청결하게 유지, 젖고 오염된 드레싱 교환, 사용한 물품 분리수거

3) 병원소로부터 탈출(탈출구)
(1) 병원성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빠져나가는 출구 ▶ 이를 통해 다른 숙주를 감염시킴
ex) 탈출구: 소화기계, 호흡기계, 비뇨기계, 혈액, 피부 등
(2) 관리: 철저한 손위생, 마스크·장갑, 착용, 외과적 상처나 멸균드레싱 부위에 직접 호흡이나 기침 방지

4) 전파

경로
설명
접촉
전파
직접 감염된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으로 실제적 신
체전파
감염자와의 성적 접촉 시
간접 오염된 물건과 민감한 사람과의 접촉 오염된 바늘, 기구, 드레싱의 사용
비말전파 비말( 이상)이 1m 반경 내에 다른 사람에게 전파 재채기, 기침, 말할 때 비말의 흡입
공기전파 비말핵( 이하)이 수증기화 된 물방울이나 먼지
입자에 붙어 
1m 이상 거리로 미생물이 전파
ex 홍역, 수두, 결핵
포자의 흡입
매개물 감염된 동물로부터 미생물의 전파 모기, 벼룩이나 이, 진드기, 쥐에 의함
매개체 오염된 음식, 물이나 용액, 약물, 장치 및 장비 등
에 있던 미생물의 전파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물을 마심

5) 침입구
(1) 미생물이 저장소에서 탈출했던 출구와 같은 경로로 침입
(2) 관리: 완전한 피부와 점막 유지, 소변의 역류 방지, 상처관리 및 침습적 중재 시 멸균법, 소독 철저히 시행

6) 민감한 숙주
(1) 숙주가 병원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저항 정도
(2) 면역능력이 저하되어 민감성이 높은 대상자가 감염성이 높음 ex 면역체계가 미성숙한 소아, 면역체계가 낮아
진 노인, 질병상태, 스트레스 등
(3) 관리: 정상 방어기전 강화

 

3. 신체 방어기전
1) 정상 균총(normal flora)
(1) 상주하는 미생물로, 인체의 여러 표면 조직에 분포하면서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서식 및 침입을 방어
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
(2) 감염에 대한 인체의 비특이적 방어체계 중 하나임
(3) 피부상주균(포도상구균), 장내세균, 질내 혐기성균(Döderleins bacillus)

2) 정상 신체 방어체계

1차 방어기전 비특이적 저항력 피부와 점막
2차 방어기전 비특이적 저항력 •식균작용: 혈액의 호중구(다핵백혈구)나 마크로파지 등의 식세포에 의함
•염증 반응: 손상이나 감염에 대한 방어적인 혈관 및 세포 반응으로, 국소적인
손상이 전신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
3차 방어기전 특이적 면역력 •면역반응: 특정한 미생물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특이적 방어기전
능동면역: 숙주가 직접 병원균과 접촉하여 얻는 면역
수동면역: 다른 개체가 만든 면역혈청이나 면역세포를 투여하여 얻는 면역

 

4. 병원감염
1)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해 있지 않은 감염이 입원 동안이나 퇴원 후 발생
ex 비뇨기계 감염(병원감염의 대부분 차지, 40%), 폐렴, 수술부위 감염, 혈관 내 카테터 관련 감염 등

2) 병원감염균
(1) 항생제의 남용, 오용 등으로 인해 병원체에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형성됨
(2) MRSA, VRE, VISA, 세균(E-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등)

02 감염 관리
1. 청결, 소독, 멸균
1) 청결(cleansing)
(1)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2) 일반적으로 물과 세제, 문지르는 작용으로, 소독과 멸균 과정 전에 행해짐

2) 소독(disinfection)
물품에 있는 세균성 아포를 제외한 거의 모든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 및 사멸하는 방법

끓이는 소독(자비소독) 소독할 물품을 물에 잠긴 상태에서 100℃에 10~15분간 가열 ex 우유병 등
자외선 소독 이온화되지 않은 방사선을 적용하여 미생물의 세포 파괴 ex 공장에서 식품 소독 시
건열 소독 165~170℃에서 적어도 3시간 이상 ex 금속 제품에 효과적
화학적 소독 70% 알코올(Alcohol)
Povidone Iodine(베타딘)
과산화수소(
H2O2)

 

3) 멸균(sterilization)
병원균, 비병원균 및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 사멸

  고압증기멸균법(autoclave) 산화에틸렌가스(EO gas)
특성 높은 압력, 높은 온도로 모든 미생물과 아포를 마모되기 쉬운 기구, 열에 약한 물품 멸균에 용이
파괴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적용 수술용 기구, 일반 기기 및 물품, 린넨류, 스테
인레스 기구
세밀한 수술기구, 고무, 종이, 플라스틱 제품,
내시경, 각종 카테터    
주의
사항
고무 제품, 내시경 제품은 제외 독성이 있어 멸균 후 상온에서 8시간~16시간
동안 방치(환기)해야 함

2. 내과적 무균법
1) 정의
(1) 간호 또는 진료과정에서 특정 병원성 미생물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
(2) 병원체의 수를 한정하거나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2) 방법
(1) 손씻기
① 병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
② 손이 팔꿈치보다 아래로 있게 하며,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제를 묻혀 기계적 마찰 이용하여
30초 정도
강하게 비비면서 씻음
(2) 개인 보호장비 착용: 유니폼, 소독복, 소독가운, 마스크, 장갑, 머리와 신발덮개, 보호 안경 등 착용

3. 외과적 무균법
1) 정의
장비에 아포를 포함한 미생물이 전혀 없도록 하는 방법

2) 원칙
(1) 멸균 유효기간이 지나면 더 이상 멸균된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
(2) 멸균 영역 바깥에서 2.5cm 이내의 가장자리는 오염지대로 간주
(3) 멸균포장이 젖으면 미생물이 침투해서 오염된 것으로 간주함
(4) 허리선 이하에 있는 멸균품은 철저히 감시되지 못하므로 오염된 것으로 간주함
(5) 멸균 영역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은 멸균되어야 함
(6) 피부는 멸균할 수 없으므로 오염으로 간주함

3) 멸균용액 따르기
(1) 용액을 따르는 동안 뚜껑을 들고 있을 경우
뚜껑을 들고 있을 경우: 뚜껑의 안쪽 면이 아래로 향하게 들고 있어야 함
뚜껑을 테이블 위에 놓을 경우: 뚜껑의 안쪽 면이 위를 향하게 놓아야 함
(2) 멸균 용액 사용 전 용기의 입구에 있던 오염물 제거하기 위해 용액의 소량을 먼저 따라 버림
(3) 무균영역 밖 10~15cm 높이에서 용액이 튀지 않도록 따름
(4) 라벨이 붙어 있는 쪽을 손으로 감싸고 용액을 따름

4) 외과적 손씻기
(1) 손끝을 팔꿈치보다 높게 하여 물이 손에서 팔꿈치로 흐르게 하여 적실 것
(2) 페달을 사용하여 솔을 꺼내고 소독 비누액을 떨어뜨려 원을 그리듯이 마찰을 시키면서 손톱 및 손가락,
손바닥, 손등, 팔목, 전박, 팔꿈치 순으로 닦기(
2~5분)
(3) 한쪽 팔을 닦고 다른 팔을 닦을 때에는 새 솔을 사용할 것
(4) 흐르는 물에 충분히 헹구는데 손끝을 먼저 헹구고 팔꿈치는 나중에 헹굼
(5) 손끝을 계속 올린 상태에서 멸균수건을 집고 손끝부터 팔꿈치를 향해서 물기를 닦기
(6) 반대편 손을 닦을 때에는 수건의 반대편 면을 사용할 것

5) 이동섭자 사용방법
(1) 섭자통에는 하나씩만 꽂아 사용함
(2) 섭자 끝은 항상 아래로 향하게, 눈에서 보이게 함(허리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3) 물건을 옮길 때 섭자의 끝이 소독부위 면에 닿지 않도록 떨어뜨림

4. 격리와 역격리

  격리 역격리
정의 입원환자, 병원직원, 방문자 간의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제한하기 위해 보호하는 것
면역력과 저항력이 낮은 감염이 안 된 대상자가 감
염성 유기체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
대상 대상자가 전염성 질환일 때 •질병이나 상처 혹은 면역억제제의 사용으로 감
염에 대해 정상적인 신체 방어력이 낮아진 대상자
•최소의 감염도 치명적이 될 수 있음
ex 신생아, 화상, 백혈병, 장기이식 환자 등 면역저하
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