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 요약

조경기사와 조경사 등 실무에 도움을 주는 조경 핵심 이론 요점 요약 정리 1장. 조경일반

롤라❤️ 2022. 2. 15. 07:58
반응형

Ⅰ. 조경 일반

가. 조경의 개념

1. 조경의 뜻

정원을 포함한 옥외공간을 조형적으로 다루는 일

① 韓國 : 造景. ② 中國 : 園林. ③ 日本 : 造園 ④ 北韓 : 園林 ☞ 문제:틀리게 쓴건 ?

2. 조경의 개념

① 조경이라는 전문직업은‘자연과 인간에게 봉사하는 분야이다’라고 조경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 (1909년, 미국- 옴스테드가 센트럴 파크 설계)

② 1900년 미국 하버드 대학 → 조경학과 신설

1967년 한국 공원법 제정 ☞ 문제 : 한국 조경학과 신설년도 ?

④ 1973년 대학에 조경학과 → 조원분야에서 조경학으로 탈바꿈 하는 선언적 의미

⑤ 1973년 한국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 → 조경학과 신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신설

3. 우리나라 건설부 조경설계기준, 1975년

경관을 조성하는 예술이다. 옥외공간과 토지를 이용, 보다 기능적이고 경제적이며 시각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보존하는 생태적 예술성을 띤 종합과학예술.

4. 조경의 대상 : ① 주거지(개인주택, 아파트단지) ② 공원(도시공원, 자연공원)

③ 위락관광 시설(휴양지, 유원지, 골프장)

④ 문화재 주변(궁궐, 왕릉, 전통민가, 사찰)

⑤ 기타(도로, 광장, 사무실, 학교)

5. 조경가의 자질

① 자연과학적 지식 → 수목, 토양, 지질, 수문(水文):물의 순환, 기후 등

② 공학적 지식 → 건축, 토목

③ 예술적 소양 → 아름다운 공간 창조

④ 인문사회과학적 지식 → 인류학, 지리학, 사회학, 환경심리학

6. 단지계획

① 대지분석과 종합, 이용자 분석 → 자연요소와 시설물을 기능적으로 대지의 특성에 맞추어 배 치 → 단지계획

② 식재, 포장, 계단, 분수 등을 시공하기 위한 세부적인 설계로 발전시키는 일 → 조경설계

나. 조경의 양식론

1. 정원양식의 분류

1) 정형식 정원 → 서아시아, 유럽/ 형식을 포함한 기하학식 정원

평면 기하학식 → 평야지대(프랑스 정원/ 평면상의 대칭적 구성)

② 도단식 → 경사지(이탈리아 정원/ 경사지에 계단식 처리/ 바빌로니아 공중정원 등)

③ 중정식 → 건물로 둘러싸인 내부(스페인 정원, 중세 수도원 정원/ 소규모 분수나 연못 중 심)파티오, 회랑식

2) 자연식 정원 → 동아시아, 유럽의 18세기 영국/ 정원구성에서 자연적 형태 이용

① 전원풍경식 → 영국, 독일/ 넓은 잔디밭을 이용한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자연풍경

② 회유임천식 → 중국/ 자연과 대담한 대비/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 이용

→ 일본/ 자연풍경의 섬세한 조화/ 곳곳에 다리설치로 정원 회유

고산수식일본(불교영향-용안사) 평정고산수식

→ 물을 전혀 이용하지 않음/축산고산수식 나무(산봉우리) 바위(폭포) 왕모래 (물) 이라 표현

3) 절충식 정원 → 정형식 정원과 자연식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동시에 지님

→ 조선시대(기본 성격은 회유임천식<자연식> + 정형적 형태를 포용)

2. 정원양식의 발생 요인

1) 자연환경요인 - 기후, 지형, 식물, 토지, 암석 등(가장 중요한 요소 - 지형)

① 산악지역 : 이탈리아, 경사지를 이용한 노단식 정원조성

② 평탄지역 : 프랑스, 평면기하학식 정원 발달

2) 사회환경요인 - 종교, 민족성, 역사성, 기타(정치, 경제, 건축, 예술 등)

① 종교 / 동양 → 신선사상(불로장생)의 영향

불로장생하는 신선의 거처를 현실화 시키고자 함 → 백제의 궁남지, 신라의 안압지

불교사상의 영향 → 일본의 고산수식 정원

/ 서양 → 종교의식을 위해 손을 씻거나 목욕을 하기 위한 형태의 정원 발달

② 민족성 : 영국 풍경식 정원 → 유럽의 기하학적 정원 양식에서 경관과 자연을 찬미하던 18c 영국의 시대적 풍토

③ 역사성 :고대 중세 암흑시대(회랑식 폐쇄적 중정) 르네상스시대 → 개방적 형태의 정원

우리나라(삼국시대 고려시대는 중국의 영향, 조선시대는 방지천도)의 독특한 형태

다. 동양의 조경양식

1. 우리나라

1) 고구려

① 대표적 정원 → 안학궁, 장안성

② 대성산성 → 장수왕 때 축조

2) 백 제

① 대표적 정원 → 무왕 35년(634년)/ 궁남지,

노자공(6세기 중엽) → 백제인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수미산과 오교로 이루어진 정원 : 일본서기 최초기록

② 동성왕 22년(AD500년 백제의 제 24대 왕) / 임류각, 공주산성

3) 신라 및 통일신라

대표적 정원 → 문무왕 14년 2월(674년)/ 안압지 : 직선처리와 복잡 다양한 곡선처리, 3개의 섬, 거북 형태 ( 연못 안에 3개의 인공섬을 만들어 넣고 연못의 동쪽과 북쪽으로는 12개의 봉우리를 만들었는데 이는 동양의 신선사상에 유래한 것으로 전해진다. 방장도, 봉래도, 영주도로 불리운 3개의 섬은 삼신산을 12개의 봉우리는 무산십이봉을 의미)

임해전(정원을 바다로 표현, 배관. 배수시설로 반석사용. 유속의 감소위한 수로의 정교함)

포석정:회유임천식

2. 고려시대 : 관장부서:내원서

- 대표적 정원 → 경종(977년)/ 동지(백제의 궁남지, 신라의 안압지와 유사한 기능), 문수원

3. 조선시대 : 관장부서 : 장원서

- 대표적 정원형태 → 궁원, 민가정원, 별서정원

☞조선왕조시대 대표적인 궁궐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등 다섯 곳

① 경복궁 → 기하학적 형태의 정원, 연못(섬이 있는 방지(方池)형태), 아미산, 경회루, 향원지

㉠ 기하학적

㉡ 남북축 좌우대칭 건물,연못 섬(방지형)

㉢ 아미산(후원인 교태전 평지에 축산한 계단식 정원)

㉣ 경회루(연회, 과거시험장)

㉤ 향원지(경북궁 후원의 중심 연못)

♣ 경회루 방지 특징

-조선왕국의 원지 가운데 가장 장엄한 규모.

-경회루는 정면7칸, 측면 5칸의 다락집, 48개의 석주가 있음.

-외국사신의 영접잔치나 궁중의 연회장소로 이용.

방지의 못속에 3개의 장방형 섬 조성 동쪽에 경회루 건립.

-석교의 법소와 난간이 ㄱ자로 꺾이는 곳에 벽사의 상징물인 해태 불가사리 등 조각

♣ 향원정과 향원지 특징

-향원지는 4605㎡의 모를 약간죽인 방지→6각의 향원정이 서 있음.

♣ 자경전의 화담 굴뚝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굴뚝과 꽃담.

-후원의 굴뚝은 너비318cm, 높이236cm.

-벽면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십자생과 바다, 포도, 연꽃, 대나무장식

-좌우 측면에 박쥐와 당초문이 배치.

-상단에 용을 중심으로 좌우에 학이 배치. 하단에 해태를 배치

♣ 교태전 후원의 아미산 특 징

-장대석으로 된 4단의 화계가 있음.

-단에는 괴석, 석구, 석지가 있음.

-화계에는 매화, 모란, 반송, 철쭉, 앵두식재, 동산에는 뽕나무, 말채나무, 배나무, 느티나무 등의 원림조성.

② 창덕궁 → 동궐, 후원을 금원, 비원이라 부름

경복궁과 달리 후원의 자연지형 이용, 부용정, 부용지.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다래 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

→ 자연지형 낮은곳에 정자 부용지를 중심으로 후원을 비원이라 하였고 경 복궁과 달리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낮은 곳에 정자를 세우고 부용지를 중 심으로 부용정, 주합루, 이수문을 지었다.

● 반도지중심→관람정, 존덕정, 대릉

● 옥류천→창의정, 태극정. 세계에 자랑 할만 한 곳

♣ 민가정원→궁궐과 비교할 때 화려함이나 규모면에서는 뒤지나 방지(方池. 경사면의 계단식 등 소박하고 친근한 분위기 속에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 또는 담장으로 둘러싸인 행낭마당, 사랑마당, 안마당으로 구성되었다

※별서(別墅:나눌별,농막서)정원: 사대부가 본가와 떨어진 초야에 집을 지어 별장과 같은 성격.

① 소쇄원 : ㉠ 전남 담양군에 소재 ㉡ 양산보라는 사람이 지음

㉢ 자연계류의 비탈면을 깎아 자연석으로 단과 담을 쌓아 자연식에 정 형식을 가미하였다.

② 다산초당 : ㉠ 정약용의 별당

㉡ 바닷가 괴석을 방지 안에 설치하여 석가산 구성

㉢ 용천에서 물을 끌어 비폭(飛瀑)

③ 부용동 원림 : ㉠ 윤선도의 소유 전남 완도 ㉡ 내침인 낙선재

㉢ 동천석실(암벽위에 소옥 짓고 암벽 밑에 석실 축조)

④ 옥호 정원 : ㉠ 김조수의 별장

㉡ 삼청동 계곡 비탈면에 口字형 주거 중심으로 한 계단 후원식

풍경식 : 자연과 인공미 혼용 기하학적 부위에 바닥 포장 기괴 한 모 양의 괴석 사용

※ 운조루는 영조 52년 류이주 (柳爾胄)가 세운것 99간 (현존73간)의 주택 품자형 (品字形) 배치 형식 양반가

◇ 20세기 후반

① 덕수궁 석조전 : ㉠ 최초 양식건물로 이오니아식 석조전

㉡ 정관헌-지붕과 난간은 한국적, 기둥과 내부 구조는 서양식

㉢ 침상원 - 대칭적 기하학적 정원으로 최초의 유럽식 정원

② 탑골공원(파고다공원) : 최초 공원(영국인 브라운 설계)으로 대중적

※ 우리나라 정원의 특징

- 사상 → 신선사상 : 음양오행설 가미 → 백제의 궁남지, 신라의 안압지

- 지형 → 풍수지리설 : 직선적인 윤곽의 처리, 정원의 연못의 형태와 구성이 단조로움 / 직선적인 방지

- 주정원은 후원(뒷뜰)이고, 낙엽 활엽수로 계절의 변화 즐김. 풍수지리의 영향

- 유교사상 도연명의 안빈낙도, 순박한 민족성의 표현으로 자연과의 일체, 마음을 수양하는 정원

- 십장생 → ①소나무 ②거북 ③학 ④사슴 ⑤불로초 ⑥해 ⑦산 ⑧물 ⑨바위 ⑩구름

4. 중국

1) 중국 정원의 특징

① 경관의 조화보다는 대비에 초점, 비례성

② 자연과의 미와 인공의 미를 같이 사용 : 수려한 경관에 암석 수목 식재

③ 원시적 공원 성격 : 수려한 경관에 누각, 정자

④ 건물 좌우, 뒤편 공지에 조성되는 정원 - 태호석을 이용한 석가산, 거석으로 주경관 구성

⑤ 건축물로 둘러싸인 공간(中庭)내에 회화적 정원 : 벽돌포장, 몇 그루 수목, 화분 배치

2) 한 시대(BC206~AD220년)금원(禁苑)

상림원→한 무제. 장안 서쪽, 중국최초 정원 : 동양에서 가장 오래 됨. 희귀 3,000 여종 꽃나무 식재. 수렵장

② 태액지원 : 궁궐에서 가까운 금원. 건장궁 내의 곡지중 하나로 봉래, 방장, 영주의 세 섬을 축조하고, 동, 대리석으로 수조와 용어를 조각 배치

3) 명, 청시대 : 많은 정원서적 발간

① 만수산 이화원 : 현존 규모 중 최대(300 ha : 90만평)

② 양주의 명원(名園) : 양자강 북안, 조경기술과 건축기술의 극치

③ 소주의 명원(名園) : 강남 문화의 중심

※ 4 대 명원 : 졸정원, 사자림, 유원, 창랑정

5. 일본 정원의 특징

- 돌과 모래의 정원 → 임천식(다정식), 회유임천식(회유식),

① 축산고산수식 : 바위(폭포), 왕모래(냇물), 다듬은 수목(산봉우리) 등으로 추상적인 정원을 꾸밈(축경식)

② 평정고산수식 : 용인사/ 불교영향- 물과 수목을 완전히 배제 (바위가 포인트)

③ 축경식 : 일본의 독특한 양식으로 풍경, 수목, 명승고적 등을 그대로 정원에 축소시켜 구성

④ 신숙어원 : 일본식, 프랑스, 영국식 등 세부분으로 구성

히비야 공원 : 일본 최초의 서양식 공원

◎ 노자공임천식 14c 축산고산수법(나무: 산봉우리, 바위: 폭포, 왕모래: 냇물)

15c 평정고산수법 : 왕모래와 바위 몇 개만 쓰고 식물 배제

16c 다정양식 :징검돌, 자갈, 세수통, 석등

19c 회유식 정원(임천양식과 다정양식의 결합)

☉보충:일본 조경양식의 발달

- 8~11세기: 헤이안시대, 임천식 정원

- 12~14세기: 가마쿠라시대, 회유임천식 정원(침전건물 중심)

- 14세기: 무로마치시대, 축산고산수식 정원( 선사상과 화묵의 영향)

- 15세기 후반: 무로마치시대, 평정고산수식 정원(바다의 경치표현)

- 16세기: 안도ㆍ 모모야마시대, 다정양식 정원(노지식, 곡선이 많이 사용)

- 17세기: 에도 초기, 지천임천식 또는 회유식 정원 (임천식과 다정양식의 결합)

- 에도후기: 축경식 (풍경을 축소시켜 좁은 공간 내에 표현)

6. 기타

1) 이란의 이슬람 조경

① 사막기후의 영향으로 도시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조경으로 조성

② 종교와 환경의 영향으로 이 중요 요소

③ 당초무늬, 아라베스크 무늬 등 문양 발달

④ 이스파한 : 소 정원을 연속적으로 구성 도시 전체가 거대한 정원

2) 인도의 이슬람 조경

① 열대지방이므로 녹음수가 중요시되고, 연못은 장식, 목욕, 종교적 행사를 위한 주요소

② 물, 그늘, 꽃이 중심이 되고 높은 담을 설치

③ 정원은 별장과 궁전을 중심으로 발달한 바그와 정원과 묘지를 결합한 형태로 구분

라. 서양의 조경양식

1. 유럽

1) 이집트

주택정원(식물 - 시커모어, 파피루스, 연꽃), 신전정원, 묘지정원

2) 서아시아의 정원

지구라트 : 대규모 동산 만들어 정상에 수호신 모심

수림원 : 오늘날 공원의 시초, 수렵, 야영, 훈련장, 제사장, 향연장

공중정원 → 최초의 옥상정원(동양에서는 삼림원이 최초) 하중문제 고려

3) 그리스의 정원 → 건물 중심

아고라 : 건물로 둘러싸여 상업 및 집회에 이용되는 옥외 공간, 광장을 말하며 로마시대는 포럼

짐나지움 : 체육훈련을 하는 자리

4) 로마의 정원 : 별장 주택인 빌라 발달

① 주택정원의 구성

- 2개의 중정과 1개의 후정

㉠ 제1중정(아트리움) : 손님이나 상담 → 거실 개념

㉡ 제2중정(페리스틸리움) : 가족, 사적공간 → 방 개념

㉢ 후정(지스터스) : 수로, 산책로, 5점 식재

포럼(Forum) → 아고라에 비해 시장기능은 빠지고, 업무 중심지역으로 왕의 행진,

집단이 모여 토론 할 수 있는 광장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5) 스페인(에스파니아)의 정원 →회교식(회랑) 건축수법, 중정식(파티오식: 타일 색채)

물과 분수의 풍부한 이용

- 유적 → 알함브라(Alhambra)/궁정의 정원, 헤네랄리페(Generalife)/ 이궁(전체가 정원)

- 특징 : ① 중정구성의 독특

② 물과 분수의 풍부한 이용(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③ 다채로운 색채의 도입(가장 많이 쓰임)

④ 섬세한 장식, 기하학적 형태

6) 이탈리아 정원 → 노단식(지형극복), 르네상스시기 가장 발달

- 피에솔레, 빌라 데스테

- 특징 : ① 높이가 다른 수개의 노단의 조화로 좋은 전망

② 평면적으로 강한 축을 중심으로 정형적 대칭

③ 축을 따라 또는 축을 직교하여 분수, 연못, 벽천, 장식화분 설치

7) 프랑스의 정원 → 평면기하학식 정원

- 베르사유 궁전 : 프랑스 조경의 아버지 → 앙드레 르노트르 ⇔ 보르비 꽁트

- 특징 : ① 비스타(통경선, 초점경관) : 좌우로의 시선이 숲등에 의해 제한되고 정면의 한 점으로 모이도록 구성되어 주축선이 두드러지게 하는 수법

② 소로와 삼림의 적극적 이용

③ 축선을 중심으로 조성

8) 영국의 정원 : 자연 풍경식

① 정형식 정원 → 11 ~ 17세기

② 자연풍경식 정원(전원풍경식 정원) → 18세기 낭만주의 /

스토(Stowe)정원(하하 기법도입) 찰스브릿지맨〈중세 프랑스의 군사용 호(濠)〉의 도입) → 후에 윌리암 켄트(W. Kent)가 수정

③ 윌리암 켄트 : 자연은 직선을 싫어한다. 기하학적인 직선을 배척하고 부드럽게 불규칙적인 생김새의 정원 구성

④ 험프리 렙튼 : 풍경식 정원 완성자, Landscape Gardener 칭호 최초사용. Red 스켓치북

9) 독일 정원 : 풍경식

- 무스코 정원 : 분구원(소정원을 시민에게 대여

- 특징 → 과학적 지식 이용으로 실용적 형태 정원 발달

10) 미국 정원

① 최초의 도시 공원 → 센트럴 파크(Central Park)

② 현대 조경의 아버지 옴스테드/ ‘조경’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

③ 옐로 스톤 파크 : 미국 최초의 국립공원

서양 조경양식의 흐름 → 스페인(중정식)→ 이탈리아(노단식) → 프랑스(평면기하학식) → 영국(전원풍경식) 독일(풍경식/ 과학적) → 미국(도시공원식/ 현대식

☞ 현대의 정원 : 자연환경에 정원식을 조화롭게 만듦. 조각 공원 운동정원, 어린이공원 등 전문화 경향

☞ 국내의 경향

① 조선시대에 한국적 개성 20세기 전반 1960년대 말까지는 일본 정원의 영향으로 향나무 정형

1970 미국조경 영향 넓은 잔디밭과 수목의 구식

③ 1980년 후 한국적 분위기를 창출하는데 관심 품위 있는 소나무, 정자 목인 느티나무 도 입(비정형)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