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식품, 영양 관련 쉽게 정리한 생화학 핵심 요점 요약 정리 11. 지질대사

롤라❤️ 2022. 5. 10. 10:07
반응형

11. 지질대사

들어가기
우리 몸에서 이용되는 지질들은 식사를 통해 공급 or 체내 합성됨
⋅중성지방 에너지의 주요 저장 형태 →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
⋅콜레스테롤 담즙생성 비타민 D 합성에 기여
⋅불포화지방산 생체기능 조절하는 물질들을 생성
⋅당지질 & 인지질 주요 막 성분을 이룸
1. 지질의 소화·흡수와 이동
1) 지질의 소화

식사를 통해 섭취한 지방의 소화는 위에서부터 시작됨
타액 리파아제 & 위 리파아제 작용
중성지방 10~30%가 위에서 소화됨
→ 위에서 분비되는 리파아제들은 주로 탄소 수 12개 이하의 짧은사슬 또는 중간사슬 지방산을
함유한 중성지방의 소화에 관여함
→ 3번 위치에 있는 지방산을 우선적으로 가수분해함
→ 신생아에서 특히 유지방의 소화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함
부분적으로 가수분해 된 지방,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등은 작은 기름방울의 형태로 십
이지장으로 들어오게 됨
담낭에서 분비된 담즙에 있는 담즙산염(bile salt)의 도움으로 유화액 상태를 이룸
→ 유화액 형성은 기름 방울들이
미셀(micelle)의 작은 상태로 안정화될 수 있도록 도와줌
표면적 증가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의 작용을 잘 받을 수 있게 함
⋅ 본격적인 지질의 소화 (췌장 분비 소화효소)
→ 췌장 리파아제, 코리파아제, 콜레스테롤 에스터라아제, 포스포리파아제 A
2에 의해 이루어짐
-
췌장 리파아제 : 중성지방
다이아실글리세롤, 모노아실글리세롤 및 유리지방산으로 분해
-
콜레스테롤 에스터라아제: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유리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
-
포스포리파아제 A2 : 인지질
리소인지질과 유리지방산으로 분해

2) 지질의 흡수

소화된 지방의 흡수 주로 소장십이지장 말단공장부분에서 이루어짐
짧은 사슬 지방산과 중간사슬 지방산은 미셀의 도움 없이도 장 세포에서 흡수될 수 있음
모노아실 글리세롤 → 다이아실글리세롤, 지방산, 콜레스테롤, 리소인지질
→ 미셀 형태로 흡수 → 다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인지질로
재합성
→ 트리아실글리세롤 → 카일로마이크론
유리지방산 → 지방산 아실 CoA
콜레스테롤 →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 카일로마이크론
리소인지질 → 인지질 → 카일로마이크론
카일로마이크론 림프계를 거쳐 혈액으로 합류

※미셀 : 양극성을 가진 지질이 수용액 안에서 소수성인 꼬리는 안쪽을 향하고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수용액 쪽을 향하고 있는 구형의 집합체

3) 지단백질의 구조와 종류

혈액 중에서 소수성인 지질의 주요 이동수단 에서 합성
중심부 : 소수성인 중성지방 +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표면 : 단층의 인지질 + 에스테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유리 형태의 콜레스테롤 + 아포지단백

⋅지단백질의 단백질 부분 아포지단백질(apolipoprotein) → 지단백질의 구성, 구조, 대사 및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
아포지단백질은 수용체의 인식에 기여함
일부 아포지단백질들 →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을 조절
지단백질은 보통 한 가지 이상의 아포지단백질을 가지고 있음
단백질과 지질의 조성에 따라 지단백질의 밀도가 달라짐
지질의 양 ↑→ 지단백질의 밀도 ↓
카일로마이크론, VLDL이 중성지방이 주요성분
카일로마이크론 → 식사를 통해 섭취한 지방을 장으로부터 조직으로 운반
VLDL → 간에서 합성된 중성지방을 조직으로 운반

4) 지단백질의 대사
(1) 카일로마이크론의 대사
지단백질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크고 중성지방이 많음
⋅장에서 만들어지며, 혈중에서는 특히 식사 후에 증가함
보통 식후 30분~3시간 사이 혈중 농도 최고치
⋅지단백질 리파아제(LPL)의 작용을 받아 지방산다이아실글리세롤로 분해함
→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들어감 → 에너지 생성과 중성지방으로 저장
중성지방을 내놓음에 따라 카일로마이크론 크기가 작아짐
중성지방의 양 감소 →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함량의 비율이 높은 카일로마이크론
잔여물이 됨
⋅간 조직에는 LPL이 없어 카일로마이크론에 있는 중성지방을 제거 못함
카일로마이크론 잔여물에 대한 수용체 존재
→ 카일로마이크론 잔여물을 혈중에서 제거
→ 그 안에 있는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제거하게 됨
(2) VLDL의 대사


⋅간에서 생성, 체내에서 합성된 중성지방을 조직으로 운반
VLDL도 LPL의 작용에 의해 내부에 있는 중성지방이 가수분해
→ 근육과 지방조직에
지방산, 다이아실글리세롤을 공급
중성지방 분해 → VLDL 크기
→ apoC가 떨어져 나감(apoC: LPL 활성에 필요)
중성지방의 양이 줄어든 VLDL의 일부는 간에서 LDL수용체에 의해 제거
(apoE, apoB100이 인식)
일부는 LPL에 의해 중성지방이 더 감소되어 중성지방의 함량은 낮고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주요 지질인
LDL로 전환

2. 지방산의 산화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SL) : 지방세포에 저장된 중성지방의 1 또는 3번 탄소에 붙어 있던
지방산이 가수분해 → 유리 지방산의 형태로 분리
⋅에피네프릮, 글루카곤은 HSL을 활성형인 인산화 형태로 전환 → 중성지방의 가수분해 증가 →
혈중 지방산의 농도, 간과 근육조직에서의 지방산 산화 ↑
혈중 인슐린, 포도당 농도 ↑→ 지방산 유리 억제
유리 지방산 : 혈액 내 알부민과 결합 조직으로 이동
지방산 → 세포질에서 지방산 아실 CoA의 형태로 활성화 → 카르니틴에 결합 →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
기질내에서 β–산화과정(카르복실기로부터 탄소 두 개 단위로 떨어짐) → 아세틸 CoA를 생성
구연산회로를 통해 산화되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킴
1)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의 유리 ⋅지방조직에 저장된 중성지방에서 → 지방산이 유리되는 것은 호르몬의 영향을 받음
에피네프린, 글루카곤은 HSL을 활성형인 인산화 형태로 전환 → 지방세포로부터 중성지방의 가
수분해가 증 가하게 함 → 혈중 지방산의 농도, 간과 근육조직에서의 지방산 산화 ↑
혈중 인슐린, 포도당 농도 ↑ → 지방산 유리 억제
유리 지방산은 알부민과 결합되어 혈액 내에서 이동하다가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로 들어
오게 됨
2) 지방산의 활성화 및 미토콘드리아 안으로의 이동

아실 CoA 합성효소는 미토콘드리아의 외막, 소포체, 퍼옥시좀과 결합되어 있으며, 포화지방산
& 불포화지 방산 모두에 작용할 수 있고, 지방산의 사슬 길이에 따라 특이성이 다른 몇 가지
효소가 존재함
세포 내로 들어온 지방산(탄소 10개 이상의 지방산)은 세포질에서 아실 CoA 합성효소에 의해
작용됨
지방산의 카르복실기 + 조효소 A의 황화수소기 사이에 티오에스테르 결합 형성 → 아실 CoA
형태의 활성화된 지방산이 됨
이 반응에서 ATP가 사용되어 AMP와 피로인산으로 전환
세포질에서 활성화된 지방산 → 미토콘드리아 내막 통과 → β-산화과정에서 의해 대사됨
긴사슬 지방산 아실 CoA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직접 통과할 수 없음
카르니틴의 도움을 받아 아실카르니틴 형태로 통과
아실 CoA + 카르니틴 아실전이효소 I → 아실 카르니틴으로 전환
탄소 10개 이하의 지방산 → 지방산형태로 진입 →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아실 CoA로 활성화

※ 지단백질 리파아제
- 지단백질 안에 있는 중성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
※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지방세포 안에 있는 중성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
-지방세포의 세포질에 있다가 지방방울 표면으로 이동하여 중성지방을 분해
-에피네프린과 글루카곤에 의해 활성 증가
-지방조직에 저장된 중성지방을 분해하여 다른 조직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작용함

3) 지방산의 산화
(1) 포화지방산의 β-산화


β-산화에서는 4개의 반응을 통해 지방산 아실 CoA의 카르복실기 끝으로부터 탄소 2개가 아세
틸 CoA의 형태로 떨어져 나가고 탄소 2개만큼 짧아진 지방산 아실 CoA는 다시 β-산화를 거
치게 됨
β–산화: (탄소수/2)-1
아세틸 CoA : 탄소수/2
β–산화 1회 당 : FADH2와 NADH 1개씩 생성함
① 아실 CoA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한 트랜스 α, β 이중결합의 생성


탈수소화 : 트랜스 α, β 이중결합 생성
효소에 결합된 FAD가 FADH2로 환원
⋅생성된 FADH2는 전자전달계에 전달되어 ATP를 생성
② 에노일 CoA 수화효소의 작용에 의한 β-하이드록시아실 CoA 생성


수화 : 이중결합의 β 위치에 -OH 첨가
에노일 CoA 수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β-하이드록시아실 CoA는 L형
③ L-하이드록시아실 CoA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한 β-케토아실 CoA의 생성


탈수소화 : β 위치에 케토형태 생성
NAD+가 NADH로 환원
⋅생성된 NADH 는 전자전달계에 전달되어 ATP를 생성
④ 티올라아제의 작용에 의한 아세틸 CoA와 탄소 2개가 짧아진 지방산 아실 CoA의 생성


절단 : α, β-탄소 간 결합이 끊어짐
아세틸 CoA가 떨어져 나온 뒤에 CoASH가 티올라아제의 티올기와 치환되면서 지방산 아실
CoA가 형성됨
에노일 CoA 수화효소, 하이드록시아실 CoA 탈수소효소, 티올라아제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다
중효소복합 체의 형태로 존재함
한 개의 아세틸 CoA는 구연산회로를 통해 1개의 FADH2, 3개의 NADH 및 1개의 GTP를 생성
결과적으로 탄소 18개의 탄소를 가진 스테아르산이 산화되면 120 ATP가 생성하게 됨


(2)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시스 형태의 이중결합과 이중결합의 위치 때문에 β-산화과정에서 작용하는 에노일 CoA 수화
효소가 작용하지 못함
이성질화를 통해 트랜스 형태로 변환
3번 탄소 시스 형태 → 이성질화 (2번 탄소 트랜스 형태)
4번 탄소 시스 형태 → NADPH 사용 (3번 탄소 트랜스 형태)
(3) 홀수 지방산의 산화
간혹 식물이나 해양 생물에서 생성됨
β-산화되면 마지막에 아세틸 CoA + 프로피오닐 CoA가 생성
탄소수(-3)/2개의 아세틸 CoA1개의 프로피오닐 CoA 생성
프로피오닐 CoA → 숙시닐 CoA로 전환되어 구연산회로에서 대사됨
그러나 숙시닐 CoA가 바로 구연산회로에서 대사되는 것이 아님
말산 → 세포질 → 피루브산 → 아세틸 CoA

(4) 퍼옥시좀의 β-산화
탄소 수 22개 이상의 지방산
→ 일차적으로
퍼옥시좀으로 이동 → 매우 긴 사슬 지방산 아실 CoA 합성효소에 의해 활성화된
후 산화
결과적으로 생긴 탄소 수가 적어진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β-산화가 일어남
퍼옥시좀에 있는 티올라제는 탄소 8개 이하의 아실 CoA에 는 작용핛 수 없음
퍼옥시좀의 산화: FAD가 보조인자로 작용하기는 하나 젂자가 젂자젂달계로 젂달되지 않고 바
로 산소로 젂달되어 과산화수소가 생성 퍼옥시좀 카탈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과산화수소는 물과
산소로 전환됨
퍼옥시좀에 있는 티올라제는 탄소 8개 이하의 아실 CoA에는 작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탄소
수가 작아진 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산화됨

(5) 곁가지 지방산의 α-산화
곁가지가 있는 지방산의 경우 바로 β-산화가 일어나지 못함
퍼옥시좀에서 α-산화와 β-산화를 통해 대사가 이루어짐
(예) 피탄산(phytanic acid) : 클로로필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물질
→ 반추동물로부터 얻는 지방과 유제품 등에 존재
피탄산이 산화되면 2-메틸-프로피오닐 CoA, 아세틸 CoA 및 프로피오닐 CoA가 생성됨

4) 지방산 산화의 조절 혈중 유리지방산의 농도 (HSL에 의해 지방조직에서 유리)에 의해 조절됨
글루카곤 또는 에피네프린 → 지방세포에서 cAMP의 농도 증가 → 단백 질 키나아제 A에 의해
HSL 인산화 → HSL 활성화 → 지방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의 유리 → 혈중 유리지방산 증가 간
과 근육에서 β–산화가 증가
말로닐 CoA (지방산 생합성 과정의 첫 번째 중간대사물)의 농도도 지방산의 산화를 조절함
세포질 내의 말로닐 CoA 농도 증가 카르니틴 아실 전이효소 I 작용 억제 지방산이 미
토콘드리아 내로 적게 이동
결과적으로 지방산의 β–산화 감소
⋅지방산의 합성 & 산화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함

3. 케톤체의 생성과 이용
⋅케톤체 : 아세토아세트산, 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아세톤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아세틸 CoA로부터 생성됨
혈액 → 말초조직 →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심장과 근육에서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포도당이 부족할 때는 뇌조직에서도 중요한 에
너지원으로 이용됨
수용성, 혈액 내에서 다른 물질에 결합되지 않은 자유 형태로 이동할 수 있음

1) 케톤체의 생성

⋅간에서 생성
⋅기아 시와 같이 체내 포도당 농도낮아졌을 경우, 당뇨병이 심해 혈중 포도당 농도는 높으나
조직으로 포도당이 들어가지 못할 경우 → 지방산의 산화로 생성된 아세틸 CoA의 농도가 높아
져서 일어남
아세틸 CoA 농도 증가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키나아제 활성화 → 피루브산 탈수소효소의 인
산화 활성 저하, 즉 피루브산이 아세틸 CoA로 전환되는 정도가 감소함
아세틸 CoA에 의해 피루브산 카르복실화효소 활성 증가 → 피루브산이 옥살아세트산으로 전환
되어 당신생에 이용할 수 있음
결과적으로 지방산이 산화 → 아세틸 CoA 농도 증가 → 케톤체 생성 → 뇌조직과 같이 포도당
을 필요로 하는 조직에서 케톤체를 에너지원으로 이용, 간에서는 당신생이 증가하여 체내 포도
당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줌
⋅두 개의 아세틸 CoA가 티올라제의 작용에 의해 결합 아세토아세틸 CoA가 생성
→ 또
한 개의 아세틸 CoA와 결합 → β-하이드록시-β-메틸 글루타릴 CoA(HMG CoA)를 생성
이 과정에서 HMG CoA 합성효소가 작용함
2) 케톤체의 이용 ⋅케톤체 중에서 아세토아세트산과 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 혈액을 통해 근육, 심장, 뇌 및 신
장 등 다른 조직으로 이동 →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아세틸 CoA를 생성하여 에너지원을 제공함
간에서는 β-케토아실 CoA 전이효소가 없어 케톤체를 이용하지 못함

4. 지방산의 생합성

체내에서 이용되는 지방산의 상당량은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지방으로부터 공급
체내에서 합성되지 못해 식사를 통해 섭취해야 하는 필수지방산
리놀레산(linoleic acid), α-리놀렌산(α -linolenic acid)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방산들이
체내에서 합성될 수 있음
지방산의 생합성은 아세틸 CoA탄소 2개 단위씩 결합하여 이루어짐
지방산의 길이를 늘려 나가는 과정은 말로닐 CoA의 형태로 탄소 2개가 전달되고 이산화탄소가
떨어져 나가는 반응에 의해 일어남
합성은 간, 지방조직, 유선에서 일어나며, 세포 내의 세포질에서 이루어짐

1) 지방산의 생합성 과정

(1)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아세틸 CoA의 이동
포도당의 산화, 지방산의 산화, 케톤체의 대사 및 일부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서 아세틸 CoA가
생성됨
아세틸 CoA는 CoA부분 때문에 미토콘드리아막을 통과 불가
잉여의 아세틸 CoA가 세포질로 이동하여 지방산 합성에 이용되어야 할 경우, 아세틸 CoA가
옥살아세트산과 결합하여 구연산의 형태로 전환되어 미토콘드리아 밖으로 나오게 됨
구연산이 미토콘드리아 밖으로 나오는 것은 미토콘드리아 내의 구연산 농도가 높을 때
ATP가 충분핛 경우 α–케토글루타르산 생성 저해 구연산 축적

(2)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효소의 작용에 의한 아세틸 CoA로부터 말로닐 CoA의 생성


두 단계의 과정으로 일어남
1단계 : 카르복실화효소의 리신 잔기에 결합되어 있는 조효소인 비오틴이 카르복실화
2단계 : 아세틸 CoA가 비오틴에 결합되어 있는 카르복실기를 전달받아 말로닐 CoA를 생성
지방산의 생합성에서 중요핚 조절 반응으로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조절됨

(3) 지방산 합성효소의 작용


지방산 합성효소(FAS) 작용에 의해 팔미트산이 생성되는 과정은 7단계의 효소 반응에 의해 일
어남
지방산 생합성 사이클에서 각 1분자의 H2O가 생성
7회의 사이클 후 팔미토일-ACP로부터 팔미트산이 떨어져 나올 때 H2O가 사용되기 때문
H2O는 6분자 생성
① 아세틸 CoA의 아세틸기가 지방산 합성효소의 아실운반단백질(ACP)에 결합
② ACP에 결합되어 있던 아세틸기가 β-케토아실 합성효소의 시스틴 잔기에 있는 -SH기로 이동
말로닐 CoA가 ACP에 결합
④ 말로닐 CoA에서 CO2가 떨어져 나옴 → 이 때, ACC의 작용에 의해 아세틸 CoA에 결합되어져 있던 것
⑤ ACP에 결합되어 있는 케토아실기가 β-케토아실 환원효소의 작용에 의해
환원(NADPH)되어
D-β-하이드록시부티릴-ACP가 됨
⑥ β-하이드록시아실-ACP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해 물 분자가 빠져나오면서 탄소 2번과 3번
사이에
이중결합이 생겨 α, β-트랜스-부테노일-ACP가 생성됨(에노일)
⑦ 에노일-ACP 환원효소의 작용에 의해 환원(NADPH)되어 아실기로 전환 → 부티릴-ACP가 생성
⑧ 탄소 4개의 아실기가 –케토아실 합성효소의 시스틴 잒기에 있는 –SH기로 이동하고 ACP에
말로닐 CoA가 다시 와서 결합하면서
다시 위와 같은 반응을 반복하여 탄소 6개의 아실기를
생성함

7회의 사이클을 거치면 탄소 16개의 팔미토일-ACP가 생성, 팔미토일 티오에스터라아제의 작
용에 의해 팔 미토일기가 ACP로부터 떨어져 나와 팔미트산이 생성됨. 이 때, 한 분자의 H2O
가 필요함


⋅아세틸 CoA로부터 말로닐 CoA가 생성되고, 아세틸 CoA와 말로닐 CoA로부터 지방산이 생성
되는 전체 반 응식을 팔미트산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이 일어남
2) 지방산 생합성의 조절 (1)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효소(ACC)의 조절
⋅ACC는 지방산의 생합성에서 속도조절단계에 작용하는 효소
⋅다른자리입체성(알로스테릭)조절
- 구연산은 ACC의 활성증가
- 효소 활성 최대 속도를 증가시킴
- 효소 활성 억제제의 결합을 막고, 중합체가 형성 되도록 함
⋅미토콘드리아 내의 아세틸 CoA의 농도 증가 → 세포질 내의 구연산의 농도 증가
→ 지방산 생합성 증가
⋅지방산 합성 과정의 산물인 긴 사슬 아실 CoA는 ACC의 활성을 억제함
⋅인산화에 의한 조절
- ACC는 인산화가 되면 불활성화가 되고, 탈인산화가 되면 활성형이 됨 → 호르몬에 의해 조절
- ACC를 인산화 시키는 호르몬 : 글루카곤, 에피네프린, AMP에 의해 활성화되는 키나아제(AMPK)
- 세포 내에너지가 낮아짐 → AMPK 활성화 → ACC 인산화 → ACC 활성감소 → 지방산 합
성 감소
(2) 지방산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 조절
⋅ACC와 FAS의 발현은 호르몬, 열량 섭취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
⋅고당질식을 장기간 섭취 → 지방산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양이 간에서 증가
⋅열량이 적은 식이섭취, 기아 시, 다가 불포화지방산 섭취 시 → 효소들의 양 감소
3) 지방산의 연장과
불포화지방산의 합성
(1) 지방산의 연장
⋅세포질에서 지방산 합성효소(FAS)에 의한 반응에서 생성되는 것은 탄소 16개의 팔미트산임
⋅탄소 16개보다 더 긴 지방산
→ 팔미트산에 탄소 2개씩을 덧붙이는 반응에
→ 활면소포체, 미 토콘드리아에서 장쇄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일어남
활면소포체 : 탄소 2개가 말로닐 CoA와의 탈탄산반응에 의해 공급
→ 지방산 생성효소의 반응과 유사
미토콘드리아 : 직접 아세틸기가 더해짐 → 지방산의 β-산화의 반대과정과 비슷
(2) 불포화지방산의 합성
불포화지방산의 생성은 소포체의 막에서 탈포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포화지방산에 이중결합이
만들어져서 일어남
Δ9-, Δ6-, Δ5-, Δ4-지방산 아실 CoA 탈포화효소가 있으며, C9 위치 이 후에는 이중결합을
만들 수가 없음
올레산(18:1 .9)의 합성은 가능, 리놀레산(18:2 .9,12 )의 합성은 불가능
식사로부터 섭취한 리놀레산과 α-리놀렌산은 장쇄화효소와 탈포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리놀레산 → γ-리놀렌산과 아라키돈산으로 전환될 수 있음
α-리놀렌산 → EPA와 DHA로 전환될 수 있음

5. 복합지질의 대사
복합지질은 골격구조에 지방산공유결합된 것
글리세롤지질(글리세롤 골격구조), 스핑고지질(스핑고신 골격구조)
생물체에 의해 합성 or 섭취한 대부분의 지방산은 에너지 저장을 위한 중성지방으로 되거나
세포막 인지질 구성성분으로 결합됨
생물체의 빠른 성장 동안 새로운 막의 합성 → 막인지질의 생성을 필요로 함
활발하게 성장 X, 지방산 공급이 많을 때 → 대부분 지방으로 저장
두 경로(글리세롤인지질, 트리아실글리세롤)는 공통의 중간대사물, 즉 글리세롤의 지방 아실 에
스테르의 생성
으로부터 시작함

1) 글리세롤지질의 생합성 해당과정의 대사산물인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인산(DHAP)로부터
글리세롤 3-인산이 생성됨
(1) 중성지방(트리아실글리세롤, triacylglycerol)의 생합성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인산(DHAP) 또는 글리세롤로부터 글리세롤 3-인산이 생성됨
글리세롤지질 생합성의 첫 번째 단계 : 글리세롤 3-인산의 2개의하이드록시기 + 2분자의 지방산 아
실 CoA
→ 다이아실글리세롤 3-인산
(포스파티드산)을 생성함
포스파티드산은 세포에 소량만 존재하지만 지질 생합성에서 중요한 중간물질로서 중성지질이나 글리
세롤인지질로 전환될 수 있음
포스파디트산은 세포에 소량만 존재하지만 지질 생합성에서 중요한 중간물질로서 중성지질이나
글리세롤인 지질로 전환될 수 있음
포스파티드산 → 다이아실글리세롤이나 CDP-다이아실글 리세롤로 전환 → 이로부터 모든 글리
세롤인지질 합성
중성지방 → 주로 지방조직, 소장에서 합성되고 주요 에너지 저장물질로서 작용함
식사로부터 온 중성지방 : 리파아제에 의해 → 2-모노아실 글리세롤로 분해 → 아실화반응
촉매하는 아실전이효소에 의해 → 새로운 중성지방이 합성됨

※ 탈포화효소 : 비헴철(non-heme iron)을 가지고 있는 막효소, 전자전달계 시스템의 일부

(2) 글리세롤인지질(glycerophospholipid)의 대사
① 글리세롤인지질의 생합성
포스포파티딜에탄올아민(PE)의 생합성 :
에탄올아민의 인산화 포스포에탄올아민 형성 → CTP로부터 시티딜기 이동에 의해
→ CDP-에탄올아민, 피로인산(PP) 생성 → 포스포에탄올아민 전이효소에 의해
→ 포스포 에탄올아민을 다이아실글리세롤 골격에 연결
⋅포스파티딜세린(PS)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에탄올아민 세린으로 교환하는 반응에
의해 생성됨
⋅포스파티딜콜린(PC)의 생합성 :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생합성과정과 유사함
이 경로에서 필요한 모든 콜린은 식사로부터 얻어져야 함

2) 글리세롤 인지질의 분해
모든 조직과 체액에서 발견되는 포스포리파아제에 의해 글루세롤인지질의 포스포다이에스터 결
합을 가사분 해하여 이루어짐
포스포리파아제의 종류에 따라 인지질 내에서 가수분해되는 부위가 다름
글리세롤인지질의 1번 또는 2번 탄소로부터 지방산이 떨어져 나가면 리소포스포글리
세리드 생성(리소포스포 리파아제의 작용을 받게 됨)
포스포리파아제의 작용에 의해 전령으로 작용하는 물질(다이아실글리세롤, 이노시톨
1,4,5-삼인삼) 또는 전 령의 전구체 물질(아라키돈산, arachoidonic acid)이 방출됨

3) 스핑고지질의 대사
(1) 스핑고지질의 생합성
스핑고지질은 신경조직에 고농도로 존재
세라마이드(ceramide)는 모든 다른 스핑고지질의 기본 골격
(예. 스핑고미엘릮: 포스포콜린 + 세라미드)
(2) 스핑고지질의 분해
리소좀 효소인 스핑고미엘린 가수분해 → 포스포릴콜린을 제거 → 세라미드로 변함
세라미드 + 세라미드 분해효소 → 스핑고신 + 유리지방산으로 분해
세라미드 :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관여
스핑고신 : 단백질 키나아제 C의 활성을 억제함


<개념확인문제>
문제 1. 다음 화합물 중 케톤체(ketone body)에 속하는 물질은? [2016년_27번]
가. 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나.아세톤 다.아세토아세트산 라.옥살로아세트산
① 가, 나, 다, 라
② 가, 나, 다
③ 가, 다, 라
정답 ② ④ 나, 다, 라

문제 2. 다음 화합물 중 케톤체(ketone bod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17년_28번]
① 하이드록시부티르산, 아세토아세트산, 아세톤 등이 있다.
② 아세톤은 혈액을 통해 다른 조직으로 이동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③ 케톤체의 생성은 신장에서 이루어진다.
정답 ① ④ 보통 체내 포도당이 충분할 경우에 다량 생성된다.

문제 3. 스테아르산은 탄소수가 18개인 포화지방산이다. 이 스테아르산이 완전히 산화될 때 몇 회의 β-산
화과정과 몇 개의 아세틸 CoA가 구연산회로를 통과하며, 결국 최종 생성되는 ATP의 개수는
몇 개인지 순서대로 표시한 것은? [2016년_2번]
① 9 - 8 - 120
② 8 - 9 - 120
③ 9 - 8 - 150
정답 ② ④ 8 - 9 – 150

문제 4. 중성지방을 완전히 가수분해하면 1 분자의 글리세를과 ( ) 분자의 지방산을 얻는다. 다음 중 괄
호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 [2017년_8번]
정답 ① ① 3 ② 4 ③ 5 ④ 6

문제 5. 중성지방을 완전히 가수분해하면 ( A ) 분자의 글리세롤과 ( B ) 분자의 지방산을 얻을 수 있다.
A와 B를 더하면? [2018년_25번]
정답 ② ① 3 ② 4 ③ 5 ④ 6

문제 6. 콜레스테롤 합성의 중간 물질로만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 [2016년_6번]
① HMG CoA, 메발론산, 스쿠알렌
② 아세틸 CoA, 피루브산, 스쿠알렌
③ HMG CoA, 메발론산, 세라미드
정답 ① ④ 아세틸 CoA, 피루브산, 세라미드

문제 7. 지방산 산화의 첫 단계인 지방산의 활성화는 미토콘드리아 밖에서 일어난다. 이후 더욱 산화되기 위해
서는 미토콘드리아 안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이 때 필요한 운반체(carrier)로 옳은 것은?[2018년_14번]
정답 ② ① 오르니틴 ② 카르니틴 ③ 시트룰린 ④ 크레아티닌

문제 8. 다음은 A라는 물질이 합성될 경우에 나타나는 그 중간 물질들을 나열한 것이다. A라는 물질은
다음 중 무엇인가? [2017년_6번]
HMG CoA, 메발론산, 스쿠알렌
① 글리코겐 ② 헤모글로빈
정답 ③ ③ 콜레스데롤 ④ 비타민 C

문제 9. 지방산의 연장, 장쇄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세포질에서 지방산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된 스테아르산으로부터 시작한다.
②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아세틸기가 직접 더해져 지방산의 베타산화의 반대과정과 유사하다.
③ 활면소포체에서는 탄소가 3개씩 더해진다.
정답 ② ④ 미토콘드리아와 활면소포체에서 일어나는 연장과정은 동일하다.

문제 10. 다음 중 지방산의 생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지방산 생합성을 통해 8~12개의 사슬길이를 가진다.
㉯ 말로닐 CoA를 통해 지방산 사슬이 2탄소 단위씩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과 정이다.
㉰ 지방산 환원반응의 환원제로 NADH가 사용된다.
㉱ 아세틸 CoA의 카르복실화 반응으로 말로닐 CoA가 생성된다.
정답 ③ ① ㉮㉯㉰ ② ㉮㉰ ③ ㉯㉱ ④ ㉮㉯㉰㉱

문제11. 지방산 산화의 첫 단계는 미토콘드리아 밖에서 일어나며, 더 산화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안으
로 들어가야 한다. 이런 이동은 특별한 운반계에 의해 일어나는데, 이 이동에 필요한 물질로 옳은
것은?
정답 ③ ① 크레아틴 ② 오르니틴 ③ 카르니틴 ④ 담즙산

문제12. 탄소수가 18개인 스테아르산 지방산이 β-산화과정을 통해 최종생산물 아세틸-CoA로 될 때, 몇
개의 아세틸-CoA가 생성되는가?
정답 ④ ① 1개 ② 3개 ③ 5개 ④ 9개
문제13. 다음 중 지단백질 밀도의 수치와 동맥경화와 관련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 HDL의 상승 ㉯ HDL의 저하 ㉰ LDL의 하강 ㉱ VLDL의 상승
정답 ③ ① ㉮㉯㉰ ② ㉮㉰ ③ ㉯㉱ ④ ㉮㉯㉰㉱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