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9. 형태 재인 모형

롤라❤️ 2023. 3. 17. 14:11
반응형

9. 형태 재인 모형

1) 지각에 대한 상향하향적 접근에 대한 이해
(1) 게슈탈트 심리학자들
○ 각 개별 실체 < 전체(형태, 패턴)를 지각한다고 주장하는 것일까?

상향이론(bottom up theory) 하향이론(top-down theory)
- 지각의 하위 단계인 물리적인 자극
(예: 형태나 패턴)수준에서 시작해 조직화
원리나 개념과 같은 상위 수준 인지과정까지
다루는 접근법
- 상향적 접근 = 직접적 지각을 의미
- 형판이론, 원형이론, 세부특징이론, RBC
이론 등
 -머릿속 기억하고 있던 지식이나 지각과
관련된 기대가 지각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시각 자극과 같은 하위 감각 정보 처리로
이어지는 과정을 강조
- 미리 예상하고 있는 것이 중요 → 어떤
사물을 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면 실제
그 사물이 없더라도 혹은 그 사물이 사라진
뒤에도 대상을 보게 됨
- 예: 어떤 장소에서 친구를 만나기로 했다면
그 친구와 약간 비슷한 사람만 나타나도 그
친구를 본 건 아닌지? 하고 착각

 

(2) 상향적 접근은 직접적 지각이다.

○ 옆 사진을 보고 대부분 THE CAT 으로 해석할 것임
○ 그런데 H 랑 A 가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어떻게 우리는 H와 A로 해석했던 것일까?
- [상향적 접근적 해석]:
- 생물학적으로 맥락정보에 자동적으로 반응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감각 수용기에 들어오는
정보들(맥락도 포함)만 사물을 지각하는 데 필요할 뿐, 상위 인지과정은 필요 없다고 주장함
- 지각이 일어나기 위해서 다른 추가적인 지식이나 고차원적 사고가 없어도 지각적 맥락 정
보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입장


(3) 하향적 접근은 구성적 지각이다

○ 운전하다가 이라는 표지판을 봤다면? O 가 빠져있음을 알 수 있음
- [하향적 접근적 해석]:
- 우리 해석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주장함 (놓여진 상황, 맥락, 지식 등)

 

2) 형판(Template)이론
○ 인간 형태 재인은 [망막에 맺힌 영상] - [기억 속 저장된 형판]과 비교해보면서 [입력된
영상] - [동일한 형판]이 발견되었을 때 대상 인식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이론
○ 개개인 나름대로 틀을 갖고 있으며 사람들이 형태를 비교할 때 자신이 갖고 있는
형판(template)이 있다고 가정하는 이론
○ 자신이 갖고 있는 형판과 가장 많이 겹치는 것을 찾아내서 형태를 구분한다
- 예1) 지문 감식에서 지문 식별을 위한 형판이 사용
- 예2) 수표번호 감식하는 기계도 인쇄된 숫자들을 형판과 비교하는 원리에 따라 작동됨
- 예3) 물건 구입할 때 바코드로 상품 식별하는 경우
- 만일 이 이론에 기반하여 시스템화(컴퓨터화) 시키게 된다면 입력되는 영상의 위치, 크기,
방위만 달라도 사물 재인에 실패함
○ 장점: 변별을 빠르게 할 수 있음
○ 단점: 각각 형태를 분별하기 위해 수많은 형판들이 머리속에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모든
것을 다 기억하며 살 수가 없음(예: 모든 사람들의 얼굴표정을 다 기억하는 건 불가능)


3) 원형 모형
○ “사과를 떠올려보세요~”→ 머릿속 떠오르는 사과 모양을 원형(prototype)이라 함
○ 원형: 그 범주를 대표할 만한 가장 ‘전형적, 적절한, 중심적, 이상적’인 보기
○ 대상의 이상적인 형태인 원형이 저장되어 있으면 입력된 자극을 보고 그 원형과 대조되어
형태 재인이 발생한다고 보는 이론
○ 입력된 자극과 내가 가진 원형이 어느 정도 일치하게 되면 형태 재인이 일어난다고 보기
때문에 적은 수의 원형 표본을 가지고도 형태 재인을 할 수 있다는 효율성이 있음
○ 반드시 입력된 자극이 원형과 똑같이 일치할 필요가 없음 ⇒ (형판이론과의 큰 차이점)

- 왼쪽 원형적 패턴을 학습시키고 오른쪽 삼각형 왜곡 정도에 따라 원형 패턴을 봤는지
유무를 확인해본 결과, (완벽한 삼각형 형태는 아니더라도) 원형에 가까울수록 삼각형을 봤다고 인지함
- 유사 실험 자극들: 몽타쥬 사진과 실제 인물사진을 유사정도 %를
변경시켜서(0%-25%-50%-75%) 제시해봐도 원형과 유사할수록 실제 인물을 봤다고
지각할 확률이 높음

 

4) 세부 특징 모형
○ (하나의 사물이 전체적 하나의 단위로서 인식되는 형판이론이나 비슷하게 일치되면
인식되는 원형이론과는 다르게) 어떤 사물 한 패턴의 세부 특징이 우리 기억 속 세부
특징과 일치할 때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모형
○ 특정 대상이 가지고 있는 수직선이나 수평선, 곡선 등과 같은 단순한 기하학적 세부특징들에
대한 분석이 먼저 일어나고 → 분석된 세부특징들 간 관계파악 후 → 형태 재인 발생
○ 글자 재인할 때, 각 낱자의 세부특징들이 먼저 분석되므로 세부 특징이 유사한 낱자들 간
잘못 재인될 가능성 높음

[참고]
- 각 낱자들의 혼동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하는 방법
- 1단계: 임의적으로 2개 낱자를 뽑아서 동일한 것인지 판단하게 한 후 (i,j), (ㄱ,ㅎ)→
판단시간을 측정함
- 2단계: 각각 1개 낱자 제시(i와 j를 따로 제시 or ㄱ과 ㅎ을 따로 제시) → 그 낱자가
무엇인지 보고하게 함
- 만약, 1단계와 2단계 간 판단 시간 차이가 너무 많이 날 경우 혼동이 많음
- 판단시간 차가 많이 나지 않고 비슷하다면 혼동이 적음

○ 단순하게 세부 특징을 비교만해서 사물이나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음
- 세부특징 가지고 ‘ㅈ’과 ‘A’를 구분할 수 없음
○ 따라서 2개 이상 세부특징들의 조합 혹은 ‘구조적 기술’에 반응하는 탐지자가 필요함
- 구조적기술: 사물의 부분들에 대한 공간적 배열에 대한 정보
- ㅈ의 구조적 기술: 2개 서로 다른 방향의 대각선이 위에서 만나고 그 만나는 지점 중앙에
수평선이 있는 상황
○ 구조적 기술을 이용하여 세부특징분석 했을 시 장점
① 사물이나 문자 인식 할 때 별로 중요하지 않은 특징들(예:글씨 선분길이) 무시 가능
② 입력되는 시각적 자극들이 2차원 상 회전되어 입력되는 경우에도 이들을 인식할 때 별
문제 없음
③ 사람의 얼굴이 실제 모습과 달라도 그 사람을 인식하는 데 유용하게 쓰임
- 예: 포토샵을 많이 한 사진일지라도 내가 아는 사람 얼굴이면 그 사람인지 파악이 가능,
연예인 캐리커처 사진을 봐도 누구인지 알 수 있음
○ 세부 특징 간 차이만 구분할 뿐만 아니라, 종류가 다른 세부 특징들을 분별해내기도 함
- 국지 세부 특징: 한 패턴 안에 포함된 작은 규모의 구체적인 요소들

전역 세부 특징 =
국지 세부 특징

전역 세부 특징 ≠ 국지 세부특징
w 일반적으로 순간 H로 보게 되지, S로 보게 되지는
않음→ 전역 정보가 눈에 두드러짐
w 일반적으로 서로 모여 있으면 전역 정보와 국지
정보의 일치 여부는 중요하지 않음
w 앞 그림에서 보다 더 S로 지각하는게 빠름
w 좀 떨어져 있으니 국지 정보가 더 쉽게 지각됨
w 전역 정보를 파악하려 할 때 국지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더 힘듦(국지 자극이 전역 자극의
재인을 방해하기 때문)

- 전역 선행 효과: 전역 정보와 국지 정보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고 있을 때, 국지 정보보다
전역 정보가 더 눈에 띄는 효과를 전역 선행 효과라고 함
- 국지 선행 효과: 전역 정보와 국지 정보가 넓게 포진하고 있을 때는 국지 정보가 더 눈에
띄므로 국지 선행 효과라고 함


5) RBC 모형 ※ RBC = Recognition by Components 요소에 의한 재인
○ (형판 이론, 원형 모형, 세부 특징 모형은 2차원을 대상으로 했다면) RBC 모형은 3차원
대상 재인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
○ RBC 모형의 기본 가정: 3차원 대상 지각도 (세부특징모형처럼) 기본적인 구성요소들로 묘사
가능하나, 세부특징이 선이나 각도가 아님
- RBC 모형에서 세부특징: 원기둥, 원뿔, 사각기둥 등 부피가 있는 3차원 기하학적
형태들임(=지온)
- ‘지온’= 세부특징 = 기하학적이고 입체적인 단위
- 지온들을 조합하여 사물을 파악함

○ 35개 기본 지온으로 세상의 모든 물체 묘사가 가능하며 지온을 복구하고 지각함으로써
대상을 재인할 수 있다고 봄
- 사물을 구성하고 있는 지온 및 그 관계들이 파악된 후, 장기 기억에 있는 표상들이
대조를 통해 형태를 재인함

 

6) 상향적 지각 방식에 대한 반발
RBC 모형 연구과정 중 이뤄진 특별한 실험

- 하나 사물을 여러 개 나누어 분할해서 제시했을 때 2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제시해봄
- 조건1.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분할된 부분 조각들로 제시  판단시간 체크
- 조건2. 부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분할된 부분 조각들로 제시  판단시간 체크
- 결과: 조건1과 조건2 판단시간이 비슷함
- 해석: RBC모형 주장이 맞다면 조건1 판단 수행이 조건2 보다 빨라야 함
▶ 조건1과 조건2의 판단시간이 유사하다는 것은 우리가 사물 인식할 때 전체 모양을 먼저
보고 그 후에 부분을 처리함을 시사하는 것임(하향적 처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