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증시 테마시황 -
▷ 국내 증시가 상승한 가운데, 테마별로도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삼성전자가 美 버라이즌과 7.89조원 규모 5G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하면서 #5G, #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그린뉴딜 모멘텀 지속 및 태양광·풍력 저리 지원 소식 등에 풍 력/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했고, 전선, 전력설비, 수소차 등의 테마도 한국판 뉴딜 수혜 기대감 지속 등으로 상승. 한국거래소, 탄소효율 그린뉴딜지수 개발 계획 모멘텀 지속으로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도 상승. 수젠텍의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 美 FDA 긴급사용승인 소식 등으로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도 상승. 허리케인 여파에 따른 美 화학설비 가동 차질 장기화 수혜 기대감 등으로 석유화학 테마도 상승. 中 OLED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OLED 테마도 상승. 이 외에 탄소나노튜브, 조 선기자재,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철도, 지능형로봇/인공지능, 건설기계,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지난 주말 美 주요 기술주 약세 속 나스닥지수 1%대 하락 영향 등으로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했고, 2차전지(생산) 테마도 하락. 이스타항공 정리해고 소식과 아시아나항공 노딜 우려 등으로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도 하락. 이 외에 코로나19(나파모스타트), 정유, 보톡스, 자 동차 대표주, 코로나19(덱사메타손)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
"삼성전자, 美 버라이즌과 7.89조원 규모 5G 장비 공급계약 체결에 상승."
▷삼성전자는 종속회사인 Samsung Electronics America, Inc.가 Verizon Sourcing LLC와 7.89조원 규모 무선통신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 이번 계약으로 삼성전자는 버라이즌에 5G 이동통신 장비를 포함한 네트워크 솔루션을 5년간 공급할 예정임.
▷이 같은 소식에 삼성전자를 비롯해 #기가레인, #에프알텍, #에치에프알, #피피아이 등 5G(5세대 이동통신)/통신장비 테마가 상승.
- 풍력에너지/태양광에너지 -
"그린뉴딜 모멘텀 지속 및 태양광·풍력 발전사업 저리 지원 소식 등에 급등."
▷최근 문재인 정부가 향후 5년간 정책금융에서 100조원, 민간금융 에서 70조원을 투입해 한국판 뉴딜 프로젝트와 기업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히며, 풍력 에너지/태양광에너지 등 그린뉴딜 관련주의 모멘텀을 키운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는 전일 언론을 통해 마을주민이 재생에너지 발전소 주주 등으로 참여해 발전수익을 공유하는 국민주주프로젝트 사업을 7일부터 공고하고, 융자 신청을 접수받는다고 밝힘. 이에 따라 500kW 이상 태양광·500kW 이상 풍력 발전소 주변 읍·면·동에 1년 이상 주 민등록이 돼 있는 주민이나, 5인 이상의 마을기업이 발전사업에 참여를 희망할 경우 투자금의 최대 90%를 장기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게 됐음.
▷언론에 따르면, 한국석유공사는 울산시와 함께 동해가스전 시설을 활용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짐. 최근 사업 타당성 확인을 위한 내부 분석 작업을 마쳤으며, 이번 주중 설비 기업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으로 전 해짐.
▷이 같은 소식에 #세진중공업, #삼영엠텍, #우림기계, #우리기술 등 풍력에너지 테마와 #유니테스트, #신성이엔지, #에스에너지, ₩OCI 등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한편, 흥국증권은 금일 보고서를 통해 PSC 텐덤 태양전지가 2022년부터 급속히 늘 어나 2025년에는 신규 태양전지의 80%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 한화솔루션의 PSC OP 1.4조원이 가능한 이유는 글로벌 PSC 시장이 2025년까지 매출액 43.4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현재의 10%의 M/S 유지, OPM 33% 가정에 기인한다고 설명.
- 코로나19(진단키트) -
"수젠텍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 美 FDA 긴급사용승인 소식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수젠텍의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 'SGTi-flex IgG'가 美 국립암센터(NCI) 성능평가를 통과해 국내 최초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았다고 밝힘.
▷수젠텍의 코로나19 항체 신속진단키트는 FDA 승인 과정에서 진행된 NCI 성능평가에서 민감도 97%와 특이도 100%를 기록해 美 FDA승인 기준점을 뛰어넘었으며, 美 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항체 신속진단키트는 현재 수젠텍 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13개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국내 신속진단키트는 수젠텍 제 품이 유일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수젠텍, #바디텍메드, #디엔에이링크, #피씨엘, #랩지노믹스 등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가 상승.
- 석유화학 -
"허리케인 여파에 따른 美 화학 설비 가동 차질 장기화 수혜 기대감 등으로 상승."
▷대 신증권은 금일 보고서를 통해 美 허리케인 로라에 따른 유틸리티 문제 발생으로 루이지애나 레이크찰스 소재 화학 설비들의 가동 차질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설명. Sasol, Westlake, CP Chem 등의 업체들이 불가항력(Force Majeures)을 선언했고, 해당 지역에 위치한 롯데케미칼의 ECC도 가동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밝힘. 제품별 가동 차질 규모(글로벌 수요 대비)는 #MEG 7%, #에틸렌 4%, #LDPE 3%, #PO 3%, #PVC 2%, #PP 2%, #LLDPE 2% 등으로 추산.
▷제품별 수혜 종목으로는 #에틸렌/MEG #대한유화, LDPE #한화솔루션, PO SKC/S-Oil, PVC #한화솔루션/LG화학 등이라고 설명. 에틸렌/MEG 강세는 롯데케미칼 도 수혜 가능하나 미국 공장 가동 중단을 고려하여 List에서는 제외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금일 #대한유화, #효성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등 석유화학 테마가 상승.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
"中 OLED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0년 中 BOE의 Flexible OLED 패널 출하량이 전년대비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라며, 이에 국내 OLED 소재, 부품 업체들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으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이와 관련, 향후 중국 업체들의 Flexible OLED 패널 양산이 본격화될 경우 OLED와 공정용 Chemical 소재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에 금일 #케이맥, #아바코, #엘오티베큠, #뉴파워프라즈마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