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신경계
01 구조와 기능
1. 중추 신경계(CNS)
1) 뇌
(1) 대뇌
전두엽 | •기억력, 집중력, 사고력 주관 ▶ 고위 인지기능 •1차 운동영역: 운동피질, 복잡하고 학습된 무의식 적 긴장이나 운동을 조절하고 통합 |
브로카 영역(Broca’s area) |
•운동성 언어영역(motor speech area) •손상 시 단어의 뜻을 알아도 말을 할 수 없게 됨 |
||
두정엽 | 체감각 피질 및 감각연합영역 존재 ▶ 감각신호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능 | |
측두엽 | 청각중추 존재 ▶ 청각정보 처리 담당 |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
•언어이해 영역(sensory speech area) •손상 시 언어의 뜻을 이해할 수 없게 됨 |
||
후두엽 | 시각중추 존재 ▶ 시각정보 처리 담당 | |
변연계 | 감정과 행동, 욕망 등의 조절, 기억에 관여 |
(2) 간뇌: 시상과 시상하부, 뇌하수체로 구성된 신경 복합체로, 대뇌와 중뇌 사이에 위치
(3) 뇌간: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줄기 역할을 하는 부위로, 12쌍의 뇌신경 중 10쌍의 뇌신경이 뇌간에서 나옴
① 중뇌: 몸의 평형(자세) 유지
② 교뇌(뇌교): 흡식중추, 호흡조절 중추 위치 ▶ 연수와 함께 호흡조절 역할
③ 연수: 뇌와 척수 연결,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율신경 기능 집약
▶ 호흡·순환 중추, 연하·구토·딸꾹질 중추, 반사중추
(4) 소뇌: 대뇌의 기능을 보조하여 자발적 운동의 조절과 평형을 유지하는 부위로, 대뇌와 척수 사이 위치
2) 척수
(1) 척추 내에 위치하는 중추신경의 일부분으로, 뇌와 말초신경의 중간다리 역할을 함 ▶ 감각, 운동신경 모두 포함
(2) 연수에서 L1~2에 위치 ▶ 요추천자 시 L3~4, L4~5사이(척수손상 막기 위해)
2. 말초 신경계(PNS)
1) 뇌신경(CN) ▶ 12쌍
tip) 뇌신경 외우기
후시동활/삼외안/청설미부설, 후시동활/심외안청/설미부설
2) 척수신경 ▶ 31쌍
척수에서 밖으로 나오는 가지 모양의 신경으로, 척수 수준에 따라 명명되고 숫자로 매겨짐
경신경(cervical nerve) | 8쌍(경추는 7개) | 목과 상지의 횡격막, 늑간 관장 |
흉신경(thoracic nerve) | 12쌍 | 흉강과 복부 관장 |
요신경(lumbar nerve) | 5쌍 | 하지와 복부 관장 |
천신경(sacral nerve) | 5쌍 | 하지 관장, 요로계와 장 조절 |
미신경(coccygeal nerve) | 1쌍 |
02 신경계 기능 사정
1. 의식수준
1) 지남력
시간(time), 장소(place), 사람(person)에 대한 인식
2) 의식수준 5단계
명료(alert) | 정상적인 의식 상태 ▶ 시각·청각·기타 감각에 대한 자극에 적절한 반응을 즉시 보임 |
기면(drowsy, lethargy) | 졸음이 오는 상태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완전 ▶ 반응을 보기 위해서는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함 |
혼미(stupor) | •계속적인 강력한 자극(큰소리, 밝은 광선, 자극)을 주면 반응을 나타냄 •통각 자극에 어느 정도 피하려는 듯한 의도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함 |
반혼수(semicoma) | •자발적인 근육의 움직임은 거의 없음 •고통스러운 자극 주었을 때 어느 정도 피하는 반응 보임 ▶ 아픈 자극에 대한 반사반응 |
혼수(coma) | •모든 자극에 반응 없음 ▶ 무의식 상태 •뇌의 연수는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빛에 대한 동공반사는 존재 |
3) Glasgow Coma Scale(GCS)
(1) 개안, 언어, 운동의 3가지 평가항목에 대해 환자의 반응을 단계적으로 나눠 평가점수의 합계에 의해 의식장애의
중증도를 평가
15점: 정상적인 의식상태(alert)
7점 이하: 일반적인 혼수상태
3점 이하: 완전한 혼수상태(deep coma)
점수 | 내용 | |
눈뜨기(E) ▶ Eye opening response |
4 | 자발적으로 눈을 뜸(spontaneously) |
3 | 소리에 의해서 눈을 뜸(to verbal) | |
2 | 통증에 의해서 눈을 뜸(to pain) | |
1 | 반응 없음(no response) | |
언어반응(V) ▶ Verbal response |
5 | 지남력 있음(oriented) |
4 | 혼돈된 대화(confused) | |
3 | 부적절한 언어(inappropriated sounds) | |
2 | 이해할 수 없는 언어(incomprohensive sound) | |
1 | 반응 없음(no response) | |
운동반사반응(M) ▶ Motor response |
6 | 지시에 따름(obey commend) |
5 | 통증에 국소적 반응(localize to pain) | |
4 | 자극에 움츠림(withdraw from pain) | |
3 | 이상 굴절 반응(abnormal flexion) | |
2 | 이상 신전 반응(abnormal extension) | |
1 | 반응 없음(no response) |
(2) score 예시
2. 고위 대뇌 기능 ▶ 언어능력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
원인 전두엽의 Broca’s area의 이상 | 측두엽의 Wernicke’s area의 이상 |
증상 언어표현을 제대로 할 수 없음 |
자발성 언어 유창, 어휘 풍부 |
타인의 말을 제대로 이해함 | 이해력이 떨어짐 |
이야기나 단어를 알고 쓰거나 볼 수 있지만 단지 그 단 어를 발음할 수 없음 |
•언어와 어휘가 유창하지만 조리없는 말을 함 •자신이 틀리게 말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함 |
간호 중재 •일상적인 단어를 반복 연습 •단답으로 대답할 수 있도록 질문 •환자가 표현할 때까지 차분하게 기다림 |
•간단한 문장을 사용 •몸짓, 손짓, 접촉방법 함께 사용함 |
3. 소뇌 기능
1) 자세
(1) Romberg 검사: 두 발을 모은 채 눈을 뜨고 똑바로 서 있을 수 있는지 확인한 후 눈을 감고 똑바로 서 있게 함
(2) 일자로 서기(tandem standing): 일자로 서서 눈을 감음
2) 보행
(1) 발뒤꿈치나 발끝으로 걷게 함(heel and toe walking)
(2) 일자 걷기(tandem gait): 일자로 뒤꿈치를 앞꿈치에 붙이고 걷게 함
3) 조정력
검지-코 검사 (finger-to-nose test) |
대상자의 코와 검진자의 손가락 사이를 집게손가락으로 빨리 왔다 갔다 하도록 함 |
빠른 교대 운동 (rapid alternating movement) |
대상자의 손을 회내, 회외 시키면서 가능한 빨리 양손으로 무릎을 번갈아 치도록 함 |
발꿈치-정강이 검사 (heel-to-shin test) |
발뒤꿈치로 무릎부위를 친 후 정강이를 따라 내려가게 함 |
편위검사 (past-pointing test) |
눈감고 팔을 들었다 내렸다 반복시킬 때 편위되는지 확인 |
반동현상 (rebound phenomenon) |
손목의 저항에 대해 잡아당기다가 저항이 없어질 때 잡아당기는 것이 바로 멈추는지 확인 |
4. 반사 사정
1) 심부건 반사(DTR)
반사해머로 건을 빠르게 쳐서 근육이 수축되는지 보는 검사로, 평균 2+가 정상
2) 병적 반사
(1) 바빈스키 반사(족저 반사) 양성: 엄지발가락이 발등 쪽으로 굽고 나머지 발가락은 부채처럼 펼쳐짐
cf 영아기에 정상 ▶ 성인에서 발생 시 추체로의 병변 때문
(2) 발목 간대성 경련 반사
03 신경계 환자 간호
1. 두개내압 상승(IICP)
1) 정의
(1) 두개내압(ICP): 뇌조직, 뇌척수액, 두개 내 혈액으로 이루어진 두개골 내의 압력으로, 정상 압력은 5~15mmHg
(2) 두개내압 상승(IICP): 두개내압이 20mmHg 이상
(3) 신경외과 환자의 주요 사망원인
2) 원인
두부손상, 뇌졸중, 뇌종양, 뇌수종, 뇌부종 및 이로 인한 뇌탈출, 대사장애, 중추신경계 감염 등
3) 증상 ▶ 뇌간의 기능부전
(1) 의식수준 변화(가장 초기 증상)
(2) 활력징후 변화
① 뇌간 연수의 압력 증가로 인함 cf Morphine sulfate는 연수기능을 저하시키므로 IICP 환자에게 금지
② 쿠싱 3대 증상(Cushing triad): 맥압의 증가, 불규칙한 호흡(cheyne stokes 호흡, 실조성 호흡), 서맥
(40~60회/min)
③ 고체온증(후기증상)
(3) 빛에 대한 동공반사 변화: 동공 무반응 → 유두부종(중심망막 정맥에 압력 가해져 울혈) → 양측 동공 확대
(4) 두통 ▶ morning headache
(5) 오심 없는 투사성 구토
(6) 제뇌피질자세(굴곡), 제뇌경직자세(신전), 경련(대발작 형태), 바빈스키 반사(+)
4) 치료
(1) 외과적 치료
① 내감압술, 외감압술(두개골 절제술)
② shunt: 과량의 뇌척수액 제거위해 복막강이나(복막-뇌실 측로술; V-P shunt) 우심방(뇌실-심방 측로술;
V-A shunt)에 통로 만듦
(2) 내과적 치료
① 과호흡 유도 ▶ 고탄산증, 저산소증 예방
② 수분 제한, 고장액(삼투에 의해 두개강 내 수분제거), 삼투성 이뇨제(mannitol) 투여
③ Steroid ▶ 혈관성 부종 조절
④ 변완화제 ▶ 변비로 인한 valsalva maneuver 예방
⑤ 항경련제 예방적 투여
5) 간호중재
두개내압의 상승 예방 |
•15~30° 정도 침상머리 상승 ▶ 정맥순환계로의 유입량 증가 •등척성 운동, 과도한 굴곡이나 긴장, 기침, 구토, 배변 시 힘주는 것(Valsalva 수기) 피함 •변완화제 투여 cf 관장이나 하제 금지 •Corticosteroid 투여: 혈관성 부종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 •저체온 요법 ▶ 뇌의 신진대사 감소 위함 •불안, 초조 예방하고 조용한 환경 제공 |
호흡 유지 | •기도개방 유지, 측위 취하고 머리 약간 상승 •과도환기 시켜 뇌혈관 수축 → 뇌혈량 감소 ▶ 두개내압 감소 유도 •기도청결, 흡인은 10초 이내로 짧게, 100% 산소 주고 시행 ▶ 흡인은 일시적 두개내압 상승 유발 |
체액 균형 유지 | •수분섭취 제한 •삼투성 이뇨제(Mannitol) 투여 cf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발생 위험 있으므로 확인 •I/O 측정, 전해질 불균형, 요비중 관찰 |
진통제 | 두통이나 체온 상승 시 비마약성 진통제 사용 ▶ 마약은 증상 가리므로 사용 제한 |
감염예방 | 뇌실 내 도관 삽입한 경우 뇌막염 증상 사정 |
손상 방지 | •침대 낙상 예방: 억제대는 신중히 사용, 침대난간에 패드 적용 •조용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 |
2. 무의식 환자 간호
1) 기도 유지
(1) 즉각적인 기도 청결, 목 주위의 옷을 느슨하게 해줌
(2) 기도유지 위해 인공기도 삽입, 기관내 삽관, 필요시 인공호흡기 → 장기화되면 기관절개술 필요
(3) 체위: 측위, 심스체위, 침상 머리를 30° 정도 상승
(4) 혀에 의한 기도폐쇄 예방, 구강분비물 배액 촉진으로 호흡기 합병증 예방
2) 체액과 영양균형 유지
비위관 또는 위관영양, 정맥으로 수액공급 cf 수분의 양은 뇌부종이 유발되지 않도록 조정
3) 피부 통합성 유지
(1) 규칙적인 체위변경, 욕창 관리 ▶ 공기침요(air mattress) 사용, 마사지 시행
(2) 피부간호: 청결·건조 유지하고 보습제 사용, 손톱을 짧게 깎아줌, 적절한 영양과 수분 공급
(3) 눈, 코, 귀, 구강 간호
눈(각막) | •각막반사 없고 눈 뜨고 있는 경우 인공눈물 2시간마다 점적, 안대나 거즈 사용 •안와 부종 시 찬물 찜질 |
코, 귀 | •코나 귀로 출혈, 뇌척수액이 배액될 경우 보고 •비강폐색 예방: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적신 면봉으로 코 닦아주기 |
입 | •하루에 3회 이상 구강간호 실시 •인공기도, 비위관 삽입으로 구강호흡을 하므로 구강점막이 쉽게 건조 |
4) 근육관절 경축 예방
(1) 바른 자세 유지: 발판, 베개, 핸드롤, 고관절 지지용 trochanter roll로 대상자의 바른 자세 유지
(2) 경축 예방을 위한 수동적 ROM 실시, 1~2 시간마다 체위변경
5) 손상 방지
(1) 조용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 제공
(2) 낙상 예방, 침대 난간에 패드 적용, 발작 시 손상 없도록 주의
cf 필요시가 아니면 억제대 사용 금지 ▶ 손상 유발하거나 두개내압 상승시키므로
6) 체온 조절
(1) 체온을 자주 측정하고 갑작스런 체온 저하나 오한 방지
(2) 구강으로 체온측정 금지
7) 감각 자극 간호
(1) 낮에는 활동하고 밤에는 수면을 취하는 일상 리듬 유지
(2) 시간, 장소, 사람(지남력)에 대한 정보 제공
(3) 가족에게 좋아했던 책을 읽어주게 하거나 TV, 라디오를 틀어줌
(4) 의식이 없어도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예후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하지 않음
3. 두개 수술 후 대상자 간호
1) 환자관찰
(1) 신경학적 상태 사정: 지남력, 의식 수준, 동공검사, 운동능력(간호사의 손을 꼭 잡아보게 함)
(2) 배액관 사정: 배액의 정도나 특성 사정
2) 두개내압 하강 증진
(1) 침상머리 30° 상승: 정맥순환 증진 → 울혈예방 → 두개내압 하강
(2) 기침과 구토 예방, 필요시에만 흡인
(3) 뇌의 대사성 요구 감소: 두뇌활동 최소화, 정상체온 유지, 경련 예방
(4) 환자가 휴식 취하도록 간호활동 사이의 간격을 둠
3) 호흡유지
측위 취함, 기도유지 ▶ 분비물 흡인 방지, 목의 심한 굴곡 피하기
4) 전해질 균형 증진
(1) 요비중, I/O, 혈당치 자주 측정, 혈청 전해질 검사
(2) 가능한 빨리 경구식이 제공, 연하곤란이나 구토반사 결손 사정
5) 안위증진
(1) 비마약성 진통제 사용, 두통 시 얼음주머니 사용
(2) 조기이상 격려
04 뇌혈관성 질환
1. 뇌졸중
1) 정의
(1) 허혈성 뇌졸중(80%): 뇌혈관의 폐색으로 인해 뇌혈류가 감소되어 뇌조직이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
(2) 출혈성 뇌졸중(20%):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
2) 증상
일반적인 증상 | •두통, 발열, 고혈압, 목의 강직, 구토 •경련, 혼수, 기억력의 손상, 정신 변화 •심장의 이상 |
반신마비, 감각장애 | •반신마비(hemiplegia), 반신부전마비(hemiparesis) ex 뇌 우측 손상 시 좌측 편마비 •신체 반쪽에 대한 감각소실, 이상 감각 •근육-관절 운동소실로 균형감 상실, 부적절한 움직임과 관련된 보행장애 유발 |
동측성 반맹증 | •두정엽과 측두엽의 병변에 의한 시각장애 ex 뇌 우측 손상 시 ▶ 좌측 편마비, 좌측 반맹증 •걸음과 자세와 같은 운동수행 문제를 유발 |
실어증 및 구음장애 | •운동 실어증, 감각 실어증, 연하장애 •구음장애: 발성기관에 생긴 기능이상으로 말하기 어려운 상태가 됨 cf 언어 이해하고 문법이나 문장에는 장애 없음 |
방광 손상 | 소변의 수의적 조절 못하고 빈뇨, 긴박뇨 발생 |
정신활동 손상 | •정서적으로 약해지고 혼란되며 감정변화 심함 •퇴행성 변화: 우울, 사회적 위축, 어린이 같은 행동 |
3) 치료
(1) 약물요법(혈전성 뇌졸중)
혈전용해제 | t-PA | •급성 허혈성 뇌졸중 시 투여 •증상 발현 3~4시간 이내 투여 |
항응고제 | coumadin, heparin | 안정된 이후 투여 |
항혈소판제 | aspirin, ticlopidine | 혈소판의 기능을 방해하여 혈전형성을 감소시키 기 위해 투여 |
두개내압하강제 | •삼투성 이뇨제: mannitol •스테로이드: dexamethasone |
허혈부위에 충분한 혈량 공급, 혈액 희석 |
칼슘통로차단제 | nimodipine | 뇌혈관 경련 시 혈관평활근 이완▶ 혈관경련 감소 |
항경련제 | pheytoin, phenobarbital | 급성 경련 발작 시 투여 |
항고혈압제 | 수축기 혈압을 150mmHg까지 감소 | |
뇌혈관확장제 | 급성기에 뇌혈관을 확장 |
(2) 저체온 치료: 혈전용해 치료를 하지 않는 대상자에서 시행할 수 있음
(3) 수술: 경동맥 내막 절제술, 두개강 내외 우회술, 동정맥 기형수술, 동맥류 경부 결찰(clipping)·근위부 결찰
(ligation)·동맥류 포착(wrapping)
4) 간호중재
(1) 뇌조직 관류 증진
① 침상머리 15~30°정도 상승 ▶ 경정맥 배액 촉진
② 경부의 과도한 회전이나 굴곡 금지 ▶ 경정맥 압박, 꼬이면 압력 상승
③ 배변 시 힘주거나 기침자극 금지
④ 등척성 운동 금지 ▶ 혈압 높이고 두개내압 상승
⑤ 흡인 전 반드시 100% 산소로 과다환기 후 10초 미만으로 흡인 시행
(2) 운동기능 증진
① 수동적 ROM 실시
② 가족에게 독립적 움직임 중요성 설명하여 과보호 피하도록 함
③ 심부정맥혈전증(DVT) 예방 위해 압박스타킹 적용, 체위변경
(3)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① 체위: 좌위, 머리와 목을 턱과 함께 약간 앞으로 당겨 내림 ▶ 음식을 충분히 씹기 전에 넘어가지 않도록 예방
② 식전·식후 구강간호 실시
③ 액체성 음식보다 연식이나 반연식으로 준비, 구강 안쪽 깊숙이 음식을 넣어주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씹게 함
(4) 반맹증(편측 시야결손) 간호
① 시각이 온전한 쪽에서 접근: 시야가 온전한 쪽에 사용하는 물품을 배치하고, 문이 위치하도록 환자 위치 조정
② 옷을 입을 때는 침범된 사지부터 입도록 함
③ 머리를 이쪽저쪽으로 돌려 감소된 시야 보상하도록 교육
④ 실내조명 밝혀줌
(5) 실어증 간호
① 자연스런 음조로 천천히 말함
② 간단한 단어, 짧은 문장 사용
③ 대상자가 반응하도록 기다리고 인내, 충분한 시간 제공, 말할 때의 실수를 문제삼지 않음
POWER Tip) 시각이 온전한 쪽에서 접근하되(물품배치), 옷 입을 때는 침범된 사지부터!
2. 일과성 허혈발작(TIA)
일시적인 뇌혈류 부전으로 국소 신경학적 증상(허혈성 뇌졸중 증상)이 발생되었다가 발병 24시간 내에 후유증 없이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 ▶ 향후 허혈성 뇌졸중이 초래될 수 있다는 경고 또는 전구증상으로서 중요한 의미 가짐
05 감염성 질환
1. 수막염(뇌막염)
1) 정의
수막이나 뇌와 척수에 있는 막의 염증으로, 지주막과 연막 사이에 존재하는 지주막하 공간에 호발
2) 증상
(1) 일반적 증상: 심한 두통, 발열, 빈맥, 목의 경직, 오심·구토, 의식수준 변화, 지남력 상실, 광선공포증
(2) 뇌막자극 증상
① 경부강직(nuchal rigidity): 목 굴곡시키면 목이 뻣뻣하고 통증 동반
② Kernig sign(+): 앙와위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90°로 올려 무릎을 굴곡시킨 후 펼 때 통증과 경련 발생하고
슬관절이 굴곡됨
③ Brudzinski sign(+): 검진자가 수동적으로 머리를 가슴 쪽으로 굴곡시켰을 때 양 다리를 펴지 못하고 고관절
과 무릎이 저절로 굴곡되며 턱이 흉부에 닿지 않고 목에 강직 나타남
(3) 두개내압 상승
POWER Tip) Kernig sign: 앙와위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90°로 올려 무릎을 굴곡 (K를 눕힌 모양)
Brudzinski sign: 머리를 가슴 쪽으로 굴곡 시켰을 때 고관절과 무릎이 저절로 굴곡(B를 눕힌 모양)
3) 치료 및 간호중재
(1) 다량의 항생제 최소한 10일간 투여
(2) steroid, 삼투성 이뇨제 투여 ▶ 뇌부종 감소
(3) 경련 예방 ▶ 경련 시 항경련제, 발작예방법 적용
(4) 체온조절(해열제 투여), 두통 조절(acetaminophen 투여)
(5) 수분균형 유지
(6) 머리를 들어 올리는 행동을 피함 ▶ 체위 변경 시 머리와 목의 강직에 주의
(7) 광선공포증 시 방을 어둡게 유지, 가능한 조용하게 해주고 환경자극 감소
06 퇴행성 질환
1. 파킨슨병(PD)
1) 정의
도파민 신경세포의 소실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
2) 증상 ▶ TRAP
T | 진전(tremor) | •환약조제양 진전: 손바닥에 환약을 놓고 엄지손가락으로 굴리는 것 같은 동작 (pill-rolling) •수전증 •손가락에서 시작 → 팔, 전신으로 진행 •목적적 수의적 운동 시는 감소 ex 단추 채우기, 옷 입기 등 •활동을 시작하거나 수면 시 소실 ⇔ 피곤하거나 정서적 긴장, 휴식 시 더 악화 |
R | 강직(rigidity) | •모든 움직임의 웅크리는 자세, 안면근육 경직, 안면운동 결여, 고정된 시선, 표정없 는 얼굴 •저작 및 연하곤란, 침흘림 |
A | 운동불능, 운동완서 (akinesia, bradykinesia) |
•느린 운동: 자율적인 운동의 점진적인 소실 •운동 개시 곤란 |
P | 체위의 불안정 (postural instability) |
•앞으로 굽은 자세 •걸음걸이 폭이 좁고, 질질 끄는 종종걸음, 보행 시 손을 흔들지 않는 자세 •가속보행: 걷기의 시작 어려우나 시작되면 가속화되어 정지하기 어려움 |
POWER Tip) 진전의 심화
•감소: 목적적·수의적 운동 시(단추 채우기, 옷입기)
•악화: 정서적 긴장, 휴식 시
•소실: 활동 시작 시, 수면 중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약물: 도파민 작용제(levodopa ▶ 주 치료제), 항콜린성 제제, 항히스타민제, MAOI
(2) 운동·기동성 증진
① 매일의 운동의 중요성 강조, 운동과 걷는 방법 교육 ex 발 끌지 않도록 발꿈치, 발바닥, 발끝 순서로 딛도록 훈련
② 따뜻한 물로 목욕, 마사지
③ 장시간 같은 자세 피하고 규칙적으로 자세 변경, 색전방지용 스타킹 착용
(3) 영양상태 증진
① 식이: 고칼로리, 유동식, 소화 용이한 식이 제공
② 저작 시 의식적으로 입 양쪽을 사용, 머리를 뒤로 젖혀 침이 밖으로 흐르지 않도록 함
③ 식사도구는 사용하기 편리한 것으로 교체
(4) 안면과 혀의 근육운동, 언어훈련 시행
(5) 변비 예방, 침대 옆에 소변기 준비 ▶ 방광운동 지연으로 요실금 발생
(6) Levodopa 사용 지침
① 안정제, Vit. B6, 알코올 금지, 약물투여 시간 가까이에 단백질 섭취 제한 ▶ levodopa의 효과 감소시킴
② 공복 시, 금식 중에도 복용 ▶ 금식 중에는 물을 조금만 사용하여 투여
2. 다발성 경화증(MS)
1) 정의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인 수초가 탈락되어 뇌와 척수의 전기화학적 전도에 장애가 생기는 만
성 진행성 퇴행성 신경계 장애
2) 증상 ▶ 만성적 악화-회복 반복
(1) 비정상적 열감(대상자의 약 80%)
(2) 감각·운동장애, 신경계 증상, 소뇌 침범[조화운동 불능(ataxia), 떨림(tremor)]
(3) 시력장애(통증이 동반된 시력 저하, 시야 흐림), 청력장애, 구음장애
(4) 방광기능 이상
3) 간호중재
(1) 관절가동운동, 근육신전운동, 힘 강화운동, 수동적 운동 실시
(2) 피로의 최소화: 격렬한 운동 피함, 운동 전 또는 운동 중 cooling
(3) 안전한 환경 조성
(4) 복시 호소 시: 안대를 양쪽 눈에 교대로 적용
(5) 시야 결손 시: 고개를 좌우 양쪽으로 돌려 사물을 보도록 함, 시야 내 물건 배치
(6) 배뇨 및 배변 조절
(7) 영양 유지: 균형잡힌 식이, 충분한 수분섭취, 비타민 보충 식이
3. 치매(dementia)
1) 정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 지남력, 주의력, 언어, 판단력, 추론 능력 등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
2) 원인
(1) 3대 원인: 알츠하이머병(60%),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2) 기타: 수두증, 만성 경막하혈종, 우울증, 약물, 신경매독, 갑상선기능저하증, Vit. B12 및 엽산 결핍, 경련성 질환
3) 증상
손상된 인지기능 | 증상 |
기억력 | <단기기억> •날짜, 요일을 혼동 •같은 질문을 반복 •새로운 것을 배우기 어려움 •쇼핑을 가면 한두 가지를 반드시 잊어버림 •가스 불 끄는 것을 잊어버려 음식을 태움 <장기기억> •중요한 날이나 사건에 대한 기억이 없음 •어떤 일을 하고도 자신이 했다는 것을 몰라 다시 반복함 •물건을 두던 곳을 몰라 찾기 어려움 •음식을 하면 예전과 맛이 다름 |
언어력 | •친숙하게 사용하던 물건이나 잘 알고 지내던 사람의 이름을 대기가 어려움 •신문이나 텔레비전을 봐도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함 |
시·공간 지각력 | •잘 다니던 장소에서 길을 잃어버림 •전철이나 버스를 반대 방향으로 탐 •운전하던 길을 못 찾음 |
실행력 | •힘은 있는데, 단추를 잠그거나 젓가락을 사용하기 어려움 •과거에 잘 사용하던 연장을 사용하기 어려움 |
계산력 | •물건을 사고 잔돈 계산이 어려움 •은행의 잔고가 맞지 않음 |
감정 및 인격 | •예전과 달리 슬퍼하거나 난폭해짐 •사회적으로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함 •말수가 점차 없어지고 아무것도 안 하려 함 |
4) 약물 치료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 donepezil(Aricept), galantamine(Reminyl), rivastigmine(Exelon)
5) 간호중재
(1) 치매환자 간호 지침
① 환자의 행동이 아이 같아도 어른으로서 인격적으로 존중
② 직접적으로 눈을 맞추며 의사소통함
③ 인내심을 가지고 유연하게 대처
④ 과업 단순화하여 직접 할 수 있도록 함
⑤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초점
⑥ 이해되지 않는 행동을 해도 비판하거나 교정하려고 하지 않음
(2) 인지적 자극
① 환경구조화: 과다자극 방지, 체계적인 환경 제공
② 지나친 자극 금지: 벽의 그림이나 장식 없앰, 조명 조절, 소음 감소, 휴식 제공
③ 일관성 제공: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제자리에 둠, 달력 비치, 익숙한 사진 제공
④ 지남력 증진 위해 반복적 설명, 정보는 적게 핵심적인 것을 제공
⑤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 증진: 옷 입고 벗기, 가사일 참여 등
⑥ 기억력 훈련
(3) 배뇨·배변 조절: 적절한 수분섭취 격려, 일정 시간 화장실에 가도록 함, 저녁시간 후 수분섭취 조절, 이동식 변
기 준비, 필요시 패드 착용
(4) 의사소통 증진: 천천히 분명한 어조로 말하고 문장 짧게 함, 한 번에 한 가지씩 지시, 충분한 시간 제공, 시범 보임
(5) 손상 예방: 배회하다가 길을 잃을 수 있으므로, 집에 있는 경우 문과 창문 잠금, 외출 시 이름표 착용
(6) 수면 증진: 낮잠 제한하여 밤에 자도록 유도
07 자가면역장애
1. 중증 근무력증(MG)
1) 정의
(1) 수의근을 침범하는 만성 신경근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신경근육 접합부의 신경전달장애에 의해 발생하며 변동
성 근력약화 및 근육의 피로감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질환
(2)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 형성 → 신경근 접합부위의 아세틸콜린 수용체 감소 → 화학적 전달 차단,
만성 자가면역질환
2) 증상
(1) 진행성 근쇠약
골격근의 약화 | •하행성 ▶ 목, 어깨 등과 같은 근위부 근육이 원위부 근육에 비해 더 많이 침범 •휴식을 취하면 회복됨, 근력은 아침에 가장 강함 •감염, 수술, 정서적 스트레스 부적합한 약물의 과다 사용 등에 의해 근육 허약감이 급격하게 악화 cf 감각상실은 없고, 반사도 정상이며 근 위축은 드묾 |
안면근육 침범 | 무표정한 얼굴, 안검하수, 복시, 안구진탕 |
후두·인두근육 침범 | 연하곤란, 기도흡인 위험 ▶ 호흡기계 합병증으로 사망 가능 |
cf) 길랑-바레 증후군은 근악화 상행성 진행
(2) 합병증: 흡인, 호흡기능부전, 호흡기계 감염
3) 진단검사
(1) 혈액 검사: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 시 titer 상승
(2) Tensilon 검사 (+): 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인 Tensilon Ⅳ 투여 시 30초 이내에 근육허약 증상이 눈에 띄게 회복됨
4) 근무력성 위기와 콜린성 위기에 신속한 대응(약물요법의 부작용)
근무력성 위기 | 콜린성 위기 | |
정의 | 약물 효과가 너무 약해서 발생 ▶ 근력저하, 근육허약감의 급성 악화 |
acetylcholine 수용체의 기능증진에 의한 부교감 신경 항진 ▶ acetylcholine이 과잉으로 축적되면 항상 수용체 와 결합된 상태가 되어 오히려 신경전달이 억제되 고 근력의 저하가 일어나, 중증 근육무력증과 비슷 한 증상을 보임 |
원인 | 약물 복용하지 않았거나 용량 부족 | 콜린분해효소 억제제 과다복용 |
증상 | •호흡·맥박·혈압 증가 •저산소증, 청색증, 창백한 피부 •요실금·변실금·소변량 감소 •전신근육 허약 •발한, 타액, 눈물, 분비물 증가 |
•서맥, 저혈압, 창백 •오심·구토, 복부경련, 설사 •연하·구음장애 •흐린 시야, 동공수축, 안면근육 부전 •발한, 타액, 눈물, 분비물 증가 |
합병증 | 호흡기능부전, 흐흡기계 감염 | |
치료 | •콜린분해효소 억제제 •악화인자제거, 호흡지지 등 |
Atropine |
2. 길랑-바레 증후군(GBS)
1) 정의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겨 신경세포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인 수초가 벗겨져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
2) 증상
(1) 상행성·대칭성 근약화: 발병 초기에 다리의 발 쪽부터 힘이 빠지는 증상으로 시작되고, 수일에 걸쳐 다리의 허
벅지 쪽으로 마비 진행 cf 중증 근무력증(MG)은 하행성
(2) 신경계 증상, 감각신경 침범: 복시, 안면마비, 연하곤란, 언어곤란, 심부건 반사 감소, 호흡부전, 장과 방광의 조
절 상실, 통증과 이상감각
(3) 자율신경기능 부전: V/S 불안정, 빈맥, 서맥, 혈압 불안정, 발한, 요정체, 마비성 장폐색
3) 간호중재
(1) 기도개방 및 호흡유지: 침상 45° 이상 상승, 필요시 기관내 삽관, 기계적 환기 보조
(2) 운동 및 기동성 증진: 능·수동 관절운동, 폐색전 및 DVT 예방 위해 항응고제, 항색전스타킹 적용
POWER Tip) MG, GBS
•중증 근무력증(MG): 하행성 ▶ 얼굴, 호흡근부터 진행(호흡기계 합병증으로 사망 가능)
•길랑-바레 증후군(GBS): 상행성 ▶ 다리부터 진행
08 신경계 외상
1. 척수손상
1) 정의
척수에 가해진 외상으로 인해 손상부위 이하의 신경학적 증상과 함께 신체 전반의 생리학적 이상이 초래됨
2) 척수손상 후의 근육기능
손상부위 | 운동기능 상태 | 특징 |
C1-4 | 사지마비 ▶ 경부 이하 운동기능 상실 | 호흡기능 장애 ▶ 기관절개 및 인공호흡 필요 |
C5 | 사지마비, 어깨 이하 기능 상실 | 방광, 장 조절 불가능 |
C6 | 사지마비, 어깨와 상완 이하 상실 | 방광, 장 조절 불가능 |
C6-8 | 사지마비, 전완과 손 운동조절 상실 | 방광, 장 조절 불가능 |
T1-6 | 하지마비, 가슴중앙 이하 기능 상실 | •어깨, 가슴, 상부, 팔, 손 정상 •방광, 장 조절 불가능 |
T7-14 | 하지마비 ▶ 허리 이하 운동기능 상실 | •어깨, 가슴, 상부, 팔, 손 정상 •방광, 장 조절 불가, 호흡기능 완전 |
L1-3 | 하지마비, 골반기능 상실 | 방광, 장 조절 불가능 |
L3-4 | 하지마비, 다리 하부, 발목, 발 기능 상실 | |
S2-4 | 요실금 조절 가능 | |
S3-5 | 변실금 조절 가능 |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손상 후 1시간 이내 즉각적인 응급처치
▶ 손상부위 부목으로 고정, 신체선열 유지(경추부목, 머리 고정대 이용)
(2) 호흡 유지: 상부 척수손상 환자의 경우 호흡관찰과 기도 유지, 응급상황 대비하여 기관 삽관 준비
(3) 피부 통합성 유지: 2시간마다 체위변경(통나무 굴리기), 딱딱한 침대에서 등과 목 똑바로 유지
(4) 도뇨관 삽입: 긴장성 방광손상 예방 cf 감염위험 감소 위해 가능하면 빨리 유치도뇨관 제거
(5) 강직 시 근육이완제 투여
2.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
1) 정의
외상에 의해 추간판 내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 및 신경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2) 증상
경추간판 탈출증 | 요·천추간판 탈출증 |
•목과 환측 팔 아래 운동·감각 장애 •한쪽 팔로 방사되는 통증, 견갑부 통증 •호발 부위: 경추 5~6번(C5-6) |
•하부요통, 자세 기형(허리를 굽히지 못하고 구부정한 자세) •침범된 등과 사지에 압통, 감각장애, 무감각 •침범된 하지의 심부건 반사 감소, 발 배굴 시 통증 •호발 부위: 요추 4~5번(L4-5), 요추 5번~천추 1번(L5~S1) |
3) 진단 검사 ▶ 하지직거상 검사(Lasegue 검사)
무릎 편 상태에서 하지를 들어 올려 통증 발생 여부 확인 ▶ 요추추간판 환자의 경우 60° 이상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정상인 경우 70° 이상 올릴 수 있음)
4) 간호중재
(1) 목, 허리를 과다굴곡, 과다신전하지 않음 ex 물건을 들 경우 무릎을 구부림 ▶ 허리 구부리지 않음
(2) 목, 어깨, 복근 강화 운동을 함
5)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간호
(1) 규칙적 CMS 사정
(2) 수술 후 12~24시간 동안 침상머리를 높이지 않고 편평하게 앙와위 유지
(3) 단단한 침요 사용하고 통나무 굴리기 법으로 체위 변경
(4) 필요시 마약성 진통제 투여, PCA
(5) 운동
① 침상안정을 4일 이상 넘기지 않도록 함
② 걷기, 실내 자전거 타기 등 운동 권장 ▶ 2~3회/주, 20~30분씩
③ Brace나 코르셋 처방 시 침상 밖으로 나오기 전에 착용하도록 교육
09 기타 신경계 질환
1. 발작, 간질
1) 정의
(1) 발작(seizure): 뇌의 신경원에서 전기에너지가 갑자기 불수의적,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방전되는 현상으로, 정
상적인 뇌기능 방해
(2) 간질(epilepsy): 만성적 잠재 원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작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식·운동·감각·행동의 변화 초래
3) 간호중재
(1) 발작 동안의 손상방지
① 흡인 예방: 흡인을 막기 위해 측위 취함, 발작 동안 어떠한 물건도 입에 넣어서는 안 됨
② 안전한 환경 제공: 주변의 위험한 물건 치우고 머리 보호, 침상난간에 푹신한 것을 대줌, 방을 어둡고 조용하
게 유지
③ 발작동안 억제대로 묶지 않고 단단한 옷을 풀어주기
④ 발작 중에는 환자 곁에 있음
⑤ 발작의 양상과 기간 기록
(2) 발작 전·후 대처기술의 강화
① 발작 유발하는 요인 피함: 감염, 스트레스, 외상, 과다한 피로, 유발식품(알코올, 카페인, 초콜릿 등) 피함
② 대상자 침대 곁에 인공 구강기도, 설압자, 흡인장치 준비
③ 침대난간 올려놓고 침대의 높이는 가능한 낮게 위치
2. 뇌신경 손상
안면신경 마비(Bell’s palsy) | 삼차 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 |
정의 | 안면근육을 지배하는 제7뇌신경을 침범하여 갑자 기 마비를 초래하는 신경장애 cf 제7뇌신경: 안면근육의 운동, 혀의 전면 2/3의 미각 담당 |
삼차신경(제5뇌신경)에 병적인 변화가 생겨 얼굴 의 감각이상과 함께 저작근의 근력 약화 등이 나 타나는 상태 |
증상 | •대개 한쪽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편측성 •얼굴근육의 마비 - 얼굴이 비뚤어지고 얼굴의 이상감각, 언어장 애 - 이마주름 만들 수 없음 - 눈이 감기지 않음 - 마비된 쪽의 입이 늘어짐 -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 마비된 쪽으로 새어 나옴 •감각의 둔화, 혀의 마비, 미각 감소 •토안: 눈을 깜빡이지 못하여 각막이 건조 |
•눈 아래 안면부(삼차신경 분지 분포부위)의 편 측성 •음식 먹을 때, 입 크게 벌릴 때, 양치질 할 때 통증 •삼차신경의 분지를 따라 극심하고 참을 수 없는 통증 발작 갑자기 발생 → 2분 내에 사라지고 반복적 •통증은 우측에서 호발 •심한 통증으로 얼굴 만지거나 말하기, 저작 기피하 게 되고 피로, 허탈상태 유발 ▶ 개인위생 힘들게 됨 |
간호중재 | •안면근육 위축과 통증완화 위해 전기자극, 습열 적용, 얼굴마사지(턱에서 상방으로 마사지) •각막건조 예방 - 눈이 감기지 않을 때 4시간 마다 인공눈물을 주입하거나 안연고를 바름 - 낮에는 보안경, 밤 동안은 안대착용 •얼굴 운동: 하루 3~4회 5분간 표정연습 ex 눈썹 올리기, 눈 꼭 감기, 입 오므리기, 휘파람 불기 •식사 시 침범받지 않은 쪽으로 저작, 부드러운 음 식 소량씩 제공, 식사 후 구강간호 시행 •감각 결여되어 있으므로 너무 덥거나 찬 음식 삼가 |
•찬바람, 심한 더위,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 피함 •급성 통증 시 마약성 진통제 ▶ 중독 주의 •씹기 쉬운 음식,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 제공 •극단적 통증과 무력감으로 인한 불안감 감소 |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성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8. 비뇨기계 (0) | 2021.11.15 |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성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7. 근골격계 (0) | 2021.11.13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성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5. 소화기계 (0) | 2021.11.11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성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4. 혈액계 (0) | 2021.11.09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성인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3. 순환계 (1)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