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위험신생아
01 재태연령에 따른 특성
1. 미숙아
1) 정의
출생 체중과 관계없이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
2) 특징
(1) 반사(reflex)미약
파악반사, 빠는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가 없거나 미약함
(2) 피부
① 솜털이 과다하고 태지는 거의 없음
② 피부와 점막이 연약
③ 머리카락은 가늘고 솜털같음
④ 손·발바닥의 주름이 적거나 없고 부드러움
⑤ 체온조절 능력저하
(3) 근골격계: 관절이 이완되고 인위적인 힘에의해 쉽게 조작되며 늘어져 있음(신전)▶ 스카프 반사(+)
(4) 호흡기계: 고농도 산소 투여시 미숙아 망막증 초래
(5) 위장관계: 빠는 능력이 부족하고 잘 삼키지 못하는 미숙아에게 위관 영양적용
(6) 생식기계
남아: 음낭의 주름이 거의 없고 고환은 내려오지 않음
여아: 소음순과 음핵이 돌출 되어있음
2. 과숙아
1) 정의
재태연령이 42주이상인 신생아
2) 특징
(1) 전반적 특징: 야위고 눈을 뜨고 기민한모습
(2) 피부: 피부가 창백하며 갈라져 있음, 솜털이 없음, 태지가 감소(태반 노화로인해 피하지방이 적어 피부가
쭈글쭈글함), 손톱이 길고 머리카락이 많음
(3) 제대와 손톱에 태변 착색되어 있음▶ 태변 흡입으로 인한 합병증이 가장 큰 위험
02 황달
1. 병리적 황달
1) 정의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이며 출생 후 24시간이내 황달이 발생하는 것
2) 증상
(1)황달이 2주이상 지속
(2) 핵황달(중추신경계억압증상)위험: 잘 안먹고 축 늘어짐, 팔·다리를 뻣뻣하게 뻗음, 고음으로 울고 보챔,
발열
3) 치료
(1) 교환수혈, 알부민투여
(2) 광선치료
① 체위를 자주 변경할것
② 안대 착용하고 고환을 가려줌
③ 체온 상승과 탈수가 있을수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 수분보충 할 것
④ 수유하는 동안에는 치료를 중단하고 안대를 벗겨서 시각적·감각적 자극을 제공
⑤ 오일이나 로션사용 금지
2. 생리적 황달 vs 병리적 황달
생리적 황달 | 병리적 황달 | |
혈청 빌리루빈 수치 | 5mg/dl이상 | 12mg/dl이상 |
황달 증상 발현 시기 | 생후2~4일경 | 24시간이내 |
예후 | • 1주일정도 지나면 자연소실됨 • 피부, 공막, 손톱이 오렌지색으로 변함 |
뇌저 신경절에 빌리루빈이 축적되면 핵황달이 발생 |
치료 | 대부분 필요하지 않음 | 교환수혈, 알부민투여, 광선치료 |
03 호흡기계 장애
1. 미숙아 무호흡증
1) 정의
서맥을 동반한 20초이상의 무호흡
2) 치료
(1)호흡자극: 부드러운 촉각자극으로 호흡자극
(2)흡인: 비강·구강·인두를 흡인하고 100% 산소 공급▶ 저산소증 예방
2.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1) 정의
폐성숙도의 미숙으로 폐포를 팽창시키는 계면활성제(surfactant)가 부족하여 호흡곤란이 초래되는 질환
2) 증상 및 징후
(1) 호흡곤란: 빈호흡, 늑골의 함몰
(2) 창백, 청색증
(3) 호흡성, 대사성산증▶ 뇌손상 위험
(4) 합병증: 쇼크와 같은 상태
3) 치료
(1) 기도확보, 계면활성제투여, 산소공급
(2) 중성온도 환경제공
3. 호흡기 합병증
1) 태변흡인 증후군
(1) 태아질식이나 자궁내 스트레스로 인해서 태아의 항문괄약근이 이완되면서 태변이 자궁강내로 배출되고
태변이 함유 된양수가 태아나 신생아의 기도로 흡입된 상태
(2) 치료및간호
① 흡인:두부분만후첫호흡전에흡인▶ 기도로 유입된 태변이 기관지와 폐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
② 체위: head-down position (분비물의 배액과 제거를 위해)
③ 산혈증치료: 중탄산나트륨 투여
2) 미숙아 망막증
(1) 원인:동맥혈의 높은 산소분압▶ 고농도의 산소요법 후 주로 발생하므로 미숙아에게 산소 투여 시 산소 농도에 주
의할 것
(2) 증상: 망막에 점진적인 혈관조직 증식, 망막 박리로 실명함
(3) 예방:산소농도의 모니터링▶ 고농도로 산소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
04 순환기계 장애
1. 신생아 용혈성 질환
1) ABO 부적합증
산모가 O형이고 태아가 A형혹은 B형일때, 첫 분만에서 발생빈도가 높게 발생함
▶ 본래 모체의 혈액 속에 있는 anti-A,anti-B 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용혈이 발생함
2) Rh 부적합증
산모가Rh(-), 태아가 Rh(+)인 경우 발생함
첫임신: 태아의 Rh양성 적혈구가 모체순환에 유입되면 이감작 과정을 거쳐 모체에서는 anti-Rh 항체가
형성 됨
두번째 임신: 모체내에 이미 형성되어 있던 anti-Rh항체가 태반을 넘어 태아순환으로 들어가면 태아의
적혈구를 공격하게 됨
3) Rh 동종면역의 예방
산모가 분만이나 유산한지 72시간 이내에 Rho-GAM(Rho-immuneglobulin)투여해야 함!
4) 치료
영아에게 교환수혈: 제대정맥을 통해 하대정맥으로 삽입
2. 선천성 심질환
폐 혈류량 | 비청색증형 심질환 | 청색증형 심질환 |
증가 | • 심실중격결손(VSD) • 동맥관개존(PDA) • 심방중격결손(ASD) |
• 대혈관전위(TGA) |
정상 | • 대동맥협착(AS) • 대동맥축착(CoA) |
|
감소 | • 폐동맥협착(PS) | • Fallot4징후(TOF) • 삼첨판폐쇄증(TA) • Eisenmenger syndrome |
1) 비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
• 비정상적인 개구를 통한 좌→우단락으로 인함
• 빈번한 상기도감염, 심잡음, 허약및 발육부진이 특징적
(1) 폐혈류 증가 비청색증형 심질환(좌→우단락)
심실중격결손 (VSD) |
• 우심실과 좌심실 사이에 비정상적인 개구부가 생긴것 • 가장 흔한기형 • Digoxin 투여: 서맥 유발 할 수 있으므로 1분동안 맥박 측정해야함 |
동맥관 개존 (PDA) |
태생기에 있던 동맥관(대동맥-폐동맥 사이의관)이 출생 1주일내에 닫히지 않는것 |
심방중격결손 (ASD) |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에 비 정상적인 개구부가 생긴것 |
2) 청색증형 선천성 심질환
비정상적인 개구부 또는 혈관을 통해 우→좌 단락이 발생하며 순환하는 산소포화도가 감소됨▶ Fallot4징후, 대혈관 전위, 삼첨판 폐쇄증
(1)청색증
①청색증시 나타나는 증상
호흡계 증상 | 순환계 증상 |
• 호흡곤란 • 저 산소증형 발작: TOF에서 잘 나타남 •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 웅크린 자세(슬흉위) • 곤봉형 손가락: 비 청색증형 심장질환의 경우 곤봉형 손가 락은 나타나지 않음▶ 청색증 시에만 나타남 |
• 심잡음 • 적혈구 과다증(조직에서 산소요구량 많으므로) • 만성적인 저산소증시 신장의 조혈 촉진인자 (erythropoietin)증가함▶ 상대적 철결핍성 빈혈 유발 |
② 치료및 간호중재: 슬흉위(정맥 순환량을 감소), 약물투여(morphine, propranolol), 산소투여, 산혈증
교정
(2) 폐혈류 증가 청색증형 심질환
대혈관전위 (TGA) |
우심실에서 대동맥이 나오고 좌심실에서 폐동맥이 나오는것 |
(3)폐혈류 감소 청색증형 심질환(우→좌단락)
Fallot 4징후 (TOF) |
• 심실중격 결손, 폐동맥 협착, 우심실비대, 대동맥우위 • 증상: 갑작스런 청색증, 특징적인 심잡음, 곤봉형 손가락, 적혈구 과다증, 성장지연 • 중재:슬흉위 취해 줌 |
삼첨판폐쇄증 (TA) |
우심방과 우심실사이의 판막인 삼첨판이 폐쇄된 것 |
3) 폐쇄성 심질환
폐동맥 협착 (PS) |
•폐동맥이 협착되어 우심실 밖으로 혈액이 유출되는것을 방해하는 것 •혈류에 저항이 생겨 우심실이 비대되고 폐혈류는 감소됨 → 전신체 순환저하 |
대동맥 판막 협착 (AS) |
대동맥 판막이 좁아져서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의 혈액 유출을 방해받는 상태 |
대동맥 축착 (CoA) |
• 대동맥궁이 국소적으로 좁아져서 결손의 근위부(상지부위)는 압력이높고 결손의 원위부(몸체 와하지)는 압력이 낮아짐 •상지와 하지의 혈압차이(상지고혈압) |
05 소화기계 질환
1. 식도폐색증 & 식도기관루
1) 증상
기침(coughing), 질식(chocking), 청색증(cyanosis)▶ 3C 증상
2) 수술 전 간호
(1)체위: 반좌위(머리와 가슴을 30~40° 상승 시킨자세)
(2)기도폐쇄 예방
①인두내 분비물 흡인, 엎드려 놓거나 고개를 돌려놓도록함
②경구 섭취중지▶ 비경구적 또는 위루술을 통한 영양보충
2. 토순, 구개파열
1) 토순, 구개파열 환아의 교정시기
(1) 토순:가능한한 빨리
(2)구개파열: 보통 18~24개월 (언어 발달이 본격화 되기 전)
2) 수술 전 간호
(1) 영양공급
① 구멍크고 부드러운 젖꼭지, 길고 부드러운 젖꼭지 사용
② 수유시 숟가락옆, 고무끝이달린 점적기, 유아용 컵등 변형된 도구사용
③ 경우에따라 위관영양 시행
④ upright-sitting position으로 앉혀서 수유
3) 수술 후 간호
(1) 분비물 배출및 기도개방 유지
토순수술: 똑바로 누운체위(또는측와위)를 취하며 절대로 엎드려 눕지않도록 함
구개파열수술: 분비물의 흡인 방지를위해 수술후 복위를 취해주도록함
(2) 입술의 봉합선과 구강내봉합선의 상해를 방지
① 측와 위취함
② 팔꿈치 억제대,Loganbow
③ 비외상성 수유시행
• 빨대 사용하지말고 컵으로 주기
• 젖꼭지 구멍을 많게 하거나 크게함
• 고무로된 점적기사용
• 노리개 젖꼭지는 봉합부위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사용금지, 설압자 사용금지, 사탕등 금함
(3) 억제대 사용시 주의점
① 2시간마다 간호사나 보호자가 있을때 풀어주도 록함
② 미이라억제: 머리나 목부위의 치료나검사, 인후검사(후두경), 위관영양, 정맥천자를 실시해야하는
경우, 잠시동안의 억제를 필요로 할때 적용함
③ 팔꿈치억제
④ Loganbow▶ 수술 부위 이완시키고 봉합선의 긴장을 막기 위한 금속장치 부착
3. 괴사성 장염
1) 치료 및 간호중재
(1) 수유간호: 수술후에는 조제유를 희석해서 수유(점진적으로 농도증가 시킴)
(2) 비위관으로 흡인하여 복부의 압력감압
(3) 위관영양 적응증
① 효과적으로 빨 수 없거나 연하와 흡철의협응이 잘 되지않는 영아
② 지나치게 피로하거나 불안정한 경우
③ 청색증이 나타날경우
4. 장폐색
증상: 복부팽만,가스형성, 복통, 복부경련, 구취, 변비, 설사(혈액과 점액섞인 변),오심·구토, 황달
06 비뇨기계 질환
1. 잠복고환
1) 정의
한쪽 혹은 양쪽 고환이 음낭내로 하강되지 않은 상태로, 복강이나 서혜부 도관은 음낭보다 체온이 높으므로
고환의 정자 형성세포가 퇴화되어 불임 위험있음
2) 치료 및 간호중재
(1) 하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우선은 기다려봄, 호르몬요법 시행
(2) 수술: 학령기 이전(2~5세)에 고환 고정술을 실시하여 신체상과 관련된 정신적 문제의 발생을 예방함
(3) 수술전간호: 부모, 아동정서적지지▶ 불임에 대한 불안 지지
2. 음낭수종
1) 종류
비교통성 음낭수종 | 교통성 음낭수종 |
• 출생시에 발견되며 복강과 연결되지 않은 생리적 음낭수종 • 점차 흡수되어 영아기 6~9개월경 자연소실 ▶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음 |
출생 몇 주 후 처음 나타나며 초막돌기가 음낭과 복강을 연 결해주어 탈장이 올 수있으므로 수술로 교정 해야함 |
2) 증상
(1) 음낭,서혜관에서파동성덩어리촉진
(2) 음낭이커지고난형으로팽팽하게변형
(3) 광선투과시반투명한액낭관찰
3. 항문-직장 기형(밀폐항문)
증상조기발견이중요하므로출생후24~36시간이내에태변을배출하는지관찰,출생후하루가지나도
신생아가태변을보지않을경우의심
07 신경계 질환
1. 이분 척추
1) 정의
(1) 태생기신경관의융합부전으로인한척추후방(척수궁)의융합장애로,요추천골부위가가장흔함
(2)수막-척수류(가장흔함),잠재성이분척추,수막류
(3)엽산의결핍과관련있음
2) 수술 전 간호
(1)낭포손상방지
①복위로눕힘(낭의긴장을최소화)
②낭아래에도넛모양의소독된패드적용
③둔부노출시키고건조
④낭주위에무언가닿지않도록기저귀채우지않음
(2)감염방지
①둔부를매일공기중에노출시킴
②척추하부에는기저귀채우지않도록함
(3)하지의괴사와기형예방:다리와발목의변형이있는지사정
(4)정상영아와같은정서적지지와발달촉진
3) 수술 후 쇼크 예방
보온하고,척추보다머리낮추어뇌척수압유지하여수술부위압력줄임
2. 수두증(뇌수종)
1) 정의
뇌척수액의생성·순환·흡수의불균형으로뇌에비정상적으로뇌척수액이축적된상태
2) 증상
(1)뇌압증가가가장특징적
(2) 영아기증상:머리둘레(두위)증가,대천문팽창,움푹한눈,일몰징후(sunseteyes),뇌압증가로두개골
얇아지고봉합선분리됨,날카롭고고음의울음
(3) 아동기증상:두통,구토,유두부종(papilledema),사시,운동실조증(ataxia),불안정,무기력,무감동,
혼수
3) 간호중재
(1)수술전간호침대머리를상승하여(30°)뇌압상승방지
(2)수술후간호:수술후24시간동안은베개없이편평하게유지
08 출생시 손상
1. 두개외 출혈
산류와두혈종은치료하지않아도됨▶ 산류는 수일 이내, 두혈종은 2주~3개월 정도에 자연 소실됨
산류(Caput succedaneum) | 두혈종(Cephal hematoma) |
soft,pitting | firm,tense |
크기증가없음 | 크기증가있음 |
봉합선을넘어감 | 봉합선을넘어가지않음 |
두정위에서두개선진부에잘생김 | 선상골절을동반할수있음(함몰골절처럼보이기도함) 두정골에잘생김 |
골막과두피사이 | 골막과두개골사이 |
대량출혈없음,자연흡수 |
2. 상지마비
1) 원인
상완신경총이과도하게신전또는압박되어서초래,아두골반불균형,분만시과도한견인에의해발생
2) 증상
(1) 어깨는내전,내회전(internalrotation)
(2) 팔꿈치는신전
(3)상박은회내(pronation)상태에서움직이지않음
(4)침범된팔의모로반사소실되고파악반사보존됨
3. 쇄골 골절
1)원인:분만시난산으로인해가장잘발생하는골절유형(특히생목골절발생)
2)증상:모로반사소실 cf 모로반사가 소실 시 쇄골 골절, 뇌손상을 의심
4. 안면신경 마비
1) 원인:분만시산모의천골에의하여압박을받거나겸자(forceps)에의한말초안면신경손상
2)증상
(1)비대칭적인안면의모습:손상된쪽의운동이소실
(2)대부분수주내회복하며치료를필요로하지않음
5. 사경
1)원인:흉쇄유돌근의분만시손상(대부분근성사경)
2)증상:머리는침범된근육쪽으로,턱은반대쪽으로기운채목의운동이제한됨
09 근골격계 질환
1. 만곡족
1) 정의
발과발목이정상적인모양이나위치에서벗어난복합적인기형으로,내반첨족이가장흔함(95%)
2) 치료 및 간호중재
(1) 치료적관리
① 관찰즉시치료를시작해야함
② 석고붕대적용하여최선의교정위치유지함
③ 수술요법:심각한기형이동반된경우에는반복수술
(2) 석고붕대착용환아간호
① 관찰사항(CMS)▶ Circulation, Motor, Sensory
• 압박부위의감각상태(감각없고쑤시는상태),체온
• Cast가장자리의피부상태,발가락의순환상태▶ 청색증, 창백
(3)DenisBrownsBrace착용
2. 선천성 고관절 이형성증
1) Galezzisign(Allissign):무릎의높이가다름
2) Ortolanitest(+):환측대퇴관절외전시키면‘뚝’하는느낌을받음
3) Barlowtest(+):고관절과슬관절을후외방으로밀면대퇴골두부가탈구
4) Trendelenburgtest(+):정상인다리를들고탈구있는쪽다리로서면정상인쪽으로골반이기움
5) 둔부주름 비대칭 : 환측의 주름이 더 많음
6) 대전자부 돌출
7) 이상한 걸음걸이
10 감염 질환 및 내분비 장애
1. 아구창(칸디다증)
1) 원인
(1) 분만동안 산도를 통해 감염
(2) 불결한고무 젖꼭지, 오염된손, 신생아실 오염, 우유조제실 오염
2) 증상
(1) 혀끝, 입술과뺨, 구강점막, 경구개등에 흰색우유 응고물같은 흰반점이 특징
(2) 떼어내면 출혈이 되므로 우유찌꺼기와 구별
3) 약물 도포
Nystatin(mycostatin)등의 칸디다연고
2.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
1) 미숙아에게 흔함: 태반을 통해 IgG를 전달받지 못해 미숙아는 적은양의 IgG만 갖게됨
2) 애매하고 비특이적인 증상:주양육자의“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
3) 치료및 간호: 검사결과나 오기전까지 우선적 처치로ampicillin과aminoglycoside투여→적합한 항생
제 사용
11 선천성 장애
1. 다운증후군
1) 원인
(1) 염색체이상 질환: 21번째 염색체가 3개(Trisomy21)로, 전체 염색체가 47개
(2) 초산부(35세이상)에서 발생빈도 높음
2) 증상
(1) 특징적인 용모와 증세를 보임
① 특유의 얼굴(특징적인 외모)
② 머리의 전-후 지름이 짧은 소두증, 시상봉합열림
③ 위로 경사진 안검열
④ 낮은코,크고 두껍고 튀어나온 혀
⑤ 손바닥의 단일손금
(2) 신체적증상
① 사지골격및 내장기형이 특징적
② 심한 근긴장 저하및 이완, 관절의 과운동성
③ 다른 질병의 합병빈도 높음
3) 간호중재
(1) 내밀고있는 큰혀 수유에 방해됨▶ 수유거부 표시가 아닌 생리적 반응임을 이해
(2) 입 안쪽 깊숙이 음식을 넣어주며 만일 음식을 다시 내민다면 다시 넣어주도록함
2. 선천성 갑상선 기능저하증
1) 증상
(1) 수유저하,기면, 목 쉰울음소리
(2) 서맥, 호흡곤란, 청색증
(3) 황달,변비
(4) 건조하고 차게 느껴지는 얼룩덜룩한 피부
(5) 신경계 발달지연으로 심각한 지능 저하유발
2) 치료
(1) 갑상선호르몬의 평생투여
(2) 출생직후치료를 시작하면 정상적인 성장이 가능하며 지능발달도 정상임
3) 간호중재
(1) 조기에 선별검사를 통해 호르몬 결핍여부 확인 해야함
(2) 갑상선 호르몬 과량투여시 부작용교육▶ 호흡곤란, 빈맥, 발열, 발한 등
3. 페닐케톤뇨증(PKU)
1) 증상
(1) 성장 발달장애
(2) 잦은 구토
(3) 피부및 눈동자에 색소결핍
(4) 땀과 오줌에서 특징적인 곰팡이냄새
(5) 뇌손상 : 지능 발달지연, 정신지체(혈중 페닐알라닌의 축적), 불안정, 행동과다, 경련성 근육운동(강직)
2) 식이요법
저 페닐 알라닌식이(모유는 저 페닐 알라닌식품), 페닐알라닌 freemilk
4. 갈락토즈혈증
유당freemilk : 식이요법은 7~8년간 엄격하게 따라야하며 그 이후에는 수정된 처방을 일생 유지해야함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아동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6. 유아 (0) | 2021.12.21 |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아동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5. 영아 (0) | 2021.12.20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아동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3. 신생아 (0) | 2021.12.16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아동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2. 성장발달 (1) | 2021.12.15 |
간호사,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대비 아동간호학 핵심 포인트 요약 요점 정리 1. 아동간호의 정의 (1) | 202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