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화기관계의 구조와 질병
1) 구조

소화기관: 입에서 항문
까지 연결되는 하나의
긴 관.
소화기관에는 소화, 흡
수를 도와주는 부속기
관(간, 췌장, 담낭)이 연
결되어 있음.


관 내부에는 내막층이 있고, 점막에는 점액을 분비하
는 작은 분비샘이 있음
2) 기능
소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큰 물질을
구성단위로 분해 (구강, 위, 장)
(1) 기계적소화
- 구강의 저작작용
- 위와 장의 연동운동
(2) 화학적소화
- 타액, 위액, 장액의 소화액에 의한 화학작용
흡수: 소장 상피세포에서 단당류,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 등 흡수됨
소화기관의 신경계
외인성 신경 :
아세틸콜린 : 근육수축, 췌장소화액 분비자극
아드레날린 : 근육이완, 혈류감소
내인성 신경:
소화기관계에 위치한 신경조직
소화기관의 운동, 소화액 분비 조절 등
2. 소화기관계의 질병
1) 식도염 (esophagitis)
(1) 원인: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김
급성 식도염: 자극물 섭취,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등에
의해
만성 식도염: 위산의 역류에 의해
→ 열공탈장, 하부식도괄약근 압력 감소, 복부압력증가,
구토 반복 등에 의한 위산 역류
(2) 증세
속쓰림, 역류, 삼키기 곤란
★ 열공 탈장 (hiatal hernia)

위의 일부가 주머니 모양으로 식도구멍을 통하여
횡경막 밖으로 나온 상태
횡경막에서 생긴 압력에 의해 위산이 식도로 올라옴
→ (식도염의 원인이 됨)
(3) 치료
① 식도 점막의 자극 최소화 (급성일 경우)
② 위산의 역류 억제
③ 위산의 산도 감소
(4) 식이요법
① 조금씩 자주 먹는다.
② 가슴쓰림 야기 음식을 피한다.
③ 지방보다는 단백질 식품을 공급한다.
④ 알콜, 초코렛, 카페인 음료, 흡연을 피한다.
⑤ 식후에 눕지 않는다.
2) 위염 (Gastritis)
(1) 급성 위염 (acute gastritis)
원인: 과식, 과음, 흡연, 아스피린 등과 같은 약물 남용, 세균성 식중독
(2) 만성 위염 (chronic gastritis)
원인: H. pylori 감염에 의한 위점막 손상, 결핵, 신장염 등과 연관. 원인 불확실.
증세: 소화불량, 식욕부진, 만복감, 상복부 통증, 메스
꺼움, 구토 등
(2) 만성 위염 (chronic gastritis)
치료(식사요법)
① 장기적인 관리 필요
② 환자에게 불편을 주는 음식을 피함
③ 규칙적 식사
④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
⑤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 자극성 음식,
조미료, 알콜 음료, 커피 등을 피함
3)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disease)


궤양: 소화기관을 덮고 있는 점막이 위산이나 펩신에
의해 침식되고 헐어서 생긴 상태로서 식도, 위, 십이지장 등에 생기며 십이지장 궤양이 가
장 흔함.
(1) 원인
① 알콜, 카페인 음료 남용
② 항염제 (NSAID), 아스피린 등의 약물 남용
③ 흡연
④ 바이러스, H.pylori 감염에 의한 궤양 발생
⑤ 유전인자, 나이, 스트레스 등
(2) 증세
① 공복 시 상복부 심한 통증 (위산이 점막 자극하므로)
② 궤양이 심해지면 출혈, 천공, 흑변
(3) 치료
급성기: 4-6주의 집중적인 치료 필요
만성기: 궤양의 재발방지 중요
궤양치료 목적: 증세 완화하여 통증을 없애고, 상처치
유 촉진, 재발 방지, 합병증 방지
(4) 식이요법
① 자극이 적은 부드러운 음식 공급
② 위산 분비 억제하기 위하여 조금씩 자주 식사
4) 만성 소화장애증
(celiac disease, gluten-sensitive enteropathy, nontropical sprue)
(1) 원인
밀단백질인 글루텐의 글리아딘에 의해
융모가 손상되어 영양소 소화흡수 감소
(2) 증세
어린이: 성장부진, 분출성 구토, 복부팽대, 변의 이상
성인: 식욕부진, 체중감소, 허약, 피로, 설사, 지방변,
색과 냄새가 이상한 변
(3) 치료(식사요법)
① 무 글루텐 식이 (밀, 호밀, 보리, 메밀, 귀리 제외)
② 유당불내증이 있는 경우에는 유당 제한
③ 비타민-무기질제 보충: 빈혈 치료

5)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겨 설사나 통증을 유발
만성궤양성 대장염 (chronic ulcerative colitis)
대장과 직장 부위의 점막 표면에 염증이나 궤양이 발생
20-40세에 많이 발병
크론병 (Crohn's disease)
소장과 대장 점막 깊숙이 육종 발생
비교적 어린 나이 (15-25세)에 많이 발병
재발성이 크고 선진국에서 발생빈도 높고,
최근에 발병 빈도 증가 추세
병이 진전되면 합병증 나타남 (협착, 폐쇄, 누출관 생성)
(1) 원인
① 정확한 원인 모름
② 유전적 소인, 면역기능의 변화, 미생물의 변화 등 관여
(발병이 느리고 만성적)
(2) 증세
① 피로, 복통, 설사, 발열, 식욕부진, 혈변
② 영양불량 → 빈혈, 혈청단백질 감소, 부종, 비타민결핍증,
탈수, 전해질 불균형, 체중감소, 특히 비타민 E, 아연, 철분
③ 설사, 혈변, 심할 때는 하루 20-30회 설사
(혈액, 고름, 장점막이 섞인 설사)
④ 장질환 계속되면 대장암 발전 가능성이 있어서 예방에 주의
(3) 치료(식이요법)
흡수불량, 설사, 출혈 등에 의한 영양불량 심함
→ 환자의 영양상태 증진
① 고단백, 고열량의 균형된 식사
② 섬유소 섭취는 병의 진행상태에 따라 결정
③ 항염증제(설파살라진)을 사용하는 경우 엽산, 철분,
비타민 B12 보충
6) 게실염 (diverticulitis)
게실증: 대장벽에 작은 주머니와 게실이 퉁겨져 나온 상태, 나이 증가에 따라 증가
(1) 원인
장에 축적된 높은 압력이 장벽의 약한 부분을 밀어내어 풍선
모양의 주머니(게실) 만듬
주로 대장 아랫부분, 항문 바로 윗부분에 밀집
(2) 증세
대장의 아랫부분이 강직, 모양 변하고 내면이 좁아짐.
작은 변 덩어리가 생기고, 변비, 설사 야기, 복부 팽만, 아랫배
통증, 대장경련, 구토
심하면 천공 박테리아가 복부로 나가 복막염 발생가능
(3) 치료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 고섬유소 식이 권장
수분과 결합하여 변의 양이 많고,
부드럽게 하여 대장 압력을 낮추고
게실 형성의 가능성 감소시킴
수술 가능함.
식이요법
① 적당한 양의 섬유소, 충분한 수분 섭취
② 규칙적 배변
③ 급성인 경우는 유동식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섬유소 공급
7)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소장이나 대장의 운동이 비정상적으로 항진되어
변비나 설사가 발생.
(1) 원인
불확실
식품 (초콜릿, 우유, 알콜, 카페인 등), 약물, 스트레스
등에 의해 발생 가능
(2) 증세
음식 섭취 후 배변하고 싶은 느낌이 드나 실제 배변이
어려움.
경련, 복부팽만, 변비, 설사 등
(3) 치료(식이요법)
급성: 저섬유소식이를 하다가 차차 자극성이 없는
연식으로 발전하면서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
상태가 호전되면 고섬유소식이 권장
식이요법 참고
① 장에 불편을 주는 음식 제한
② 과식을 피하고 조금씩 자주 섭취
③ 유당을 피함 (우유 대신 요구르트)
④ 지방 섭취 제한
⑤ 고섬유소, 수분 섭취
8) 치질 (Hemorrihoids)
항문과 그 주위의 정맥 혈관이 늘어나서 통증이 생김.
외치질과 내치질로 분류
(항문 안쪽의 내치핵 또는 외치핵이 항문주위 (밖)으로
나옴)
(1) 치료
식이요법
고섬유소 식이와 충분한 수분(6~8컵) 섭취
규칙적 배변, 변을 부드럽게
약물치료
9) 설사 (Diarrhea)
묽은 변을 자주 보는 것으로서 수분과 전해질 손실되고 영양소 소화 흡수 비정상적.
(1) 원인
장내 삼투성 물질이 있을 때 (유당불내증 등)
박테리아의 독소로 인해 수분과 전해물질이
장내로 분비될 때
장점막 손상
음식물의 흡수가 잘 안될 때
(2) 치료
수분과 전해질 공급하여 체액의 균형 유지
설사의 원인 제거
식이요법:
증세가 심할 때는 1~2일 정도 금식
전해물질 공급 위해 국물, 과일주스, 음료 공급
저섬유소 식이로 시작하여 섬유소 량 증가시킴
초기에는 유당 제한
10) 변비 (Constipation)
배변의 횟수가 적고 힘든 경우
3일 이상 배변을 하지 않으면 변비가 되기 쉬움
변비 분류(기능성/기질성 변비로 구분)
기능성변비
급성 변비: 환경 변화, 스트레스
만성 변비: 이완성 변비(습관성 변비), 경련성 변비(과민성 변비)
(1) 원인
부적당한 식사: 섬유소, 수분섭취 부족,
지방, 설탕 섭취 과다
운동 부족
연축성 대장
나쁜 배변 습관
임신, 호르몬 불균형
과다한 약물 복용
장 구조 이상
(2) 치료(식사요법)
규칙적인 생활과 규칙적 식사
충분한 섬유소와 수분 섭취
적당한 운동
규칙적 배변 습관
가능하면 약물 치료에 의존하지 않는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임상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전공, 영양사, 간호사, 조무사 등 핵심과목 임상영양학 요약정리 6. 신장질환 (0) | 2022.01.25 |
---|---|
식품전공, 영양사, 간호사, 조무사 등 핵심과목 임상영양학 요약정리 5. 심혈관계 질환 (1) | 2022.01.24 |
식품전공, 영양사, 간호사, 조무사 등 핵심과목 임상영양학 요약정리 4. 당뇨병 (0) | 2022.01.23 |
식품전공, 영양사, 간호사, 조무사 등 핵심과목 임상영양학 요약정리 3. 간, 담낭 및 췌장질환 (0) | 2022.01.22 |
식품전공, 영양사, 간호사, 조무사 등 핵심과목 임상영양학 요약정리 1. 환자의 영양공급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