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상담사 등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이해 요점 요약 13. 인간행동과 인지심리학

롤라❤️ 2023. 2. 20. 13:29
반응형

13. 인간행동과 인지심리학

1 인지심리학의 개요
1) 인지심리학
(1) 정의: 사람의 인지과정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분야
☞ 인지과정: 앎의 과정 즉 특정한 대상에 주의를 기울여 정보를 얻고, 각각의 정보들을
조직화하여 지식으로 변환시키고, 지식의 내용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 등을 의미함

(2) 방법론
☞ 실험심리학의 전통을 기반으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실시하여 그것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예측가능한 모델을 만드는데 관심이 많음

2) 등장 및 발전배경
(1) 행동주의에 대한 반발
☞ 행동주의는 객관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주장하면서 인간의 마음이 없는 것처럼
연구(블랙박스 모델)하였지만 비판이 제기됨
☞ 수반성(contingency): X가 오면, Y가 따라온다.
- 예언적 관계성이 없으면 조건형성이 불가함
- 행동주의 학습에도 인지과정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시사됨
☞ 관찰 및 통찰학습: 간접적인 경험(관찰)이나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상황의
문제해결이 가능함

(2) 컴퓨터의 등장과 확산
☞ 인간의 뇌와 마음을 컴퓨터에 비유: 컴퓨터의 입력과 저장, 출력이라는 세 단계의
정보과정으로 접근
☞ 인지과학으로 확대: 인지심리학에 다른 분야의 심리학과 철학, 신경과학, 사회학, 생물학,
공학 등이 함께 결합되면서 인지과학으로 확대됨

2 전통적 기억 모형과 대안적 기억 모형
1) 기억
(1) 정의
☞ 과거 경험으로부터 얻은 정보와 지식을 유지하고 현재에 되살려 주어진 과제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Tulving, 2000)

(2) 정보처리 기억 모형
☞ 부호화(encoding): 뇌에 정보를 입력시키는 과정
☞ 저장(storage): 그 정보를 보유하는 과정
☞ 인출(retrieval): 필요한 정보를 꺼내는 과정

(3) 기억으로부터 정보를 되살리는 방법
☞ 회상(recall):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된 정보를 기억에서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재인보다 더 어려움
☞ 재인(recognition): 제시된 것이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
☞ 재학습(relearning): 절약법 (savings method)이라고도 하며, 처음 학습할 때의 시간과 두
번째의 학습할 때의 시간을 비교하는 것으로 첫 번째 학습에서 얼마나 잘 학습했는지에
따라 재학습 시간이 단축됨

(4) 기억 유형
☞ 외현적 기억(explicit memory)
- 사람의 이름을 회상하여 보고하거나 재인하는 기억
- 기억하고, 회상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수 있는 기억
☞ 암묵적 기억(implicit memory)
- 자전거를 타는 과정에서 균형감과 같은 분명하게 말하기 어려운 기억
- 의식적 또는 의도적으로 기억하려 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경험이 되살아 남
예: 푸르스트 효과

2) 전통적 기억 모형
☞ 애트킨슨과 쉬프린(Atkinson & Shiffrin, 1968)은 기억을 세 단계로 구분한 기억 모형
- 기억저장소(감각기억)→단기 저장소(단기기억)→장기 저장소(장기기억)
(1) 감각 저장소(sensory store)
☞ 눈이나 귀와 같은 감각 기관을 통해 들어온 정보가 극도로 짧은 시간(~250ms)만 머무는 기억 저장소

(2) 단기 저장소(short-term store)
☞ 감각 기억에 비해 정보가 머무르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지만(~10초) 기억 가능한 정보의
양이 매우 적은 것
☞ 제한된 용량: 단기기억에 정보를 더 많이 저장하려면 이미 저장되어 있는 항목들을 버리고
새로운 정보가 들어 올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함
☞ 의미덩이(Chunk): 밀러(Miller, 1959)는 단기기억의 용량 7±2 항목이라고 밝힘
- 청킹(chunking):단기기억으로 부호화 하는 중에 들어오는 정보들을 의미 있는 자극
단위로 묶는 작업
- 청킹의 예: 5 0 5 1 0 0 3 1 2 2 5 8 1 5
③ 장기 저장소(long-term store)
☞ 무한대에 가까운 양의 정보를 오랜 시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억 저장소

3) 대안적 기억 모형
☞ 배들리(Baddeley, 1986)의 작업 기억 모형

- 중앙 집행기(central executive): 저장소적 기능을 강조한 과거의 관점과는 달리 정보를
능동적으로 활성화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강조함
-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단기기억을 저장하는 저장소 뿐 아니라 중앙 집행기가
감각기억의 정보와 장기기억에서 인출된 정보를 통합하여 활성화, 유지하는 기억
- 평가: 고전적 기억 모형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기억 현상을 명확하게 설명함으로써 가장
합리적인 모형으로 평가됨

3 망각과 기억 왜곡
1) 망각의 원인
(1) 간섭(interference) 이론
☞ 경쟁하는 다른 정보 때문에 기억해야 할 정보를 잊어버리게 된다는 이론

(2) 쇠잔(decay) 이론
☞ 단순히 시간이 흘러가면서 기억 항목이 점차 사라지게 된다는 이론

2) 계열 위치 곡선(serial position curve)
(1) 초두 효과(primacy effect)
☞ 맨 처음 제시된 몇 개의 단어가 상대적으로 잘 기억하는 현상
(2) 최신 효과(recency effect)
☞ 가장 나중에 혹은 가장 최근에 제시된 정보를 더 잘 기억하는 현상

3) 기억 왜곡과 기억 실패
(1)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 자신의 개인사에 관련된 기억
☞ 대부분의 어른들은 어렸을 적에 부모님 말씀도 잘 듣고, 공부도 잘 했다고 기억함
(2) 목격자 증언(eye-witness testimony) 왜곡
☞ 로프터스, 밀러와 범즈(Loftus, Miller, & Bums, 1978): 사건 목격 직후 제시된 질문의
내용이 목격 당시 저장된 기억을 강력하게 왜곡함을 발견
☞ 사례: 교통사고에 대한 기억(Loftus & Palmer, 1974)
- 교통사고 장면을 보여준 다음에 질문
A집단: “두 차가 충돌했을 때 얼마나 빠르게 달리고 있었는가?”
B집단: “두 차가 접촉사고가 났을 때 얼마나 빠르게 달리고 있었는가?”
- 차량 속도에 대한 추정: 정면충돌>접촉
- 일주일 후, 깨진 창문을 보았는가에 대한 질문: 정면충돌>접촉사고(실제로 깨진 유리는 없음)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