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37. 언어 이해과정

롤라❤️ 2023. 4. 3. 16:41
반응형

37. 언어 이해과정

 

1) 말소리 지각
(1) 말소리 지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우리는 말소리를 놀라울 정도로 빠른 속도로 이해할 수 있음
- 익숙한 언어 :초당 50개 음소 지각이 가능함 
- 말소리 이외 소리 자극의 경우 :초당 단음의 2/3가량만 지각이 가능함
- 우리가 외국어 읽기는 해도 말소리로 알아듣기가 어려운 까닭은 외국어에서 낱자와 낱자
조합이 만들어내는 소리가 모국어에서 그와 동일한 낱자 및 낱자 조합이 만들어내는 소리
와 다르기 때문 (예 영어 모국어 사용자는 스페인어 소리를 영어 음소 체계에 맞추어 해석 
하기 때문에 스페인어는 (영어모국어 사용자에게 만큼은) 미국영어처럼 들림)
비언어소리는 초당 1개 음도 지각 못하면서 어떻게 초당 50개 음소를 지각할 수 있는가?
- 동시 조음 을 나타낸다는 사실 때문임 
- 음소를 소리로 만들어낼 때 한 음소가 소리로 나가고 있는 동안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
른 음소가 시간적으로 중복되게 소리로 만들어질 수 있음 → 즉 조음은 동시적으로 이뤄,
지는 게 가능함 실제로 가방 이라고 말할 때 처음에 ㄱ을 그다음 ㅏ를 마지막으로 
ㅂ을 조음하는 식으로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ㄱ을 조음할 때 이미 입 모양은 그다음
의 ㅏ나 ㅂ을 조음할 준비를 마친다 
- 한 단어 안의 음소들이 서로 중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말소리에서 단어들 간 경
계 또한 중복되는 경향이 있음 → 이러한 말소리 중복이 말소리 지각의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지만 비언어적인 소리의 지각능력이 갖는 한계를 생각할 때 동시조음은 말
소리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에 필요함
- 1적인 정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나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그 정보가 부호화되는 방 
식에 비추어 볼 때 말소리 지각은 다른 지각 능력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여겨짐

 

(2) 어떻게 말소리를 쉽게 지각할 수 있는 것일까 ?
① 말소리 지각은 일반 지각과정
말소리 지각은 다른 청지각 과정과 같다
판형비교 또는 세부특징탐지 과정을 강조함
- 말소리가 먼저 구성요소로 분석되고 → 다음단계에서 그 요소들이 패턴으로 분석되어 →
판형이나 원형과 대조되는 단계별 신경처리과정이 있다고 가정함
음소상세화 이론 우리가 말소리를 지각할 때 청감각 분석에서 시작하여 더 상위과정으로:
이동한다고 주장함
- 상위과정에서는 청각자극을 이미 우리 기억에 있는 단어 음소들과 각각 비교하면서,
연속적으로 일치 가능성을 판단하여 단어를 파악함
- 우리가 들은 단어를 구성하는 첫 번째 소리가 반드시 첫 번째 음소 하나일 필요는 없다고 봄
- 여러분들도 영화를 보거나 강의를 듣다가 귀에 남아 있는 몇 개 안 되는 단어를 기초로
자신이 들었던 것 같은 말소리를 뒤늦게 파악한 경험이 있지 않은가?

 

 TRACE모형
- 말소리 지각이 3수준의 세부특징탐지와 함께 시작된다고 보는 모형 (①청각적 세부특징
②음소 ③단어) 
- 말소리 지각은 매우 상호작용적임 하위수준 처리 ⇄ 상위수준 (서로 영향 미침)

- 말소리 지각을 위해서 단순한 세부특징 탐지나 판형비교를 넘어서는 의사결정과정이 필요하다고 봄
- 입력된 신호를 지각하는데 인지적 맥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가,
지각하는 말소리는 우리 귀에 들어온 말소리와 다를 수 있음
- 예 : 우리가 말소리를 지각할 때 실제로 들은 것과 이미 알고 있는 것이 서로 통합되어
나타난다는 음소복원효과
음소복원효과 : 말 지각에서 일어나는 효과로 음소의 음향적 신호가 백색 소음이나
기침 같은 다른 소리로 불분명해져도 단어 내에서는 음소를 지각하는 현상 즉 어떤. ,
자음이 빠져있음을 눈치채지 못함 맥락에 따라 실제로 지각하는 단어가 달라지게 됨 
- 음소복원은 불완전한 시각정보를 바탕으로 빈 곳을 채워넣는 폐쇄성 현상과 유사함
→ 실제로 청지각에 대한 주요 접근 가운데 시지각의 형태주의 원리 (예 : 대칭성 근접성 
유사성 를 말을 비롯한 여러 청각적인 행동에 확대적용 하고자 하는 입장도 있음)
결국 말소리 지각은 일반적임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세부특징탐지라는 지각의 일반원리와
형태주의 심리학 이론을 사용해서 어떻게 말소리를 듣고 이해하는 가를 설명하고 있음
② 말소리 지각은 특별한 지각과정
말소리의 범주적 지각(categorical perception)
- 우리에게 실제로 들리는 말소리는 소리 주파의 연속적인 변화인데도 우리가 이를
단속적인 말소리 범주로 지각하는 것을 의미함

- ba, da, ga와 같은 자음 - 모음 조합의 지각 : 음절 간 청각적 차이는 말소리 신호의 
변화패턴이 서로 다르다는 데 집중되어 있어서 어떤 패턴은 ba어떤 패턴은 da 어떤

패턴은 ga소리를 지각하게 만듦
- 뿐만아니라 각 음절 범주 안에는 말소리 지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리 패턴 차이도
있어서 어제 말했던 소리 ‘ ba≠ ga ’소리 여도 이를 다르게 지각하지는 않음
- 범주적 지각은 목소리 톤과 같은 말소리 이외 청각 자극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음의
높낮이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면 이를 연속적이지만 분명 달라지는 것으로
지각함 말소리는 특별하다( )∴
 [Liberman ]의 실험 연구자들이 음성합성을 이용하여 음절 안 이뤄지는 청각적 패턴의
자연적 변화를 시뮬레이트 하면서 음절들 간 청각적 차이를 통제해보았음
- 로 소리가 변화하되 변화 간격이 동일하도록 일련의 자음 모음 조합을ba da ga ‘ - ’→ →
만들어냄
- 그러나 사람들은 어느 시점에서 소리가 갑자기 로 바뀌는 것처럼ba da, da ga→ →
지각하였음
- 이 같은 음절의 차이는 같은 범주에 속하는 음소들 간 변별을 더 어렵게 만드는 반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하는 음소들 간 변별력을 향상시켰음
- 즉 각각의 음절이 청각적인 거리에서는 동일한 정보로 떨어져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 소리가 음소수준에서 차이가 날 때에만 다른 소리로 지각하였음

- 같은 계열 소리들의 차이는 지각 계열소리와 계열 소리 간 차이 지각ba X, But ba da O
- 정상적인 지각처리에서는 연속선상에서 서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있는 다른 소리들을
짝지어 비교했을 때 모두 같은 정도로 변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연구자들은 말소리가
특별한 처리과정을 통해 지각된다고 결론지었음
위 연구에 이어서 말소리 지각 운동이론 을 제안함( ) [ ]
- 사람들이 말소리 지각할 때 동시조음에서 비롯된 음소조각들의 맥락의존성을 어떻게
극복하여 범주적 지각현상을 나타내게 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음
- 청각적으로 는 다른데 대체로 두 단어 속 음소가 동시조음 맥락에서lip put : /p/≠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와 겹쳐지는지 혹은 와 겹쳐지는지에 따라 다른/p/ + li- ut–
소리를 만듦
- 왜 영어사용자들은 와 소리를 같은 음소로 간주하는가/p/ /ph/ ?
운동이론에 따르면 말소리 지각은 우리가 들은소리 와 상대방이 말하려고, (/p/, /ph/)
했던 소리라고 추론되는 소리 이 경우 둘 다 에 따라 이뤄짐( /p/)
사람들은 말소리를 낼 때 과정을 이용하여 말소리를 지각함으로써 동시조음영향을
극복 범주적 지각을 함 즉 내가 산출하는 것에 기초해서 들으려고 하는 것임+ ( , )
 McGurk 효과
- 시지각과 청지각의 동기화와 관련이 있음
- 영화보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영화에 삽입된 소리가 영화 속 인물의 입 움직임과,
일치하는 한 등장인물의 말소리 지각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
- 만약 영화배우 입술은 ba소리를 내고 있는데 실제로 들린 소리가 da소리라고 해본다면?
ba와 da의 중간에 해당하는 tha와 같은 소리를 듣게 될 것임 
-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합성하여 어느 쪽과도 일치하지 않은 소리를 경험하게 되는 것임
- 이런 이유 때문에 외국영화의 더빙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영화보기가 어려운 것임
- 운동이론에서는 조음정보에는 시각과 청각정보가 모두 포함되기 때문 이라 설명하고 있음 


(3) 서로 다른 이론들을 통합할 수는 없는 것인가 ?
말소리 지각 이론이 복잡해지는 이유 : 말소리 자체가 언어적 속성 + 지각적 속성 모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
- 순수하게 지각적 관점에서만 보면 말소리는 그저 상대적으로 좀 더 복잡한 신호일 
뿐이며 다른 신호와 달리 취급할 이유가 별로 없음
- 그러나 언어심리학자 입장에서 보면 말소리는 인간의 특별한 능력인 언어영역에 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할 수 밖에 없음
- 실제로 인지심리학 영역에서도 말소리 지각을 지각영역에 넣기도 하고 언어영역에 넣기도
하는 등 다 다름


2) 문법구조의 이해: 의미와 통사
(1) 의미
 (의미론에서는) 한 단어의 사전적 의미 :그 단어의 외연 표면상의 의미 라고 함 
그 단어의 정서적 의미 가정 그 밖의 명시적이지 않은 여러 의미 : 내포 (시사 혹은 함축)라 함  

우리는 어떻게 단어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을까?
- 개념 을 통해 의미를 기억 속에 부호화 한다고 배웠음 
- 개념 : 여러 가지 속성과 연결해놓은 관념 정신적 표상 으로서 서로 다른 다양한 생각들을 
연결할 때에도 이를 사용함.
- 예 : 어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운동패턴 동작 으로 나타내거나 심상 혹은 명제를 이용함 
- 우리가 어떤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를 생각할 경우 단어는 관련 정보를 조작하는 데 매우,
경제적인 수단을 제공해줌
- 예 책상 이라는 단어를 생각한다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책상 상상 속 
책상 책상의 여러 가지 특성 책상에서 할 수 있는 여러 활동들 책상과 연결된 다른 
개념들 등 을 생각할 수 있음’
- 어떤 것을 지칭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개념과 관련하여 이미 존재하는 정보에 새로운
정보를 덧붙이기가 쉬워짐
- 예 책상 이라는 단어는 책상과 관련된 새로운 경험을 했거나 책상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이 모든 관련 정보들을 책상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조직화 함
- 어떤 현상이나 대상에 이름 붙일 수 있는 단어가 있으므로 (예 세탁하기 평화행진 )
①텍스트 문장을 더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고
②무의미 형태에 대한 회상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③목격자 증언의 정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
- 개념을 나타내주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비언어적인 상호작용까지 도움을 받는 것임
- 예 스컹크 개 와 같은 개념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가 아주 잠깐 동안 봤던 동물들 간( : /
차이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빠른 인식이 가능하기에 대상에 적절한 반응도 취할 수 있음)
- 따라서 단어의 개념적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은 중요함


(2) 통사
통사 : 무한하게 만들어낼 수 있음 언어생산성
- 말소리 지각에서는 주로 언어의 음소 구조를 연구하였지만 통사에서는 구와 문장의 문법,
에 대해 즉 구조의 규칙에 대해 연구함
사람들은 통사구조를 이해하는 기술이 뛰어남 →∴ 영어 구사하는 사람들은 어떤 문장이
문법적으로 맞는지 틀린지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음
- 심지어 무의미한 문장처럼 의미 없는 문장들도 문법적인지 아닌지 판단 OK
-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기억에 저장된 단어 의미에 대해 의미점화가 나타나듯이 문장구조에서도 통사적 점화효과가
나타남 예 어떤 사람이 수동태 문장을 들으면 다른 문장 말할 때도 수동태 문장 사용할( : ?
가능성이 큼)
말 실수에서도 한 문장 안 두 단어를 실수로 바꿔서 그 문장이 말이 안 되더라도 문법적 규칙은
유지됨 보통 명사와 명사 동사와 동사 전치사와 전치사를 서로 뒤바꿔서 문장 구조를 유지함( , , )
- 예 이라 말하려 했는데: The butter knives are in the drawer The butter drawers
라고 잘못 말하는 경우 문장 문법규칙을 유지하기 위해 을are in the knife : drawer
복수로 를 단수로 바꿔 넣음, knives

수형도 나무위계 구조 를 사용해보면 우리가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한 여러 가지(= )
특성을 잘 알수 있음 우리 언어구사가 얼마나 정교한지 언어사용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등: ,

행동주의에서는 이러한 위계구조를 인정 X
행동주의 그냥 단어 단어 라고 생각

와 는 모호한 문장임 그런데 수형도를 분석해보면 어디에서 모호한지 알 수 있음 처럼c d : (C
해석할 수도 있고 처럼 해석할 수도 있음D )
촘스키 변형문법에 대한 연구를 제안함:
- 구 구조에 대한 연구를 문장 내 명제 재배열을 통해 다양한 구 구조의 형성방법을
알려주는 변형규칙에 대한 연구로 확대함
- 단순히 구 구조 문법만으로는 통사이해가 부족하다고 보았던 것임
- 변형 하나의 수형구조 예 능동태 수형구조 를 다른 수형구조 예 수동태 수형구조 로: ( : ) ( : )
바꾸는 규칙
- 심층구조 변형규칙을 적용하여 여러 구 구조들을 연결하는 통사구조를 지칭하는데 사용:
- 표면구조 변형의 결과로 나타나는 다양한 구 구조를 나타낼 때 사용:
- 촘스키는 구 구조 문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했음 구 구조 간 이면에 있는 관계를 파악하려면→∴
변형문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

번과 번의 구 구조 문법에서 보면 차이가1 2 ↑
번과 번 비교 구 구조 문법에서 보면 차이 그런데 의미는 완전히 달라짐1 3 : ,↓
번과 번의 놀랄 만한 차이를 보여주는 동시에 번 번 번 번 간 놀라운 유사성도1 2 1 vs3 , 2 vs4
볼 수 있음
이처럼 촘스키는 통사를 이해하려면 다양한 구 구조들 간 상호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였음
심층구조 단 개 변형규칙 표면규칙( 1 ) , ,① ② ③ … ⇨ ⇨
통사구조와 어휘구조 간 관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 촘스키 이론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