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코로나19 재유행 우려지속, 글로벌 무역갈등 우려, 세계 성장률 하락 등 뉴욕증시 관련 주요 이슈 및 수혜주 총정리

롤라❤️ 2020. 6. 25. 07:26
반응형

코로나19 재유행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이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 美 텍사스와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등 다수주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상 최고치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CNBC는 존스홉킨스대학 집계를 분석한 결과, 미국내 7일 평균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한 주 전보다 30% 이상 증가했다고 보도했음. 이날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하루전 발생한 미국내 코로나19 신규 감염자수는 3만4,700명으로, 이는 감염이 정점 에 이르렀던 4월24일 3만6,400명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임. 이 같은 소식 속에 뉴욕과 뉴저지, 코네티컷 등 북동부 3개 주는 플로리다 등 코로나19 증가세가 가파른 주에서 오는 여행객에 대해 14일간 격리 조치를 취한다고 발표했음. 독일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봉쇄령이 다시 발동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고조되는 모습.
한편, 앞서 플로리다 등 4개 주에서 매장 문을 닫은 애플은 휴스턴 내 7개 매장도 추가로 봉쇄한다고 밝힘.

글로벌 무역 갈등이 재부각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 언론에 따르면, 美 무역대표부(USTR)는 항공기 보조금 관련 갈등의 연장선에서 커피나 콜릿 등 유럽산 일부 제품에 최대 100%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미국이 캐나다산 알루미늄에 10%의 관세를 다시 부과하는 방 안을 추진 중이란 소식도 전해짐.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경제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는 등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도 부담으로 작용. IMF는 이날 올해 전 세계 국내 총생산(GDP)이 전년대비 4.9%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음. 이는 지난 4월 전망치 3.0% 위축보다 크게 낮아진 수치로, 성장률 전망을 시작한 1980년 이후 최저 수준임. 국가별 로는 미국이 -8.0%로 하향 조정됐으며, 유럽연합(EU)은 -10.2%로 하향 조정. 아울러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예측치도 5.8% 성장에서 5.4% 성장으로 하향 조정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미국의 원유재고가 증가한 점과 코로나19 재유행 우려가 부각된 점이 이날 국제유가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美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원유재고가 약 144만 배럴 증가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전망치보다 큰 폭의 증가임. 이에 美 원유재고는 3주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총 원유재고량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함. 또한, 지난주 미국 내 원유 산유량은 하루평균 1,100만 배럴로 전주대비 50만 배럴 증가하면서 초과 공급에 대한 우려가 부각됨.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등 美 동부지역 3개 주는 플로리다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주에서 온 여행객 에 대해 14일간 격리조치를 하겠다고 발표함. 플로리다, 텍사스, 캘리포니아 등 미국 내 일부 주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러한 소식에 코로나19의 재유행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36달러(-5.85%) 하락한 38.01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 가격은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등에 따 른 증시 급락 속 상승했으며, 달러화는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및 글로벌 무역 분쟁 등에 강세를 나타냄.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최근 가파른 상승에 따른 부담 등에 소폭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에너지, 복합산업, 경기관련 서비스업, 운수, 소매, 금속/광업, 은행/투자서비스, 기술 장비, 의료 장비/보급, 기술장비, 자동차, 소프트웨어/IT서비스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속 #델타항공(-7.76%), #유나이티드컨티넨탈홀딩스(-8.34%), #아메리칸에어라인스그룹(-6.86%) 등 항공 업체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보잉(-5.96%)도 큰 폭 하락. #윈 리조트(-11.00%), #라스베이거스샌즈(-4.14%) 등 카지노, #익스피디아(-6.19%) 등 여행, 로얄 캐리비안(-11.26%) 등 크루즈 업체도 큰 폭 하락. #마이크론테크놀로지(-3.11%) 등 반도체, #뱅크오브아메리카(-3.95%) 등 은행 업체들도 하락했으며, 국제유가 급락 속 #엑슨모빌(-4.71%) 등 정유 테마도 하락. 최근 강세 흐름을 보이던 #애플(-1.77%), #알파벳A(-2.14%), #페이스북(-3.39%), #아마존(-1.09%), #넷플릭스(-1.80%), #마이크로소프트(-2.02%) 등 주요 기술주들도 하락.

#다우 -710.16(-2.72%) 25,445.94, #나스닥 -222.20(-2.19%) 9,909.17, S&P500 3,050.33(-2.59%), #필라델피아반도체 1,944.30(-2.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