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금융세제 개편안 부정적 영향 분석 및 증시 약세, 재외국민 비대면 진료 임시허용 소식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등 주요이슈 정리

롤라❤️ 2020. 6. 25. 18:59
반응형

- 국내증시 테마 시황 -

▷금일 국내 증시가 코로나19 글로벌 재확산 우려 속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큰 폭으로 하락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하락. 특히, 코로 나19 재확산 우려 속에 항공/저가 항공사, 여행, 카지노, 면세점 등의 테마가 하락했 고, 대표적 경기 민감주인 자동차 대표주/부품, 반도체 대표주, IT 대표주,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은행 등의 테마도 하락. 아울러 금융세제 개편안 부정적 영향 분석 및 증시 약세 등에 증권 테마도 하락했으며, 국제유가 급락 속 정유, LPG, 조선, 석유화 학 테마 등도 하락. 이 외 자전거, 해저터널, 전기자전거, 아스콘, 인터넷 대표주, 풍력에너지, 종합상사, 철도, 태풍 및 장마, 편의점, MLCC, 우주항공산업, 손해보험, 5G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반면, 정부의 재외국민 비대면 진료 임시허 용 소식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했고, 美 행정부 중국 기업 추가 제재 부과 우려 속에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도 상승. 아울러 정부의 친환경차 전환·신산업진출 기업 사업재편 계획 승인 속에 일부 수소차, 전기차/2차전지 테마가 상 승했으며, 반도체 소부장 국산화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日 수출 규제(국산화) 및 반도체 재료/부품 테마도 상승. 이 외 일부 수산 테마도 상승.


- U-Healthcare(원격진료) -

"정부, 재외국민 비대면 진료 임시허용 소식에 일부 U-Healthcare(원격진료) 관련주 상승."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금일 2020년도 제2차 산업융합 규제 특례심의 위원회를 열고 첫 민간 샌드박스로 재외국민 비대면 진료 등을 의결했다고 밝힘. 심의위는 우선 인하대병원과 라이프시맨틱스의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진료· 상 담 서비스에 대해 2년 동안 임시허가를 내주기로 결정했으며, 라이프시맨틱스는 분당 서울대병원과 서울 성모병원, 서울 아산병원 3곳에 관련 플랫폼을 제공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나노엔텍, #비트컴퓨터, #유비케어 등 일부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가 상승. 한편, 정부의 규제 샌드박스 제도 시행 이후 홈 재활 분야 실증특례 첫 사례로 네오펙트가 선정됐다는 소식에 네오펙트는 상한가를 기록.

U-Healthcare(원격진료)

U-HEALTHCARE(Ubiquitous Healthcare Service)란 의료와 IT기술이 융합한 미래형 원격의료시스템으로 환자가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으로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세계적으로 의료와 ICT의 융합이 이루어지면서 U-HEALTHCARE 및 원격의료가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음.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대면접촉을 기피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비대면 진료 방안을 검토하는 등 원격진료 도입 필요성이 부각되는 모습.

종목명

케어랩스(-5.10%)

오스템임플란트(-2.59%)

뷰웍스(-2.39%)

차바이오텍(-2.13%)

파마리서치프로덕트(-1.72%)

메디포스트(-1.05%)

JW중외제약(-0.78%)

휴비츠(-0.71%)

녹십자홀딩스(-0.41%)

테라젠이텍스(0.00%)




- 희귀 금속(희토류 등) -

"美 행정부 중국 기업 추가 제재 부과 우려 속 일부 희귀 금속(희토류 등) 관련주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전일(현지시간) 美 국방부가 의회에 인민해방군이 소유 또는 지배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 리스트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 짐. 해당 리스트에는 화웨이, 차이나모바일, 차이나텔레콤, 하이크비전 등 다양한 사 업 부문의 중국 기업들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

▷이에 시장에서는 美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기업에 대한 추가 제재안을 내놓을 것이란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 이 같은 우려 속에 美/中 갈등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부각되며 #쎄노텍, #티플랙스, #유니온머티리얼 등 일부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가 상승세를 기록.

희귀금속(희토류 등)

희귀금속이란 생산량이 적고, 생산지가 한정되어 있는 금속으로 전자제품의 필수 재료인 콜탄(탄탈럼), 전지의 원료인 리튬, 희토류, 몰리브덴 등의 금속들이 포함됨. 특히, 희토류의 경우 중국이 전세계 생산량의 약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열과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전기 · 전자 · 촉매 · 광학 · 초전도체 등 다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음.

종목명

에코마이스터(-8.33%)

LG상사(-4.18%)

POSCO(-2.70%)

대원화성(-2.33%)

혜인(-2.32%)

EG(-1.52%)

삼화전자(-0.19%)

에스맥(0.00%)

에스모 머티리얼즈(0.00%)

유니온(0.31%)



- 증권 -

"금융세제 개편안 부정적 영향 및 증시 약세 등에 하락."

▷SK증권은 보고서를 통 해 금일 발표된 정부의 '금융세제 개편안'이 증권사에 긍정적인 영향보다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분석. 이는 주식거래세 인하가 거래회전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양도차익 과세에 따른 신규 주식투자자의 진입 매력을 낮추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 지난밤 美 증시가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및 IMF 경제 성장률 하향 영향 등으로 급락한 가운데, 금일 국내증시도 큰 폭으로 하락한 점도 부담으로 작용.

▷이 같은 소식에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한국금융지주 등 증권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

▷한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금일 제8차 비 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 참석해 증권거래세율을 현행 0.25%에서 2023년 0.15%로 하향하고, 상장주식 과세 대상을 대주주에서 소액주주까지 확대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 '금융세제 선진화 추진 방향'을 발표했음.


- 정유/석유화학/LPG(액화석유가스)/조선 -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속 국제유가 급락 등에 하락."

▷최근 글로벌 코로나19 확진자수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美 텍사스와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등 다 수 주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상 최고치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등 미국 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커지는 모습.

▷이 같은 우려 속에 밤사이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36달러(-5.85%) 급락한 38.01달러를 기 록.

▷이 같은 소식 속에 GS, S-Oil, 금호석유, 효성화학, 흥구석유 등 정유/석유 화학/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현대미포조선, 삼성중공업 등 조선 테마도 하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