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시험 대비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1. 가

롤라❤️ 2021. 9. 2. 10:47
반응형


가고(System Height) 지점에서 전차선과 조가선간의 수직 높이차
가공보호선(Overhead Protection Wire) ACSR 93㎟ 나전선으로 전차선과 조가선 사이에 설치되는 전선
가공선(架空線, overhead line) 전력의 배전용 또는 송전용으로 사용하는 전선로. 지중케이블을 매설한 지중선식에 대하여 그 구조가 가공식인 것. 즉, 전주 또는 철탑에 전선로를 가설한 것. 가공선로 또는 가공전선로.
가공전차선(架空電車線, overhead trolley line, trolley wire) 궤도의 상공에 가설하여 전기차에 전류를 급전하는 전선. 이 선의 하면을 트롤리폴 또는 팬터그래프(pantorgraph)가 접동(摺動)하여 집전한다. 집전자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마모 또는 손상에 지탱할 수 있도록 경동선, 카드뮴 동선 등이 사용된다.
가도교(架道橋, over road bridge) 도로위를 가로질러 놓은 철도교로 용도에 의한 교량 분류중의 일종이다. 이 종류의 다리는 가도교 및 그 설치도로의 종단선형에 의해 건축 노면이 제한되고 밑 도로의 건축한계에 따라 가도교의 하단이 제한되므로 통과 높이가 낮아지는 것이 많다.
가동 K자 크로싱(可動K字轍叉, movable center frog crossing) K자크로싱의 일종으로 차량의 주행시 주행 레일의 결선부를 없애고 이선 진입을 막기 위해 4개 의 가동 레일과 2개의 팔자형(八字形) 레일에 의해 구성된 것을 말하며 번수가 넓은 경우에 사용된다.
가동크로싱(可動轍叉, movable frog, continuons rail frog.) 크로싱의 일부가 움직이도록 되어 분기부에서 궤간선의 결선부를 없게 하여 차량통과시 소음과 진동을 적게 하고 차륜이 안전하게 주행하도록 한 크로싱으로 주로 고속열차가 운전되는 선로에 사용된다.
가동구간(可動區間, movable section.) 장대레일 구간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레일이 신축하는 부분을 가동구간이라 한다. 가동구간의 길이는 도상저항력, 레일온도 변화 등에 따르며 통상 장대레일 양단의 약 100 m가 된다. 도상저항력을 일정하게 하면 가동구간의 길이는 le = AEՂ △ t/r가 된다.
가동노스크로싱(可動鼻端轍叉, movable nose rail frog, swing-nose crossing) 크로싱 노스 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노스의 선단부가 양측 윙레일 측면에 밀착하여 결손 부분을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개통시키고 연결시켜 차량통과를 원활하게 한다. 이 경우 타측 윙레일에서는 완전분리가 된다.
가동둔단크로싱(可動鈍端크로싱, movable stub crossing.) 천이포인트라고도 하며 깎아 다듬지 않은 전단면 그대로의 단척레일을 사용한 둔단식 가동크로싱으로 일단은 크로싱의 교점위치에서 제자리 회전만이 가능케하고 타단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차량의 진로방향으로 개통시켜 연속된 레일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다른 방향의 레일은 단척레일의 길이만큼 완전 분리되어 절선부분을 발생케 한다. 따라서 신호의 오동작이나 열차운전 부주의로 사고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가동둔단식은 가동하는 단척레일 부분에 충격을 많이 받아 보수가 곤란하므로 근래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가동브래키트(Cantilever) H형강주에 취부되어 전차선 및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한 설비
가드레일(護輪軌條, guard rail.) 본선로 곡선중 높은 축제 또는 구배구간에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또는 만일 열차가 탈선했을 때 사고를 최소한으로 방지할 목적으로 주로 본선레일 내측 또는 외측에 본선레일과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 레일. 보통레일 또는 형강을 사용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탈선방지 가드레일, 교상 가드레일, 건널목 가드레일, 안전 가드레일, 포인트 가드레일.
가드레일설치(護輪軌條設置, laying of guard rail) 가드레일의 설치를 종류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탈선방지 가드레일 : 본선로의 반경이 300 미터 미만의 곡선, 급구배와 곡선이 결합하는 개소 또는 축대가 높아서 열차탈선의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인정되는 개소, 곡선과 곡선이 경합하는 개소,기타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개소에는 위험이 큰쪽의 반대쪽에 본선레일과 같은 종류의 레일을 후렌지웨이의 폭이 80 밀리미터 너비로 부설하고 그 양단은 2 미터 이상의 길이를 깔대기형으로 구부려서 종단을 본선레일에 대하여 200 밀리미터 이상의 간격이 되도록 한다.
2. 교상 가드레일 : 교량위에서 차량이 탈선했을 경우 일주하여 교량 아래로 전락하지 않도록 유도시키기 위하여 개상식 교량침목을 사용하는 트러스교 판형교 및 전장 18 미터 이상 교량, 곡선중에 있는 교량, 10 ‰ 이상 구배중에 있는 교량, 열차가 진입하는 쪽에 반경 600 미터 미만의 곡선이 연립되어 있는 교량에 설치하며 설치방법은 본선 레일 양측의 궤간내방에 본선 레일과 같은 종류의 레일로 플렌지웨이 간격을 200~250 밀리미터로 하며 양측레일의 끝을 2 미터 이상 길이에서 깔대기형으로 구부려 두 가드레일을 이어 붙여서 부설한다.
3. 건널목 가드레일 : 건널목에 본선레일과 같은 높이로 보판을 부설하거나, 포장을 하며, 후렌지폭을 65 미리미터에 슬랙을 가한 치수로 본선레일 외방으로 약 450 미리미터 보판을 깔아 부설한다.
4. 안전가드레일 : 본선로등에 낙석,또는 강설이 많은 개소에 위험이 큰 쪽 반대쪽의 궤간 내방에 본선레일과 같은 종류의 헌레일을 본선레일에 대하여 200~250미리미터의 간격으로, 양단부에서 본선레일에 대하여 300미리미터 이상의 간격으로 2미터 이상의 길이에서 깔대기형으로 구부려야 한다.
5. 포인트 가드레일 : 레일마모가 심한 곡선분기기 등의 포인트부에는 텅레일 마모방지용 포인트 가드레일 또는 포인트프로텍타를 후렌지웨이 폭이 65 mm + 슬랙의 치수로 부설한다.
가로패킹(橫木, cross packing) 패킹은 교량거더상에서 면맞춤 또는 캔트설치, 동상보수, 교대의 파라쾻 또는 개거의 콘크리트 면상에 직접 침목을 부설할 때, 레일면의 높고 낮음이 생겼을 때, 도상으로 정정할수 없는 경우, 레일과 침목사이 또는 구조물과 침목 사이에 나무판자의 패킹을 삽입하여 정정하는 것으로 레일과 직각방향으로 부설하는 패킹을 말하며, 부설하는 방법에 따라 가로패킹, 세로패킹,건너패킹이 있다.
가상구배(假想句配, virtual grade) 철도선로에 있어서 실제로 부치는 구배외에 운전계획상 필요한 가상의 구배로 제한구배, 표준구배,평균구배,보조구배 등이 있다.
가설승강장(假設昇降場, temporary platform) 여객과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본 승강장을 확장하거나 선로 이설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가설한 승강장.
가속도저항(加速渡抵抗, acceleration resistance) 열차가 가속할 때 필요한 여분의 견인력에 대한 저항.
가스압접(가스壓接, gas pressure welding) 산소,아세칠렌, 또는 프로판가스 등으로 접합할 두 금속재료의 끝부분을 가열 용융시키면서 양모재를 가압하여 용접시키는 방법. 철도에서는 장대레일을 위한 레일용접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크로스벗트법과 오픈벗트법이 있으나 국철에서는 레일의 양단부를 처음부터 밀착시켜 가열하는 크로스벗트법이 사용되고 있다.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옥내외 변전소용으로 사용조건하에서 전상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사고, 단락등의 이상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하여 계통을 적절히 보호하는 SF6가스로 절연된 복합 개폐장치
가스 차단기(Gas Circuit Breaker) 공기 대신에 절연내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불활성 가스인 6불화황의 압축가스를 이용하는 차단기.
간선(幹線, trunk line) 철도망중 주요 선로를 말한다. 수송량이 많은 선로이다.
간이역(簡易驛, simple station) 역장을 배치하지 아니하고 간이한 설비로 여객 또는 화물을 취급하는 역으로 배치 간이역,무배치 간이역, 운전 간이역으로 구분된다.
감속신호(減速信號, reduced speed signal) 신호현시의 일종으로,다음신호기에 정지신호 또는 경계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 현시하는 신호이다. 다음 신호기의 확인 거리가 짧을 경우에 사용한다.
강색철도(鋼索鐵道, cable railway,rope railway) 차량에 동력차를 붙이지 않고,지상에서 감아올리는 와이어로프 (鋼索)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견인하는 방식의 철도. 보통철도 및 톱니레일철도(abt-system railway)로서는 오르지 못하는 급경사선로에 이용되고 있다.
강심 알루미늄 연선(Aluminum Cable Steel Reinforced) 인장강도가 큰 강선 또는 강연선의 주위에 꼬아서 만든 도선으로 가공송전선로 건설에 주로 사용된다.
강우검지장치(Rainfall Detector) 강우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된 강우량에 따라 중앙통제센터의 종합사령자가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키기거나 열차운행을 중지시킴 (약 20km간격으로 설치)
강화노반(强化路盤, reinforced road bed) 우수침투에 의한 노반의 강도저하와 분니발생을 방지하고 열차 통과시 탄성변형량을 소정의 한도내로 하기 위하여 입도조정 쇄석 또는 수경성 입도조정 고로슬래그로서 지지력을 크게 한 노반이다
개못(犬釘, dog spike) 레일을 침목에 고정시키는 못으로 두부가 衁자형으로 구부러져 레일저부를 누르도록 되어 있으며 그형상이 개머리를 닮아 개못이라 한다. 개못의 길이는 침목에 박은 후 못의 첨단이 침목 하단면에서 15 mm 정도가 되는 것이 좋다.보통레일의 궤간 내외측에 八자형으로 4개를 박는다.
개집찰소(開集札所, wicket) 개집찰소는 개찰구와 집찰소를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개찰소는 개표소로 집찰소는 집표소로 용어가 개정되었다. 따라서 개찰소는 여객이 지정된 열차에 승차하기 위해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말하며 집표소는 여행을 마친 여객이 도착한 역에서 소지한 승차권을 역무원에게 내고 나가는 장소이다.
개·집표구 안내게시기(Ticket Gate Indicator, TGI) 자동개·집표기 상단에 벽면부착식으로 설치하며, 개·집표구 번호, 개표상황, 통로 및 승강장 번호 등을 표시하는 장치
객실환기구 자동개폐장치(Bicon System) 열차가 터널 진출입시 객실승객의 이명(耳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압력과 동일해지는 일정한 시간동안 외부와 공기순환을 위해 설치한 환기구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객차(客車,passenger car) 철도차량의 일종으로 여객 또는 소화물을 우송하기 위하여 제조된 차를 말하며 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비둘기호,침대차,식당차,우편차,소화물차 등이 있다. 국유철도 운전규칙의 정의로는 여객화물 및 우편물을 운반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된 차량이다.
객차(Passenger Car) 여객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승객설비를 갖춘차량
객차조차장(客車操車場, coach yard) 객차의 세척, 입환,재편성 등을 목적으로 설치된 조차장.
갠트렛트궤도(갠트렛트軌道, gantlet track) 복선중의 일부 단구간에 한쪽 선로가 공사등 으로 장애가 있을 때 사용되며,포인트 없이 2선으로 크로싱과 연결선으로 되어있는 특수선로를 말함.
거리표(距離標, distance post) 선로제표의 일종으로 열차운행의 안전과 선로보수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선로의 기점으로부터 종점방향으로 거리를 표시하는 표로서 노반머리 좌측에 1km 마다 세우는 km 표와 그 중간에 200 m 마다 세우는 m 표가 있다.
건널목(踏切道, grade crossing, railroad crossing, railway crossing, level crossing) 철도선로가 도로와 평면적으로 교차하는 부분으로 도로교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궤도부분 또는 선로부지내를 나무,콘크리트,석재 등으로 포장하고 필요에 따라 통행자의 주의를 끌도록 경계표를 설치한다. 교통량에 따라 보안설비를 하며 그 설비의 종류에 따라 제1,2,3종 등으로 나누며 보안설비로 안전을 보장하기 힘든 경우 또는 도로망등의 관계로 입체교차로 하는 경우가 있다.
건널목 가드레일(踏切道護輪軌條,guard rail for railroad crossing) 사람과 차량이 횡단하는 건널목에 통행이 편하도록 본선레일과 같은 높이의 레일을 궤도 내측에 부설한 레일로 차륜의 윤연로를 보호하도록 부설하며 직선구간에서 본선레일과 호륜레일의 두부내측간 거리는 65 mm가 표준이며 곡선궤도에서는 65 mm + s 로 부설한다.
건널목 경보기(踏切道警報器, crossing signal (or warnings), bell and flaser signal) 열차의 접근을 건널목 통행자에게 알리고 통행정지를 예고하는 장치로 궤도회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음향,색,빛 등에 의하는 방법과 혹은 양자를 병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음향에 의하는 방법은 전종,부자 등이 있고 시각에 의하는 방법은 적색섬광이 널리 사용된다.
건널목경표(踏切道警標, crossing warning sign) 선로 통행자나 도로운전자에게 건널목의 위치를 알려 경계심을 고취시키고 열차운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철도건널목에 설치하는 건널목 표지의 일종이다.
건널목교각(踏切道交角, intersection angle of railway crossing) 철도와 도로가 교차하는 각도.
건널목방호설비(踏切道防護設備, protection device for railway crossing) 건널목에서 일반 통행자가 보통도로에서와 같이 통행할 수 있고 열차운전에도 하등의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건널목에 설치되는 모든 설비. 궤간내에 설치하는 가드레일,도로면과 레일면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궤도 내외에 까는 부목,부석,포장 등.
건널목보안설비(踏切道保安設備, safety appliance for railway crossing) 열차의 운전을 원활이 함과 동시에 건널목 통행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건널목표지,건널목차단기 등의 모든 설비를 말하며 국철에서는 건널목 교통량에 따라 건널목을 1 ~ 3 종으로 분류하고 이에 알맞는 보안설비를 달리하고 있다.
건널목사고(踏切道事故, railway crossing accident) 건널목에서 발생한 모든 건널목을 말한다.
건널목예고표(踏切道豫告標, approaching sign of railroad cross) 건널목이 있음을 알리는 건널목표지의 일종. 건널목표
건널목차단기(踏切道遮斷機, crossing barrier, crossing gate) 열차 또는 차량이 건널목을 통과할 때 도로차량 및 통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건널목을 차단하는 장치로 왕복식,미다지식,승강식 등의 종류가 있다.
건늠선(亘線, cross over, 건넘선) 병행하는 두선의 선로간에 열차나 차량을 건너가게 하기 위하여 2조의 분기기로서 연결시킨 선로. 싱글크로스오버,시서스크로싱,다이아몬드크로싱,싱글슬립스위치,더블슬립스위치 등이 있다.
건축한계(建築限界, structure gauge, track clearance construction gauge) 차량이 선로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궤도상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설정한 한계를 말한다. 철도건설 규칙에서 각종 건조물은 이 한계내에 만들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국유철도 건설규칙에서는 폭 4.2 m 높이 5.15 m 를 기본한계로 정하고 곡선구간에서는 W=50,000/R 만큼 확대 하도록 하고 있다. (R:선로의 곡선반경 m, W:확대량 mm)
건축한계축소표(建築限界縮小標, special limitation on track clearance) 규정된 건축한계 보다 축소되어 있어 무개차,유개차,장물차의 활대품 적재와 운전을 주의시키기 위하여 터널 교량등의 건축한계 축소구간에 세우는 표지.
검사피트(檢査피트, inspection pit) 차량 하부 주행장치를 검사하기 위하여 사람이 밑으로 들어가서 검사할 수 있도록 선로 가운데를 파서 만든 검수시설.
검사선(檢査線, inspection track) 차량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선을 말하며, 유효장은 최장 열차장으로 하고 전장에 검사피트를 설치하여 차량 하부 검사를 하기 위한 선로이다.
검차고(檢車庫, shed for inspecting cars) 역. 조차장 구내의 측선중 평상시 검차를 위하여 사용되는 선로에 지붕이 설치되어 비. 눈 등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시설.
게이지 블럭(게이지 블럭 gauge block) p.c 침목용 체결장치의 일종으로,레일저부와 스프링크龼간에 설치되어 궤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레일로 부터의 횡압을 받는다. 레일 탄성 체결 장치 부속품의 일종으로 P.C 침목에 사용되며 레일 좌우에 1 개씩 사용되어 궤간의 확보와 궤간 조절용으로 사용된다.
게이지 스트러트 (게이지스트러트, gauge strut) 궤간의 축소를 방지하는 기재로, 주로 크로싱부에 사용된다.크로싱부는 가드레일이 차륜을 유도하여 이선 진입을 방지하고, 노스레일을 보호하며, 그 때 가드레일과 이것을 설치한 주레일이 크로싱축으로 이끌려 크로싱부의 궤간이 축소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로싱 윙레일 복부와 가드레일 복부를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궤도회로구간에 쓰이는 것은 절연된 것을 설치해야 한다
게이지 타이로트(게이지 타이로트, gauge tie rod) 궤도의 종침목 구간이나 분기기 입구에서 궤간 확대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궤재로 양쪽 레일 저부를 잡아주는 부품과 이들을 연결하는 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동신호구간에서는 좌우 레일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격벽재(Dividing Material)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케이블을 분리시키기 위해 공동관로 중앙에 설치되는 일종의 벽
견인력(牽引力, tractive power,tractive force.hauling capacity) 기관차가 주행하면서 당겼다 밀었다 하는 작업, 즉 견인작업에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견인력의 크기는 동륜에 걸리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다른 견인력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견인시스템(Traction System)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을 추진하거나 정지시키는 시스템으로 차륜, 전동기, 추진장치, 제동, 방향제어 및 부속장치들로 이루어 짐
견인전동기(Traction Motor) 열차를 주행하기 위해 구동하는 전동기로 직류직권전동기, 동기전동기, 유도전동기 등이 있으며, 경부고속철도차량의 경우 3상동기전동기를 사용
견인정수(牽引定數, nonal tractive capacity) 기관차 형식에 따라 선별(線別),운전 속도별로 끌 수 있는 최대 차중률(화차 1 량: 43.5 톤, 객차 1량: 40 톤)로 표시한 량수.
견인특성(牽引特性, traction characteristics) 동력차가 객화차를 끌어 당기는 힘의 특성상 그 차량이 가지는 독특한 성질.
경간(Span) 전철주와 인접한 전철주 사이의 거리
경감계수 (Reduction Factor) 유도전압을 저감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경계 설비(警戒設備,equipment of boundary) 선로 내에 일반인, 가축이 들어오는 것은 위험하고 열차운전상 지장을 주므로 운전보안을 위해선로 연변에 적당한 경계설비를 한다. 경계설비는 담장(울타리)을 설치하는 것으로 목조, 철제, 철근 콘크리트, 벽돌, 블럭, 생울타리 등이 있다.
경계신호(警戒信號, restricted speed signal) 열차운전시 다음 상치 신호기에 정지 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 경계 신호기에 현시가 있게 되는 데 경계 신호가 현시되면 정지 신호의 현시가 있는 지점까지 시속 25 키로 미터 이하의 속도로 운전할 수 있다. 다음에 상치신호기의 설치가 없을 때는 열차의 정차할 위치까지 진행할 수 있다.
경두레일(硬頭레일, head hardened rail) 레일 두부의 재질이 열처리에 의하여 다른부분의 재질보다 견고하게 되어 있는 레일로 급곡선부 궤도에 사용된다.
경량객차(輕量客車, light weight passenger car) 열차운용 효율을 늘이고자 객차의 중량을 가볍게 만들어 1개 열차에 많은 량수를 견인할 수 있도록 만든 객차.
경사타이플레이트(傾斜타이 플레이트, canted tie plate) 레일을 궤간 안쪽으로 경사시키기 위하여 쓰이는 타이플레이트로 레일의 마모를 적게 하고 차량의 동요를 적게할 목적으로 사용 한다.
경합탈선(競合脫線, derailment due to complex of causes often interminate) 탈선사고의 원인으로서는 운전속도,재하의 상태,차량 및 선로의 정비상태 등의 각 인자가 있다. 이들 인자의 개개에 관하여 안전확보를 위한 제한이나 보수기준치가 정해져 있어,단독으로는 각인자가 충분한 안전한계에 있더라도 몇 인자가 경합하여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탈선을 말한다.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고전압을 직접 측정이 불가하므로 이 기기를 통해 2차 정격을 110V로 사용하는 변압기
계기용변류기 (Current Transformer) 회로의 전압이 높거나 또는 전류 이상이 생겨 커지면 작접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이 기기를 통해 2차측 전류를 검출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기기
계단형 홈(階段形 홈, stepped platform) 화물 적하장의 형상이 계단 형으로 된 홈을 말하며 적하완료시 입환하기에 편리하나, 매 계단으로 인하여 화물적치 장소의 폭원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계중대(計重臺, track scale) 화물의 중량을 화차에 적재한채로 무게를 달고 화차의 자체무게를 차인하여 화물의 적재량을 산출하는 기계로 보통 정지 상태에서 계중하나 열차운행중에 서행하여 계량하는 전자식도 있다.
고가철도(高架鐵道, elevated railway,aerial railway.overhead railway) 고가식으로 부설된 철도로 구조에 의하여 분류하면 축제식(築堤式),구조물식(構造物式),현수식(懸垂式)이 있다.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의 일환으로서 특히 대도시에서는 통근, 통학용의 대수송 기관으로서 필요하다.
고망간강 크로싱(高망간鋼크로싱, high manganese steel crossing) 보통레일로 된 크로싱은 노스레일 선단부에 차륜이 격돌하여 심한 마모로 수명이 단축되므로 보통레일 보다 망간성분을 높여 수명 연장을 강구한 크로싱이다. 내마모성이 강하여 보통레일로 만든 크로싱보다 수명이 5배 정도 된다. 균열의 진행은 극히 느리며 대부분의 균열은 용접수리가 가능하다. 주강의 단일체이므로 차량동요가 적고 보수 노력이 절약되고 내구년한이 길어 중요선에 사용된다.
고속철도(高速鐵道, high speed railway rapid trnasit railway) 열차가 주요구간을 시속 200 키로미터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는 철도로서 건설교통부장관이 지정 고시하는 철도. (한국고속철도공단법)
고정(콘크리트)도상(固定(콘크리트)道床, fixed (or concrete)ballast) 콘크리트 도상이라 불리기도 하며 철도 궤도의 도상에 있어서 도상자갈 또는 쇄석을 이용하지 않고 노반 상에 직접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의 고정 도상.
고정축간거리(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둘 이상의 차축을 갖는 불요성 대차에 장치된 일군(一群)의 고정축중 최전위의 것과 최후위의 것과의 차축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 축간거리"는 일반적으로 궤간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국철에서는 4.75 미터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고정축거(固定軸距, rigid wheel base) "고정축간 거리"로 용어 개정 → 고정 축간거리
고정축거(Rigid Wheel Base) 1개의 대차에서 앞쪽 차축중심과 뒤쪽 차축 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 크로싱(固定크로싱, rigid frog,rigid crossing) 구조에 따른 크로싱의 한 종류로 크로싱 각부가 고정되어 차량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하던지 결선부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차량의 진동과 소음이 크고 승차감이 좋지 않다.
고탄소강레일(高炭素綱레일, high-carbon steel rail) 탄소강 레일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탄소의 함유량을 늘여 제작한 레일로 보통레일의 탄소함유량이 0.60-0.75 %이나 고탄소강 레일은 0.85 % 정도까지 쓰여지고 있다.
곡선내방분기기(曲線內方分岐器, double curve turnout in same direction.turnout on inside of a curve) 곡선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 내측으로 분기 시킨 분기기.
곡선당김금구(Steady Arm) 전차선 지지 및 편위를 주는데 사용되는 금구
곡선 분기기(曲線 分岐器, curved turnout) 궤도의 분기기의 일종으로 기준선이 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분기선이 곡선의 어느쪽으로 분기하느냐에 따라 내방분기기, 외방분기기로 나누어진다
곡선외방분기기(曲線外方分岐器, double curve turnout in opposite direction.turnout on outside of a curve) 곡선궤도에서 분기선을 곡선외방으로 분기시킨 분기기
곡선부 확대(曲線部擴大, increment of width at curves) 철도차량은 자동차와 달리 2개 또는 3개의 차축을 대차에 강결시킨 고정 차축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것이 곡선을 통과할 때 전후차축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 할 뿐 더러 차륜내는 플랜지(foange) 가있어 곡선부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곡선부 궤도에서는 직선보다 궤간을 확대 시켜야 한다 이를 곡선부 확대라 하며 슬랙(slack)이라고도 하고 곡선의 내측 레일을 궤간 외측으로 확대한다.
곡선보정(曲線補正, curve compensation) 선로의 구배중에 곡선이 있을 때에는 열차의 저항은 구배저항이 가산되므로 이 경우에는 곡선저항과 동등한 구배량만큼 최급구배를 완화시켜야 한다. 이 경우 곡선을 구배로 환산하여 구배의 보정을 하는 것을 곡선 보정이라 한다. 이보정은 선로의 상태 차량의 구조,열차의 편성과 속도 등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GC=600/R식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GC:보정량(%) R:곡선반경(M)
곡선저항(曲線抵抗, curve resistance) 열차가 곡선부를 통과할 때 원심력에 의하여 차륜과 레일간에 마찰저항 및 내.외궤의 레일길이 의 차이로 인한 마찰 등이 생기는데 이들 저항을 총칭하여 곡선저항이라 한다. 곡선저항은 곡선 반경 cant,slack,대차의 구조, 특히 고정축간거리, 레일의 마찰 및 운전속도 등에 따라 다르다.
곡선정정계산기(曲線整正計算機, curve lining calculator) 궤도 곡선부의 선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계산기.
곡선표(曲線標, curve post) 차량이 곡선부 궤도를 주행할 때 기관사가 곡선 반경에 규정된 속도로 운전할 수 있도록 궤도의 곡선 시종점에 세우는 표지의 일종이다. 표면에 곡선반경을 표시하며 이면에 Cant 및 slack 을 기입한다.
공기저항(空氣抵抗, air resistance)  열차가 주행할 때 전면에는 공기와 마찰하고 두부에는 진공을 생기게 하면서 운행하게 되는데 이 공기로 인하여 열차에 저항을 주는 것을 공기저항이라 한다 .
공기제동(Air Brake) 차량에서 생산한 압축공기를 공기관을 통해 전 열차에 보내어 공기력으로 차륜을 제어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는 제동방식
공사열차(工事列車, work train) 철도선로 또는 이것에 부수되는 시설물의 수리, 개축, 건설을 할 때 또는 사고복구를 위하여 필요한 재료를 수송할 목적으로 운전하는 철도 자체의 업무용 임시 열차를 말한다.
공장 인입선(工場引入線, industrial line)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건이나 원자재를 화차로 수송하기 위하여 기존선로에서 공장까지 선로를 건설하여 차량을 운행할 목적으로 건설된 선로를 말한다.
공장선(工場線, industrial track) 공장내에서 화차 및 차량을 운행할 목적으로 공장 부지내에 건설된 선로를 말한다.
공장시험(Factory Test) 설계성능이 입증된 차량 및 제작부품에 대해 설계입증시험 항목중 주요판정항목을 선정하여 제작되는 제품 일부를 무작위 선정·시행하여 제품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
공전(Slip) 열차출발 혹은 가속시 열차의 견인력이 점착력보다 클때 차륜이 레일위에 미끌리는 현상
공전홈(空轉홈, wheel burn) 동력차가 상구배 운전중 또는 평할선 운전 및 출발시 중량이 과다 하거나 레일면이 수분 강설등으로 미끄러워 동륜이 레일위 제자리에서 헛바퀴가 돌아 생긴 레일표면의 흠.
공차중량(Empty Weight) 승객, 승무원 및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물, 연료, 모래, 공구류 등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 중량
과선교(跨線橋, overbridge,overpass,over-line bridge) 철도선로를 건널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교량으로 교면의 높이는 교량의 접속 부분의 종단 선형에 의하여 결정된다. 종류에는 과선도로교, 과선선로교, 과선인도교 등이 있음(일명 구름다리)
과주 보호구간(Overlap Section) 차량의 제동성능저하, 기관사의 과실등의 이유로 열차가 정지위치를 초과하여 정지하더라도 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한 여유구간
관광철도(觀光鐵道, seenic railway) 주로 관광 목적을 갖는 이용자에게 교통을 제공하는 철도.
관절대차(Articulated Bogie) 2대의 차량이 연접되는 부위에 대차1개를 사용하여 2대의 차량을 지지하는 대차
관통식 정차장(貫通式停車場, through station) 주로 시종점역의 형태에 의한 분류로서 선로에서 착발 본선이 정차장을 관통한 것으로 주요 건조물은 선로의 측방에 설치된다.
관할구역표(管轄區域標, territorial jurisdiction boundary post) 관할하는 구역을 알리기 위하여 건식한 표.
광궤(廣軌, broad gauge) 궤도는 그 궤간에 따라 광궤와 표준 궤간 및 협궤로 구별되고 있다. 궤간이 1,435 mm의 것은 표준궤간이라 하고 이 것보다 넓은 것은 광궤, 좁은것은 협궤라 한다.
광궤철도(廣軌鐵道, broad gauge railway) 궤도는 그 궤간의 크기에 따라 광궤철도와 표준 궤간철도 및 협궤 철도로 구별된다. 궤간이 1,435 mm의 것을 표준궤간 철도라 하고, 이것보다 넓은 것은 광궤철도, 좁은것은 협궤철도라 한다.
광산철도(鑛山鐵道, mining railway) 철도의 수송목적에 의한 분류할 때 주로 광물 수송을 위하여 부설된 철도를 말한다.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넓은지역(전국망)에 있는 컴퓨터 또는 전송장비등을 통신회선으로 연결한 망
교각(交角, angle of intersection)두개의 측선(側線)이 이루는 각이며 보통 후시선을 기준으로 우회 관측한 전시 방향의 각. 이에는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측각과 좌측각이 있다. 노선측량에서는 먼저 측선의 연장선과 해당 측선이 만드는 각을 말한다.
교량가드레일(橋梁護輪軌條, bridge quard rail) 교량위 또는 교량 부근에서 차량이 탈선할 경우 차량이 교량 아래로 떨어지는 중대한 사고를 방지하고 탈선 차량을 본선쪽으로 유도하여 사고 피해를 최대한으로 억제키 위하여 본선레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교량 전장에 걸쳐 중고레일을 부설한 것.
교량보판(橋梁步板, foot floor or bridge) 철도교의 무도상 교량에 보수요원 및 점검 요원의 통행을 위하여 궤간 중앙에 설치한 통로의 일종이다.
교량침목(橋梁枕木, bridge tie) 철도교의 무도상 교량에서 교형상에 부설한 침목. 보통침목에 비하여 두께 넓이, 길이 등의 모든 치수가 크고 침목 배치 간격도 좁게 부설한다.
교량 침목 갱환(橋梁枕木更換, renewal of bridge tie) 철도교의 무도상 궤도에 부설되어 있는 교량 침목이 부식되었거나 열차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상실했을 때 신침목으로 교환 부설 하는 것. 침목전체를 교환하는 방법과 부식되었거나 기능을 상실한 것만 교환하는 방법이 있다.
교상장대레일(橋上長大軌條, long rail on bridge) 철도 교량 상에 부설된 장대 레일을 말하며 장대레일 부설을 위하여 교량의 동적인 구조검토는 물론 거더 교대 및 교각의 강도에 대하여 검토하고 강도가 부족한 경우 보강 하여야 한다.
교외철도(郊外鐵道, suburban railway) 철도를 부설지역에 의한 기술상으로 구별 하였을 때 시가에서 교외에 이르거나 또는 시가의 외곽을 연결하는 철도로 근교철도(近郊鐵道)라고도 한다.
교점(交點, point of intersection) 단심곡선(單心曲線)에서 두직선이 교차되는 점을 교점 (I.P)이라 한다. 즉 교각을 이루고 있는 점을 말한다.
교차정차장(交叉停車場, crossing station) 정차장을 선로망상의 위치에 의한 분류 명칭의 일종으로 2 이상의 노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된 정차장.
구교(溝橋, culvert) 구교는 일반적으로 경간이 1 m 이상이고 전장이 5 m 미만을 말한다. 개거와 암거가 있으며 개거는 소규모의 교량 형식이고 암거는 함구교와 아치구교가 있다.
구교표(構橋標, culvert sign) 구교의 교대 배면에 구교명, 경간 등을 표시 한것.또는 함거 등의 위치를 표시한 표
구내(構內, yard track) 정차장 구역내를 말함.정차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 장내 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 구역표간의 지역이 정차장의 구내가 된다.
구배표(勾配標, grade post, gradient post) 선로구배의 변환 점에 세우는 것으로 표지판 양면에 구배를 표시하는 숫자를 기입하며 구배의 상,하의 방향을 표시하여 기관사에게 운전의 편의를 제공한다.
국유철도(國有鐵道, government railway, state railway, national railway) 국가가 소유 경영하는 철도를 말한다.
국유철도건설규칙(國有鐵道建設規則, constructional preseription of korea national railroad) 철도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유철도의 건설 및 차량기구의 구조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있다. 교통부령 제552호(1977. 2.15)
군용철도(軍用鐵道, military railway) 군인 또는 군수 물자의 수송을 전담하기 위하여 부설한 철도.
궤간(軌間, gauge, track gauge) 궤도에 있어 한 레일과 마주보는 레일과의 거리를 말하며 궤간은 레일두부면으로부터 아래 쪽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점에서 상대편 레일 두부의 동일점까지의 내측간 최단거리를 말한다.
궤간측정(軌間測定, gauge measure) 좌우레일의 궤간거리를 측정하는 것. 즉 궤간에 대한 틀림은 레일 두부면에서 하방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내의 레일 내측간의 거리로 표시한다. 궤간 틀림이 큰 경우는 주행 차량이 사행 등을 일으키며 궤간이 크게 확대되었을 때는 차륜이 궤간내로 탈선하게 된다.
궤간내(軌間內, intertrack space) 궤도에서 좌.우측레일간의 내측부분을 말한다.
궤간선(軌間線, gauge line) 하나의 선로에 대하여 좌우 궤간을 나타내는 선을 말하고 레일 두부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면하 16 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 mm)의 위치에 상정된다.
궤간정정(軌間整正, gauge adjusting) 궤도에서 궤간의 허용 틀림 치수를 벗어 났을 때 규정치 이내로 바로잡는 것.
궤간틀림(軌間틀림, gauge irregularity) 궤간이 규정된 치수를 벗어나 있는 궤도의 상태.
궤간확대(軌間擴大, gauge widening) 궤도에서 궤간치수가 규정치수보다 넓어져 있는 상태.
궤광(軌광, track panel, track frame track span, track skeleton) 레일에 침목을 체결한 것으로 사다리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것.
궤광갱신작업(軌광更新作業, renewal work of track panel) 선로 보수 방식중 궤광을 새로운 궤광으로 바꾸는 작업으로 정기수선 방식으로 할 경우 일정주기 마다 궤광전체를 교환하는 작업.
궤도(軌道, track, rail track)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되며 견고한 노반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포설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간격으로 부설하고 침목 위에 두줄의 레일을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 노반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도상 윗부분을 총칭하여 궤도라 한다.
궤도강화(軌道强化, strengthening of track stracture, track strengthening) 선로에서 궤도부분 즉 도상, 레일 및 그 부속품과 체결장치를 열차의 고속화 중량화나 횟수 등에 대응하여 도상두께,레일의 크기 등을 크게 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는 것.
궤도갱신(軌道更新, track renewal) 선로보수 방식중 궤도를 새로운 궤도로 바꾸는 것으로 정기 수선 방식을 할 경우 일정주기마다 궤도를 교환하는 것으로 궤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의 궤도를 일거 갱신하여 강한 궤도를 만들기 위한 것 일반적으로는 일정시간 선로를 폐쇄하여 중기계를 장비한 이동 작업반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궤도검측차(軌道檢測車, track inspaection car,track recording coach, track geometry car) 궤도의 틀림 상태를 측정하는 기계장비의 일종. 컴퓨터 소프트웨어방식으로 고속으로 운행하면서 거리, 고저, 방향, 궤간, 수평, 비틀림, 속도 시설물을 검출해내며 궤도의 동적 틀림을 측정하여 보선작업 자료제공의 효과를 갖고있다. 견인방식에 따라 자주식 과 피견인식이 있다.
궤도계수(軌道係數, track coefficient) 궤도를 단위 Cm 침하시키는데 필요한 압력 궤도역학에서 궤도 강도를 계산하는데 필요한 계수임. a를 침목간격,D를 레일 받침체 침하계수,E를 레일 강의 탄성계수,I를 레일의 단면 2차 모멘트 라하면 궤도 계수 r은 다음식으로 계산됨 r= 6EI / a³D
궤도관리(軌道管理, track management) 궤도 틀림을 정비한도 이내로 모두 정비하여 열차 안전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궤간, 수평, 면마춤,줄마춤,궤도재료 등이 정상상태로 유지되도록 궤도를 관리 하는 것.
궤도구조(軌道構造, track structure) 궤도를 구성하는 제요소의 총칭으로 도상, 침목, 레일 및 그 부속품으로 된 보편적 구조를 일반 궤도구조라 하며 콘그리트 도상구조,직결궤도,완전직결 궤도 등을 특수 궤도구조라 한다.
궤도낮추기(軌道下路, lower of track, track depression track lowing) 선로의 레일면을 낮추는 것.도로와의 평면교차를 피하기 위하여 입체 교체화하는 경우 교차점부근의 지형조건에 따라 선로를 저하 시켜야하는 경우가 있음. "하로" "궤도내림" 이라고도 함.
궤도들기(軌道上路, lifting (raising) of track track elevation, upper of track) 궤도의 레일면을 들어 높이는 것. 열차 운행하중에 의하여 궤도가 침하되었거나,총다지기를 할때 도상 두께를 증가할 때 또는 도로와의 평면 교차에 있어서 안전 확보 등을 위하여 레일면의높이를 높이는 것. 「양로」「궤도 올림」이라고도 함.
궤도보수(軌道補修, maintenance of track) 궤도를 일정 정비 기준에 의해 결점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궤도는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 및 바람, 비, 눈 등의 영향을 받아, 틀림을 일으키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항상 이를 수리하여 결점이 없도록 보수할 필요가 있다.일반적으로 궤도보수라고 하는 것은 궤도 및 이에 직접 부대되는 노반 건조물의 보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궤도보수는 협의의 보선 또는 보선 작업과 갖은 뜻을 같는다.
궤도보수검사(軌道保守檢査, inspection for railway maintenance) 정기적으로 궤도전반에 걸쳐서 보수상태, 열차동요 등에 대한 검사로 궤도틀림이나 동요등을 고속궤도 검측차 등에 의해 검사를 하는 궤도틀림검사,좌우상하 열차동요가속도를 측정하는 열차동요 검사,레일이음매 유간을 검사하는 유간검사,각종 궤도재료가 적절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각종 보수작업이 각각의 재료에 대해서도 적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검사가 있다.
궤도보수작업(軌道補修作業, work of track repair) 궤도틀림은 궤간, 방향, 수평, 평면성, 고저 등이 있으나 이러한 궤도 틀림을 정정하여 궤도틀림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작업으로, 작업의 종류로서는 궤간정정,면맞춤,총다지기,줄맞춤,이음매처짐작업,레일버릇정정,유간정정,침목위치정정 작업 등이 있다.
궤도부담력(軌道負擔力, bearing of track) 궤도가 구조상으로 안전하게 견디는 열차 하중으로 나타낸 궤도강도의 척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레일의 크기, 침목의 치수 및 배치간격, 도상두께에 의하여 부담력이 결정된다.
궤도부설(軌道敷設, laying of rail track, track construction) 노반상에 침목을 배열하고 레일을 부설한 후 도상자갈을 살포, 다지기를 하여 궤도를 만드는 작업을 말하며, 콘크리트 궤도는 궤광을 조립 조정후 콘크리트 도상을 타설하여 부설한다.
궤도수용력(軌道收容力, standing capacity of track) 궤도를 이루고 있는 궤도재료, 궤도구조 등의 정도로 열차하중이나 차량하중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
궤도용 수준기(軌道用水準器, track leveller) 선로에서 좌우레일의 수평틀림, cant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게이지를 좌우레일 위에 놓고 중앙부에 있는 기포의 다이얼을 조정 중앙에 맞추어 눈금판의 수치로 수준틀림 또는 cant량을 측정한다.
궤도틀림(軌道틀림. track irregularity (or disorder defect, distortion)irregalarity of track) 궤도의 궤간, 수평, 방향, 고저, 평면성 등의 틀림. 선로는 일반적으로 흙노반위에 레일과 침목을 스파이크 등으로 체결한 궤광을 도상 바라스트로 고정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궤도는 열차의 반복하중에 의해 궤도의 각부 특히 도상부분에 각종변위와 변형이 발생한다. 이것을 궤도 틀림이라 한다.


궤도틀림지수(軌道틀림指數, index of disorder of track,index of track irregularity) 선로에서 어느 한정구간에 대한 궤도틀림 양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지수. 각각의 궤도틀림을 측정하는 경우,일정치 이상의 틀림이 몇 %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p치)를 말함. p치는,궤도틀림의 분포곡선에 일정한계선 ±a mm 를 그어 이것을 초과하는 틀림의 비율(%)로 표시하고 있다.일부에서는 궤도연장 500 m의 측점수n에 대한 ±3 mm를 초과하는 개수 f를 기록하여 p=f/n×100 으로 p치를 산출하며 궤도의 보수관리에 이용된다.
궤도중심선(軌道中心線, center line of track) 궤도를 부설할 때 필요한 중심선을 말하며 궤도상의 타 시설물과 연관관계를 갖고 있다.
궤도침하(軌道沈下, subsidence of track) 열차운행으로 인하여 도상이나 노반이 연약한 곳에서 궤도가 침하되는 현상. 노반의 연약으로 인한 노반침하와 도상연약으로 인한 도상침하가 있다.
궤도중심(軌道中心, track center, center of track) 좌우레일 간의 중심으로 궤도를 부설할 때 필요하며 궤도상의 타 시설물과 연관 관계를 갖고 있다.
궤도중심간격(軌道中心間隔, distance between track centers, distance center to center of track) 병렬하는 두 개의 궤도중심선간의 거리. 양 궤도상을 운행하는 차량의 접촉을 피하고,보선 기타 작업에 따른 대피에 지장이 없도록 정해진 것이다. 국유철도 건설규칙에는 정차장 외에 두선을 병설하는 궤도의 중심 간격은 4 m 이상으로 하고 3선 이상의 궤도를 병설하는 경우에는 각 인접하는 궤도 중심간격중 하나는 4.3 m이상, 정차장내에서의 궤도의 중심간격은 4.3 m이상으로 하게 되어 있다. 정차장내의 중심간격은 가공전차선 지지주,신호기,급수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적당히 확대하고, 곡선구간에 있어서는 건축한계 확대치수 50,000/R 의 2배이상을 확대하여야 한다.
궤도정비기준(軌道整備基準, instruction for track maintenance) 궤도에 틀림이 생겼을 때 미리 정비하도록 정한 기준을 말하며, 궤도틀림이 정비기준치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기준치 미만이라 할지라도 틀림이 급진적으로 일어날 때는 서둘러서 정비하여야 하며, 궤도의 신설,개량 및 궤도 정비 공사 등을 시행하였을 때의 작업 마감기준은 미리 정한 기준치 범위 내에 들어야 한다.
궤도정정(軌道整正, adjustment of track lining of track, re-alignment of track, re-lining of track) 철도선로 궤도틀림이 정비기준치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기준치 미만이라 할지라도 틀림이 급진적으로 일어날 때에는 기준치 범위내에 들도록 고치는 것을 말함.
궤도절연(軌道絶緣, track insulation) 궤도회로를 구성하고 레일을 전기적으로 분리 시키기 위하여 레일 이음매부에 절연물을 설치하여 궤도회로를 절연시키는 것.
궤도정규(軌道定規, standard repulation of track) 철도선로 시공기면 윗부분, 즉 궤도부분의 도상두께,폭,경사,침목의 두께,길이,레일궤간 등 각부분의 주요 치수를 도시한 것.
궤도임시철거 및 복구(軌道臨時撤去및復舊, temporary removal and reconstruction of track) 철도교량 침목이나 거더등을 갱환하거나 궤도밑에 시설물 등을 설치하고자 할 때 궤도를 임시철거하고 소정의 작업이 완료된 후 궤도를 원래대로 복구하는 것.
궤도재료(軌道材料, track material, track component) 궤도를 구성하는 재료. 도상자갈, 침목, 레일, 이음매판, 이음매판볼트, 스파이크, 와셔, 타이플레이트, 레일앵커, 기타 체결물 등이 있음.
궤도임시철거(軌道臨時撤去, temporary removal of track) 철도교량 침목이나 거더 등을 갱환하거나 궤도밑의 시설물 등을 설치 하고자 할 때 궤도를 임시로 철거하는 것.
궤도임시들기 및 복구(軌道臨時揚路및復舊, temporary upper and reconstruction of track) 궤도재료 갱환, 궤도가 소정의 높이보다 내려왔을 때 일시적으로 궤도를 들어올려 소정의 작업을 완료한후 복구하는 것.
궤도임시받침(軌道臨時受工, temporary support of track) 궤도가 수해 등의 재해로 도상부분이 유실되고 궤광만 사다리모양으로 남아 있을 때 궤광을 새들,레일빔 등으로 임시받침을 하는 것. 임시받침으로 열차를 서행으로 개통시키고 본복구 공사를 하게 된다.
궤도응력(軌道應力, track stress) 열차하중에 의하여 궤도를 구성하는 레일,침목,도상에 생기는 응력.
궤도이설(軌道移設, moving of track) 부설되어 있는 궤도를 선로개량,기타 조건으로 위치를 바꾸어 부설하는 것.
궤도역학(軌道力學, track dynamics) 철도공학의 일부분으로 궤도를 대상으로 하는 역학이다. 일반궤도는 열차하중에 의한 파괴와 자연현상에 의한 파괴를 항상 받고 있는 것으로서, 상시 보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성격을 갖고 있다. 궤도역학은 궤도각부가 받는 부담 및 그것에 의해서 생기는 파괴의 원인을 탐구하여,주어진 수송조건에 대하여 열차의 주행 안정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궤도의 구조와 보수방법을 어느 정도 조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가를 아는것이 목적이다.
궤도연장(軌道延長, track length) 부설된 궤도(철도선로)의 실측 길이의 합계. 전체 궤도를 1본으로 연결한 길이를 말한다. 궤도연장의 산정은 본선,부본선에서는 궤도본수에 그 구간의 선로연장을 곱한다. 또한 측선에서는 부설궤도의 실측 길이를 합하여 구한다.
궤도회로(軌道回路, track circuit) 철도신호 보안장치의 일부분. 궤도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구획하여 레일을 전기회로로 이용하는것. 열차 또는 차량에 의하여 궤도 계전기를 제어토록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며 또는 열차에 정보를 전한다.
궤도회로(Track Circuit, TC) 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분으로 사용하여 선로위의 열차위치를 검지하고 열차주행에 필요한 연속정보를 차상으로 전송하는 장치
궤도회로장치(軌道回路裝置, track circuit) 궤도레일에 전기회로를 구성하여 차량의 차축에 의하여 레일 전기회로를 단락 또는 개방함에 따라 교류,직류,임펄스,가청주파수 및 코드식으로 구분하며 또 열차에 대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귀빈실(貴賓實, special room) 열차를 이용하는 귀한 손님의 이용을 위하여 주요 역마다 마련된 장소.
규소강레일(硅素鋼레일, silicon steel rail) 실리콘을 재료로 하여 제조한 특수레일. 일반적으로 규소를 증가하면 강도는 올라가지만 취약(脆弱)하여 균열이 쉽게 발생하므로 특수 용도를 위하여서만 사용된다.
균형속도(均衡速度, balanced speed, equilibrium speed) 철도에서 동력차의 견인력과 열차의 각종 저항이 상등(相等)하여 등속운전(等速運轉)을 할 때의 속도. 견인력이 이들 저항보다 클 때에는 열차는 가속되며 적을 때에는 감속되지만 서로 같게 되면 등속운전을 하게 된다.
균형캔트(均衡캔트, balanced cant, equilibrium cant, balanced super levation)
어떤 열차 속도에 대하여 횡방향 원심력 또는 구심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한 캔트.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근거리내의 다수의 독립된 컴퓨터가 빠른 속도의 물리적 통신채널을 이용 상호 통신을 하는 네트웍을 말한다.
급사설비(給砂設備, sanding facilities) 철도선로의 급구배선이나 누수가 심한 구배의 터널내에서 기관차의 바퀴와 레일간의 마찰력이 떨어지므로 이 마찰력을 크게 하고 점착력을 보충하기위해 기관차가 이 지점을 통과할 때 모래를 살포하는데 이 모래를 건조시키고 기관차에 공급하는 설비.
급수설비(給水設備, water facilities) 동력차,객차,용수 및 구내용수를 위하여 설비한 시설로 저수로(water tank),급수주(stand pipe)호스(water hors) 등의 설비로 되어 있다.
급유설비(給油設備, oiling facilities)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시설. 저유조(貯油槽), 유조(油槽), 급유관(給油管)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유조는 7일간의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고 가능하면 방화를 위하여 지하 매설로 하는 것이 좋다.
급유선(給油線, oiling track)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 동력차에 급유하기 위한 선로로,급유시설에 접근하여 부설된 선로를 말한다.


급전구분소(Sectioning Post, S/P) 변전소간 상구분, 전압강하의 보상을 목적으로 급전구간 구분 또는 연장을 위한 개폐설비를 시설하는 곳
급전선(Feeder Wire) ACSR 288㎟ 나전선으로 전차선 및 단권변압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
급탄설비(給炭設備, coaling facilities) 증기기관차에 연료인 석탄을 공급하는 설비.
기계다지기(機械다지기, mechanical tamping) 궤도보수 작업의 일종으로, 도상자갈 궤도의 다지기 작업을 인력 다지기가 아닌 전용다짐 기계로 다지는 기계화 작업. 다짐 기계는 멀티플 타이 탬퍼(multiple tie tamper), 핸드 핼드 타이 탬퍼 등이 있다.
기계쇄정법(機械鎖定法, mechanical locking) 철도신호기의 일부분으로 정차장 구내에 설치한 연동장치(聯動裝置, interlicking)에 열차의 운행과 차량의 입환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신호기,전철기 등의 서로간을 기계적으로 연관시켜 작동하도록 만든 장치. 연쇄(連鎖)하는 정자의 스트로크(strock)사이에 다른 정자의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쇄정하는 방법임.
기계신호기(機械信號機, mechanical signal) 기계신호 구간에 사용하는 신호기로 장방형(長方形)의 완목(arm)을 신호기 주에 설치하여 주간에는 완목의 위치,상태,색깔에 따라 신호를 현시하고,야간에는 완목에 달려있는 신호기등(信號機燈),유리의 색채에 따라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주신호기(主信號機)와 종속신호기(從屬信號機)에 사용한다.
기관차고(機關車庫, engine shed) 동력차의 유치또는 검수를 위하여 기관차 사무소에 설치한 건물로 장방형 차고, 원형 차고, 부채꼴형 차고 등의 형식이 있다.
기관차(機關車, engine,locomotive,power unit) 동력을 발생하는 원동기를 장치하고 다량의 객,화차를 견인할 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
기관차키로(機關車키로, locomotive kilometers) 각종 동력차의 자력운전키로의 총칭으로 열차를 견인할 때는 물론 구배선에 있어서의 보조,정차장구내에 있어서의 차량입환 기관차, 단독 또는 기관차와의 중련운전(重連運轉)에 의한 것 등 모든 자력주행키로를 포함한 주행키로이다.
기대선(機待線, engine waiting track) 기관차를 바꾸어 달기 위하여 열차가 착발하는 본선 근처에서 기관차가 일시 대기하는 측선임.
기본레일(基本레일, stock rail, line rail datum rail) 분기기의 포인트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레일이다. 텅레일이 밀착하는 레일로 포인트부에서는 레일 브레이스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고속용 분기기의 기본레일은, 텅레일 선단부분의 마모나 손상을 적게하기 위하여, 텅레일의 접촉하는 부분의 두부하부를 절삭하여, 텅레일 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구조로 한다.
기적표(汽笛標, whistle post) 건널목,교량,급곡선 선로에 대하여 열차의 접근을 알려 통행인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표지로서 열차진행 방향으로 400 m 이상 전방 좌측에 세운다.
기준레일(基準레일, base rail) 궤도보수나 궤도를 표시할 때 기준이 되는 레일. 직선구간에서는 시점쪽에서 종점쪽을 향하여 좌측레일, 곡선구간에서는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한다.
기준선(基準線, base line) 1 개의 선로가 2 개의 방향으로 갈라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는 선로로 주로 직선측 선로가 기준선이 된다.
기회선(機廻線, engine run-round track) 기관차를 바꾸어 달거나 기관차를 회송할 경우 정차장 구내에서 기관차 전용의 통로로 사용하는 측선.
긴노스레일(張鼻端軌條, long nose rail) 궤도 분기기에 사용되는 조립 크로싱에서 노스부분이 긴 노스레일과 짧은 노스레일로 구성 되는데 이중 긴 노스레일을 말함.
깬자갈도상(碎石道床, crushed stone ballast) 궤도의 구성재료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도상재료중 깬자갈로 만들어진 도상.
끌림검지장치(Dragging Equipment Detector) 열차하부 부속품이 이탈되어 매달린 상태로 주행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레일사이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 파손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
끝닳음용접(끝닳음鎔接, build-up welding(of rail end), re-surfacing by welding on rail end) 궤도의 구성재료의 일종인 레일의 이음매부는 결선부 충격으로 인한 끝닳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끝닳음부분을 용접봉을 사용하여 살붙이기용접을 시행하고 연마하여 레일 본래 상태로 하는 용접.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