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사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6. 바

롤라❤️ 2022. 4. 15. 15:12
반응형

6. 바

바라스트레규레이터(ballast regulator) 도상작업용 보선장비로 자갈정리 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로서 설포한 자갈을 스스로 달리면서 고르게 밀어 표준 도상단면의 형상을 정리하는데 필요에 따라 도상이 부족한 곳에는 도상표면의 많은 개소의 자갈을 밀어 소운반도 가능하며 브러쉬로 레일저부, 체결부, 침목상면의 청소까지 시행하는 장비이며 시간당 작업량은 1,000 m에 이른다.

바라스트콤팩트(ballast compactor) 침목과 침목사이 및 도상어깨의 표면 다지기를 하여 침목을 도상내에 고정시키고 도상저항력을 증대케 하는 장비로 작업시 침목 상면의 청소까지 함

바라스트크리너(ballast cleaner) 도상작업용 보선장비로 자갈치기 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장비로서 궤도상을 천천히 달리면서 침목하면을 통하여 연결시킨 스크레이퍼 체인을 회전하면서 긁어올린 자갈을 선별하는 진동 스크린과 선별된 자갈을 따로 반출하는 2종의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30 ~ 240 m/h의 속도로 주행하면서 자갈을 쳐서 교환한다. 종류는 스위스 마티사의 8CB5와 오스트리아 프라서의 RM62 형식이 우리 나라에 쓰이고 있다.
반위(反位, reverse position) 포인트는 임의 방향으로 진로를 개통시킬 수 있으나 상시 개통되어 있는 방향의 반대로 개통되어 있는 것
반자동 신호기(半自動信號機, semi-automatic signal) 자동폐색 구간에서는 출발이나 장내신호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기
반향곡선(反向曲線, reverse curve) 곡선의 방향이 서로 다른 두개의 인접한 곡선을 말하며 곡선의 방향이 급변하여 차량의 원활한 운행을 기하기 어려우므로 양 곡선사이에는 상당 길이의 직선을 삽입하여야 한다.
발뢰신호(發雷信號, detonating signal) 천후상태로 정지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예기치 않는 지점에 열차를 정차시키는 경우 뇌관의 폭음으로서 현시하는 정지신호를 말한다.
발염신호(發炎信號, fusee signal) 예고치 않는 지점에 열차를 정차시키는 경우 신호염관의 적색화염으로 현시하는 정지신호.
발전제동(Rheostatic Braking) 열차운행시 주행(Powering)이외의 타행(Coasting)중에 견인전동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견인전동기를 발전기로 변환시켜 얻는 힘을 제동력으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방식
발착선(發着線, departure and arrival track) 열차의 발착에 사용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본선.
방부침목(防腐沈木, treated sleeper) 목침목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주약 가공시킨 침목.
방설림(防雪林, snow forest) 선로나 철도시설물에 눈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로연변에 심은 나무로 나무종류는 기후, 지질등 사정에 따라 다르나 방설효과가 크고 겨울철에 잎이 무성한 삼나무, 편백나무, 적송, 흑송, 노송나무 등이 많이 쓰인다.
방설설비(防雪設備, defensive structure against wave) 선로는 적설, 눈사태, 눈날림 등으로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요인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 및 설비
방파설비(防波設備, defensive structure wave) 해안 및 호안등에서 파도 또는 해일 등에 의한 선로나 철도 시설물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배전선로(Distribution Line) 고속철도 안전운행을 위해 시설되는 제설비(신호, 통신기계실, 터널설비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고속철도용 변전소에서 부터 변성설비(수배전설비) 까지 22kV-△ 방식으로 포설되는 케이블
배향분기기(背向分岐器, trailing turnout) 주행하는 열차가 분기기 후단으로 부터 전단으로 진행할 때 배향이라 하며 운전상 안전도로서 배향분기기는 대향분기기 보다 안전하고 위험도가 적다.
백게이지(back gauge) 크로싱의 노스레일과 가드레일의 플랜지웨이 간의 간격을 말하며 노스레일 선단의 원호부와 답면과의 접점에서 측정한 거리.
범세계 예약시스템(Gloval Distribution System, GDS) 항공사간, 철도간 또는 항공사와 철도간의 승차권을 다른 나라에서도 상호예약이 가능하도록 지원해 주는 시스템
변전소 (Substation) 한국전력 변전소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열차운전 및 부대설비 사용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으로 바꾸는 곳
병렬급전소 (Parallel Post) 변전소와 급전급전소 사이에 단권변압기를 설치하여 선로의 상선과 하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차선로의 전압강하 방지 및 인접 통신선로 유도장해 경감을 목적으로 시설한 설비
보관창고(保管倉庫, storage house) 화물설비의 일종으로 화물을 보관하는 창고.
보관차(보기車, boggie car) 철도차량의 주행장치 일종으로 한틀이 2축 이상의 축을 묶는 소형 대차를 말한다.
보선(保線, maintenance of way) 철도선로는 항상 열차하중과 기상조건의 변화로 점차 변상되어 가므로 철도영업상 열차운행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선로를 유지보수 하는 것.
보선사무소경계표(保線事務所 境界標, permanent of way, maintenance of way, maintenance of track, railway maintenance) 서로 다른 보선사무소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건식하는 표
보수요원(補修要員, maintenance member, maintenance workman) 선로 등을 보수하는 직원을 말하며 보선원 등이 있다.
보수조직(補修組織, maintenance of organization) 선로 등을 보수하기 위한 조직을 말하며 보선사무소, 보선분소, 선로반 등이 있다.
보안장치(保安裝置, safety device) 열차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시설로서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건널목 경보장치 등의 종류가 있다.
보정구배(補正勾配, compensated grade, compensating grade) 구배중에 곡선이 있을때에는 열차의 저항은 구배저항이 가산되므로 이럴 경우에는 곡선저항과 동등한 구배량 만큼 최급구배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곡선저항을 선로구배로 환산하여 그 값만큼 실제의 구배에서 차인한 구배를 말한다.
보조구배(補助勾配, assisting grade) 보조 기관차 구배, 구배가 급하여 보조 기관차를 사용하여야 하는 구배.
보조도상(補助道床, sub-ballast) 수송량이 큰 선로에는 도상의 두께를 크게해서 압력을 노반에 균등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또는 연약지반, 습지 등에서 배수를 충분히 하기 위해서 보조도상 하부에 두께 20~30cm 정도의 자갈, 석탄재, 호박돌 등을 깔아 놓은 것을 말한다.
보조전원장치(Auxiliary Power System) 차량의 제어, 조명, 냉난방 등과 같이 견인력발생을 제외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보통궤도(普通軌道, common track) 레일과 그 부속품, 침목 및 도상으로 구성되며 견고한 노반위에 도상을 일정한 두께로 설치하고 그 위에 침목을 일정 간격으로 부설하여 침목위에 두줄의 레일을 평행하게 체결한 것으로 노면과 함께 열차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궤광과 도상을 총칭한다.
보통역(普通驛, ordinary station) 여객과 화물을 동시에 취급하는 역으로 운전상의 모든 설비가 되는것이 일반적이나 운전시설이 없는 소규모 역도 있다
보통침목(普通沈木, common tie) 보통궤도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침목으로 침목의 기본
복 분기기(複分岐器, double turnout)  하나의 궤도에서 3 또는 2 이상의 궤도로 분기할 수 있도록 설치한 설비
복복선(複複線, four-track line, guadruple line, guadruple track) 4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선로
복선(複線, double track, double line) 2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선로
복선구간(複線區間, double track territory) 2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각 지역간 구역
복진(匐進, crecping, rail creepage) 열차의 주행과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레일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복진방지장치(匐進防止裝置, anticreeper) 열차의 주행과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레일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로서 레일과 침목간, 침목과 도상간의 마찰저항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음.
복합레일(複合軌條, compound rail)  레일두부에 한하여 내마모성이 큰 특수강을 사용하여 제작한 레일로서 두부에 고탄소, 크롬강을 복부, 저부에는 저 탄소강을 사용한 것으로 내마모 레일은 보통레일의 약 6배의 내구력이 있다.
본드이음매(본드繼目, bonded joint) 레일을 자동신호기의 전기회로로 사용할 경우 또는 전철구간에 있어서 레일을 전차전류의 귀선으로 이용할 때 보통이음매 구조로는 전기저항이 크므로 레일의 양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히 접합시킨 이음매
본배선반(Main Distribute Frame, MDF) 전송장비 또는 교환설비와 사용자사이에 위치하여 케이블의분배 및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단자대를 말한다.
본선(本線, main line) 열차의 운전에 상용할 목적으로 설치한 선로
본자노이음매판(본자노繼目板, bonzano splice plate) 앵글 이음매판 중앙에서 앨글하부 플랜지를 다시 연직방향으로 꾸부려 보간한 이음매판으로서 강도는 크나 이음매부 도상작업이 불편함
부가가치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임대한 통신회선에 컴퓨터등을 이용한 부가가치를 첨가하여 이용자에게 판매하는 고도의 통신망판매 서비스
부동구간(不動區間, unmovable section) 장대레일의 온도 신축에 관하여는 양단부 각 100m 정도를 제외하고는 중앙부에서는 거의 신축하지 않고 축력만이 변화하는 부분을 말함
부본선(副本線, auxiliary main track, subsidiary main track)  본선중 주본선 이외의 선로를 말함
부정기열차(不定期列車, irregular train)  정기열차가 아니며 여객 또는 화물 수송수요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부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임시열차.
부족캔트(不足高度, insufficient cant, insufficient superlavation)  내측레일을 기준으로 외측레일을 높게하여 원심력과 중력과의 합력선이 궤간의 중앙부에 작용하도록 하여야 하나 열차속도에 비하여 캔트가 부족한 것을 말한다.
부착식 철도(附着式 鐵道, adhension type railway)  차륜과 레일간의 마찰 즉 점착력에 의하여 차륜이 주행하도록 부설한 철도
부채형차고(扇形車庫, annular shed)  기관차의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한 차고로서 부채 모양을 한 것을 말하며, 다수의 기관차 수용에 편리하나 전차대의 고장시 다수의 기관차가 출입이 안되는 결점이 있다.
분기부대곡선(分岐附帶曲線, second curve of turnout, turnout curve(behind crossing)) 분기기 내 곡선 및 분기기 후방에 생기는 곡선
분기가드레일(分岐護輪軌條, crossing gaurd rail) 차량이 대향 분기를 통과할 때 크로싱의 결선부에서 차륜의 플랜지가 다른 방향으로 진입하거나 노스의 단부를 손해(損害)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차륜을 안전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반대측 주레일에 부설하는 레일
분기기갱환(分岐器 更換, turnout renewal, turnout repiacement) 분기기 재료의 마모 및 열차운전에 위험한 정도로 손상되었거나 변형되었을 때 이를 갱환하는것
분기군(分岐群, group of point) 분기기가 여러 개 설치되어 있는 무리(群)
분기기(分岐器, turnout, switch and frog, switch and crossing, point and crossing)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설비
분기기도중전환(分岐器途中轉換, throwing over the switch under the train)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하는 도중에 분기기의 포인트를 전환하는 것으로 열차의 탈선 사고 등이 발생한다.
분기기동정(分岐器動程, throw of a point rail) 분기기의 포인트 부에서 분기기의 열차 통과 방향을 전환할 때 텅레일이 이동하는 거리
분기기 번호(分岐器番號, turnout number) 크로싱에서 분기기의 완급의 정도를 나타내는 번호
크로싱 번호 = 노스길이 / 크로싱후단의 열린 폭 = 1/2 cosθ, θ=크로싱각
분기기 보수(分岐器 保守, point resistance) 분기기를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고 보수하는 것
분기기 시단(分岐器 始端, point of switch) 분기기의 시점을 나타내며 통상 텅레일 첨단부 앞의 이음매 부를 말한다.
분기기 전환장치(分岐器 轉換裝置, switch throwing of turnout level box, switch box)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타 궤도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궤도상에 설치한 장치로서 분기기의 텅레일 등을 전환 시킨다.
분기기 종단(分岐器 終端, end of turnout, heel of frog) 분기기의 끝부분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크로싱의 후단부를 말한다.
분기기작업(分岐器作業, maintenance of turnout) 분기기는 선로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며 구조상으로 복잡하고 많은 재료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열차가 진동이 심하여 열차속도 및 안전상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항상 양호한 상태로 보수 정비하는 작업을 말한다.
분기기 저항(分岐器抵抗, point resistance) 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받는 저항
분기선(分岐線, track on turnout side, turnout track) 궤도의 분기 개소에 있어서 본선 측의 기준선에 대하여 분기되는 쪽의 선로
분기정차장(分岐停車場, branch of station, juction station) 본선에서 타 방향 지선으로 갈라지는 지선에 위치한 역
분기침목(分岐沈木, switch sleeper, switch tie) 분기기에 사용하는 특수한 침목으로 보통 침목보다 형상이나 치수가 크다.
분니(噴泥, pumping of track) 노반속에 물주머니가 생겨 열차하중에 의하여 간극수가 노반의 흙과 같이 도상으로 올라오는 현상으로 열차진동에 의한 승차감이 저하된다.
분니현상(噴泥現狀, Water Pump) 노반 또는 도상내에 혼입한 토사가 빗물 또는 지하수 등으로 인하여 진흙이 되어 열차통과시 하중에 따라 도상내에서 도상표면으로 분출되는 현상. 이 분니개소는 보수비용이 많이 들며 침목손상, 도상오염 등 궤도에 악영향을 주며 운전보안상에도 불리하다.
분니대책 공법(噴泥對策 工法) 분니발생 원인은 노반의 토질, 도상 및 노반의 배수상태, 열차하중의 크기, 통과톤수, 열차 속도등이 조합하여 발생되는 것이다. 분니대책 공법은 분니를 일으키는 요소인 물, 흙, 하중 중 한가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분니대책 공법은 ①도상두께 증가공법 ②도상갱환 공법 ③배수환경 정비 ④노반치환 공법 ⑤노반면 피복공법 등이 있다.
불연속정보(Intermitent Information) 케이블 루프를 통해 차상으로 전송되는 불연속정보로서 여기에는 터널 진출입, 선로전환, 기존선구간 진출입, 전차선 사구간 통과, 차량내 기밀장치의 동작 등이 포함된다.
불연속정보전송루프(Intermitent Transmission Loop, ITL) 열차에 불연속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로 궤도 안쪽에 설치되는 케이블 루프를 말함
불요전자파(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기기 동작시 발생되는 원하지 않는 방해 전자파
불용레일(不用軌條, Scrap rail) 레일은 외력의 반복작용과 레일내부의 결함등으로 인하여 사용불능 상태로 되는데 이 사용불능 상태의 레일을 말한다. 사용불능 상태는 훼손, 마모, 부식의 3요인에 의하여 결정하게 된다.
블럭침목(短枕木, block tie) 좌우레일에 별도로 부설하는 블럭형상의 침목으로 레일을 지지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 철도에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이것을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직결 궤도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도상 궤도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비동기전송방식(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전송방식의 일종으로써 데이터, 음성, 화상등의 복합정보를 53바이트 길이의 셀로 나누어 비동기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비상제동(Emergency Braking) 열차운행중 비상시 실제열차가 정지하는 때까지의 거리(제동거리)를 최소로 하기위해 사용하는 제동방식
비탈면보호(斜面保護, Slope Protection) 지질이 불량한 지대에 건설된 선로에서 비탈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비탈면 보호 방법으로는 맹배수공, 수평 보링공 등으로 지하수를 배제시키거나 옹벽, 석축설치, 떼입히기 등 적극적인 방법이 있다.
빗형 홈(치형홈) (齒形홈, toothed platform) 화물의 적재장소와 하화장소와의 연결이 편리하도록 빗살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승강장을 말한다. 소급 화물의 중계홈으로 주로 이용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