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사
사구간(死區間, dead section) 전철의 구분장치의 일종으로 변전소와 구분소 및 직,교류 접속개소에 설치하여 서로 다른 전기를 구분하는 구간이다.
사구간(Phase Break) 변전소 및 급전구분소에서 2조의 평행개소로 이루어지는 전기적 구분장치
사설구내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 PABX) 역 등에 설치하는 자가통신설비로 일정구역내에 통신회선을 제공하는 자동교환기
사유철도(私有鐵道, Private railway) 철도의 소유자 즉 경영주체가 개인인 경우를 말한다.
사인 반파장 완화곡선(一半波長緩和曲線, sine curve) 완화곡선 선형의 일종으로 캔트 및 곡율체감을 사인곡선의 반파장 형상으로 한 것을 말한다.
사태방지(沙汰防止,prevention for land slide) 자연사면(自然斜面)에 발생하는 사태 등 대규모 붕괴의 방지공에는 사면형상 변경공법, 배수공, 침수 방지공, 구조물에 의한 공법 등이 있으며, 사면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공한다.
사행동(蛇行動, snake motion Hunting Motion) 원추 답면을 갖는 차륜이 레일 위를 주행하는 경우에 철도차량에서 발생되는 좌우진동의 일종이다. 사행동은 자유 사행동과 강제 사행동의 2종류가 있다. 자유 사행동은 직선구간에서도 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통상 한계속도 이상에서 차체에 격한 정상적인 횡진동을 수반한다. 강제 사행동은 레일의 곡율에 따라 강제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사행동(Snake Motion) 철도차량은 주행중 차륜과 레일의 상호작용, 선로조건 등에 따라 상,하,좌,우 진동과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볼 때 뱀이 기어가는 형상과 같다하여 사행동이라 함
살붙이기 용접(肉盛鎔接, buildup welding) 이음매 부에서 충격에 의한 레일표면의 마모 부분을 정상적인 레일단면으로 형성하기 위해 용접하는 것.
삼각선(三角線, delta track) 델타선 참조.
삼레일철도(三軌條鐵道, 3rd railway) 제3레일 참조.
삼정이음매법(三挺繼目法, three tie joint) 레일이음매의 침목 지지방법으로 침목 3정이 이음매를 지지하도록 한것이다. 현접법과 지접법을 병용한 것으로 침목 3정을 동일 강도로 유지하기 곤란하며 이음매판이 다른 것보다 긴것을 사용한다.
삼지분기기(三枝分岐器, three throw turmout) 1 궤도를 1 개의 포인트에서 3 방향으로 나누는 분기기를 말한다. 주요한 궤도를 중심으로 하여 좌, 우 편개 분기기를 합쳐 놓은 것과 같다. 2 조의 포인트, 3틀의 크로싱으로 되어 있다. 조차장의 분별선 시점쪽에 부설하여 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다.
상대식 승강장(相對式 乘降場, Separate platform) 홈이 선로를 사이에 두고 상대로 설치한 홈을 말한다.
상례작업(常禮作業, ordinary work) 선로차단 공사에 의하지 아니하고 선로의 정비 및 보수를 하는 일상적인 선로작업을 말한다.
상본선(上本線, Up main track) 상행 열차를 운전하기 위하여 건설된 본선.
상선(上線, Up track) 상행 열차를 운전할 목적으로 건설된 선로.
상시유도종전압(Normal Induced Longitudinal Voltage) 전력선의 정상운전시에 통신선에 유도되는 종전압
상치신호기(常置信號機, fixed signal)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신호기로서 주신호기, 종속 신호기, 신호 부속기가 있다. 주신호기는 장내, 출발, 폐색, 유도, 입환, 엄호 신호기가 있고, 종속 신호기는 원방, 통과, 중계 신호기가 있으며, 신호 부속기는 진로 표시기가 있다.
상판(床板, bed plate) 분기부에서 침목과 분기기 사이에 깔아 놓는 판으로 분기부를 통한 열차 하중을 침목에 분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호식 이음매(相互式 繼目, alternate joint) 한쪽 레일의 이음매가 다른 쪽 레일의 중앙부에 있도록 배치한 이음 방법으로 이음매부 통과시 궤도와 차량이 받는 충격과 소음이 적고 열차의 진동이 적으나 상대식 이음매 방식보다 침목이 더 소요됨.
색등식 신호기(色燈式信號機, Colour Light Signal) 신호기의 현시 방법을 색에 의하여 현시하는 신호기.
생력화 궤도(省力化 軌道, manpower saving track) 레일, 침목, 도상으로 구성된 유도상 궤도에 비해 보수노력을 저감 할 수 있는 구조로된 궤도의 총칭을 생력화 궤도라 한다. 여기에는 건설선 시공을 전제로 하여 슬래브 궤도, 침목 직결궤도, 강교직결 궤도, 콘크리트 도상 궤도 등이 있고 기설선 시공을 전제로 하여 포장궤도, 진충도상 궤도가 있다.
서행신호(徐行信號, slow speed signal) 열차 서행을 해야 하는 구간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하여 서행할 것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서행예고 신호(徐行豫告 信號, slow speed approach signal) 진행하려는 열차의 전방에 서행 신호가 현시되어 있음을 예고하는 신호이다.
서행운전(徐行運轉, slow operation) 열차 서행 참조.
서행해제 신호(徐行解除 信號, slow speed release signal) 서행 구역을 벗어나는 열차에 대하여 서행이 해제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기 이다.
선로(線路, way and constructure, permanent way) 철도 선로라 함은 열차 또는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전용 통로의 총칭이며, 궤도와 이것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기반을 포함한다. 즉, 레일, 침목, 도상 및 기타 부속품으로 구성된 궤도와 노반, 선로 구조물을 의미한다.
선로검사(線路檢査, track inspection) 선로검사의 목적은 선로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선로보수 및 관리를 하여 안전한 열차운전을 확보하는데 있다.
선로검사의 종류는 그 목적에 따라 궤도보수 검사, 궤도재료 검사, 선로 구조물 검사 및 선로순회검사, 신설 및 개량 선로검사로 분류한다. 그 방법 및 주기는 선로검사 규칙에 따른다.
선로개량(線路改良, track inprovement) 열차 속도향상 또는 승차감 개선 등을 위하여 기존선의 상태를 좋게 개선하는 것으로 선형개량, 선로구조 개량을 포함한다.
선로건설(線路建設, railway construction) 선로를 새로이 부설하는 것을 말한다. 즉, 종래 철도선로가 없던 그 지점간을 연결하여 철도를 부설하는 신선건설과 기설 철도의 수송 능력 증가를 위해 선로를 증설하는 것을 말한다.
선로관리도(線路管理圖, control map of track) 선로를 관리하기 위한 도면을 말한다. 주로 곡선, 구배, 구조물 등 선로의 구조 및 환경 상태를 표시하고 작업상태, 검측상태를 표시하여 관리한다.
선로건조물(線路建造物, structure in railway) 선로구조물 참조.
선로구조물(線路構造物, sturctures in roadway) 철도선로는 천연 지반위에 각종 장애물을 제거하고 노반을 축조하는데 지반의 기복에 대하여는 깍기와 돋기를 하고 하천, 수로도로 등과 교차개소는 교량을 구축하며, 산악에서는 터널을 설치하는바 이것을 총칭하여 선로구조물 또는 선로건조물이라 한다.
선로등급(線路等級, class of road way, class of track) 선로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선로의 건설과 보수에 있어서는 수송량과 열차 속도에 따라 열차의 등급을 정하고 그 등급에 해당하는 선로구조로 하여 경제적인 건설과 유지보수를 한다. 국철에서는 1 ~ 4급선까지 4 등급으로 구분하며 그 내용은 국유 철도 건설규칙에 규정하고 있다.
선로매몰(線路埋沒, track burying) 산사태 혹은 비탈면 유실 등에 의하여 선로가 토사에 묻혀 열차 운행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선로반(線路班, track maintenance gang) 선로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자들의 작업단위 구성체를 말한다.
선로반 경계표(線路班 警戒標, boundary post of track maintenance gang) 선로반의 담당 경계에 관내임을 표시하는 제표이다.
선로방비(線路防備, roadway defence) 선로내에 사람, 동물 및 기타 장애물의 침입을 금지할 목적으로 설치한 설비로서 경계 설비, 비탈면 보호설비, 낙석방지 설비, 지활방지 설비 등이 있다.
선로변 제어모듈(Trackside Functional Module, TFM) 선로변의 신호장치를 제어/감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TFM-PM(선로전환기용), TFM-UM(신호기용, ATC장치와 인터페이스용)으로 구성된다
선로순회(線路巡廻, track patrol)
1. 선로는 열차 운행에 따라 수시로 변형, 파손되며 그 상태를 매일 혹은 수시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선로를 주기적으로 도보 혹은 열차를 승차하여 선로상태를 파악할 목적으로 관찰하고 소보수를 시행하는 것을 선로 순회라 한다.
2. 선로순회를 담당관내 상위자가 지시하는 구역을 도보로 순회하거나 열차에 첨승하여 순회함을 말한다.
선로연장(線路延長, route kilomders, route length) 철도선로의 길이를 말하며 분기부의 경우 포인트 선단, 선로종단의 경우 차막이를 기준으로 한다.
선로용량(線路容量, carrying capacity, track capacity) 일정 선로상에서의 하루에 운행 가능한 열차회수를 말하며 선로용량은 단선과 복선, 폐색방식, 선로의 상태, 역간거리, 운전속도 등에 따라 다르며 용량을 초과하여 열차를 운행하게 되면 열차지연 및 선로보수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산출방식 으로는 단선구간 y = 1440/ a + b + c x 일정률(단, a = 상행 운전시분, b = 하생운전시분, c = 취급시간)
선로유효장(線路有效長, clearance) 정차장 내에서 열차를 정지하기 위한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에 있어서 인접 선로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고 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 유치 시킬 수 있는 길이를 말한다. 보통은 선로의 양단에 있는 차량접촉 한계표 사이의 거리를 말하지만 출발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선로에서는 출발 신호기 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본선 유효장은 그 구간을 운전하는 최장 열차 길이에 필요한 여유 길이를 더한 것으로 한다.
선로작업(線路作業, railway work) 선로에서 시행하는 모든 작업의 총칭으로 선로 유지작업, 재료교환 작업, 선로보강 작업을 말한다. 선로유지 작업이란 궤도틀림 작업, 도상다지기, 체결장치보수, 이음매 보수 등 선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작업이다. 재료갱환 작업은 레일, 도상, 침목 등 궤도재료가 부식, 파손, 손상된 경우 교환하는 작업이고 선로보강 작업은 열차 속도 및 열차 하중 증대, 보수비 절감을 위해 레일 중량화 등 선로 강도를 높이는 작업을 말한다.
선로작업표(線路作業標, work mark of railway) 선로보수 작업원의 작업 위치를 기관사에게 알려 주의를 환기시키며, 열차에 대향하여 약 200m 밖에 세워야 하고 400m 전방에서 기관사가 알아 볼 수 있는 위치에 건식한다.
선로장애(線路障碍, railway obstruction) 선로장애는 건축 한계를 범하거나 또는 범할 우려가 있어 열차 운행에 지장이 되는 경우로서 ① 선로내에 긴 말뚝을 박는 경우 ② 선로를 횡단하여 높고, 무거운 물건을 이동할 경우 ③ 도중에서 내리기 어려운 중량물을 트로리로 운반하는 경우 ④ 암석 토사등을 선로 부근에서 무너뜨리는 경우 ⑤ 전차선, 조가선, 급전선 등의 단선 및 그 지지물의 도괴, 추락등의 경우를 말한다.
선로전환기 열차 또는 차량을 한 궤도에서 다른 궤도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설치한 궤도상의 설비(同) 전철기.
선로전환기(Point Machine, PM) 선로가 분기되는 곳에 설치하여 열차의 운행진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선로제표(線路諸標, railway post) 선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지를 말한다. 철도선로에는 열차 승무원에게 곡선, 구배등의 운전상 필요한 선로 조건을 알리고, 보선 작업원에게 필요한 지식을 주며 일반 공중에게 용지경계, 건널목 등의 위치를 알려주는 선로제표를 선로변에 설치한다.
선로종별(線路種別, class of track) 선로의 중요도에 따라 간선과 지선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선로 종별이라 한다. 국철에서 엄격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선로지장(線路支障, track failure) 선로에 대한 상례 작업과 대형기계 보선작업 선로차단 공사 및 트로리 사용 또는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열차 및 차량운행에 지장을 받거나 혹은 서행시킬 필요가 있는 선로의 상태를 말한다.
선로차단(線路遮斷, track blocking) 선로의 보수작업, 선로절체 또는 선로 전환공사 등의 경우에는 열차가 통과하면 열차 탈선 등의 우려가 있게 되는데 이를 선로 차단이라 한다.
선로차단 공사(線路遮斷 工事) 선로를 일시 절단하거나 장애하여 열차 운전에 적합하지 아니한 상태에 있게하는 공사 및 이에 따르는 작업을 말한다.
선로일시 사용중지 궤도갱신, 분기기 갱신 등 대규모 차단공사는 열차 운전 상간에 작업을 하지 못하고 일정시간 동안 열차 통행을 중지시키고 작업을 해야 한다. 이렇게 일시적으로 선로 사용을 중지시키는 것을 선로일시 사용 중지라 한다.
선상역(線上驛, over track station) 선로 위에 설치한 역을 말한다.
설계성능입증시험(Qualification Test) 차량 및 제작부품이 계약요건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시험
설정온도(設定溫度, laying(setting) temperature) 자유 신축의 상태에 있는 장대레일의 레일 체결장치를 규정된 체결력으로 체결하여 레일을 고정한 때 레일온도를 설정 온도라 한다. 설정온도는 중위온도 보다 ±5℃ 정도 이내가 원칙이나 통상 20 ~ 30℃ 가 허용 온도 범위이다. (고속철도는 22℃ ~ 28℃).
설정유간(設定留間, laying joint gap) 자유신축 상태에서 정척 또는 장척 레일을 부설할 때 일정유간을 두고 레일 체결 장치를 체결 레일을 고정할 때 유간을 설정유간이라 한다.
섬식승강장(島式 乘降場, island platporm) 승강장의 형상에 의한 분류로 홈의 양측에서 열차가 발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 것. 이 형식의 홈은 대향식 홈에 비해 용지비, 건설비가 적게 들고 감시비 및 영업상 유리하다. 광장과 접근이 곤란하고 선로에 곡선이 들어가며 승객이 과선교나 지하도를 이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하행 열차가 동시에 발착하는 경우 홈이 혼잡해 진다.
세굴계(洗掘計, scour meter) 교각등의 부근 하상의 세굴 현상을 실측하는 기기를 말한다. 주요한 형식에 따른 종류는 중추식, 전기저항식, 수압식, 초음파식, 레일 강하식 등이 있다.
세로홈(縱홈, longitudinal platform) 승강장의 일종으로 화물 적하장(화물홈)에 사용된다. 자동차와 트레일러류를 자주시켜 하차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적하선 종단에 선로방향(종방향)으로 설치한다.
세로패킹(longitudinal packing) 교량상에서 캔트를 설정하거나 동상 보수시 레일면 조정을 위해 사용하는 패킹 중 15cm 이하일때 사용하며 그 치수는 두께 15 cm 이하, 폭은 레일 바닥폭, 길이는 침목폭 이상의 것을 말한다.
세차선(洗車線, washing track) 차량의 차체를 세척하기 위하여 측선으로 객차, 전차, 동차 등 여객차량을 세척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가축차용 화차를 세척하기 위한 측선도 있다.
속도제한(速度制限, limit speed) 열차속도를 선로조건상 타구간에 비하여 낮추어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시적으로 속도를 낮추는 서행과 구별된다.
속도제한표(速度 制限表, speed control post) 속도제한 구역의 시단에 건식된 표시로서 열차승무원(기관사)으로 하여금 열차속도를 제한 하도록 알리는 역할을 함. 선로상태가 비정상적일 경우 열차 속도의 제한을 표시하며 열차 진행방향의 좌측 소정의 위치에 세운다.
속도충격율(速度衝擊率)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궤도면의 부정(이음매 단차, 유간, 고저틀림, 레일 파상마모 등) 차량의 동요, 캔트의 불균형, 다이야 프랫트 등에 의해 윤중은 동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경향은 속도에 따라 증가한다. 속도에 따른 윤중의 증가 경향을 표시한 것을 속도 충격율이라 한다.
속도향상(速度向上, in crease in train speed, speed up) 여객 서비스를 개선하고 수송력을 증대할 목적으로 열차 속도를 향상시켜 운행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말한다.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선로보강, 차량 및 동력차 개량, 전철화 등이 있다.
쇄석도상(碎石道床, crushed stone ballast) 깬자갈을 재료로 사용한 도상을 말한다.
쇄정전철기(鎖錠轉撤器, locked points) 전철기가 선로의 한쪽으로 개통되어 타선로의 진입을 못하도록 고정시켜 놓은 전철기.
수동식 전철기(手動式 轉撤器, manual switch) 수동(인력)에 의해 전환하는 전철기로서 추달린 전철기, 표지 전철기, 랏치달린 전철기가 있다.
수동신호기(手動 信號機, manual signal) 인력에 의하여 레바를 조작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로서 도선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조작 하는 것이다.
수동차단기(手動 遮斷機, hand operated gate) 인력에 의하여 차단기암을 상승, 강하시키는 건널목 차단기를 말한다.
수선선(修繕線, repair track) 차량의 수선작업을 수행하는 측선을 말한다.
수시 수선방식(隨時 修繕方式, method of routine repair work) 궤도보수 방식의 일종으로 정기 수선방식에 대응한 것을 말한다.
수시로 궤도를 점검하여 불량한 궤도를 보수하는 것으로 선로반에서 시행하는 궤도보수 작업이 대부분 이 방식이다.
수신호(手信號, flag hand signal) 인력으로 신호기 혹은 신호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대용 수신호기, 통과 수신호기, 임시 수신호기 등이 있다.
수익관리전산기(Yield Management Server, YMS Server) 주어진 운임구조와 운전시간 아래에서 예약 및 발매상황에 따라 수입 극대화를 위하여 좌석할당량을 조정하는 전산기
수준기(水準器, track leveller) 수평 게이지 참조.
수준표(水準標, bench mark post, bench mark drop pit) 수준 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이며, 기준면에서의 높이(標高)가 정확하게 구하여지고 있어 선로의 표고를 재정하는 기준이 되며, 보통 선로연변 우측에 약 1 ~ 4 km마다 설치하는 표지.
수평게이지(水平게이지, cross level gauge) 수평 틀림량을 측정하는 게이지.
수평틀림(水平틀림, irregularity in cross level) 좌우 레일의 높이 차이를 말한다. 곡선부에서 캔트가 있는 경우는 설정한 캔트량에 대한 증감량을 말한다. 수평 틀림의 부호는 직선부에 있어서 기점을 뒤로하여 좌측레일을 기준으로 우측 레일이 높은 경우를 + , 낮은 경우를 - 로 하고 곡선부에서 설정 캔트보다 큰 경우 + , 작은 경우를 - 로 한다.
수평열(水平裂, horizontal split head) 레일 길이 방향으로 레일 저면과 수평하게 발생한 손상을 말한다. 수평열은 발생한 위치에 따라 두부 수평열과 복부 수평열로 나눈다. 두부 수평열은 대부분 레일단부에서 발생하며 재질적 결함과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기인되고 복부 수평열은 재질적 결함으로 기인한다. 대부분 장기사용 레일에서 피로에 의해 발생한다.
스랙(擴度, slack) 철도차량의 구조상 고정축거를 갖게 되므로 곡선부에서는 자유롭게 방향 전환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궤간을 넓히게 되는데 이것을 스랙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곡선의 내측 레일을 궤간 외측으로 확대한다.
스위치타이탬퍼(switch tie tamper) 분기부의 특수한 구조에 대하여 도상다지기 작업을 시행하는 장비로서 대형 보선장비의 일종이다. 보통 궤도정정 작업이 가능하며 다짐봉을 경사시킬 수 있다.
스크류 스파이크(screw spike) 나사못 참조.
스트로크(動程, stroke, maximum expansion) 신축이음매의 텅레일, 기본레일의 설계 가동량은 상판에 대하여 각각 ±a mm, ±b mm인 경우 2x (a+b)를 신축이음매의 설계 스트로크라 한다. 일반으로 a와 b는 같게 되므로 설계 스트로크가 250mm인 경우 평레일, 기본레일 모두 각각의 가동량은 ±62.5 mm가 된다.
스파이크(犬釘, spike, dog spike) 개못 참조.
스파이크 해머(spike hammer) 개못(스파이크)를 박을때 사용하는 대형의 핸드 해머로서 중량 약 4 kg 정도의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포인트(스프링 轉轍器, spring point, spring switch) 강력한 스프링의 작용으로 평상시는 교통이 빈번한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으며 개통되지 않은 방향에서 차량이 배향으로 나오는 경우 첨단 레일을 벌리면서 나오게 된다.
스켈톤(skelton) 정차장내에 있어서 배선도 및 평면도를 제작하는 경우 분기기기의 실제의 형상에 따라 도시하기가 극히 어려워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현도법으로 표시한다. 이중 가장 간략화된 방법으로 선형을 분기기류의 위치, 길이, 방향을 표시하는 그림을 스켈톤이라한다. 스켈톤의 현시 방법은 궤도 중심선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슬래브 궤도(스라브 軌道, slab track) 공장에서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를 강고한 노반에 거치하고 슬래브 노반과의 사이에 간극 조절재를 주입한 궤도구조를 말한다. 이 궤도는 침목이 필요없이 슬래브 위에 레일을 직접 체결한다.
승강장(乘降場, platform, (同) 여객홈) 여객이 열차에 타고 내리기 위하여 또는 소화물 적하에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선로에 평평하게 설치한 장소
종류는 1) 용도에 따라 여객홈, 수소화물홈, 우편물홈, 열차홈, 전철홈, 열차.전동차 병용홈 등이 있고 2) 승강장의 형상에 따라 대향식홈, 섬식홈, 빗형홈, 쐐기형홈 등으로 분류한다. 승강장의 길이는 최장열차의 길이보다 10 - 20 m 길게하고 그 폭은 그 역에서 동시에 발착하는 여객열차의 수와 1개 열차당 승차인원 수에 따라 승강객의 집합 면적과 하차객의 유동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국철에서는 본선사이에 있는 것은 5 m이상, 기타는 2 m 이상으로 한다. 높이는 고상식과 저상식이 있으며 전동차 구간에서는 고상식으로 한다.
승강장 옹벽(乘降場 擁壁, retaining wall for platform) 승강장은 선로보다 높은데 궤도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옹벽을 쌓는다. 이것을 승강장 옹벽이라 한다.
승강장 유효장(乘降場 有效長, useful length of platform) 열차가 정지하여 승객 또는 화물의 승강할 수 있는 유효길이를 말하며 열차 정지 목표가 있는 경우 열차 정지 목표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출발 신호기가 있는 경우 출발신호기로 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없는 경우는 승강장 전 길이를 의미한다.
승강장 지붕(乘降場 지붕) 여객이 열차에 승차 또는 하차할 때 비, 눈등을 막기위해 승강장 위에 설치한 지붕.
승월분기기(乘越分岐器, runover type turnout) 분기선이 본선에 비하여 중요하지 않은 경우 또는 분기선을 사용하는 회수가 드문 경우에 본선에는 2개의 기본레일을 사용하고 분기선에는 한쪽은 보통 첨단레일을 사용하고 한쪽은 특수 형상의 레일을 사용하여 궤간 외측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선 레일의 강도는 분기부 전후와 같으며 분기선에 진입할 때에는 본선의 레일변과 턱이진 크로싱부에서 본선을 승월하여 분기선에 진입한다.
시가철도(市街鐵道, street railway) 시가지의 도로에 부설된 철도를 말한다.
시공기면(施工基面, formation level) 노반의 윗표면. 궤도를 직접 지지하는 노반은 천연지반의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연의 지반에 흙은 더 돋거나 혹은 깍아서 만드는데 이러한 구조를 각각 성토, 축제, 절취라 한다. 노반표면은 시공기면 이라고도 하며 건설공사의 기준이 되는 높이이다. 노반 표면은 배수를 고려하여 3%를 표준으로 하는 배수 횡구배를 둔다. 시공기면의 폭은 노반 치수중 중요한 것으로 선로등급, 궤도구조, 작업성 및 안전성 등에 따라 결정한다.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tiple Access, TDMA) 일정한 시간간격의 펄스열을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시간측상에 차례로 배열하여 다중전송하는 방식
시사스 크로싱(交線 크로싱, double crossover, scissors crossing) 2조의 건넘선을 교차하여 중복시킨 것으로 4조의 분기기와 1조의 다이야몬드 크로싱을 조합한 구조이다.
신뢰도(Reliability) 열차 실제운행조건하에서 의도된 기간동안 설계조건내에서 고장없이 운행할 수 있는 정도를 확률적인 표기를 통해 표현하는 방법
신축이음매 (伸縮繼目, expansion joint, expansion device) 장대레일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매의 일종으로 장대레일의 신축량을 텅레일을 사용한 신축부에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신축량(伸縮量, expansion length) 장대레일 단부의 가동구간 신축량은 도상 종저항력이 일정하면 가동 구간길이 ℓe 의 자유신축량 ℓe .β.ㅿt 의 1/2이 된다. 즉, 레일단부의 신축량 ㅿℓ은
A.E.(β.ㅿt)²
ㅿℓ = 1/2 ℓe.β.ㅿt = ────────
2r
이다. 레일 각부의 신축량은, 레일축력이 단부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역으로 신축량은 반비례 한다.
신호(信號, signal) 열차의 운행 조건을 기관사에게 지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신호기(信號機, signal post) 신호를 나타내는 기구를 말한다.
신호기(Signal) 역 또는 건넘선 구간 등에서 열차의 진행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신호기내방(信號機內方, approach of signal) 신호기 위치로 부터 배면의 방향.
신호기외방(信號機外方, advance of signal) 신호기 위치로 부터 표면의 방향.
신호기 방호구간(信號機 防護區間)신호기의 현시 상태로서 열차의 운전 조건을 지시할 수 있는 선로 구간으로 신호기 전방구간이라고도 한다.
신호뇌관(信號雷管, signal torpedo) 폭음 신호를 위한 소형 폭발물을 말한다.
신호보안 장치(信號保安 裝置, safety device)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고 수송력 증강을 위하여 설치한 시설로서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건널목 안전장치 등의 종류가 있다.
신호소(信號所, signal station) ① 정거장이 아니고 상치신호기의 취급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를 말한다.[운전취급규정] ② 정거장이 아니고 수동 또는 반자동의 상치신호기를 취급하기 위하여 시설한 장소[국유철도 건설규칙].
신호장(信號場, signal box) ①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소 [운전취급 규정] ②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하기 위하여 시설한 장소를 말한다[국유철도 건설규칙].
신호장치(信號裝置, signal apparatus) 신호를 나타내는 장치를 말한다.
신호현시(信號現示, signal aspect, signal indication) 색등식 또는 기계신호기의 방호구역에 열차의 운행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싱글스립 스위치(片側亘線附交叉, single slip switch) 다이야몬드 크로싱내에서 좌 또는 우측의 한쪽으로 건넘선을 설치한 것으로 이 건넘선을 이용하여 다른 궤도로 진입할 수 있는 특수 분기기를 말한다.
쌍두레일(雙頭軌條, double headed rail) 두부와 저부가 같은 단면으로 상하, 좌우를 자유로이 전환하여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나 평저레일보다 비경제적이어서 실용화 되지는 못하였다.
쇄기형 승강장(쇄기形 乘降場, wedge platform) 형상에 의한 승강장의 분류로 분기역 등에 주로 쓰이며 방향별 배치 방식과 선로별 배치 방식이 있다.
쏠바이트 레일(쏠바이트 軌條, sorbite rail) 열처리 레일 또는 경두레일이라고도 한다. 레일의 두 정면에서 약 20 mm를 열처리하며 솔바이트 조직으로 한 것을 말한다. 강인하고 내마모성이 크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철도토목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9. 자 (0) | 2022.04.21 |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8. 아 (0) | 2022.04.19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6. 바 (0) | 2022.04.15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5. 마 (0) | 2022.04.13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4. 라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