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자
자갈도상(자갈道床, gravel ballast) 도상은 침목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노반에 전달하고 침목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활을 하는 궤도구조의 구성요소로서 그 종류는 자갈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으로 대별된다. 자갈도상은 자갈을 사용한 도상을 말한다.
자갈막이(ballast stopper) 유도상 교량 등에서는 자갈이 바깥으로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자갈막이 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성토구간에서는 고 PC침목을 사용하기도 한다.
자갈보충(자갈補充, ballast supplement) 자갈보충이란 도상면이 소정의 치수 이상으로 감소되었을 때 이것을 보충하는 작업을 말한다.
자갈선(자갈線, ballast track line) 도상자갈의 채집, 적재, 수송을 위하여 정차장 또는 본선에서 분기되어 도상자갈의 채석장까지 연장한 선로를 말한다.
자갈치기(ballast cleaning(or screening)) 도상자갈은 열차하중으로 인하여 노반으로의 박힘 및 풍화로 인한 토사혼입 등으로 도상배수가 불량하여 궤도틀림을 발생한다. 자갈치기는 이러한 불순물을 체로 걸러내는 작업을 말한다.
자기부상열차(磁氣浮上列車, maglev(or magnetic levitation) train) 자석의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선로에서 부상시켜 운행하는 열차 시스템을 말한다.
자기부상식 철도(磁氣浮上式 鐵道, maglev railway) 현재의 철도는 레일과 차륜의 조합에 의하여 차체중량지지, 열차진로유도, 구동력 획득 등 3개의 기능을 하고 있으나 자기부상식 철도는 자력을 이용하여 차체를 부상시키고 안내하며 추진시키는 철도이다.
자동 개·집표기(Automatic Gate Machine, AGM) 역무원의 개입없이 승차권을 검표하고 여객의 통행을 제어하는 설비
자동발매기(Automatic Ticket Vending Machine, ATVM) 여객이 직접 단말기를 조작하여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는 설비
자동신호기(自動信號機, automatic signal) 궤도회로(軌道回路,track circuit)를 이용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유무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호를 현시하는 것으로 신호취급자가 조작할 수 없는 신호기이다.
자동열차방호(Automatic Train Protection, ATP) 열차가 제어곡선을 초과하여 운행하는 경우 비상제동장치를 작동시켜 열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자동열차운행장치(自動列車運行裝置,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 device) 열차가 정차장을 발차하여 다음 정차장에 정차할 때까지 가속, 감속 및 정차장에 도착할 때 정위치에 정차하는 일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열차운행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 열차가 출발하여 각 정차장에 정차할때까지 가속, 감속 및 정차장의 정위치에 정차할때까지의 모든 행위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
자동열차정지장치(自動列車停止裝置, A.T.S, automatic train stop device) 열차가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있는 신호기에 접근할 때에 기관사에게 경보를 울려주고 더욱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확인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제동이 작용하여 신호기 앞에서 정지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열차정지장치(Automatic Train Stop) 열차가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있는 신호기에 접근할 때 기관사에게 경보를 울려주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확인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제동이 작동하여 신호기 앞에서 정지토록하는 장치
자동열차제어장치(自動列車制御裝置, A.T.C,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신호현시에 따라 그 구간의 제한속도 현시를 연속적으로 열차에 주어 열차속도가 제한속도를 넘으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걸리고, 제한속도 이하로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풀린다.
자동열차제어장치(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ATC) 곡선, 구배등의 선로조건, 선행열차의 위치, 운행진로 등의 정보를 비교 검토하여 열차의 운행속도를 지정하고 열차가 이를 초과할 경우 자동으로 감속시키는 장치
자동열차제어장치(Automatic Train Control) 신호현시에 따라 그 구간의 제한속도를 연속적으로 열차에 통보하여 열차속도가 제한속도를 넘으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걸리고, 제한속도 이하로 되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풀리게하는 장치
자동장력조정장치(Tensioning Device) 온도변화에 따라 전차선과 조가선의 신축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전차선(2,000daN)및 조가선(1,400daN)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
자동차단기(自動遮斷機, automatic gate) 건널목 제어구간에 열차가 진입하면 전기를 이용하여 경보기 작동과 동시에 차단기가 닫혀지고, 열차가 통과한 다음 차단기가 열려지도록 되어 있는 건널목 차단기를 말한다.
자동폐색(自動閉塞, automatic block) 자동폐색은 폐색구간에 설치한 궤도회로를 이용하여 열차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폐색 및 신호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자분탐상검사(磁分探傷檢査, magnetic particle examination) 자력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의 일종으로 금속표면 또는 표면하의 비교적 낮은 부분의 결함을 발견하는 것에 이용한다.
자유신축(自由伸縮, free expansion) 레일 등 선형의 고체(固體)는 방해 받지 않을 때 온도변화에 따라 선팽창계수에 비례하여 신축한다.
작업용 콘센트(Receptable of Tunnel) 터널내 작업에 필요한 전원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콘센트
잔여승차권 안내게시기(Remainder Ticket Indicator, RTI) 발매창구 벽 상단 및 발매창구 부근의 천장에 설치하며, 잔여 승차권 현황정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
장거리철도(長距離鐵道, long distance railway) 연장이 400∼500 km 이상인 철도로서 안전성·대량성·고속성·에너지 효율 등으로 다른 교통기관과 경쟁하며, 화물수송은 대량화물의 거점간 수송, 콘테이너에 의한 직행 등으로 타 교통수단과 경쟁한다.
장내신호기(場內信號機, home signal) 정차장의 입구에 설치하는 신호기로서 정차장에 진입할 열차에 대하여 그 신호기 안쪽으로의 진입 가부(可否)를 지시하는 신호기이다.
장대레일(長大軌條, C.W.R continuous weleded rail) 1개의 레일길이가 200 m 이상인 것을 장대레일이라 한다. 레일이음매부의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을 연속 용접하여 이음매를 없앤 것이 장대레일이며 양단에는 신축이음매를 둔다.
장대레일갱환(長大軌條更換, renewal of CWR) 장대레일 갱환은 중위온도 부근에서 온도변화가 심하지 않은 때 작업을 하여야하며, 신레일 부설시 레일전장에 걸쳐 설정온도가 균등하여야 한다.
장대레일궤도(長大軌條軌道, CWR track) 1개의 레일길이가 200 m 이상인 장대레일로 부설한 궤도를 말하며, 이음매 궤도에 비하여 유리한 점이 많은 반면에 부설하기 위한 선로조건이 제한되며, 고도의 보수관리 기술을 필요로 한다.
장대레일보수(長大軌條保守, maintenance of CWR) 장대레일은 부설초기에 정확하고 양호한 상태로 보수하여 안정된 후에는 너무 빈번하게 보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장대레일부설(長大軌條敷設, laying of CWR) 100∼300 m의 길이로 공장용접한 장대레일을 현장에 운반하여 현장용접하고 레일 응력을 제거후에 침목에 체결한다.
장대레일수송(長大軌條輸送, transportation of CWR) 장대레일을 부설 또는 갱환할 때 100∼300 m로 공장에서 용접한 레일을 장대레일 수송열차로 작업현장까지 수송한다.
장대레일 작업제한(長大軌條 作業制限, restriction of CWR maintenance work) 장대레일의 보수작업에 있어서는 좌굴방지, 과대신축 및 복진방지, 재료의 부분적 손상방지를 위하여 작업상 여러 가지 제한을 하고 있다.
장방형 차고(長方形 車庫, square engine shed) 기관차 차고중 장방형은 1선에 2, 3량씩 수용하므로 출입이 불편하며 수용량수가 적을 때, 또는 기관차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없는 전차고 등에 채택된다.
장방형 홈(長方形 홈, rectanguler platform) 화물 적하장(홈)의 형상에 의한 분류의 한 종류이다. 제일 많이 사용되는 형식으로 화물취급량이 적은 역에 채택된다.
장척레일(長尺軌條, longer rail) 길이가 25 m를 넘고 200 m 미만인 레일을 장척레일이라 한다.
장출(張出, buckling, track deformation, warping snaking) 온도가 과대하게 상승하여 과대압축력이 작용하든가, 도상횡저항력이 부족할 경우 등에서는 이 안정이 파괴되어 궤광이 급격하게 횡방향으로 변위하는 현상을 장출이라고 하며 좌굴(挫屈)이라고도 한다.
재료갱환기준(材料更換基準, standard of material renewal) 궤도재료가 일정한 상태 이상으로 된 경우에 갱환하여야 할 기준, 예를 들어 레일갱환은 마모, 단면감소 및 파상마모 등에 의한 것이 있어 기준에 달한 것은 갱환한다.
재료보수작업(材料補修作業, reparting of track meterials) 궤도재료 보수작업이란 궤도재료의 보수에 관한 작업을 말하며 그 종류에는 레일의 바꿔 놓기(振替) 또는 돌려 놓기(轉換), 레일류(類) 보수, 레일 체결장치 보수, 침목 보수, 도상 자갈치기, 도상 보충, 도상 정리 등이 있다.
재설정(再設定, resetting, refastening - down) 장대레일 체결장치를 모두 풀어서 레일 밑에 롤러를 삽입시켜 자유 신축의 상태로 축력을 해방하여 가열 등에 의하여 적온(適溫)으로 복원하여 재구속하는 것을 말한다.
재용레일(再用軌條, second hand rail, rail for re - use, recovered rail) 일단 사용하였다가 발생한 레일로 마모 상태, 길이 등이 재용 가능한 것을 말하며 단면에 청색을 표시한다.
재해복구(災害復舊, rehabilitation of calamity) 풍수해, 설해, 지진 및 화재 등에 의하여 산사태, 둑 유실 및 붕괴, 교량의 거더, 교각, 교대의 유실 및 침하 등을 인원, 재료 및 장비를 동원하여 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재해응급(災害應急, emergency of calamity) 강풍, 집중적인 폭우, 또는 계속적인 강우 등으로 깍기 및 돋기의 비탈면, 터널, 교량 등에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응급조치를 하고 열차방호 및 상부에 보고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저상 승강장(低床乘降場, low platform) 국철 여객승강장의 경우에 전철구간의 고상식 외에는 승강장의 높이가 레일면에서 30∼50 cm인 저상홈으로 하고 있다. 화물 적하장도 홈의 높이가 레일면과 같은 높이로 하는 경우가 있다.
저유조(貯油槽, oil storage bin(or tank)) 디젤기관차와 동차 등의 연료를 저장하는 저유조는 7일분의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으로 하고, 가능하다면 방화를 위하여 지하 매설(地下 埋設)로 하는 것이 좋다.
적설검지장치(Snowfall Detector) 적설량을 측정하는 장치로 측정된 적설량에 따라 중앙통제센터의 종합사령자가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키기거나 열차운영을 정지시킴 (3개소 : 강설량이 많은 대구이북 지역에 설치)
적재정규(積載定規, loading gauge) 무개 화차(無蓋 貨車)에 적재한 화물이 차량한계외로 나가는 것을 검사하는 설비이다.
적차중량 공차에 정원승객 및 승무원이 승차하고 연료, 물, 모래 등 운전정비에 필요한 물자를 적재한 차량의 중량
적하장 옹벽(積荷場 擁壁, freight platform retaining wall) 고상식 적하장의 구조는 토공(土工)으로 돋기하여 선로쪽을 철근 콘크리트 옹벽이나 콘크리트 옹벽으로 막고 적하장 표면은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한다.
전공계전연동장치(電空繼電聯動裝置, electro pneumat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信號機) 및 전철기(轉轍器)는 전기로 조작하고 전철기의 전환(轉換)은 압축공기(壓縮空氣)로 작동하며, 이들 상호간의 연쇄(連鎖)는 전기계전 연동장치와 똑같이 계전연동기(繼電聯動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전공전철기(電空轉轍器, electro - pneumatic switch machine) 전자(電磁)밸브로 조정되는 압축공기를 전환기 등을 통하여 전철기를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국철에서는 1977년 그 동안 사용하던 전공전철기를 전기전철기로 모두 대체하였다.
전기계전연동장치(電氣繼電聯動裝置, electric relay interlocking) 신호기 및 전철기를 전기에 의하여 조작, 전환하고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조작반(操作盤)과 계전기(繼電器)로 구성된 계전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기전철기(電氣電轍器)가 사용된다.
전기기관차(電氣機關車, electric locomotive) 동력차중에서 동력원을 전기로 하는 기관차이다. 전차선에서 팬터그래프로 공급된 전기를 변압기로 전압을 낮게하여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면 전동기는 차륜을 회전시키는 힘(기계 에너지)을 발생시키므로서 차량이 주행한다.
전기기 연동장치(電氣器 聯動裝置, electric - mechanical interlocking) 전기 정자(廷子)와 기계 정자를 사용하여 전철기, 신호기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이들 상호간의 연쇄는 제1종 전기연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신호기는 전기적으로, 전철기는 기계적으로 제어, 쇄정한다.
전기쇄정법(電氣鎖錠法, electric locking) 전기쇄정방법에는 전자석회로의 개방에 따라 전자석이 전기정자의 운동을 기계적으로 쇄정하는 방법 및 계전기의 회로를 여러 가지 신호보안장치에 이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전기시계설비(Master Clock System) 중앙의 모시계시스템이 각각의 시계에 통일된 시각정보를 전송하므로써 모든 고속철도시설이 동일한 시간을 표시토록 하는 설비
전기신호기(電氣信號機, electrical signal) 상치신호기는 조작 동력에 따라 인력을 이용하는 기계신호기와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신호기로 분류한다. 전기신호기에는 단등형(單燈型)신호기, 다등형(多燈型)신호기, 등렬식(燈列式)신호기 등이 있다.
전기연동장치(電氣聯動裝置, electric interlocking) 신호기 및 입환표지는 취급소의 탁상전기정자(卓上電氣廷子)로 조작하고, 전철기 와의 연쇄는 현장의 전철정자에 설치한 전기쇄정기로 하는 장치이며 현재 2종만을 사용하고 있다.
전기열차선(電氣列車線, electric locomotive line) 전차전용선로(電車專用線路)를 말한다.
전기전철기(電氣轉轍器, electric switch machine) 원거리에 설치한 전철기와 사용회수가 많은 전철기를 인력으로 전환하기 어려운점과 작동의 확인이 불편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기를 이용한 전기전철기를 사용한다.
전기정자(電氣廷子, electric lever) 전기전철기의 전동기로 유입하는 전원의 송전과 차단을 하는 스위치를 말한다. 1종 전기기 연동장치의 종류에 따라 개별제어정자와 일괄제어정자가 있다.
전기차(電氣車, electric motor vehicle) 전기차(량)은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어 열차를 견인하는 차량이다. 전기차는 전기방식에 따라 직류, 교류, 교·직류 겸용, 성능에 따라 전동차, 전기기관차로 분류한다.
전기철도(電氣鐵道, electric railway)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열차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철도를 말한다. 지하철도, 고가철도, 등 도시철도와 고속의 장거리 도시간 철도에 이르기까지 큰 역활을 하며 전력공급 방식에 따라 가공전차선 방식과 제3레일 방식이 있다.
전동차(電動車, motor car, electric motor coach) 교류, 직류, 교직류 겸용 방식 등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동력장치와 승객용 객실을 갖춘 차량을 말한다.
전력계통 원격제어 설비(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거리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된 설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원격감시제어, 계측, 운용하는 설비로써 전력설비, 송유관 설비, 가스공급설비, 도로교통 설비의 분야에 적용
전력용 퓨우즈 (Power Fuse) 소용량의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압기 1차측에 사용하며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적은 경우에 직렬로 설치하여 단락보호용으로 사용한다
전복탈선(轉覆脫線, overturning derailment) 열차의 탈선을 발생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경우의 하나이다. 여기서 전복이란 차량의 중력과 차량에 걸리는 수평력의 합력작용선이 궤간외로 작용하며 차량이 뒤집힌 상태를 말한다.
전송설비(Transmission System Facility, TS) 전기통신신호를 회선다중화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동기식 광전송설비를 말한다.
전식(電食, electric erosion, electrolific corrosion) 직류전기 운전구간에서 회귀전류가 레일체결부에서 대지로 누설되는 곳에 가깝게 금속제 매설물 등이 있을 경우에 흙속의 화학성분을 전해액으로 하여 금속을 전극으로 한 전기분해작용을 일으켜 부식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신실(電信室, communication office) 정차장 설비로서 업무연락을 위한 통신설비를 갖춘 역무시설을 말한다.
전용선(專用線, private siding, industry track) 전용선이란 청원자가 국유철도의 역구내에 설치하여 이를 전용하는 선로, 즉 특정인의 자기화물 수송을 위하여 자기 부담으로 부설한 선로를 말한다.
전용철도(專用鐵道, exclusive railway) 사용자가 전용하기 위하여 부설한 철도(예 포항 및 광양제철소)를 말한다. 철도법에서는 "전용철도라 함은 영업을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특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비한 철도를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전자기 감응(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EMS) 전자파의 범위내에서 영향을 받는 것
전자기 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발생된 전자기가 다른 전자 전기기기동작에 간섭 또는 방해를 일으키는 현상
전자연동장치(電子聯動裝置, electronic interlocking) 지금까지 연동장치에는 계전기(relay switch)가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파라메트론, 자기증폭기 등의 반도체에 의한 스위치 소자가 도입되고 있다.
전자연동장치(Solid Status Interlocking, SSI) 신호기, 선로전환기 등의 연동장치 동작을 감시 및 제어하고 선로의 제반조건들을 컴퓨터가 비교 분석하여 열차의 진로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장치
전주구배(轉走勾配, descending grade) 험프(hump) 입환시 압상구배에서 화차를 압상하여 화차를 전주시키는 구배를 말한다.
전차고(電車庫, electric car shed) 전기차의 검사, 수선, 및 수용을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고로서 일반적으로 장방형(長方形)이다.
전차대(轉車台, turn table) 기관차 등의 방향전환을 위한 설비.
전차대 회전레일(轉車台 回轉軌條, turning rail for turn table) 전차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강판형을 전주시키기 위하여 강판형 아래에 원주형(圓周形)으로 설치한 레일을 말한다.
전차선(電車線, trolly wire, catenary) 차량의 집진장치에 접촉하여 이에 전기를 공급하는 가공전선(架空電線)을 말한다. 경동(硬銅), 합금강(銀銅,가드늄銅)이 사용되고, 형상으로는 원형, 홈있는 제형(梯形) 및 이형(異形)이 있다.
전차선(Contact Wire) Cu 150㎟ 나전선으로 차량의 집전장치와 직접 접촉하여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
전차선로(電車線路, electric car line) 가공전차선, 급전선로, 귀선로 및 이에 부속하는 시설을 총괄한 것을 말한다. 국유철도운전규칙에서는 "전차선 및 이를 지지하는 공작물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전차선로(Catenary) 고속으로 주행하는 열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선로를 따라 설치된 전선로
전차선로 공사용차량(Catenary Work Train) 전차선로 시공시 각종설비(전철주, 전선류, 가동브래키트 등)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공사용차량
전철간(轉轍桿, front rod, switch rod) 전철간은 텅레일의 선단에 취부되고 전환장치에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에 따라 포인트가 전환되어 진로가 바뀌어진다.
전철레버(轉轍레버, switch lever) 전철기를 현장에서 전환하는 레버 또는 봉상(棒狀)부분을 말한다.
전철주(Catenary Mast) 전차선로 설비를 취부하기 위한 지지물(H형강주)
전철주 시공위치도(Pegging Plan) 전차선로 전철주 및 C-Channel 시공위치가 표시된 도면
전향선(轉向線, turning track) 차량의 방향을 정반대로 전환(轉換)시키기 위하여 델타선(delta track) 또는 루우프선(loop track)을 사용한다.
전호(Sign) 철도운전 통제시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위하여 형, 색, 음 등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의사표시하는 것을 말하며, 출발전호, 비상전호, 대응수신호, 현시전호, 입환전호 등이 있다
전호(傳號, sign) 철도에서 종사원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위하여 형(形), 색(色), 음(音) 등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의사를 표시하는 것을 말하며, 출발 전호, 비상 전호, 대응 수신호, 현시 전호, 입환 전호 등이 있다.
전호용접(電弧鎔接, enclosed arc welding) 양레일 단부에 용접봉에 의한 전류를 통해서 발생시킨 아크(arc)열에 의하여 레일단을 적열(赤熱)시켜 용접봉으로 레일 간극을 메꿔 용접하는 방법이다.
전화(電化, electrification) 동력을 전기동력화 하는 것을 말한다. 철도에서 전화의 뜻은 증기, 디젤 등의 동력을 전기로 바꾸는 것, 즉 전기기관차나 전동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전화공사(電化工事, electrification work) 전화를 위하여 시공하는 공사를 말하며 철도에서는 송전선로, 변전소, 전차선로 등의 신설, 전등전력설비, 신호설비 등의 개수, 터널, 교량 등의 저장물의 개수, 전력 및 보안용 건물 신설 등의 공사를 하게 된다.
전화구간(電化區間, electrified section) 열차를 운전하는 동력을 증기 기타의 것으로부터 전기로 변경한 구간을 말한다.
전환기(轉換器, switch stand, switch trrowing device) 분기기를 전환하여 분기기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전철기(轉轍器,shunt)라고도 한다.
전환장치(轉換裝置, switch throuwing device) 포인트의 첨단레일을 기본레일에 밀착 또는 분리시켜 포인트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하는 장치를 말하며 전철장치(轉轍裝置)라고도 한다.
절대신호기(絶對信號機, absolute signal) 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기를 절대 신호기라 한다.
절선식정차장(折線式停車場, switch back station) 산악 등 급구배선이 연속되어 정차장을 설치할만한 완구배를 얻지 못할 때에 수평 또는 완구배의 선로를 본선에서 분기시켜 설치한 정차장을 말한다.
절연이음매(絶緣이음매, insulated joint) 레일과 이음매판의 볼트 주위 및 유간에 직접 화이버(fiber) 또는 합성수지(prastic) 및 기타의 재료로 된 절연재를 삽입하여 전기를 절연시키는 이음매를 말한다.
점착계수(Adhesive Coeffcient) 레일과 차륜사이에 상호작용하는 기계적인 마찰의 정도를 표시하는 계수
접지도선(Ground Wire) 회로의 일부 또는 기기의 외함등을 대지와 같은 전위로 유지하기 위해 땅속에 설치한 매설 도체와 접속을 위한 도선
접착절연레일(接着絶緣軌條, glued - insulation rail) 궤도구조상 취약 개소인 절연이음매를 강화하기 위하여 레일과 레일의 접합부 및 레일과 이음매간에 절연재를 삽입하여 강력한 접착제를 접착하여 열차 충격강도와 전기절연성을 충분히 갖게 한 레일을 말한다.
접촉정차장(接觸停車場, touch station) 2 이상의 선로가 집합하여 연락, 운수를 하는 연락(連絡)정차장의 하나로서 2 이상의 선로가 접촉한 지점에 공통하게 설치한 정차장을 말한다.
정거장내방(停車場內方, inside of station) 상하의 양 장내신호기 안쪽, 장내신호기가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의 안쪽을 말한다.
정거장외방(停車場外方, outside of station) 장내신호기의 외방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의 바깥쪽을 말한다.
정기수선방식(定期修繕方式, periodical repair system) 궤도보수 방식의 하나로 수시수선방식에 대응하는 것이다. 선구별로 보수주기를 정하여 그 해당 선구를 대단위 작업반이 대형장비로 집중작업하는 보수방식이다.
정기열차(定期列車, regular train) 처음부터 운전시각을 설정하여 년간을 통하여 매일 운전하는 열차를 말한다.
정보처리장치(Processing Cabinet, BTR)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중요한 부분인 정보처리장치로 지상의 선로조건, 선행열차의 운행정보등을 계산하여 차상으로 전송할 운행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정위(定位, normald(position)) 상시 개통되어 있는 방향을 포인트의 정위라 하며, 포인트가 어느 방향으로 정위인가는 대략 열차회수가 많은 중요한 방향이 정위이다.
정지신호(停止信號, danger signal, stop signal) 신호기는 그 진로에 장애물이 있다든지 전철기가 다른 방향으로 개통되어 있을때는 정지신호를 현시한다. 정지신호에 대한 운행조건은 "정차하라"이므로 열차는 정지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여야 한다.
정지정위식(停止定位式, normal danger system) 절대신호기로서 평상시 정지신호를 현시하고 필요시에 한하여 진행신호를 현시하는 신호기를 말한다. 여기서 절대신호기란 신호기가 정지신호를 현시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정지하여야 하는 신호기를 말한다.
정차장(停車場, station, depot) 여객의 승강, 화물의 적하, 열차의 조성, 차량의 입환, 열차의 교행 또는 대피를 위하여 상용하는 장소를 말한다. 정차장의 종류에는 역, 조차장, 신호장 등이 있다.
정차장 구내(停車場 構內, station yard) 정차장은 일정 범위가 있으며 상하의 양 장내신호기를 설치한 지점간의 구역 또는 그것이 없을 때는 정차장구역표간의 지역이 정차장 구내가 된다.
정차장 구역표(停車場 區域標, station boundary post) 신호기 및 보안기기를 생략한 보통정차장과 간이정차장에서 정차장의 구내와 정차장외와의 경계를 표시하며, 국철의 선로정비규칙에는 "정차장 경계표"라고 하고 있다.
정차장 설비(停車場 設備, facilities of station) 정차장 설비는 수송에 직접 관계가 있는 영업, 운전, 보수, 각 계통의 현장기관과 여객 및 화물설비에 필요한 제설비를 말한다.
정차장 중심표(停車場 中心標, station sign) 정차장의 중심 위치를 표시하는 선로제표를 말하며, 측량중심선에 제일 가까운 승강장의 옹벽에 백색바탕에 흑색문자로 쓴다. 국철에서는 하본선(下本線) 승강장 옹벽전면에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정척레일(定尺軌條, standard(length) rail) 우리 나라에서 레일의 표준길이는 25 m이지만 외국에서는 장대레일용, 또는 장척레일용으로서 36 m 또는 50 m의 레일도 제조하고 있다.
제동거리(制動距離, braking(or stopping) distance) 제동변 핸들을 제동위치에 이동시킨 때부터 정지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를 제동 거리라 하며, 공주(空走)거리와 실제동(實制動)거리를 합한 거리를 말한다.
제동거리(Braking Distance) 제동을 체결하는 운전대의 장치를 조작한 이후부터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
제륜자(Brake Shoe) 열차 제동을 위해 차륜의 답면에 접촉시켜 양자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는 부품
제어차(制御車, train control car) 전동열차에서 운전실을 가지고 기관사가 운전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제어기기가 장치된 차량을 말한다.
제동하중(制動荷重, braking load) 기관차나 차량이 선로에서 급정차 할 때에 생기는 선로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작용하는 종하중의 하나이다.
제한구배(制限勾配, ruling grade, tractive - capacity - determining grade) 제한구배는 기관차의 견인정수를 제한하는 구배로서 반드시 최급구배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제한속도(制限速度, ruling speed, restricted speed, limit speed) 열차운전 보안상 선로, 차량, 신호 등의 운전 제조건에 따라 열차운전속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을 때 운전조건에 알맞게 최고속도의 한계를 정한 것을 제한속도라 한다.
조가선(弔架線, suspension wire) 구성전차선(構成電車線)은 전차선, 조가선, 행거 및 드로퍼 등으로 구성된 가공전선(架空電線)을 말하며, 전차선을 드로퍼(dropper) 등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조가선에 매단다. 즉 조가선은 전차선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현수선(縣垂線)이라고도 한다.
조가선(Messenger Wire) Bz 65㎟ 나전선으로 전차선을 일정한 높이(레일면상 5.08m)로 유지하기 위해 전차선 상부에 가선되는 전선
조립크로싱(組立크로싱, bolted rigid, built - up(common) frog) 고정(固定)크로싱의 일종으로서 레일을 가공하여 볼트, 간격재 등으로 조립한 크로싱을 말한다.
조성선(組成線, organization line, train make - up track) 열차의 편성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선을 말한다. 유치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조성차의 유치선 및 해방차의 유치선외에도 1개만 긴 것(열차장에 여유를 가한 것)을 따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조성선군(組成線群, group of organization track) 열차를 조성하기 위한 선로의 군(群)을 말한다.
조차능력(操車能力, working capacity of yard) 조차장에서 1일간에 취급할 수 있는 차량수를 말한다.
조정시험(Adjustment Test) 시험선에서 성능시험 및 열차인수시험을 수행하기 전 한국환경조건에 적합하도록 각종기기 및 기능을 점검하고 각종 파라메타를 조정하는 시험
조차작업(操車作業, marshalling work) 조차장내에서 입환과 편성 등을 하는 작업을 말한다. 화차조차장의 작업은 그 조차장의 사명, 기능, 설비 등에 의하여 달라진다. 기본작업은 열차도착→분해·분별→조성→열차출발로 이루어진다.
조차선(操車線, sorting line(classification line) 화차를 행선지별로 분별하고 열차를 조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선로를 말하며, 분별선이라고도 한다.
조차장(操車場, shunting(or mashalling switching) yard) 정차장의 일종으로서 열차의 편성과 차량의 점검, 수리, 세차, 유치 및 입환만을 취급하는 장소를 말한다. 열차의 종류에 따라 객차조차장, 화차조차장 등이 있다.
조 크러셔(jaw crusher) 쇄석기(碎石機)의 일종이다. 2매의 조 플레이트(jaw plate)로 V자형의 파쇄부가 구성되고, 그중 1매는 고정되고 1매가 가동되면서 파쇄한다. 선로용 자갈채취에 많이 사용된다.
조체선(組替線, car arrangement track) 객차의 연결순서를 변경하거나 고장차를 빼내거나, 또는 객차의 증결과 해방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선로이다.
조합침목(組合枕木, composite tie) 철근콘크리트 침목 이외에 콘크리트 또는 목재와 철재 등의 이종(異種)의 재료를 조합하여 각 재료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든 침목을 조합침목, 합성침목, 또는 집성침목이라 한다.
종단곡선(縱斷曲線, vertical curve) 구배의 변경점에 설치하는 수직면 내의 곡선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종곡선(縱曲線)이라 한다.
종단역(終端驛, terminal station) 종단역은 선로의 종단에 있는 역을 말하며, 열차가 시발, 종착하는 열차 종단역과 기관차를 바꾸어 다는 기관차 종단역이 있고 배선에 따라 관통식과 두단식 종단역이 있다.
종단정차장(終端停車場, terminal station) 일반적으로 선로의 종단에 위치하는 정차장을 말하나 선로망(線路網)상의 위치는 종단이 아니라도 운수 운전 작업상 열차의 종단이 되는 정차장을 종단정차장이라고도 한다.
종렬(縱裂, vertical split head) 종렬이란 레일 길이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생기는 레일손상을 말한다.
종속신호기(從屬信號機, subsidiary signal) 주신호기가 현시하는 신호의 인식거리(認識距離)를 보충하기 위하여 그 외방에 설치하는 신호기로서 원방신호기, 중계신호기, 통과신호기가 있다.
종침목(縱枕木, longitudinal sleeper) 횡침목과 반대로 레일 방향과 나란히 부설하는 침목을 말하며, 탄갱(炭坑), 검사 피트와 같이 궤간내에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침목폭을 넓게 하여 보통 도상에 사용하는 나라도 있다.
종침목궤도(縱枕木軌道, longitudinal tie track) 종침목 궤도는 침목을 레일과 동일방향으로 사용한 궤도를 말한다. 특수한 게이지 타이에 의하여 궤간의 유지를 고려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종합안내 표시기(Integrated Display Indicator, IDI) 역사 외벽 및 대합실벽 상단에 설치하며 열차운행에 관련된 각종 정보, 홍보, 광고, 뉴스속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
좌굴(挫屈, buckling, sun kink) 장출(張出)과 같은 현상이지만 학술용어로 궤도의 역학적 연구에 이용된다.
좌굴강도(挫屈强度, buckling strength) 궤도의 좌굴현상에 대한 저항력을 허용되는 축압력으로 나타낸 것을 좌굴강도라고 한다.
좌굴방지판(挫屈防止板, bucking(or safty) cap(for increasing lateral) resistanse) 좌굴을 방지할 목적으로 도상횡저항력을 높이기 위하여 침목 저부에 설치하는판을 말한다.
좌굴저항(挫屈抵抗, resistance to buckling, resisting force against buck ling) 궤도의 좌굴에 저항하는 도상 횡저항력, 도상 종저항력 및 궤광강성의 총칭이다.
좌굴하중(挫屈荷重, bucking load) 온도상승에 의한 레일의 축압력(軸壓力)이 좌굴강도(좌굴저항력)보다 크면 급격한 줄틀림이 발생하여 궤도는 좌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궤도가 좌굴하려는 축압력을 좌굴축압력 또는 좌굴하중이라 한다.
좌분기기(左分岐器, left - head turnout) 분기선이 기준선의 좌측으로 굴곡하여 분기되는 분기기를 말한다.
주레일(主軌條, main rail) 분기기 기본레일의 후방에서 크로싱의 양측에 위치하고 가드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레일을 말한다.
주물크로싱(鑄物크로싱, molding crossing) 주조하여 만든 크로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고망간강을 주조하여 만든다. 망간 크로싱은 주강(鑄鋼)을 단일체(單一體)로 만든 것이다.
주변압기 (Main Transformer) 고속철도 차량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성하기 위한 스코트결선 변압기로 3상을 단상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설비
주변압기(Main Transformer) 전차선을 통해 차량으로 수전되는 고압의 교류전류를 차량내에서 제어가 가능한 저압의 교류전류로 변환하는 장치
주본선(主本線, principle main track) 정차장 내에 있어서 동일 방향의 열차를 운전하는 본선로가 2개 이상있을 경우에 그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본선을 말한다.
주신호기(主信號機, main signal) 일정한 방호 구역을 가지는 상치신호기를 말하며, 장내신호기, 출발신호기, 폐색신호기, 유도신호기, 엄호신호기, 입환신호기 등이 있다.
주약침목(注藥枕木, treated sleeper, treated tie) 목재를 방부처리(防腐處理)한 목침목을 말하며, 소재침목은 목재를 주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침목을 말한다.
주의신호(注意信號, caution signal) 열차는 주의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에는 다음 상치신호기에 정지신호 또는 경계 신호가 있을 것을 예측하고 그 현시지점을 지나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의 운전속도는 45 km/h(신호 5현시 구간은 65 km/h)를 넘을 수 없다.
주입침목(注入枕木, impregnated tie(or sleeper) 목침목의 중대한 결점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부처리로서 크레오소트유(油)를 가압주입(加壓注入)한 침목을 말한다. 주약침목과 같은 뜻이다.
주파수분할다중접속(Frequency Distribute Mutiplexer Access, FDMA) 주파수 스펙트럼을 여러구간으로 나누어 여러 이용자가 각기 주어진 주파수 대역을 겹치기 않게 사용하는 다중접속방식
주행선(走行線, running(or open) track) 선로의 건설이 완성되어 개통된 선로를 말한다.
주행저항(走行抵抗, running resistance) 열차가 주행할 때 그 운행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모든 저항을 총칭하여 말한다.
주행저항(Running Resistance) 차량이 평탄한 직선선로를 바람의 영향을 받지않는 상태에서 등속도로 주행할때 차량의 진행을 방해하는 저항
줄맞춤작업(方向整正作業, lining) 궤도는 직선부에 있어서는 똑바르고, 곡선부에서는 같은 반경의 곡율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 보수작업을 줄맞춤작업이라 한다.
줄틀림(方向틀림, irregularity in line, alignment defect) 레일측면의 길이방향의 불규칙, 즉 궤간선에 있어서의 레일 길이방향의 정위치에서 벗어난 틀림을 말하며, 방향틀림이라고 한다.
중간 배선반(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 IDF) 건물과 건물간 또는 건물내 층과 층 사이의 케이블 분배를 위한 단자대
중간건넘선(Intermediate Crossover, IC) 역과 역사이 구간에서 열차의 주행선로를 하행선에서 상행선으로 또는 그 반대로 바꾸기 위해 선로전환기를 설치한 곳
중간기계실(Intermediate Equipment Room, InEC) 선로의 폐색구간 중간에 설치되는 신호기계실로 자동열차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중간정차장(中間停車場, intermediate station) 정차장을 선로망상의 위치에 의하여 분류할 때 중간정차장은 양 종단정차장의 중간에 위치하는 정차장으로 대부분의 정차장이 여기에 속한다.
중계기지국 (Repeater Site, RS) 중앙제어센터와 이동 무선국 사이의 통신중계에 필요한 전파 송수신 설비를 갖춘 기지국으로 철도연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됨
중계레일(中繼레일, compromised rail) 레일종별이 다른 레일을 접속하기 위하여 1개의 레일의 양단을 다른 단면으로 제작한 레일을 말한다.
중계신호기(中繼信號機, repeating signal) 장내, 출발 및 폐색신호기에 종속하여 지형 또는 다른 이유로 신호현시를 열차 승무원이 인식할 수 없을 경우에 주신호기의 외방에 설치하여 그 신호현시를 중계한다.
중계이음매(中繼이음매, compromise joint) 이형(異形)이음매를 말한다.
중력입환(重力入換, gravity yard) 화차를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유전(流轉)시켜 그 중력을 이용하여 분해 작업을 하는 입환방식이다.
중력조차장(重力操車場, gravity shunting) 조차장 전체가 하구배 사면(斜面)에 있어 중력만으로 상방에서 화차를 전주(轉走)시켜 입환을 행하는 조차장이다.
중앙사령실 (Central Control Center) 서울~부산간 전체 전력 계통을 통합, 제어, 감시, 계측하는 시설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컴퓨터의 중추부분으로 입/출력 제어, 연산처리, 데이터 교환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
중위온도(中位溫度, middle temperature, mean of the annual maximum variation temperature) 장대레일 부설구간에 있어서 예상되는 최고 레일온도와 예상되는 최저 레일온도와의 중간치를 말한다.
증기기관차(蒸氣機關車, steam(engine) locomotive) 증기기관(증기의 팽창 및 응력을 이용하여 왕복운동을 일으켜 동력을 얻는 열기관)을 이용한 기관차를 말한다.
증기철도(蒸氣鐵道, steam railway) 철도를 기관차의 동력에 의하여 구별할 때 증기철도, 전기철도, 내연기철도 등이 있다. 증기철도는 증기기관차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을 견인하는 철도를 말한다.
지락시 유도위험전압(Short-circuit Induced Danger Voltage) 전력선의 지락고장시에 통신선에 발생하는 유도전압
지방열차(地方列車, local train) 지방선로 또는 지선에서 운행되는 열차를 말한다.
지방철도청경계표(地方鐵道廳境界標, regional railway division boundary post) 지방철도청 담당구역의 경계점에 건식하여 보수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제표이다. 담당 경계점의 선로 우측에 세운다.
지배구배(支配勾配, maximum resistance grade) 기존의 선로에서 동력차가 최대로 견인력을 필요로 하는 구배를 말한다. 제한구배와 일치한다.
지상신호방식(地上信號方式, way side signal)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지상에 건식된 신호기에 의하는 신호방식이다.
지선(支線, branch line) 철도망(鐵道網)상, 또는 철도 영업상 간선이나 본선에서 분기하여 주로 지방적교통에 제공되는 선로를 말한다.
지역사령실 (Regional Control Center) 중앙사령실의 하위 계층으로 중앙 사령실에서 할당하는 지역의 전력계통을 제어, 감시, 계측하는 시설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
지장물검지장치(Intrusion Detector) 선로를 횡단하는 고가차도 또는 낙석이 우려되는 비탈면에 설치되어 선로에 장애물이 떨어지는 것을 검지하여 열차가 장애물들과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
지접법(支接法, supported joint) 이음매를 침목 직상부에 두는 방식을 말한다.
지표철도(地表鐵道, surface railway) 철도를 시공기면의 위치에 의하여 분류하였을 때 고가철도, 지하철도에 대응하는 말로서 지상에 설치한 철도 즉 일반적인 철도를 말한다.
지하선(地下線, under ground line) 지하에 부설되어 있는 선로를 말한다.
지하역(地下驛, under ground station) 지하역에는 지평에 부설된 선로를 횡단하는 일반지하도와 홈을 연결하는 구내 지하통로를 조합하여 이 사이에 지하역사를 설치한 경우와 선로가 지하로 되어 있는 지하철도의 역이 있다.
지하철(地下鐵, subway, under ground railway) 노선의 대부분이 지하에 건설되어 있는 대량 수송기관으로서의 도시철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전기철도이다.
직결궤도(直結軌道, solid bed track) 넓은 의미로는 재래형 궤도구조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레일을 궤도지지체에 직접적으로 결합시킨 궤도로서 무도상 궤도나 무침목 궤도를 포함하며, 협의로는 레일을 체결장치만으로 궤도지지체에 직접 결합시키는 궤도를 의미한다.
직결도상(直結道床, solid track - bed) 레일을 도상에 직접 체결하는 도상을 말하며 재료의 수명연장, 보수작업량 경감 및 경제상의 이유로 개발되고 있다.
직통열차(直通列車, throush train) 중도에서 갈아탈 필요없이 통하는 열차, 또는 도중에서 정차하지 않고 목적지로 곧바로 가는 열차를 말한다.
진공 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중에서의 높은 절연내력과 아크 생성물의 진공 중으로 급속한 확산을 이용하여 소호하는 구조를 가진 차단기.
진로레버식(進路레버식, route lever system) 각 진로마다 한개씩의 정자를 설치하고 이것을 취급하여 그 진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진로정자식(進路挺子式)이라고도 한다.
진로선별식(進路選別式, route selection system) 진로의 입구에 설치한 진로정자와 도착점에 설치한 선별압구(push button)를 취급하여 하나의 진로를 선별설치하는 방법으로 많은 진로에 대하여도 정자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큰 역구내에 설치한다.
진로표시방식(進路標示方式, route signal system) 진로표시방식은 열차가 신호기의 방호구역내에 진입하는 것의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것으로 매 진로마다 신호기가 많아 불리하다.
진분분기기(振分分岐器, unsymmetrical split turnout) 직선궤도에서 좌 우 양측의 궤도를 부등각으로 나누어 벌어지게 한 분기기이며, 분개분기기(分開分岐器)라고도 한다. 양개분기기의 비대칭형이다.
진행신호(進行信號, proceed(or clear) signal) 열차 또는 차량은 진행신호의 현시가 있을 때는 그 현시지점을 넘어서 진행할 수 있다. 이것은 진행을 하라는 신호가 아니라 이 지점을 넘어 진행할 수 있다는 의지를 표시한다.
진행정위식(進行定位式, normal clean system) 평상시 신호기의 현시가 진행을 나타내는 방식을 말하며 주로 복선구간에서 사용하며, 단선구간은 정지정위식을 사용한다.
짐크로(jim - crow) 레일을 휘거나 휘어진 레일을 바로 잡는데 사용하는 레일 굴곡기(屈曲機)를 말한다. 즉 레일 횡방향의 버릇 고치기 또는 분기기의 조립용 레일 만들기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사식과 유압식의 2종류가 있다.
짧은 노스레일(短鼻端 軌條, short nose rail) 조립크로싱의 노스레일중에서 긴 노스레일에 접합되어 분기되어 나가는 짧은 것을 말한다.
'철도토목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12. 카,타 (0) | 2022.04.28 |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11. 차 (0) | 2022.04.26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8. 아 (0) | 2022.04.19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7. 사 (0) | 2022.04.16 |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6. 바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