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토목기사

철도토목기사 및 철도보선기사 대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용어정리 8. 아

롤라❤️ 2022. 4. 19. 12:55
반응형

8. 아

안전측 동작(Fail-safe) 시스템 또는 장비가 기능이 저하되어 기능상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
안전측선(安全側線, catching side, refuge siding, safety siding) 정차장내에서 2개 이상의 열차가 동시에 진입, 진출하는 경우, 과주하여 충돌등의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설하는 측선을 말한다. 안전측선의 종단에는 차막이를 설치하고 잘못으로 차량이 안전측선에 돌입하는 경우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자갈더미를 설치한다.
안전가드 레일(安全 護輪 軌條, safety guard rail) 탈선한 차량이 궤도외로 일주하여 전도 혹은 탈선에 따른 큰 사고를 막기 위해 본선 레일에 따라 주행토록 유도하기 위하여 부설한 레일이다. 탈선방지 가드레일과 다르다. 위험이 큰 측의 반대측 레일 궤간 내방에 부설한다.

안티크리파(anticreeper) 레일의 복진 방지 장치로 그 필요 조건은 ① 간단한 구조로 취급이 용이할 것.② 충분한 강도를 갖을 것. ③ 가격이 저렴할 것. ④ 어떠한 조건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 이다. 레일 앵카라고도 하며 PC 침목 구간에서는 원칙적으로 설치하지 않는다.
압상구배(押上勾配, ascending grade) 험푸 조차장에서 입환기관차로 화차를 압상시키기 위한 구배를 말한다. 입환기관차의 능력에 의하여 최장 편성의 1개 열차를 압상할 수 있는 정도의 구배라야 하며 보통 5 ~ 25‰ 정도로 한다.
양개분기기(兩開分岐器, double curve turnout, symmetrical turnout) 직선 궤도로 부터 좌우 양측에 등각으로 궤도가 벌어지는 형식의 분기기로서 주로 단선 구간의 역, 양단에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기준선과 분기선측의 선로 조건이 같은 경우에 적용한다.
양구스파나(兩口 - , double open spaner) 양쪽 스파나 참조.
양설표(量雪標, snow meter sign) 눈이 많이 내리는 지방에서 강설량과 적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건식하는 표지를 말한다.
양수표(量水標, water meter sign) 하천의 출수 상태(하천수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건식하는 표지를 말하며 보통은 교각에 표시한다.


양쪽 스파나(兩口 스파나, double end spaner) 양측에 서로 다른 크기의 입이 있어서 두 종류의 나사를 풀고 조일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파나를 말한다.
양턱 타이플레이트(兩側 - , double shouldered tie-plate) 레일 좌면의 양쪽으로 턱이 있어서 레일의 저항력이 크도록 되어 있는 타이플레이트를 말한다.
어복레일(魚腹레일, fish bellied rail) 물고기의 배 모양으로 중간이 불룩하도록 고안된 레일을 말한다. 레일의 양간 하부에 돌 또는 목침목을 설치하고 이를 볼트등으로 고정시키면서 레일의 중간부분 즉 침목과 침목사이를 강성이 크도록 볼록하게 만든 것으로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엄호신호기(掩護信號機, protection signal) 정차장 외에 있어서 방호를 요하는 지점을 통과하려는 열차에 대하여 그 신호기 내방으로 진입의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예: 개폐식 교량 등의 외방에 설치하는 신호기.
엔크로즈드 아크용접( - 鎔接, enclosed arc welding 전호 용접 참조, 온둘레 아크 용접이라고도 한다.
여객설비(旅客設備, passenger facilitres) 여객 수송에 필요한 즉 여객의 승강에 따른 설비와 여객에 부대되는 설비, 수소화물 및 우편물의 취급등에 관한 일체의 설비를 말한다. 여객 설비로는 역전광장, 역 본체, 승강장, 여객통로, 수소화물 설비 등이 있다.
여객통로(旅客通路, passage of passengers) ① 정거장 설비중 여객을 역본체와 승강장 상호간을 연결하는 곳으로 평면횡단, 과선교 지하도 등이 있다 ② 객차내에서 의자와 의자 사이의 여객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여객열차(旅客列車, passenger train) 여객을 수송하기 위한 목적의 열차를 말한다.
여행정보안내장치(Travel Information Sytem, TIS) 각종 여행 및 관광 등에 필요한 열차, 숙박시설, 연계 교통수단, 렌터카, 관광지 정보 및 기상정보 등을 제공하는 설비
역(驛, station) ①광의로는 정차장을 말하며 이는 열차를 도착, 발차시키는 장소로서 여객의 승강, 급유급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운수, 운전상의 모든 업무를 수행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한다. ②협의로는 정차장의 한 종류로서 열차를 정지시켜 여객 또는 화물을 취급하는 정차장을 말한다.
역무실(驛務室, station office) 역의 업무 및 사무를 처리하는 곳을 말한다.
역무자동화시스템(Automatic Fare Collection System, AFC System) 이용객의 편의증진, 각종 서비스제공, 승차권 판매의 효율 증대를 위해 승차권 예약, 발매, 개/집표, 여객안내, 여행정보안내, 각종 회계정산 및 통계자료 생산 등의 역무처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
역용기지국무전기(Base Station Equipment) 중앙제어쎈타, 열차, 선로변 유지보수자 등과 운전정보 교환이 가능토록 각 역에 설치되는 설비
역전광장(驛前廣場, station front, station plaza, station square) 정차장은 도시의 중심인 경우가 많아 역을 중심으로 도로가 사방으로 통하여 역본체의 전면은 항상 여객과 차량의 집산이 심하므로 역세에 적합한 광장을 설치해서 자동차의 주차 및 타 교통기관과의 연락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장소, 역광장 설치시 고려사항은 1) 면적은 설치역의 승강인원과 광장에 출입하는 차량수 또는 승강인원에 의해 결정해야 하며 전철역과 일반역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2) 차량의 혼잡을 적게하기 위해 차도는 일반통행으로 할것. 3) 주차장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4) 보행자와 차량이 서로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역 정보전송장치(Front End Processing for Operating Level, FEPOL) 연동장치의 일부분으로서 현장의 모든 신호정보 및 열차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중앙통제센타로 전송하고, 반대로 중앙통제센타의 모든 제어명령을 현장 신호장치로 전송하여 주는 장치
역 조작반(Local Control Pannel, LCP) 연동장치의 일부분으로서 각 역의 운전취급실에 설치하여 해당역의 신호기, 선로전환기 등을 감시 및 제어하고 CTC 고장시 역에서 열차운영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연동기계실(Interlocking Equipment Room, IEC) 선로가 분기되는곳에 설치되는 신호기계실로 연동장치와 자동열차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연동도표(聯動圖表, interlocking sheet) 정차장 구내의 열차운전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모든 보안 장치가 서로 연쇄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동장치가 어떠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지를 일목 요연하게 알 수 있도록 도표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연동장치(聯動裝置, interlocking installation) 신호기 보안장치 (전철기 등)를 상호 연쇄하여 열차 운행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연동장치(Interlocking System, IXL) 선로가 분기되는 역이나 건넘선 등에서 안전한 열차운행을 확보토록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을 상호연동시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취급자의 실수시에도 열차를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
연동전철기(聯動轉撤器, interlocked points) 전철기가 타 장치와 상호 관련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 전철기.
연락정차장(連絡停車場, junction station) 2 이상의 선로가 집합하여 연락 수송을 하는 정차장으로 일반 연락 정차장, 분기 정차장, 접촉정차장, 교차정차장이 있다.
연선전화기(Wayside Telecommunication Box, WTB) 고속철도 선로연변에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설치되는 전화기
연속식 이음매판(連續式 繼目板, continuous splice plate) 이음매판의 하부 플랜지를 아래쪽으로 180° 구부려 레일의 저면까지 싸서 강성을 크게하고 타이플레이트 역할까지 겸한 형식이다. 연속식 이음매판은 효과적인 것이나 고가이므로 절연이음매에 일부 사용하고 있다.
연속정보(Continuous Information) 궤도회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차상에 전송되는 정보로서 여기에는 목표속도, 목표거리, 선로의 구배 등이 포함된다.
연속주조법(連續鑄造法, continuous casting) 연속 주조법은 제강법의 일종으로 용강을 주입하면서 연속적으로 웅고하여 장대한 주조강편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특징은 생산성이 향상되고 품질면에서도 표면성의 향상, 파이프 결함, 편석 결함 등이 적어 우수하다.
열차도착 안내게시기(Arrival Indicator, AI) 열차의 도착, 도착예고, 도착지연, 열차편성안내, 중간정차역, 비상경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로 대합실 등에 설치함
열차동요(列車 動搖, vibration) 열차 진동 참조.
열차 동요검사(列車動搖 檢査) 열차진동 검사 참조.
열차무선시스템(Train Radio System, TRS) 운행중인 열차와 지상 또는 열차상호간에 통화 및 운전정보 교환을 위하여 설치하는 무선통신시스템
열차방호(列車防護, train protection) ① 열차운행중 열차사고, 선로사고, 강풍 또는 농무(濃霧)로 인하여 전도운행이 비정상일 경우 안전확보를 위하여 취하는 조치를 말하며 열차 방호조치 방법에는 신호염과, 뇌관, 수신호로 하는 방법과 단락용 동선 또는 무선전화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음. ② 정거장 외의 선로에서 열차가 정차한 경우 및 선로 또는 전차선로에 열차의 정차를 요하는 사고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진행하여 오는 열차의 정차를 요하는 사고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진행하여 오는 열차를 정차시키기 위한 조치를 말한다. [운전취급 수정].
열차상간(列車相間, time between trains) 열차 운전의 시간적 사이를 말한다. 보선작업의 대부분은 선로상에서 시행하고 열차 통과시에는 작업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실동시간은 열차 운전의 사이로 한정된다. 열차 상간에 따라 작업능력이 현저히 달라진다.
열차서행(列車徐行, slowing down of train) 재해, 선로의 고장, 선로 보수작업을 이유로 장소, 구간을 통과하는 열차의 속도를 일시적으로 정규속도 보다 저하하여 운전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속도(列車速度, train speed) 열차가 운행되는 속도로서 평균속도, 표정속도, 최고속도, 균형속도로 구분한다.
열차운전 집중제어 장치(列車運轉 集中制御 裝置, central traflic control system) 수십개의 역에 대하여 열차의 운전에 필요한 신호보안 장치를 1 개 장소에서 집중하여 제어, 감시, 분석하는 장치.
열차인수시험(Acceptance Test) 공단이 열차를 인수하기 위한 최종시험단계로서 열차의 성능이 계약요건에 적합한지 시험선에서 계약자가 검증하는 시험이며 정적(정지)상태와 동적(주행)상태로 나누어 시행
열차저항(列車抵抗, train resistance) 주행하는 열차의 주행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으로 기관차 내부의 기계 마찰에 의한 것과 구배 곡선과 같은 선로상태에 의한 것이 있음.
열차접근 경보기(列車接近 警報器) 보선작업시 측정용 기계장비의 일종 선로에서 작업시 열차 접근을 탐지하여 경보를 발함으로서 작업원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장비로 유선식, 신호 회로식, TB회로식, 무선식의 4종류로 대별된다. 열차를 탐지하는 방법에는 레일의 진동, 음향변위를 이용하는 방법, 열차 통과를 자력선으로 탐지하는 방법 등이 쓰여지고 있다.
열차접근 표시등(列車接近 表示燈, approach indicating lamp) 열차가 역구내 접근하는 것을 알리기 위해 설치된 등
열차정지 목표(列車停止 目標) 주행하는 열차의 정지위치를 지시하는 표시로 기관사석 중아과 정지 목표가 합치되도록 한다.
열차제어장치(Train Control System, TCS) 자동열차제어장치(ATC), 연동장치(IXL), 열차집중제어장치(CTC) 및 안전설비로 구성되며 안전한 열차 운행 및 제어기능을 확보해 주는 설비
열차진동(列車振動, vibration) 열차 주행시 궤도틀림, 차량의 구조등에 따라 차량에 생기는 진동 가속도를 말한다.
열차진동 검사(列車振動 檢査, inspection of train vibration) 열차진동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집중제어장치(Centralized Traffic Control System, CTC) 서울∼부산간 전구간의 열차운행상황을 중앙센터(남서울역)에서 집중감시하고 컴퓨터에 입력된 열차운행계획에 따라 열차운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열차출발안내게시기(Departure Indicator, DI) 대합실에 설치하여, 열차의 출발, 출발예고, 출발지연, 비상경보 등을 표시하는 장치
열차하중(列車荷重, train load) 선로에 영향을 미치는 열차의 하중을 말한다.
열차행선 안내게시기(Train Destination Indicator, TDI) 승강장에 설치되어 열차의 접근신호, 도착예고, 출발예고, 도착지연 등의 내용을 표시하는 장치
열처리 레일(熱處理 軌條, heat-treated rail) 레일은 고탄소강으로 되어 있어 열차의 반복 통과에 따라 마모되는데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레일의 일정 부위를 열처리하여 경도를 높인 레일을 말한다. 그종류는 두부 열처리 레일, 단부 열처리 레일이 있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 퀘엔칭 템퍼링식과 스라크 퀘엔칭식이 있다.
영업선(營業線, line open to traffic) 영업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선로를 말한다.
영업키로(營業키로, service kilometers) 운수영업을 표시한 구간거리로서 수송량과 운임 계산의 기초가 된다.
예비 방부처리 목침목에서 목재를 건조시 충해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재 직후에 예비적으로 방부제를 도포 혹은 침지하는 것을 말한다.
완목식 신호기(腕木式 信號機, arm signal, semaphore signal) 기계식 신호기로서 완목의 위치에 의하여 열차의 운전조건을 지시하는 기계기구를 말한다.
완충기(Draft Gear) 열차출발, 정지 및 주행중 가감속시 차량에는 가속도가 발생하게되고 이로인해 승객의 승차감에 영향을 주게된다. 이러한 가속도를 흡수하여 양호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장치
완충레일(緩衝軌條, bufler rail, expansion adjusting rail) 장대레일 끝부분의 신축을 보통 이음매의 유간 변화로 처리하기 위해 장대레일 끝부분이 연속해서 부설한 25 m 이내의 레일을 말한다.
완화곡선(緩和 曲線, transition curve) 열차가 직선에서 곡선으로 진입할 때 곡선반경이 무한대에서 일정치로 급히 변화가 되므로 열차가 진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직선과 원곡선 사이에 곡율이 변화하는 곡선을 넣어 캔트 및 스랙, 곡율을 서서히 변화하게 하는데 이 곡선을 완화곡선이라 한다. 완화곡선의 형상은 3차 포물선, 사인 반파장 완화곡선 등이 있다.
완화곡선장(緩和 曲線長, length of transition curve) 완화곡선 시점부터 종점까지의 거리.
외궤(外軌, outer rail) 곡선 구간에서 궤도 중심방향 반대측 레일을 말한다.
외방분기기(外方分期器, hand turnout with contra flexional curve) 곡선 궤도로부터 외측(원중심의 반대편) 으로 분기하는 것으로 본선의 곡선 반경 300 m 이상에서 적용한다. 이 분기기의 포인트 및 크로싱에는 소요의 곡선이 사용된다.
외쪽스파나(片口 스파나, single end spanner) 한쪽에만 입이 있어 그 입의 크기에 맞는 나사를 풀고 조이는데 사용하는 공구를 말한다.
외턱 타이플레이트(片側 - , single shoulder tie-plate) 레일과 목침목 사이에 설치하여 목침목의 파임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플레이트중 한쪽에만 턱이 있어서 레일 저면의 크기가 약간 다른 레일이라도 체결이 가능토록한 타이플레이트를 말한다.
용접레일 궤도(鎔接軌條 軌道, welded rail track) 레일을 연속 용접하여 정척보다 길게하여 사용한 궤도로서 장척 레일궤도와 장대레일 궤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장대레일 궤도를 일컫는다.
용접이음매(鎔接이음매, welded joint) 레일을 연속 용접하여 기계적인 이음매를 없게한 이음 방식으로 이 방법에는 후레쉬 버트 용접, 가스압접, 엔크로즈드 아크 용접, 테르미트 용접 등이 있다.
용접크로싱(鎔接 - , welded crossing) 용접으로 일체화한 크로싱을 말한다. 초기의 고속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수명과 가격면에서 불리하므로 실용화 되지 못했다.
용지경계표(用地境界表, right of way boundary post) 철도 용지의 경계를 표시하고 관리하도록 하며 경계선이 직선 일때는 40 m 이내의 거리마다 세운다.
우두레일(牛頭軌條, bull head rail) 저부에 비하여 두부를 크게하여 마모에 대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압연이 용이하지만 레일 횡방향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운반작업(運搬作業, transportation work) 궤도재료와 발생토사 등을 적재, 운반, 정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보선작업에 있어서 궤도재료와 사용기구가 중량물이어서 운반이 어려웠으나 기계화가 되면서 고성능의 운반용 기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운영속도(Schedule Speed) 열차기점에서 종점까지의 거리를 중간역 정차시간을 포함한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주행시간으로 나눈 평균속도
운전간이역(運轉簡易驛, general station without block system) 보통역과 같이 여객 또는 화물을 취급하고 운전취급은 하지 않는 역으로 역장이 배치된다. 예: 남영, 관악, 동인천, 초강, 임피 등
운전감시장치(VACMA System)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기관사의 신체적인 상황을 확인하여 안전운행 여부를 판단 경보음을 울려주고 경보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급전회로를 차단하여 비상제동을 체결하는 장치
운전보안장치(運轉保安裝置, safety facilities) 폐색장치, 신호장치, 연동장치, 전철장치, 제동장치, 건널목 경보장치(차단기를 포함한다) 및 운전용, 통신장치 등을 말한다.
운전사고(運轉事故, railrod accident) 열차 또는 차량의 운전에 의해서 자산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1. 열차사고 : 열차충돌, 열차탈선, 열차접촉, 열차 화재 2. 건널목사고로 구분한다[철도운전 사고 및 운전 장애보고 처리규정].
운전선도(運轉線圖, run curve) 열차의 운전상태, 운전속도, 운전시분, 주행거리, 전기소비량 등의 상호관계를 열차운행에 수반하여 변화는 상태를 역학적으로 도시한 것을 말한다.
운전설비(運轉設備, operation facilities) 열차운전에 필요한 설비로서 선로, 정차장, 운전보안 설비 등을 말한다.
운전속도(運轉速度, running speed) 열차가 운전하는 속도를 말한다. 열차속도 라고도 한다.
운전시격(運轉時隔, headway, train interval) 열차와 열차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의미한다.
운전장애(運轉障碍, slight(minor) accident, train operating obstruction) 열차 또는 차량운전에 지장을 준 것중에서 운전사고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서 차량탈선, 차량파손, 차량화재, 열차분리, 송전고장, 차량일주, 이선진입, 폐색취급 위반, 신호취급 위반, 위규운전 정지위치실당, 열차방해, 선로장애, 선로파손, 보안장치 고장, 차량고장, 열차퇴행, 열차지연, 화붕, 열차정지, 등이 있다.
운전정비중량(Weight in Working Order) 승무원이 승차하고 연료, 물, 모래, 공구류 등 운전상 필요한 기구, 물자를 적재하여 운전가능하게 정비된 차량의 중량
원격단말장치(Remote Terminal Unit) SCADA System 중앙사령실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현장기기의 정보수집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원곡선(圓曲線) 철도 곡선을 형상으로 분류할 때의 한 종류로서 하나의 중심에 대하여 거리가 같은 점들의 모임을 말한다.
원방신호기(遠方 信號機, distance signal, distant advance signal) 장내신호기의 투시거리가 짧을 경우 장내 신호 상당거리 외방에 설치하여 장내신호기의 현시 상태를 예고해 주는 신호기.
원심력(遠心力, centrifugal force) 차량이 곡선을 통과할 때 곡선외방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차량중량과 원심력의 합력이 차량중심에 작용한다고 생각하면 좋으며 그 방향은 열차속도가 균형속도보다 높으면 궤도 중심에서 외측으로, 속도가 낮으면 궤도 중심에서 내측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원심하중(遠心荷重, centrifugal load) 곡선궤도를 갖는 철도교에 있어서 주행하는 열차의 원심력에 의한 하중을 말한다.
원형 차고(圓形 車庫, round engine shed) 기관차, 전차 및 동차 등의 동력차의 검사, 수신 및 수용을 하기 위하여 설치한 차고의 하나로서 원형(圓形)중심부의 전차대(轉車台,turn table)를 경유하여 1선 1량씩 수용하는 것으로 실제는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부채꼴이 많다.
웨버 이음매판(웨버 이음매板, weber splice plate) 레일 이음매의 한 종류인 웨버이음매판은 궤간 외측의 레일측면에 목괴(木塊)를 삽입하여 진동을 완화시키고, 이음매판 볼트의 이완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웨이티드 포인트(錘倂轉轍器, weighted point, switch stand with weight) 웨이티드 포인트는 가장 간단한 수동식 전철기로서 전환레버에 붙은 원판형(圓板形) 추(錘)의 무게로 첨단레일을 기본레일에 밀착시키는 역활을 한다. 전철기와 전철기 상호간의 연동은 안되며 자체 전철기만을 전환한다.
윙레일(翼軌條, wing rail) 분기기의 크로싱(crossing)에서 노스레일 외측의 X자형의 레일을 말한다. 차륜은 윙레일에서 결선부를 거쳐 노스레일로 옮겨 탄다.
유간(遊間, joint gap, joint clearance) 레일은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신축(伸縮)한다. 이 온도신축을 처리하기 위하여 이음매부의 레일 상호간에 두는 틈을 유간이라 한다. 레일이음매 유간은 레일온도 변화의 범위, 레일강의 선팽창계수 및 레일길이에 의하여 계산하여 설정한다.
유간검사(遊間檢査, inspection for joint gaps, rail joint rectifier) 유간의 상태에 대하여 과대 유간의 유무, 맹유간의 연속상태, 평균 유간의 상태를 적어도 여름과 겨울 이전에 년2회 실시한다. 더욱이 복진이 심한 개소 등 요주의 구간은 검사회수를 증가하여 관찰할 필요가 있다.
유간정정(遊間整正, adjustment of joint gap) 유간정정은 부설된 레일을 순차로 이동시켜 좋지 않은 유간을 적정한 유간으로 정정하는 작업으로 준비작업, 본작업, 뒷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레일작업과 이음매부 작업은 혹서(酷署), 혹한(酷寒)은 피하여야 한다.
유간 정정기(遊間 整正機, rail joint expander) 레일의 유간정정 작업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사식, 충격식, 유압식의 3종류가 있다.
유도대책 (Induction Protection) 유도전압 예측계산결과 통신선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유도상 궤도(有道床 軌道, ballast track) 궤도는 일반적으로 레일, 침목, 레일 체결장치, 도상(道床), 기타의 궤도 재료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콘크리트 도상궤도 등도 사용되고 있지만, 전통적인 유도상 궤도에서는 도상의 재료로서 자갈을 이용한다.
유도신호(誘導信號, calling-on signal) 열차회수가 많은 정차장에 선착한 열차가 아직 정차중일 때, 후속열차를 장내신호기를 넘어서 정차장내로 진입시킬 경우에 장내신호기와 동일 기둥의 주신호기 아래 부분에 설치한다.
유도잡음전압(Induced Noise Voltage) 전력유도에 의해 통신회선에 발생하는 잡음전압
유도전압예측계산(Induced -Voltage Eastimating Calculation) 전력선에 의해 타 통신선에 발생하게 되는 유도전압을 예측하여 계산하는 일련의 작업
유입차단기 (Oil Circuit Breaker) 절연유 중에 소호실을 가지며 소전류 영역에서 피스톤에 의해 유류를 뿜어서 소호시키고 대전류 영역에서는 아크에 의해 가스를 뿜어서 소호시키는 차단기
유절연 궤도회로(Insulated Joint, JIS) 궤도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의 하나로 레일을 절단하고 절연체를 삽입하여 인접궤도회로와 분리되도록 전자기적으로 회로를 구성한다
유치선(留置線, hold track, storage(or pool) track) 유치선은 측선의 일종으로서 차량을 일시 유치하는 선로를 말하며, 객차 유치선, 화차 유치선, 기관차 유치선, 전차 유치선, 보선장비 유치선 등이 있다.
유치시간(留置時間, storage(pool) time) 열차가 차량기지에 들어가서 출발할 때 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개괄적인 차량기지 계획에는 전열차 또는 열차의 평균유치시간을 예상하여 시간을 결정한다.
유효장(有效長, effective length of track) 차량을 정지시키는 선로, 또는 차량을 유치하는 선로에 있어서 인접 선로에 지장을 주지 않고 열차 또는 차량을 정지, 유치할 수 있는 길이를 말한다. 보통 차량접촉한계표 상호간의 거리를 말하지만, 출발신호기가 설치된 선로에서는 출발신호기까지의 길이로 한다.
윤연로(輪緣路, frange way) 철도차량은 차륜의 플렌지가 레일두부 측면에 접촉되어 유도(가이드)되므로 크로싱, 가드레일 등에서는 이 플렌지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윤연로가 필요하며 고정 크로싱에서는 궤간선에 결선부를 두므로서 윤연로가 확보된다.
윤연로 깊이(輪緣路深, flangeway depth) 차륜의 플렌지(輪緣) 높이란 레일두부와 차륜이 접하는 면(面)인 답면(踏面)에서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차륜의 턱의 크기를 말하며 이를 고려하여 윤연로 깊이를 확보한다.
윤연로 폭(輪緣路 幅, flangeway width) 윤연로폭은 본선 레일의 궤간선과 가드레일 측면과의 거리를 말하며 윤연로를 통과하는 모든 차륜의 플렌지 두께와 차륜의 내면 및 플렌지 외면거리와 궤간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윤중(輪重, wheel load) 차륜에 의하여 궤도에 가해지는 수직의 힘을 말하며, 정지시의 압력(축중의 1/2 크기)외에 주행시에는 곡선 통과시의 전향 횡압 및 불균형 원심력이나 차량동요의 관성력 등에 의하여 좌우의 윤중차가 생긴다.
응급복구(應急復舊, emergency rehabilitation) 재해 등으로 선로침수, 교대 및 교각의 세굴, 전도, 둑 붕괴, 유실 등을 임시로 가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를 서행 운전시키며 본복구를 한다.
응급 이음매판(應急 이음매板, emergency joint bar) 레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응급이음매판을 임시로 설치하고 열차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서행으로 통과시켜 손상레일을 갱환한다.
이격도(Separating-Distance Diagram) 통신선과 전력선간의 이격거리를 나타낸 도표
이론 교차점(理論 交叉點, theorelical(mathematical) point)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두 궤간선의 교점(交點)을 말하며 크로싱 교점이라고도 한다. 포인트부에서는 기본레일의 궤간선과 텅레일의 궤간선의 교점을 말한다.
이선진입(異線進入, running in the wrong track) 열차 또는 차량이 진입할 정당한 선로로 가지 않고 장애, 기타 조건으로 다른 방향의 선로로 진입하는 것, 즉 분기기 등에서 진행방향의 선로로 진행하지 않고 다른 선로로 진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음매 구멍(joint(or splice) drilling, track bolt hole) 이음매판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 구멍을 말하며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을 극도로 구속하지 않도록 볼트와 구멍간에 약간 여유를 둔다.
이음매 부속품(이음매 附屬品, rail joint accessories) 보통의 이음매에서는 한쌍의 이음매판을 측면에 붙여서 볼트, 너트, 록크 너트 와셔(lock nut washer) 등으로 긴체한다. 여기서 볼트, 너트, 록크 너트 와셔 등을 이음매 부속품이라 한다.
이음매작업(이음매作業, rail joint work) 이음매판 볼트의 기름치기, 이음매판과 부속품의 재료 갱환 등을 말하며 연1회 이상 해체 점검하여야 한다.
이음매처짐(rail batter in joint) 레일단부의 이음매가 차륜 충격 등에 의하여 영구변형을 일으켜 이음매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음매침목(이음매枕木, joint tie) 레일이음매 부분에 사용하는 침목을 말하며 목침목을 사용한다. 이음매침목은 이음매부의 차량충격 등 큰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보통침목보다 폭이 약간 크다.
이음매판(이음매板, fish plate, joint bar, splice bar) 레일과 레일을 접속하는 판을 이음매판이라 한다. 이음매판을 대별하면 보통 이음매판, 이형이음매판, 절연이음매판의 3종류가 있으며, 보통이음매판은 단면형상에 따라 단책형(短冊形), L형, I형으로 분류된다.
이음매판 갱환(이음매板 更換, joint-bar renewal) 이음매판이 균열되었을 때, 또는 마모, 부식, 손상 등이 심한 때에는 이음매판을 갱환한다.
이음매판 너트(이음매板 너트, fish plate nut) 이음매판과 레일을 적당한 힘으로 긴체하기 위하여 이음매판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다. 너트의 재질은 볼트보다 약간 연질의 것이 좋다.
이음매판 볼트(이음매板 볼트, fish plate bolt, track bolt, joint bolt) 이음매판을 긴체하기 위한 볼트는 두부를 구형(球形) 또는 4각형으로 한다.
이정(移程, shift) 완화곡선을 부설할 때 원곡선의 양 접선을 곡선의 양쪽으로 이설하는 것을 말한다.
이종레일 이음매(異種軌條이음매, cranked splice, step joint) 단면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레일을 연결할 때 중계레일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중계레일을 본선에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는 10 m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형 이음매판(異形 이음매板, cranked splice plate, step joint bar) 단면 형상이 다른 두 레일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높이가 다른 레일의 두부면을 같은 높이로 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단차를 붙인다.
인류구간(Tension Length) 전차선 지지점에서 맞은편 전차선 지지점까지의 거리
인상선(引上線, draw out track, drill track) 입환선을 사용하여 차량입환을 하였을 때 이들 차량을 인상하기 위한 측선을 말하며 인출선(引出線)이라고도 한다.
일반궤도(一般軌道, ordinary track) 일반적으로 궤도는 흙노반위에 레일과 침목을 레일체결장치로 조립한 궤광과 도상자갈로 부설된 것이다.
일중탄성체결(一重彈性締結, single elastic fastening) 레일을 침목에 탄성적으로 체결하는 경우에 있어 단순히 레일저부를 위에서 스프링으로 누르는 것을 일중탄성체결이라 한다.
임시선(假線, temporary line) 선로하에 횡단 구조물 등을 시공할 때 개삭공법의 하나로 가선공법(假線工法)이 있다. 이것은 임시선(가선)을 부설하여 열차를 우회 운전하고, 사선부(死線部)를 개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이다.
임시신호기(臨時信號機, temporary signal) 임시신호기는 선로가 고장 또는 다른 이유로 열차가 평상시대로 운전을 할 수 없을 경우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행예고 신호기, 서행 신호기, 서행해제 신호기 등이 있으며 주간에는 색체로 표시하고 야간에는 등으로 표시한다.
임시열차(臨時列車, special train, extra train) 운전기간에 따른 열차의 종별에는 정기열차, 부정기 열차, 임시열차가 있다. 임시열차는 필요할 때마다 열차의 운전시각을 만들어 임시로 운전하는 열차를 말하며 시운전 열차, 공사 열차 등이 있다.
임항철도(臨港鐵道, harbour railway)  철도의 간선(幹線)에서 분기하여 항만에 이르는, 수륙연락(水陸連絡)의 목적을 갖는 철도를 임항철도 또는 임항선이라 하며, 항만에 설치한 역을 특히 임항역(임항 여객역, 임항 화물역)이라고 한다.
입사각(入射角, incident angle, switch angle) 입사각은 포인트 전단부에 있어서 기본레일과 텅레일 선단의 궤간선에 생기는 각도를 말한다.
입체교차(立體交叉, grade separated crossing) 철도에 있어서 입체교차는 철도와 도로의 입체교차와 철도 상호간의 입체교차로 대별되며, 어느 경우에도 평면교차보다 바람직하다.
입/출력 장치(Input/Output Cabinet, BES)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일부분으로 정보처리장치에서 만들어진 열차운행 정보를 궤도회로를 통하여 차상에 전송하는 장치
입환(入換, shunting) 입환작업을 단지 입환이라고만 칭하고 있으며 열차의 조성, 차량의 해결, 전선 등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기계력에 의하는 것(기관차 사용), 자연력에 의하는 것(험프구배에 의한 전선), 인력에 의한 것(수압입환작업) 등이 있다.
입환선(入換線, shunting track) 열차를 조성하거나 해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입환작업을 하는 측선으로 수개의 선로가 병행하여 부설된다. 입환선에는 화차입환선과 객차입환선이 있다.
입환신호기(入換信號機, shunting(or switching) signal) 입환신호기는 입환을 필요로 하는 열차에 대하여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