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강.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
<목차>
1.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
2. 가족상담의 중간 단계
3. 가족상담의 종결 단계
1.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
1.1 인테이크 상담
: 가족상담을 시작하기 전에 내담자의 신상 및 가족력, 히스토리를 통하여 방문동기, 문제 및 욕구를 파악 하는 과정
※ 인테이크 상담 중에 점검해야 할 내용
① 내담자가 가족상담을 하러 오게 된 과정에 대해 알아 봄
-> 가능한 많은 정보 수집(예: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② 가족의 최근 변화와 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 봄
(예: 문제가 새로운 갈등 발생시키는 상황인지 지속되어 온 문제인지 파악)
③ 상담 경험에 대한 유무 파악 (어떤 상담이 효과적이었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
④ 가족에 대한 정보 파악 (예: 생년월일, 교육수준, 직업, 거주지 등)
⑤ 1회기 상담에 참여할 사람, 약속 일시 등 향후 상담스케줄 계획을 위해 기본 정보 수집. 첫 회기에 가족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
※ 상담 시작 전 서약서 양식의 예
서 약 서
1. 나는 상담 기간 동안 성실하게 상담에 참여할 것을 다짐합니다.
2. 상담 기간 동안에는 현재 있는 문제행동을 가능한 하지 않을 것입니다.
3. 상담 및 치료 기간 동안에 제시된 과제나 숙제는 꼭 합니다.
4. 상담(치료)가와의 약속을 지키며 나 자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5. 의뢰된 기관이나, 같이 참여한 가족 또는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합니다.
_____년______월_______일
I. P(보호자)_____________________ 서명
1.2 관계 형성
첫 회기 상담 결과
: 다음 회기 상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 하는 데 중요한 영향 미침 → 상담 첫 5분이 특히 중요
※ 가족상담자의 역할
① 초기 면담 시, 가족상담 및 치료가 어떤 과정을 거치고, 어떤 목적을 갖는지 설명해 줌으로써, 가족이 갖는 두려움을 없애고 안심시키는 것이 중요
② 상담에 참여한 가족원에 대해 지지
③ 상담자는 가족과의 라포(rapport)를 형성,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에 관심 기울이며, 가족원이 자신의 문제를 노출하도록 격려, 질문과 요약 통해 상담진행
④ 가족과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해 현재의 가족구조와 상호작용 수용/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특성과 장점, 잠재력 파악하고 지지
⑤ 경우에 따라 내담자 가족이 사용하는 언어나 표현, 가족 대화의 고저와 빠르기를 따라하는 등 가족의 일원인 것처럼 행동하기도 함
⑥ 상담자가 내담자의 진술을 요약하면, 내담자는 자신의 말 & 심정을 간단명료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
⑦ 상담자가 상담 분위기를 긍정적, 희망적으로 조성하면 가족원들은 상담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하게 됨 → 상담의 성과 높임
※ 관계 형성 촉진 행동
→ 수용과 지지, 안전한 환경조정, 개방, 전문성, 온정, 신뢰감, 자기개방 등
* 상담 회기 정리, 평가 시 유용한 개입 반응들
- “이번 시간에 다른 사람들이 말한 내용 중에서 여러분 자신의 고민이나 문제와 비슷한 부분이 있었나요?”
- “오늘 상담을 끝내기 전에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 “이번 만남을 통해 여러분이 기대했던 것을 얻었습니까?”
- “ㅇㅇ씨는 이번 시간에 별로 말이 없었던 것 같군요, 이번 시간이 ㅇㅇ씨에게는 어땠는지 말씀해 주시겠어요?
1.3 가족문제의 명료화
- 첫 면접에서 상담자는 가족과 어떤 문제를 다룰지 협상해야 함
- 상담자는 가족구성원들이 언급하는 문제에 대해 들으면서 동시에 언급되지 않은 문제도 무엇인지 관찰해야 함
- 첫 상담 회기의 초반 or 중반에 가족이 원하는 것을 파악하도록 함
- 가족의 호소문제, 상담에서 얻고자 하는 것, 가족원의 성격, 가족분위기 파악과 변화에 대한 동기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상담을 이끌어야 함
=> 문제의 명료화는 가족이 자신들의 문제에 어떻게 개입되어 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함
※ 가족 문제의 명료화를 위한 정보 탐색
① 가족이 생각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② 문제가 있다고 말한 사람은 누구인가?
③ 가족은 문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④ 문제에 관여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인가?
⑤ 문제가 일어나지 않았던 때는 언제인가?
⑥ 문제가 발생될 때와 발생되지 안았을 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⑦ 사정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⑧ 지금 상황에 영향을 주는 기타 요인은 무엇인가?
1.4 상담과정의 구조화
목적 : 성공적인 가족상담이 될 수 있게 준비하고 안내하는 것
→ 1회 상담은 몇 분간 실시하는지, 상담시간에 오지 못할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상담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명확히 하는 것
·상담과정의 구조화 - 준비모임이나 첫 번째 상담모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되나 대개의 경우 상담의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짐
·But 상담 초기에 바람직한 행동패턴을 학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담 초기의 상담과정의 구조화는 각별한 의미와 중요성 지님
·상담자는 해당 상담에 적절할 정도로 구조화를 해야 함
(지나친 구조화 → 자율성 침해, 경직, 의존적 ↔ 적게 개입 → 혼란, 비생산적 상호작용)
※순조로운 상담 진행과 안정된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지켜야 할 기본 행동 규준
① 가족상담에 불참하게 된 경우, 사전에 상담자는 물론 가족원의 양해를 구함
② 상담 회기 중 분위기를 산만하게 할 가능성이 있는 음료수나 담배 혹은 음식 섭취를 금함
③ 상담 과정 중 다른 가족원에게 행동을 강요해서는 안되며, 폭력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도록 유의함
④ 상담에서 일어난 일이나 경험한 내용에 대해 상담이 끝난 뒤 가족들끼리 다툼이 발생했다면 다음 회기에 와서 그 때 경험을 나누도록 함
1.5 상담계약
상담계약 : 상담자는 상담을 희망하는 가족이 지속적으로 상담에 임하도록 상담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관한 특정 계약을 맺음
→ 예정된 상담의 횟수, 간격, 상담시간, 참석자, 상담목표, 상담비 등 포함
·상담계약서에는 상담 몰입을 위해 사전에 상담 횟수를 정하는 것이 효과적임 ← 일반적으로 상담 간격은 주 1회 or 그 이상의 빈도로 하는 경우가 보편적임
·상담계약서에는 상담자의 역할과 한계를 분명히 하고, 상담목표도 명시함 → 구체적인 상담목표 설정
·상담자로서의 역할의 한계를 정하고 상담을 이끄는 것이 중요함
※ 상담 초기과정에서 다뤄야 할 내용
① 상담자와 가족 간의 신뢰 구축
② 가족이 원하는 바 / 기대하는 바 / 변화시켜 나가기 바라는 바를 명료화
예) 가족 스스로 목표 세우기, 상담에 부가적으로 바라는 점 등을 분명히 함
③ 가족상담에 대한 동기 부여
④ 비밀유지, 녹음, 관찰, 상담료 등 상담 진행을 위한 기본 조건을 다루고, 상담자 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하고, 어떤 과정을 밟아 나갈 것인지에 대한 안내를 함
2. 가족상담의 중간 단계
2.1 가족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상담자의 전략
- 가족상담 중간 단계에서 상담자는 상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가족이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치료기법을 활용
※ 가족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상담자의 전략
1 질문하기
1) 가족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핵심 전략
2) 개방적 질문은 폐쇄적 질문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음
3)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할 때 - 대안을 스스로 모색할 때 적합한 질문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주요 기술
① 생략된 부분 메우기 - 내담자가 표현한 말의 겉 구조에 주시 → 주어나 목적어를 분명히 함 / 비교 대상의 명확히 함
예1)
내담자 - 함께 살고 있지맊, 우리 가족은 젂혀 가족 같지 않아요..
상담자 - 어떤 점에서 그럴까요?.
내담자 - 글쎄요.. 뭐랄까 가족관계에 문제가 있어요..
상담자 - 특히 어떤 가족관계요?.
예2)
내담자 - 저는 이모를 더 좋아해요..
상담자 - 누구보다 이모를 더 좋아하세요?.
내담자 - ”성훈이는 최고예요.”
상담자 - “어떤 점에서 최고인가요?” or “누구 중에서 최고인가요?”
② 단정적 표현/극단적 표현 다루기
- 내담자가 .우리 아버지는 저를 제일 미워해요. 분명해요. 라고 했을 때 속 구조를 알기 위해 .어떻게 해서 그런 확신을 느꼈어요?. 라고 질문할 수 有
③ 일반화 현상
- 내담자가 표현한 말의 겉 구조에서 지칭 대상이 없거나 불확실한 단어 or 불확실한 전이 없는지 찾아냄 (예 - ‘모두’, ‘누구나’, 절대’, ‘완전히’ 등)
예) 사람들은 나를 못살게 굴어요.. .어떤 사람들을 말하나요?.
④ 오해할 수 있는 명사 파악하기
예) 나는 당신의 비평이 마음에 안듭니다..
→ 무엇이 마음에 안 드는지 정확하지 x
말한 이의 생각 - 나는 그의 비평하는 태도가 싫다
듣는 이의 이해 내용 - 그는 나의 비평 내용을 싫어 하는구나
=> 상담자는 비평과 관련하여, 무엇이 싫은지에 따라 해결 방향이 달라지므로, 내담자가 사용한 명사에 과정적 의미가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 좋음
2 효과적으로 조언하기
※ 조언하기
① 가족원에게 조언 or 지시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 지시나 조언의 내용보다는 어떻게, 어떤 과정을 통해서 조언과 지시를 하는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짐
② 조언하는 방식이 잘못되면 그 효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많음
③ 조언과 지시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내담자나 가족이 어떤 노력과 시도를 해 보았는지, 또는 최소한 어떤 생각을 해 보았는지를 탐색
④ 해당 가족에 대한 조언, 충고, 지시는 간단하고 구체적이어야 함
예) 좋은 생각이다., .그러한 방법이 있었군요.
3 갈등 다루기
① 파괴적 갈등 - 관계에 손상, 불쾌감을 주며 차후에 문제로 악화
② 건설적 갈등 - 학습효과, 성장 및 긍정적 변화를 가져옴
③ 상담자는 가족 내 갈등상황을 바르게 인식, 갈등이 존재한다고 인식해야 함
④ 갈등상황에 있는 가족들을 공감, 인간적으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⑤ 상담자는 갈등의 정의와 갈등에 대해 정확히 지각하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함
4 공감하기
① 공감 - 상대방이 어떤 감정을 느끼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감정을 내면화할 수 있는 능력
=>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상대방의 기분, 감정, 상황, 동기 및 관심사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② 상담자는 내담자와 가족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에 대해 관심을 갖고 경청해야 함
- 상담자: 공감은 가족과의 라포 형성뿐 아니라, 가족의 자발적인 반응을 이끄는 데 유용
- 내담자: 공감 능력이 개발되면 가족 간 갈등 해소, 가족 간 유대 회복에도 도움
③ 가족과의 라포 형성뿐 아니라, 가족의 자발적인 반응을 이끄는 데 유용
④ 공감 능력이 개발되면 가족 갈등 해소, 가족간 유대 회복에도 도움
⑤ 주요 기술 - 상상 속의 경험 유도 / 감정표현을 위한 어휘력 개발 등 (p.270-274 참조)
5 칭찬하기
① 칭찬 - 자존감이 낮거나 무력감에 빠져있는 사람 격려, 바람직한 행동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② 상담자의 칭찬은 가족에게 심리적으로 위안, 행동변화를 위한 동기부여가 됨
③ 칭찬을 거창하게 할 필요 x, 아주 작은 행동 하나라도 긍정적으로 보는 태도가 우선되어야 함
※ 주요 지침
① 가족원이 행한 모든 바람직한 행동을 리스트로 만듬
② 가족이 목표로 설정한 행동을 수행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줌
④ 진실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칭찬을 하도록 함
6 직면하기 (confrontation)
① 직면 - 일관되지 못하거나 불일치한 행동을 지적하고 교정할 수 있는 기술
=> 시간과 공간에 따라 말, 감정, 행동 간에 불일치가 일어났을 때 행동에 대한 책임을 부각시키고 결과적으로 집단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
② 무엇에 대해 어떻게 직면하게 할 것인가가 중요함
③ 상담자와 가족과의 관계가 안정적이라고 판단될 때 활용할 수 있으며, 함부로 직면을
사용하면 가족은 상처를 받게 됨
7 긍정적인 생각하기
① 긍정적 자기진술
←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이끌어 내고, 긍정적 행동으로 연결됨
② 부정적 자기진술 시 - 그것이 전부인 양 현실을 왜곡, 그로 인해 흥분 or 전망하게 됨
③ 부정적인 자기진술에 대해 스스로 평가할 기회를 주어야 함
④ 상담자의 질문 내용 - 그 생각의 근거는 무엇인지, 그 생각이 맞다고 어떻게 확신하는지
그렇게 생각하면 어떤 느낌이 드는지, 항상 그러한 생각이 들었는지 그렇지 않게 생각되었던 경험은 무엇이었는지 등
8 자기주장 행동하기
자기주장 -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으나 자기 권리만을 관철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의견, 감정, 권리를 표현하는 훈련
※ 자기 주장 하는 방법 (p. 279 참조)
① 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함
② 주장이 강한 행동이 완전한 해결책은 x, 항상 주장을 내세울 필요 x
③ 주장 반응을 통해 효과를 거두지 못했어도 노력해 보았다는 자체로 만족
④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낮은 불안 정도의 행동부터 시작
⑤ 예의를 지켜 가며,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 줌
9 자기노출하기 (self-disclosure)
① 자기노출 - 있는 그대로 자신을 내보이는 것
- 자신과 가족, 상담자를 신뢰하고 수용할 경우에 가능
- 초기 단계에서 가족원 사이에 신뢰감 & 응집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불가
② 상담자는 자기노출을 시도하려는 의도가 있는 내담자 가족에게 먼저 존중하는 반응을 보임
③ 일반적인 충고와 어줍잖은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도 내담자의 심층적 자기노출을 방해
④ 비언어적 이해와 더불어 공감이나 인정과 같은 언어적 반응을 통해서도 공감해 줌
2.2 상담을 저해하는 가족반응에 대한 대응
1) 가족원들이 침묵할 때
침묵 : 내담자의 감정 표현 or 가족의 역동성과 현실을 표현한 것일 수 있음
- 상담자는 침묵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 있음
(예: 침묵 수용 / 침묵한 이유가 있는지 질문)
2) 가족원의 반응에 민감하게 될 때
- 가족원의 반응을 관찰하고 , 상담 전략을 세우는 것은 중요하지만 감하게 반응 x
- 상담자가 가족에 대해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
→ 남에게 잘 보이고 싶고, 잘하고 싶은 상담자의 욕심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음
3) 가족원들이 상담자를 평가하려 할 때
- 상담자는 가족이 궁금해하는 이유를 살피되, 가족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호기심과 궁금증일 수 있으므로 여유 갖고 대하도록 함
- 상담자는 성실하고 진실된 행동에 배어나올 수 있도록 자기관리를 해야 함
4) 모든 가족이 동시에 말을 하려 할 때
- 가족원들은 다른 가족원이 무슨 말을 어떻게 할 지 불안해서 먼저 말을 하여 불안감을 덜고자 한꺼번에 말하려는 경향이 있음
- 상담자는 특정 가족원을 지정해서 질문
→ 불안 감소 & 가족의 역동성과 같은 자료 정리에 활용
· 상담규칙을 세워 말하는 순서를 정하기 or 가족이 통제가 안 될 경우, 상담을 잠시 중단하는 것도 방법
5) 다른 가족을 비난하는 경우
- 상담자는 표정 or 손짓으로 비난 행동을 멈추게 하거나, 건설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요구
- 때로는 기능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알려주어 가족의 의사소통 구조에 변화를 주도록 함
6) 자신은 말하지 않고 다른 가족원을 시켜서 말하는 경우
- 당하는 사람은 압박감, 불안감을 느낌
·상담자는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이야기 해서는 안 된다는 규칙을 마련 → 기존의 의사소통 구조를 바꾸는 것이어서 불편 호소할 수도 있음
예)
“나는 ㅇㅇ의 의견을 직접 듣고 싶군요. 이 자리에서 한 번 얘기해 보는것이 좋겠어요.”
7) 한 가족구성원만이 상담자에게 말하려는 경우
- 다른 가족원은 상담자를 불신 or 친밀감 형성에 방해
- 상담자는 자신의 자리를 혼자 나서서 말하는 가족원과 마주보지 않도록 같은 선상에 배치
- 상담자는 그 사람에게 “자신의 생각을 ㅇㅇ에게 직접 말해보세요”라고 요구하여 의사소통 방향의 변화를 주도록 함
8) 일상적인 잡답을 할 경우
- 일상적인 대화에서 상담 시간으로 전환되어 가는 것을 알리는 행동을 할 수 있음
예) 일상 대화는 서서 / 상담 시작하면 앉거나 손짓 달리해서 주위를 환기
9) 가족원 중 한명이 개인면담을 요청한 경우
- 개인면담을 신청한 의도 파악이 중요
- 다른 가족원의 의견을 확인한 후, 가족이 이에 대해 부정적이지 않은 경우 개인면담이 가족상담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고 그 내용을 가족들에게 알려도 좋을지 확인
· 개인상담이 필요한 경우 상담자의 견해를 가족원에게 밝히고 다른 가족원이 반감을 갖지 않도록 충분히 설명한 후 실시 ← 가족상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음
3. 가족상담의 종결 과정
3.1 상담종결 방법
1 상담종결 방법
종결단계 - 상담활동의 전 과정을 마무리 하는 단계
·종결은 시작만큼 중요 ← 이 단계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면 내담자 가족은 그들이 배운 것을 실천할 기회를 갖지 못하거나 가족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상담을 종결하게 됨
·종결 시기
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패턴을 이해
② 새로운 행동 패턴을 학습
③ 상담과정에서 배운 것을 미래의 생활 장면에 적용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 상담을 종결시키는 지표
① 상담 초기에 설정한 목표가 달성되었을 경우
② 상담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정도로 가족기능에 변화가 있는 경우
③ 외부로부터의 자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④ 상담자가 여러 가지 노력을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상담의 효과가 없는 경우
⑤ 가족이 상담에 대한 동기를 상실했거나 결여되었을 경우
2 상담 종결을 위한 과제
① 가족원의 감정 다루기
→ 여러분, 그 동안 열심히 참여해 주셔서 가족끼리 좀 더 심리적으로 가까워졌고, 거절이나 비난에 대핚 두려움 없이 있는 그대로 자신 표현했다고 봅니다.
자, 이제까지 해 온 상담을 전적으로 마무리할 시간이 다가 오는데 여러분, 느낌이 어떠신가요? → 내담자 가족에게 감정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공감해 줌
② 가족상담 효과 검토
→ 이제 상담을 종결할 때입니다. 상담과정 중에 경험 했던 것들을 공유하도록 할까요? 각자 그 동앆의 상담과정에서 의미 있었던 경험에 대해 함께 나누어 볼까요?
③ 미해결 과제 다루기
→ 늦었지만 이제라도 문제를 제기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거나, 이제 얘기해 봤자 해결도 못할 테니 그냥 접어두자. 라고 가족원은 생각할 수 有
=> 상담자는 어떤 점이 미진하고, 후회가 되는지 알아보고, 찜찜한 상태나 불안한 상태를 공감, 지금으로서는 충분히 다룰 수 없음을 이해시키는 것이 좋음
④ 피드백 주고받기
→ 피드백은 적절한 시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강한 저항 or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 좋은 느낌, 자신감, 희망을 가지도록 격려
⑤ 추후과정 인식과 작별인사
- 여러분들이 이 상담을 떠난 뒤에 현실에서 부딪힐 수 있다고 생각되는 상황들 중에서 몇 개의 장면을 골라 어떻게 대처할지를 역할 연습을 해 봅시다
- 이제 가족상담을 마칠 때가 되었습니다. 그 동안 여러분들은 건강한 가족의 성장을 위해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많이 결심이 있었다고 봅니다. 여기서 학습한 새로운 행동을 자신의 것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상담종결을 위한 5과제는 마지막 2회를 활용해서 다룸
예) 가족원의 감정 다루기, 가족상담의 효과 검토, 미해결과제 다루기 / 피드백 주고받기, 추후과정의 인식과 작별인사
'가족상담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5. 가족상담 및 치료에서의 직업윤리 (1) | 2022.09.24 |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4. 가족문제 유형별 상담지침 (2) | 2022.09.24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2. 가족진단 및 평가 (0) | 2022.09.23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1. 이야기치료 (12) | 2022.09.22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0. 해결중심 가족치료 (2) | 202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