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치료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0. 해결중심 가족치료

롤라❤️ 2022. 9. 22. 07:48
반응형

10강. 해결중심 가족치료

CONTENTS

01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02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

03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 기법

 

 

 

1.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개년

1.1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

1 이론적 배경

1) 발달 배경

1980년대 - 다양한 가족상담 및 치료의 혁신적 기법이 개발

) 화이트 - 외재화모델. 슈왈츠 - 내적 가족체계모델. 앤더슨 - 심리 교육적 모델. 드 세이져 -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모델

1978- 밀워키에 설립된 단기가족치료센터를 중심으로 시작

밀턴 에릭슨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탄생에 지대한 공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근본 원인을 찾는 것 보다 더 중요하게 여김)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 모델에 발달에 기여한 핵심 인물 - 드 세이져 & 김인수 부부

 

2)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 모델

과거보다 현재와 미래를 중시

인간의 장점 & 유용한 자원을 발견

작은 변화라도 가져올 수 있는 전략 사용

=> 단기치료모델인 해결 중심 치료를 가족치료에 적용시킨 것

병리적인 것, 잘못된 것 < 과거의 성공 경험, 긍정적 경험 발견 & 활용

태도와 의식구조의 재구성과 행위(action)의 변화를 촉진 인간존중적 모델

내담자는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음

가족이 치료를 받으러 올 때에는 이유가 있고, 가족과 치료자라는 전문적인 관계에도 목적이 있다고 봄

목적 지향적 모델이라고 부를 만큼 목적을 중요시 함

 

3) 공 헌 자

밀턴 에릭슨

- 근본 원인을 이해 <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

- 내담자들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믿음 & 대상자의 능력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드 세이져 가족이 자신들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생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가지고 있는 것을 활용한다고 봄

 

김인수 치료자 훈련에 많은 기여

 

기타 - 립칙, 와이너 레이비스, 오 한론 등

 

1.2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기본원리 및 주요개념

기본가정 및 원리

1)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다

내담자가 머릿속으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그림을 그려보기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 내담자와 치료자의 관계 형성에 도움

=> 전통적인 상담에 익숙한 치료자 - 문제 파악에 초점 & 이해

내담자가 자신의 언어를 문제중심적 해결중심적대화로 바꾸는 것

=> 이를 위해 치료자는 성취 가능 &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도움

 

2) 예외상황은 해결의 실마리를 보여 준다

내담자와의 라포형성 후, 내담자에게 문제가 없었거나 문제시 되지 않는 예외상황에 초점

예외상황을 찾아내고 구축하는 작업 치료자 & 내담자의 협동 작업

예외상황이 자주 일어나도록 도와주어, 내담자로 하여금 커보이던 문제를 스스로 조정해 갈 수 있다는 자신감 심어줌

 

3) 변하지 않고 그대로 머무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치료자는 변화가 항상 일어나고 있다는 믿음 아래, 내담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변화 가능한 것을 찾도록 도와야 함

해결중심 접근에서 볼 때 복잡한 문제를 가진 사례는 없다고 봄

치료자는 내담자의 예외상황 & 그 상황에서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유연하고 민감한 귀와 눈을 발달시켜야 함

 

4) 작은 변화는 큰 변화로 이끈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작은 변화를 시도할 때, 내담자는 동시 다발적으로 다른 부분에서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

문제에 대해 정의를 누가 어떻게 내리는가에 따라 문제의 크기 & 심각성 규정

이 가정은 내담자가 쉽고, 색다르게 문제해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줌

 

5) 사람은 문제를 해결할 능력과 자원을 갖고 있다

밀턴 에릭슨의 가정 - 정신 병리적 측면 < 건강한 측면강조

치료자는 문제가 문제가 아니라, 잘못된 해결책을 적용 시키는 것이 문제라고 봄

개인 or 가족이 자기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있고, 변화를 위해 행동핛 것으로 믿음

 

6) 의미와 체험의 변화는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난다

- 의미의 변화 = 행동의 변화

의미란 - 사건의 관찰자나 참여자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지, 부여된 의미에 따라 관찰자 or 참여자가 변하는 것은 아님

 

7) 의미는 반응 속에 있다

해결중심적 가족치료 분명한 의사소통의 책임이 내담자 < 치료자에게 있다고 가정

- 만약, 내담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내담자가 다른 반응을 보일 시, 치료자는 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의미를 전달해야 함

 

8) 내담자가 전문가다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에서 내담자가 상담실에 자의 or 타의로 왔는지 여부 중요

상담의 초점이 달라짐

내담자가 스스로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는 능력이 있다고 믿음

치료자 단순한 지지는 내담자의 의존심을 조장할 뿐이라고 생각해 치료목표로 설정하지는 않음 / 치료와 지지를 혼동하지 않아야 함

 

9) 상황에 대한 정의는 행동과 순환한다

해결 중심의 관점

문제 - 개인의 성격 or 가족이나 부부 관계 구조상의 역기능이라고 봄, but 내담자가 자기 상황을 어떻게 정의하고, 그 상황에서 무엇을 하는가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내리는가 하는 순환적인 과정에 초점

상담과정 중의 어떠한 변화도 다른 변화와 관계가 있게 됨

 

10) 협동작업은 있게 마련이다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 내담자가 보이는 반응 = 어떻게 해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 주는 내담자의 생각임

치료자는 내담자가 진정으로 문제해결점을 찾고 싶어 하며, 나름대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믿음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상호 협동적이어야 함

 

11) 치료팀은 치료목표와 치료 노력을 공유하는 사람들이다

치료팀 - 문제해결이라는 합의된 목적을 가진 사람들

- 치료자는 가족 or 개인을 한 치료 단위로 보는 진단서를 사용하지 않음 문제와 관계되는 모든 사람이 치료과정 에 참여할 필요가 없다고 봄.

누가 치료를 받으러 와야 하는지를 물으면, 누구든 지금 상황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모두 오라고 함

 

기본 원리

- 인간에 대한 긍정적 시각

- 인간의 부족한 점 < 장점 & 능력 강조

- 내담자는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전문가이자, 목표 달성과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있음

- 인간은 스스로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존재

- 가족의 역량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

-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성공했던 경험이 있는 가족은 문제 해결의 잠재능력이 있다고 봄

가족 스스로가 자신의 실체를 완성해 나갈 수 있다고 봄

- 치료자가 아닌 내담자 or 가족 스스로 해결방법 수립

또 다른 변화가 가능하다는 낙관주의 생성

자기 결정에 대한 힘과 권한 부여 & 희망 줌

- 문제의 원인에는 관심 x , but 문제가 해결된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

=> 문제의 내용 < 문제에 대한 어떤 해결방안이 있으며, 어떻게 새로운 행동유형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초점

=> 가족이 적용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돕는 것에 초점

- 가족과 치료자가 함께 해결방안을 발견 & 구축하는 과정 중시

- 과거의 실패를 고치려고 노력하는 것 < 성공이나 장점을 찾아내 키우는 것이 더 용이하다고 봄

- 처음에 목표달성을 하지 못하면, 좀 더 노력하도록 격려

(그래도 성공하지 못하면, 다른 방법을 시도하도록 함)

어떤 대안이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다시 반복 x, 다른 방법 시도하도록 함

치료자의 역할 - 치료과정 통해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협상

가족에게 긍정적 변화가 일어나도록 조정

- 가족치료자는 문제 해결을 간단하고 단순한 것에서부터 출발

(가족에게 성취감을 맛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

- 해결 중심 가족치료자는 체계론적 입장 지지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 체계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가정 지지

- 치료자는 내담자 가족이 현재 가지고 있는 불만에 집중

- 가족은 잠재적인 변화의 욕구를 가지고 있고 변화를 원한다고 가정

가족이 변화과정에서 저항을 보인다는 개념 부정

=> 만약 가족이 저항을 보인다면?

치료자의 개입방법이 자신들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임

해결 중심 가족치료는 개입모델로 칭하기도 함

개입 시기 or 방법 등에 대해 철저한 훈련 & 경험 요구

 

2.1.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1. 치료 목표

기존에 해오던 생활방식과는 다른 방안을 모색 or 행동하게 함 가족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

목표설정을 위해 내담자 가족은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정리 & 구체화

가족치료자는 치료목표를 가족 스스로가 설정할 수 있도록 도움

가족과의 첫 면담에서 목표를 분명히 함으로써, 치료 종결을 결정할 수 있는 범주까지 설정하도록 함

 

2. 치료목표 설정 시 유의할 점

가족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설정

- 치료목표가 가족에게 중요할 때, 가족은 목표성취를 위해 더 몰두함

- 치료자는 내담자 가족이 목표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워 할 때, 언어화할 수 있도록 도움

- 가족원간 목표가 다르고 합의가 안 될 때, 각 자 견해를 자유롭게 표현, 서로 알도록 함

- 내담자 가족이 목표를 세우기 어려워 한다고 해서, 치료자가 목표를 정해 주어선 x

 

작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설정

- 목표가 작아야 쉽게 성취 가족에게 성공했다는 느낌과 희망 줌

변화할 동기를 증가 시킴

 

구체적, 명확, 행동적인 것을 목표로 설정

- 추상적 & 관념적인 목표 실제 생활에서 관찰 가능, 구체적, 명확, 행동적인 목표로 표현되도록 도움

=> 목표를 향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쉽게 평가 내담자 가족에게 긍정적 피드백 줄 수 있음

 

목표 설정 시, ‘부정적 < 긍정적’, ‘없는 것 < 있는 것에 관심

- 문제시 되는 것을 없애거나 하지 말라는 것보다, 새로운 어떤 것을 시작하려는 목표가 실현가능성이 , 효과적

 

목표는 끝이 아니라 ,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단계라는 인식을 갖게 함

-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단계가 있고, 목표 달성도 의미가 있지만 처음 시작해서 성취하는 과정 그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줌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은 중요

- 치료자는 현 가족의 생활환경에서 어떤 것이 현실적 & 성취가능하고, 비현실 & 성취 불가능한 것인지 구별하여 실행 가능한 목표 설정 하도록 조정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어렵고 힘들다는 것을 인식시킴

- 중요한 것은 변화를 위해 노력했다는 것

(노력과정 중의 칭찬 & 격려 통해 자아존중감 & 자신감 높일 수 있음)

- 가족이 잘못된 행동패턴 or 대응방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이해

성취 : 자아존중감/ 성취 x : 좌절하지 않고 좀 더 노력해야 함을 수용

 

3. 해결 중심 가족치료의 치료기법

1.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치료목표

가족에게 중요한 것을 목표로 설정

작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설정

목표 설정 시, ‘부정적< 긍정적’, ‘없는 것 < 있는 것에 관심

목표는 끝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단계라는 것을 인식

구체적, 명확, 행동적인 것을 목표로 설정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은 중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어렵고 힘들다는 것을 인식시킴

- 인간에 대한 긍정적 시각

- 내담자야말로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전문가

- 문제 원인보다 해결책에 초점

- 과거 성공했던 경험을 근거로,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모색

 

3.1. 치료자의 역할

알지 못함의 자세

- 앤더슨과 굴리시안(Anderson & Goolishian)에 의해 발달

- 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해 아는 바가 없기 때문에, 내담자에게 알려 달라는 것

- 치료자는 내담자의 행동과 말에 대해 보다 많이 알고 싶어 하는 의향을 보여야 함

내담자로 하여금 아직 말하지 못한 것을 말해도 괜찮겠다고 안전하게 느끼면서 동시에 정서적, 내면적 차원의 억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

 

3.2. 치료기법

1) 가족과 치료자의 관계유형 파악하기

치료자 가족과 치료자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특성 고려,

=> 가족과 치료자와의 관계를 방문형, 불평형, 고객형세 가지로 구분

- 모두 이 세 유형에 속하는 것은 x

- 세 가지 유형은 유동적, ‘고객형방문형 / 방문형불평형으로 바뀔 수 있음

치료자 - 변화하는 여러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반응 & 접근하는 것이 좋음

 

. 방문형

고민과 갈등을 갖고 있지만, 치료의 필요성 or 문제해결의 동기가 약함

치료에 대해 무관심, 배우자 or 부모에 의해 이끌려 왔다는 사실에 불평

다른 사람의 요구 & 결정을 따르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이해해 줄 때 이해 받음

=> 치료자 방문자 가족에 대해 겸손, 성실한 태도를 취하고, 치료실에 온 것 자체를

칭찬, 과제 부여 x

 

. 불평형

문제의 내용은 알지만, 원인은 자신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가족에게 있다면서 책임 전가 &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행동의 변화 찾지 x

증상을 보이는 가족성원 때문에 자신이 희생되었다고 생각 자신의 입장 & 역할에

대해 이해 받기를 원함

자신의 역할 or 위치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x

치료자 불평형 가족원을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생각하고, 치료목표 의논 내담자 자신이 해결의 주인임을 자각하기 전에 치료자가 해결책 제시하는 것 삼가

 

. 고객형

문제를 분명히 인식, 변화를 위한 자발적인 동기, 구체적 치료 목표 & 해결책 가지고 있음

고객형 가족은 협력적인 관계로 쉽게 발전 가능

문제해결을 위한 의지 보임, 고객형 가족 자체가 해결책의 한 부분이라고 느낌

수용적, 치료동기가 높아 치료자의 대부분이 원하지만, 실제로 고객형 가족의 비율은 높지 x

 

2) 해결지향적 질문기법

-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에서 질문하기는 가장 핵심적 기법

치료자의 유용한 질문 문제를 보는 시각 & 관점에 영향, 가족의 성공 경험 & 잠재능력과 자원 발견해 문제해결방안 협동적 구축

치료적 대화(면담)에 가족치료자들이 사용하는 질문의 종류 => ‘면담 이전의 변화를 묻는 질문’, ‘예외질문’, ‘기적질문’, ‘척도질문’, ‘대처질문’ ‘관계질문

 

면담 이전의 변화를 묻는 질문(presession change question)

- 치료약속 후 ~ 기관 방문하기까지 고통스러운 문제를 안고 있다가, 기관 방문 시 다소 불안 감소 or 문제의 심각도가 완화될 경우 있음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자

면담 약속을 한 후 ~ 면담 때까지 일어난 변화 관찰

- 가족의 잠재능력 & 강점 발견, 가족 스스로 인식하지 못한 해결방안 찾는 데 이용

- 상담 이전의 가족에게 문제가 어떻게 완화되었는지 질문 & 실시한 방법에 관해 인정, 칭찬 해줌 (스스로 노력했다는 것 & 해결능력 인정, 확대할 수 있도록 격려)

 

예외 질문(exception question)

- 가족은 자신들이 겪는 고통이 다른 가족과는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가장 크다고 인식

치료자

- 예외질문 통해 예외적인 상황을 찾아냄

가족이 갖고 있는 자원 이용 가족의 자아존중감 강화할 수 있는 전략 모색

- 문제가 발생하는 때 < 발생하지 않은 예외상황에서 무엇을 하는지 관심 둠

- 대상자에게 중요한 예외를 발견, 그러한 행동을 확대 & 강화하는 데 이용

예시

- 언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가?.

-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 문제가 발생한 상황과 발생하지 않은 상황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 어떻게 하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가?

- 덜 심각하고, 비교적 덜 발생하고, 발생기간이 짧았던 때는 언제였는가?.

- 어떤 식으로든 달랐던 시기는 언제였는가?.

- 당신이 잠을 잘 때도 그런 일이 일어납니까?.

=> 치료자는 예외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불합리한 제안을 하기도 함.

 

기적질문(miracle question)

-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상상해 봄으로써 해결하기 원하는 것 구체화 & 명료화하기 위함

문제와 분리하여 해결된 상황을 상상하게 함 문제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게 됨

- 내담자에게 희망 &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갖게 하고, 치료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

- 다음 날 아침 기적이 일어난다면 삶이 어떻게 달라질까를 상상하게 함

대상자가 원하는 결과를 생생하게 묘사하게 함으로써 희망을 고취시킴

- 가족이 긍정적으로 대답하도록 질문하는 것이 중요

- 가족 스스로 새롭게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도록 질문

- 해결 상황에 대한 그림을 작은 것에서부터 크게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질문

- 가족은 치료자의 질문에 대답하는 동안 기적을 만드는 사람이 자기 자신임을 알게 됨

-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점차 인식, 변화된 생각을 구체적으로 상상해 봄

- 치료목표를 재인식하고 변화의 동기를 가짐

예시

- 오늘 밤에 집에 가서 잠자고 있는 동앆에 기적이 일어나 지금 겪고 있는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잠자는 동안에 기적이 일어났으니까, 무슨 일이 생겼는지 아무도 모르지요.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무엇을 보고 지난 밤에 기적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을까요?

그리고 당신에게 기적이 일어난 것을 다른 가족은 무엇을 보고 알 수 있을까요?.

 

척도 질문(scaling question)

- 가족에게 문제의 심각성 정도나 치료목표, 성취 정도 등을 양적으로 측정, 수치로 답할 수 있게 한 질문

- 목표설정과 해결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변화에 대한 동기 강화 & 구체적인 목표 설정에 용이

- 내담자를 혼란스럽게 하지 않게 하려면, 질문 안에 오늘’. ‘지금’, ‘지난 주등 시간적 한계를 두고 질문하는 것이 좋음

- 문제해결 가능성에 대한 확신, 변화를 위한 동기수준을 수치로 표현하도록 할 때,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되고 변화 정도를 스스로 인식하는 도움

- 두 번째 이후 면담 시 변화의 정도 & 변화의 의지 등을 인식시키기 위해 척도질문 사용하면 도움

예시

- .0이라는 숫자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최악일 때를 의미하고, 10은 모든 것이 해결되어 어머니와 아무런 문제가 없는 안정된 상태라면, 지금 어머니와의 관계는 010사이에

어디에 있습니까?.

- 지난 번 처음 세션에 왔을 때, 어머니와의 관계가 몇 점 이었는지 그리고 지금은 몇 점 입니까?.

 

척도 질문을 사용하면 좋은 경우

- 문제해결 전망에 관련된 척도 질문

- 동기에 관련된 척도 질문

- 자아존중감에 관련된 질문

- 직접 상태를 평가하는 척도질문

- 관계를 평가하는 척도 질문

 

대처 질문(coping question)

- 만성적인 어려움 & 위기 등 가족이 미래를 비관적으로 보고, 희망이 없다고 생각할 때 유용

- 가까스로 생활을 꾸려온 것, 버티고 있는 점 등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찾아내어 격려, 가족에게 약간의 성공감을 갖도록 하는 대처 방법에 관한 질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

- 가족에게 새로운 힘을 갖게 하며, 자신의 자원 & 강점 발견하도록 하는 데 도움

예시

- 누구라도 이러핚 상황에 처한다면, 아마 여러분들처럼 버티지 못핛 것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더 나빠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지요?.

- 어떻게 모든 것을 포기하지 않고 여기까지 지속시켜 왔는지요?.

)

- 모든 것이 잘 될 테니 걱정 마라.., .시갂이 가면 나아질 것이다.,

- 누구든지 고비는 있는 법이다.

 

관계 질문(relationship question)

- 대상자와 관련된 다른 중요한 사람들의 행동 or 생각에 대해 질문

- 대상자가 타인의 눈으로 자신을 보게 되면, 이전에는 없던 가능성을 만들어 낼 수

-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외적 자원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가족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누가 도움을 주었는지 질문 가족이 가지고 있는 자원 확인, 가족들이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질문

=> 가족 간의 상호영향 파악

 

메시지 전달하기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 - 가족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중요시 여김

메시지 - 칭찬, 과제를 주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연결과정 & 과제 부과로 이루어짐

칭찬 - 가족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가족과 치료자 간의 관계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예에서 많이 사용, 추상적 <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

연결과정 - 지금 겪고 있는 문제를 일반화시키거나 가족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실을 교육 & 다음에 가족에게 제시하는 과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천의 가능성 높음

과제부과 - 가족에게 구체적인 과제 지시 but 치료자는 가족과의 관계 형태를 고려해서

과제 형태 선택

< 과제 부과 형태 >

방문형 가족 - 칭찬만 하고 과제 부여 x (면담에 올 수 있었던 것을 높이 평가하여 이해해주는 치료자로 남는 것이 중요)

- 1.1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불평형 가족 - 관찰 과제(자신의 변화 의지는 적지만 다른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분 긍정적 관점에서 자신의 가족을 관찰 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제가 적당)

 

고객형 가족 - 행동 과제 (변화를 향해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과제 부여)

 

3.3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1) 해결중심적 개입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자

인간 & 가족에 대해 긍정적 시각

스스로 설정한 목표 도달을 위해 가진 자원을 활용 & 달성한 힘이 있다고 봄

문제는 자신의 능력이 무엇인지, 가지고 있는 힘 & 가능성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

=> 치료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되지 못한 능력을 찾아주고,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기술 & 전략을 이끌어 주어야 함

성공하지 못한 해결방안 < 이미 성공했던 해결방안에 관해 이야기 함

 

- 가능하면, 가족원 전체를 면접에 포함시킴 가족구조의 변화 유도

- 치료구조는 팀 접근을 사용

일방경(일면경)을 통해 자문 역할 하는 치료팀이 치료의 전 과정에 참여

해결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봄

치료자 - 치료 초기에 내담자 가족에게 , 치료의 방향과 팀에 대해 소개, 일방경 사용 및 녹화 장비 사용해 대한 허가 받음 & 팀의 자문을 받는다는 것 알림

- 치료과정에 기적질문, 척도질문, 휴식, 칭찬과 과제주기 등과 같은 특성이 포함되지 않으면 해결 중심치료라고 볼 수 x

두 번째 면접부터 - 개선과 변화에 관한 질문, 변화나 노력에 대한 지지 & 격려, 목표 유지 위한 과제주기 등의 전략 사용

팀 없이 혼자 일하는 치료자

치료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형태를 검토, 내담자가 수용한 칭찬 개발, 내담자에게 맞는 과제를 주기 위한 휴식시간을 가짐으로써 스스로 치료 중간에 자문 구할 수

 

해결 중심적 개입을 전달하는 방법

내담자의 긍정적 & 성공적인 것, 유용한 노력을 격려

내담자가 사용한 단어들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사용

내담자가 자신을 방어하려는 경향 & 협조 구하기 쉬움

내담자의 목표에 동의 & 긍정적 방법에서 목표를 나타내야 함

목표는 성취되기 어려운 것임을 강조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근거나 설명을 함

 

2) 치료 과정

전체 상담은 약 60분 소요, 처음 45분 정도는 내담자와 치료자의 상담으로 진행

치료팀이 있는 경우, 일방경 or 비디오 모니터 통해 관찰 & 필요한 경우 전화로 개입

치료자 - 상담 후, 일방경 뒤에 있는 치료팀과 치료과정 검토 & 자문을 받으며 내담자에게 전달한 메시지 만듦

메시지 작성 후, 치료자는 다시 치료실로 들어가 내담자에게 메시지 전달, 상담 종료

 

. 첫 회 상담

첫 회 상담과 2회 이후의 상담과정 약간 다름

첫 회 상담 관계 형성 & 목표설정이 우선

 

. 첫 회 이후의 상담

첫 상담 이후 조금이라도 나아지거나 변화된 것에 초점 EARS로 요약

무엇이 나아졌는지 이끌어 내고(Elicit: E ), 나아진 것을 확장시키며(Amplify: A ) 이를 강화하면서(Reinforce: R ) , 또 다시 나아진 다른 것을 물음(Start again: S )

첫 회 상담과정의 도식화

4. 과제

같은 것을 더하기 어떻게 그렇게 아주 작은 부분을 대처방식에 대해

되었는지 발견하기 실행하기 관찰하기

 

해결 중심적 가족치료의 공헌점 및 제한점

1) 공 헌 점

문제나 증상 < 과거의 성공 경험 & 긍정적 경험 발견

의도적인 질의응답 형태의 대화를 통해 가족의 잠재능력과 자원 발견

처치의 간략성, 이론적 명쾌성 등으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

불안, 우울,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능력 & 문제해결능력 향상 및 자신감 증진에 도움

특히 약물 남용 등 비행청소년과 부모상담의 경우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

 

2) 제 한 점

무차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일부 내담자에게 맞지 않을 수 있음

내담자에 따라서 충분히 이해되고 인정받으려면 몇 회가 걸릴 수도 있음

치료자와 내담자 관계의 질이 모델 유효성의 핵심

일부 비평가들은 낙관적인 대화가 내담자들의 의심 & 고통을 잠재우는 효과가 있는지 의문점을 제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