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치료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11. 이야기치료

롤라❤️ 2022. 9. 22. 12:56
반응형

11강. 이야기치료

CONTENTS

01 이야기치료의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02 이야기치료의 치료 목표

03 이야기치료의 치료 기법

 

 

1. 이야기치료의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1)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에서는 삶을 이야기로 보는 관점을 취함

-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삶에 대하여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

- 사람들은 이야기치료를 통하여 삶의 의미를 구축하고 새로운 미래를 구성할 수 있다고 봄

이야기치료라는 명칭은 Michael WhiteDaniel Epston의 저서에서 유래됨

- 이야기방법을 통한 치료적 결말(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1990

- 이야기치료: 선호하는 이야기의 사회적 구성

(Narrative Therapy: The Social Construction of Prefered Realities), 2009

- 이야기치료의 지도(Maps of Narrative Practice), 2010

 

2) 내러티브(narrative)

: 한 가지 이상의 이야기와 주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형태

. 이야기치료는 한 개인이나 가족의 삶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이야기가 얽혀 드는 상황을 표현

이야기(story): ---결의 구조를 가지는 형태

.화이트와 엡스턴은 가족이 제시하는 문제이야기에 대한 경,

.문제이야기의 해체,

.대안이야기 구축으로 이루어지는 치료과정을 통해 내담자와 함께 문제이야기 대안이야기로 다시 쓸 것을 제안

1990년대 이후 널리 주목 받기 시작한 치료적 접근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구성주의의 영향(Michell Foucaut의 권력과 지식의 관계나 Jacque Derrida의 해체 개념 등)

 

3) 이야기치료의 세가지 전제(by White)

개인의 삶이 가족관계 안에서 형성된다.

개인의 문제는 가족을 비롯한 다른 사회제도적 맥락과 연결되어 있다.

가족의 정체성은 대인관계 속에서 재협상된다.

이야기치료는

푸코의 관점에 따라 - 역사와 사회의 맥락 속에서 인간의 삶을 이해

데리다의 관점에 따라 - 인간의 정체성은 주변 사람, 사회제도, 권력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므로 그 정체성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는 치료과정에서 해체해서 억압적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봄

 

1.2 이야기치료의 기본 원리

1) 치료자 < 내담자의 경험과 관점을 더 우선시

치료자의 의견을 강조하기보다 내담자의 지식과 기술 존중

=>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자기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는 존재라고 보기 때문

알지 못한다(not knowing)’는 자세를 취함

당사자의 지식(local knowledge)’이 상당이 존중됨

=> 내담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삶을 대안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보는 입장을 취함

 

1.3 이야기치료의 기본 전제

1. 삶은 결코 단순하지 않고 복잡하고 풍부하다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내담자들은 삶을 지나치게 단순화시켜 접근

· 삶의 여러 측면 가운데 부정적인 것들을 선별해 그것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함

내담자들은 자신의 삶을 빈약한 설명(thin description)’으로 축소

* 빈약한 설명: 내담자의 내부 사정을 외면하고 이해를 배제하는 것 의미

밖으로 드러난 실패나 장애, 부족함 등을 객관화된 사실로 표현해 내는 외부적 관점에서의 서술 타인에 의해 왜곡된 자신을 받아 들이게 되면서 자신의 능력, 장점, 자질 등을 보지 못함

 

· 이야기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삶에서 어떤 희망적인 이야기를 끄집어 낼 수 있는지를 모색

내담자로 하여금 목적과 희망을 찾아 나서게 함으로써 그들의 삶을 풍부한 설명(thick description)’으로 제시하도록 이끔

 

 

2. 삶은 이야기로 표현된다

개인의 삶 = 이야기 속에 반영 / 이야기 = 삶을 보여줌

· 이야기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이 드러남

· 이야기는 사람들이 자신이 선택적으로 취한 경험과 사건들 속에서 부여한 의미를 중심으로 전개

이야기에는 자신의 삶에 대한 해석이 반영되어 있음

=>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들이 어떠한 것에 의미를 두고 있는지 알아차릴 수 있음

이야기치료의 기본 원리 및 주요 개념

 

3. 인간은 자기 경험을 해석한다

- 인간은 자신의 경험을 해석할 수 있는 존재

인간은 생애 속에서 자신이 겪은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할 수 있음

이러한 해석은 사회적 맥락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됨

 

4. 인간은 자기 경험을 사회문화적 과정 속에서 의미를 부착시킨다

1) 한 개인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존재

자신의 경험에 대한 의미 해석은 사회문화적 산물일 가능성이 높음

· 같은 사건을 경험하는 사람들도 그들이 어떠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존재하는가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가 달라짐

· 소위 지배적 담론(dominant discourse)’의 영향에 따라 문제로 인식

=> But 이것을 자신의 내재적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

 

2) 이야기치료에서는 개인의 내재적 문제로 인식한 것을 외재화 하는 작업을 통해 지배문화의 영향을 해체하는 작업을 시도

 

5. 정체성은 사회적 과정의 결과이다

·개인의 정체성은 사적으로 구축되는 것이 아님

·정체성은 사회적 과정의 결과물

반복적인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축될 가능성이 높음

·외부증인집단과의 정의예식을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

·새롭게 구축된 정체성을 타인과 공유하는 절차 밟음

 

6. 인간은 지향 상태를 통해 삶의 방향을 정립한다

·인간은 살면서 추구하고 바라보는 방향이 필요

· 지향 상태(intentional status)

- 한 개인이 삶에서 추구하는 하나의 방향

개인의 의지, 목적, 희망, 가치, 꿈 등이 반영 / 개인은 이러한 지향상태에 따라 처신

- 지향 상태는 삶의 이야기에서 주제와 방향을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정체성 구축에 기여

· 이야기치료는 가족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추구하는 지향 상태를 인식 / 이를 통해 목적의식을 분명히 함 / 삶에 희망을 갖도록 하며 / 자신들의 정체성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새롭게 재구성해 가도록 도움

 

7. 문제는 인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1)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문제를 가진 사람이 문제라고 봄

2) But 이야기치료에서는 문제가 문제이다라는 입장을 취함

문제를 개인으로부터 분리시킴

- 문제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축되어 개인에게 부착된 것

외재화 작업을 통해 이를 인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 필요 하다고 봄 = 문제가 내담자 자신의 상태가 아리나 내담자와 다른 어떤 실체로 취급

(: 우울이 당신을 밖에 나가지 못하게 하는군요)

지배적 담론의 영향 하에서 개인은 문제의 침투로 고통 받는 존재로 보는 시각을 취함

 

2. 이야기치료의 치료 목표

2.1 이야기치료의 치료 목표

1) 단기적 목표

: 내담자 가족이 호소하는 문제를 감소시키는 것

2) 궁극적 목표

: 내담자 가족 스스로 자신들이 선호하는 방향으로 자기 가족의 이야기를 써나갈 수 있게 하는 것

3) 이야기치료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여러 가족 구성원이 모인 가족에서의 치료목표가 단일할 수 없다고 봄

가족구성원 간 치료 목표에 차이가 나는 것을 수용

4) 각자의 이야기는 모두 고유한 것으로, 치료자를 포함하여 그 어느 가족 구성원의 이야기도 절대적인 것은 없다고 봄

 

2.2 이야기치료의 치료 과정

1) 이야기치료의 과정은 나선형으로 전재

- 문제의 해체 -> 독특한 결과 발견 -> 대안적 이야기 구축 -> 대안적 정체성 구축의 순으로 이어짐

2) 이야기치료는 치료의 문제를 사람으로부터 분리하고,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문제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색하는 데서 출발

- 이 과정 속에서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했던 방법 또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받은 영향이었음을 인식하게 함

그동안 간과되었거나 무시된 내담자 가족의 문제해결 지식과 기술을 재조명하게 됨

=> 가족이 지향하는 가치나 신념을 드러내고, 가족이 새로운 관계방식과 대안적 정체성을 구축하도록 작업

3) 내담자의 이야기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질문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접근

회기 구성은 매우 유동적

경우에 따라 1~2회 종결 or 여러 차례의 회기로 이어지기도 함

회기는 대개 일주일 이상의 간격을 둠으로써 가족에게 생각하고 시도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고자 함

상담시간, 회기 간격 등은 내담자와 협의하여 조정

치료자 단독으로 진행하는 회기는 대개 50~60분 정도 소요 / 외부증인 집단을 활용하여 정의예식 등을 하는 경우에는 2시간을 초과하기도 함

엡스턴이 주로 사용한 치료증서나 편지 활용도 상담효과를 높임

 

3. 이야기치료의 치료 기법

3.1 이야기치료에서의 치료자의 역할

1) 화이트는 치료도 사회문화적 산물이라고 봄

2) 치료에 참여하는 사람이나 그것이 행해지는 환경이 치료문화를 조성

- 이 문화 안에서는 치료자와 내담자 간 권력관계가 재연될 소지가 있다고 비판

철학자 미셸 푸코의 영향

- 이야기치료자는 억압적 권력구조의 영향을 해체하는 데 민감해야 하는 존재라고 강조

이야기치료자의 자세: ‘탈중심적이면서도 영향력 있는것으로 말함

1) ‘탈중심적

- 치료자의 전문적 이론이나 지식을 내세우는 것 < 내담자 가족이 제시하는 자신들의 이야기나 삶의 지식과 기술에 우선순위를 두는 입장

- 내담자 가족이 자신의 이야기에 관한 한 주저자(first author)

2) ’영향력 있는

- 치료자가 치료의 아젠다를 일방적으로 채택 or 개입 주도 < 호기심을 가지고 알지 못한다는 자세로 내담자 가족에게 접근하여 질문과 반영을 통해 접근

- 이러한 치료 과정 속에서 내담자 가족이 대안적 인생 이야기를 좀 더 풍부하게 이야기하고, 그동안 삶에서 간과되어 왔던 측면으로 삶을 재구성하게 함

 

3.2 이야기치료의 치료 기법

1 문제의 해체

가족의 문제 이야기를 경청하기

.내담자 가족 -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problem saturated story)’자신의 고통을 표현

.치료자 - 내담자의 빈약한 설명(thin description)’이 지배적 담론의 영향에 따른 것이라고 전제

.이러한 문제 이야기와 정반대되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접근

 

문제를 사람으로부터 분리하기

.사람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가 문제이다라는 전제

- 문제를 내담자로 부터 분리하고 내담자와 함께 문제에 이름을 붙이고 의인화하는 작업을 수행

=> 이 작업을 외재화(externalization)’ or ‘의무화’ or ‘문제표출이라 함

. 외재화

- 내담자의 문제가 정신병리나 역기능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보며, 이를 내담자가 내면화시키지 않도록 함

- 또한 상황이나 대인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게 함

- 외재화 된 문제에 이름을 붙이기도 함

- 외재화 작업에서는 문제를 주어로, 내담자의 삶을 목적어로 표현

=> 이는 문제가 미친 영향력을 보게 하고 문제에 종속되어 왔던 자신을 바라 보게 함으로써 자신이 문제가 아니라는 새로운 인식을 가져오게 함

외재화의 대상 : 감정, 대인관계 문제, 사회문화적 신념이나 관습 등

 

문제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문제가 내담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쳐 왔는지 파악

- 지배담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좀 더 광범위한 문화적 신념, 생각, 관습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봄

- 이러한 문제가 자신의 삶의 목적과 희망, , 열망, 가치, 미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질문

- 내담자에게 특히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질문 전개

 

문제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문제가 끼치는 영향력을 내담자가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문제의 영향력을 내담자가 스스로 평가하게 함

 

평가를 정당화하기

.내담자가 내린 문제의 영향력 평가에 대한 이유 또는 근거를 질문

- 이런 질문은 독특한 결과나 지향 상태에 관한 본격적인 대화의 토대로 작용 치료자의 질문을 통해 내담자는 삶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원하는 바를 인식하고 표현

- 처음 제시했던 문제로 가득 찬 이야기’ or ‘빈약한 설명과는 상반

가족은 계속 지배적인 이야기에 눌려 지낼 것인지, 아니면 자신들 의 삶에 대해 좀 더 풍부한 이야기를 전개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함

- 치료자는 새로운 선택이 이런 행동과 어떻게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될지에 관해 내담자와 함께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작업 이행

 

2 독특한 결과의 발견

독특한 결과를 경청하기

.내담자가 문제 상황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강조하고 초점을 두는 것

- 미미하게라도 문제를 통제할 수 있었던 때 or 문제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처리할 수 있었던 때를 기억해 낼 수 있게 하고, 이를 풀어내도록(unpacking)’

- 혹은 자신의 삶에서 풍부한 설명을 제시하고 긍정적인 기억을 떠올릴 수 있게 하며 그 기억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상황을 탐색

긍정적 기억 = ‘독특한 결과라고 칭함

 

독특한 결과 외재화하기

.문제를 외재화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독특한 결과에도 이름이나 제목을 붙임으로써 독특한 결과를 외재화 시킴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독특한 결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예외적인 상황일 수 있음

- 치료자는 독특한 결과가 내담자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

- 나아가 독특한 결과를 목격한 사람이 있는지 or 가족 주변에 있는 중요한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내담자 입장에서 생각하게 하는 질문을 제기

.독특한 결과는 이러한 발견과정을 통해 확고해지며, 가족에게 가능성과 변화의 실마리를 제공

.이러한 기회를 통해 내담자 가족들은 자신들이 바라는 변화의 근거를 찾게 됨

 

독특한 결과의 영향력을 평가하기

.독특한 결과가 미치는 영향력을 내담자로 하여금 스스로 평가하게 함

 

평가를 정당화하기

.문제에 접근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어떤 이유 or 근거에서 그런 독특한 결과에 대한 평가를 내렸는지 질문

 

3 대안적 이야기의 구축: 재저작과 스캐폴딩

1) 재저작(reauthoring)

- 내담자의 변화를 유발하는 작업

- 내담자의 삶의 이야기를 다시 쓰는 것으로, 그것의 토대는 독특한 결과

독특한 결과 - 일회성 사건이 아니라 그 사람의 삶에서 존재하는 일련의 사건의 결과

치료과정에서 독특한 결과와 관련 있는 내담자의 과거 사건 발굴 / 그 사건들을 순서에 따라 특정한 주제 중심으로 한 이야기로 재구성

현재의 곤경을 탈피하거나 미래의 대안적 행동을 탐색하는 계기로 작용하도록 도움

 

2) 이야기치료에서는 개인의 이야기를 행동과 의식의 두 차원으로 접근

행동 영역(landscapes of action): 여러 개의 사건을 특정한 주제에 따라 시간적 순서상으로 배열한, 소위 이야기에 해당하는 영역

정체성 영역(landscapes of identity): 개인적 자질, 특성, 소신, 헌신하는 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목적의식 혹은 지향이 존재하는 영역

- 치료과정에서 독특한 결과와 관련하여 행동 영역과 정체성 영역에서 일어난 일 or 그것의 의미를 질문

-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들면서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관심 밖에 있던 삶의 사건이나 행동을 새롭게 조망, 자신이 지향하는 바를 새롭게 인식하게 함

 

3) 스캐폴딩(scaffolding): 건축 과정에서 거푸집 짓기와 유사

 

4) 스캐폴딩 대화가 진행되면서 이야기는 더 짜임새를 갖추게 되고 대안적 이야기의 구성(plot)은 풍부하게 발전

점차 분명한 제목(주제)를 가진 새로운 이야기로 구성

 

5) 내담자는 재저작 대화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해 간과했던 사실을 새롭게 찾아내고, 여기에 새롭게 의미를 부여하는 적극적인 시도를 하게 됨

 

6) 향후에는 이러한 이야기대로 살아가도록 지향상태를 형성

 

행동 영역의 질문

.내담자는 자신이 과거에 행했던 것을 이야기의 형태로 표현

.이야기는 주제나 줄거리에 따라 순서대로 엮인 사건이므로, 치료자는 질의하는 자세로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했는가 등 행위 위주의 질문을 던지게 됨

.치료자는 대안적 이야기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행동 영역에서 출발하여 정체성 영역으로 이동해 나감

 

정체성 영역의 질문

.내담자가 삶에서 지향하는 바나 목적, 중시하는 가치나 신념, 희망이나 꿈, 삶의 원칙, 헌신하는 것 등에 대해 질문을 제기

 

4 대안적 정체성의 구축 : 회원 재구성

1) 이야기치료에서는 인생을 회원으로 구성된 클럽으로 보는 시각을 취함

- 개인의 정체성은 이러한 클럽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형체를 갖추게 됨

정체성은 인생 클럽을 통해 구축됨. 즉 인생 클럽에서의 회원들이

 

2) 공동으로 참여해서 구성해 내는 복합적인 성격의 것 회원 재구성

: 인생 클럽의 회원을 한 개인에게 지지적인 사람들로 다시 짜는 것

 

회원 재구성을 위한 대화의 특징과 효과

인생 클럽 회원을 재구성해서 내담자가 선호하는 버전을 풍부하게 기술

회원을 재구성하고 대화를 나눔으로써 내담자 인생에서 의미 있는 정체성 구축이나 중요한 인물과 의도적으로 만나는 작업을 시도

회원 재구성 대화는 특정 회원을 우대하거나 그 자격을 해지하는 일, 등급을 올리거나 내리는 일, 특정 의견을 존중하거나 무시하는 일 등 인생 클럽의 회원을 정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3) 회원 재구성 대화는 외부증인의 개념을 좀 더 확대

- 내담자의 인생에서 상당히 중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잊혀진 사람에 대한 기억을 이끌어 냄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격려, 위안,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함

- 일반적으로 회원 재구성은 내담자의 삶에서, 중요하고 의미 있는 대상을 중심으로 전개

 

의미 있는 대상의 기여 탐색하기

.의미 있는 대상이 내담자 삶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

.내담자의 정체성 의식(‘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이 형성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대상과의 관계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관해 탐색 시도

 

내담자의 기여 탐색하기

.방향을 바꾸어서 내담자가 의미 있는 대상의 삶,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설명

내담자와 의미 있는 대상의 관계구축이 새로운 정체성 형성에 기초 가 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 가짐

.이 단계에서 치료자는 내담자가 풍부한 이야기를 계속해서 써 나가고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그 과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

 

5 대안적 정체성의 구축 : 정의예식과 외부증인집단

1) 이야기치료는 정체성이 사회문화적으로 구축된다는 전제를 가짐

치료과정에 정의예식이라는 의식을 도입하여 내담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삶의 이야기를 외부 증인(outsider witness)이 구성된 청중 앞에서 전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경험을 갖도록 함

=> 한 개인의 정체성이 사회적으로 구축된다는 사회구성주의적 시각을 반영

 

2) 정의예식(definitional ceremony)

- 말하기(telling)’다시 말하기(retelling)’ 예식의 주인공과 외부증인이 교대로 실시하는 구조로 이루어짐 사람들의 삶에 대한 대안적 주제와 대안적 줄거리가 풍부해짐

- 외부증인: 치료자 집단 or 내담자의 인생 클럽회원 or 지역사회 관련자 등

외부증인의 다시 말하기의 목적 - 공명(resonance)으로, 내담자의 대안적 이야기를 사회적으로 인정해주는 역할을 수행

· 정의예식은 참여자 모두 예식 이전과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지평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치료적 대화

 

6 치료적 문서의 활용

1) 치료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서, 글쓰기를 치료에 활용

) 치료자의 치료적 문서자료, 내담자의 글쓰기 등

 

2) 치료적 편지

- 앱스턴이 자주 사용한 방법으로, 내담자의 문제 이야기나 해결지식 등 회기 중에 메모했던 것을 회기와 회기 사이에 내담자에게 보냄

그 같은 진술서가 좀 더 정확히 작성되도록 하기 위해 내담자에게 그 에 대한 정정, 삭제 또는 추가를 요청하기도 함

 

3) 회기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글쓰기 자료 활용

- 치료적 문서의 형식은 매우 다양하며 제약이 없음

- 편지, 미술작품, , 체크 리스트와 같은 다른 형태의 글쓰기 자료 또한 활용

- 내담자는 이런 문서를 보관함으로써 치료적 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

. 이야기치료는 문학적 측면과도 연관성을 가짐

 

3.3 이야기치료의 공헌점과 제한점

1. 공헌점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맥락, 치료 윤리, 정치적 측면을 강조

다양한 문화권 내에 있는 가족에게 적용 가능

사회문화적 관습과 가치관을 비판적 시각에서 평가하고 해체하면서, 여기에서 벗어나 자신의 삶에 관한 이야기를 자율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움

 

2. 제한점

다양한 학문과 이론의 접목으로 인해 치료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치료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훈련이 필요함

가족체계 내 가족 간 갈등과 관계의 역동성, 세대 간 전이 등의 문제들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