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 2장 구비문학 2
1. 서론
구비문학 | |
특징 | * 한국민족의 역사와 같이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되고 전승된 문화유산 * 한국 언어 문자의 특수한 사정에 따라 특이한 양상과 가치를 가짐 - 조선조 후기까지 대다수 국민이 구비문학을 향유 - 오늘날까지 많은 구비문학 유산을 보존 |
갈래 | * 보편적 갈래; 설화, 민요, 무가 <설화> * 신화 < 전설, 민담 *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과 결부된 이야기들이 매우 많음 <민요> * 기능요가 풍부하게 전승됨 * 노동요에는 농업노동요, 길쌈노동요가 많음 * 의식요에는 장례의식요가 많이 전승됨 * 시집살이와 같은 서사민요가 풍부함 * 특징적 갈래: 무가 * 특수성을 띠는 갈래; 판소리, 민속극 <판소리> * 전문적인 창자가 노래하는 장편의 서사시로서 조선조 후기에 발생해 오 늘날까지 한국인의 애호를 받고 있음 <민속극> * 민속제전에서 행해지다가 조선조 후기에 이르러서 독자적인 연극으로 발 전해 시정에서 놀이되었음 |
2. 설화
문헌설화 | 구비설화 |
* 중세나 근대의 문헌에 한자로 기록 | * 현재 민간에서 구전 |
* 국가를 건국한 국조의 이야기 * 고승ㆍ명장ㆍ명신 등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람 의 이야기 |
* 흥미 중심의 허구화된 웃음거리의 이야기 |
* 유교적 교양을 갖추고 한자 문화에 친숙한 사 대부 취향의 이야기 |
* 한자 문화에서 소외된 대중들이 즐겨 향유한 이야기 |
* 한국인의 정신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한국의 설화 문학 |
1) 신화
(1) 신화의 특징과 분류
* 신성성이 인지되는 범위에 따라 조상신 신화와 무속신 신화로 나눌 수 있음
* 한국인 모두가 신화로 인지하는 자료는 국가의 건국경위를 이야기하는 국가 시조 신화
가. 국조신화
북방지역의 신화 | 남방지역의 신화 |
* <단군신화> <주몽신화> | * <박혁거세신화> <수로왕신화> |
* 고조선 건국신화와 고구려 건국신화 | * 신라 건국신화와 가락국 건국신화 |
* 하늘과 땅에 대한 신성 관념 - 하늘의 상징인 남신과 땅의 상징인 여신이 지 상에서 만나 혼례를 행하고 새로운 국가의 시 조를 탄생시킨다는 것 |
* 남신과 여신의 혼례과정을 생략된 채 시조의 출생이 먼저 이루어짐 * 그리고 시조의 건국이 이어지고 그 다음 시조 의 혼례가 나타남 |
* 천신과 지신의 혼례 → 시조의 탄생 → 건국 | * 시조의 탄강 → 건국 → 시조의 혼례 |
* 국가체제가 정비된 이후에 시조가 태어나서 이 미 있었던 국가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를 건국 |
* 국가라는 것이 없었던 시기에 처음으로 국가를 만들고 이 세상 최초의 왕으로 추대 |
나. 성씨 시조신화
* <박혁거세신화> <수로왕신화>
- 건국신화이면서 동시에 성씨 시조신화
* 제주도의 <삼성신화>, 평강 채씨 및 창녕 조씨의 신화
2) 전설
(1) 전설의 특징과 분류
정의 * 이야기 중에서 전승자가 그 내용을 사실이라고 여기는 자료들 - 이야기의 내용을 증명하는 증거물이 있음 |
배경 * 대체로 특정한 역사적 시간과 구체적ㆍ지리적 공간이 제시됨 |
주인공 * 출생과정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죽는 과정이 자세하게 나타남 |
특징 * 비장미가 두드러지는 이야기 - 한국의 역사 속에서 쌓인 한민족의 한이 만들어낸 한의 문학 - 유능하고 용감한 인물이 잘못된 사회의 현실에 맞서 싸우다가 패배해서 죽고 만다는 비장한 내용 |
가. 전국적 전설과 지방적 전설
* 증거물의 인지범위에 따라 전국적 전설과 지방적 전설로 나뉨 | |
전국적 전설 | 지방적 전설 |
* 대체로 역사적 인물이나 역사적 사건과 관련을 가지는 이야기 * 증거물이 바로 한국의 역사 그 자체 - 한국의 국민은 모두 이를 사실로 인정할 수밖 에 없는 이야기 |
* 증거물이 인지되는 범위가 그 지역 주민들의 직접 체험에 근거를 둔 것 * 일정한 한계를 가지는 이야기 |
나. 인물전설과 사물전설
* 작품의 주요 제재나 증거물의 성격에 따라 인물전설과 사물전설로 나뉨 | |
인물 전설 |
* 역사적으로 이름을 남긴 인물에 관한 이야기 * 주로 한문으로 기록된 문헌에 실려 있고, 구전으로도 널리 전해지고 있음 * 주인공은 도가적 인물이 많으며, 이들은 대체로 조정보다 백성들 편에서 산 사람들 * 주인공의 출생과정이나 활동양상이 보통 사람과는 전혀 다른 신이한 면을 보여줌 |
사물 전설 |
* 자연물에 관한 전설과 인공물에 관한 전설로 나누어짐 <자연물> * 지상의 자연물을 비롯해 호수, 암석, 수목 등에 얽힌 이야기 * 신화적인 것에서부터 역사에 관련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 <인공물> * 사원이나 석탑, 성곽, 교량, 글씨, 그림, 조각 등 건축물이나 예술물 등 의 조성과정에 얽힌 이야기 |
3) 민담
(1) 민담의 전반적 특징
정의 | * 이야기 중에서 전승자가 그 내용을 신성하다거나 진실되다고 생각하지 않는 자료들 - ‘꾸며 낸 이야기’ 또는 ‘거짓말 같은 이야기’로 증거물이 없음 |
배경 | * ‘옛날 옛적 어느 한곳에 한 사람이 살았는데’ * 작중의 시간과 공간이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지 않음 - 작품세계가 언제 어디서나 사람이 살던 시간과 장소에서는 일어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짐 |
주인공 | * 신분이나 능력 면에서 매우 다양 * 출생과정이나 성장과정에 대한 이야기가 없이 바로 성년의 모습으로 등장함 - 고귀한 혈통을 내세우며 출생과정을 보여 주는 신화와의 차이점 * 문제를 의식하고 해결하는 과정 역시 심각하지 않음 |
특징 | * 전승범위는 지역의 제한을 받지 않고, 흥미만 있어 청중의 환영을 받게 되면 전승력을 확보함 * 골계미의 원천이 되는 구비산문 |
(2) 민담의 분류 - 주인공의 급수와 성격을 중심으로 -
식물담 | * 의인화된 동물 또는 식물의 이야기 * 등장하는 인간은 보조적 구실밖에 하지 못함 * 기원담, 지략담, 경쟁담, 우화 등 |
바보담 | * 주인공이 보통 사람 이하의 바보로 설정된 소담적 성격을 가지는 설화 * 어리석은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해 여러 가지 우스운 사건을 일으키는 것 <실수담> * 바보들의 바보스러운 행위에 관한 이야기 * 정상적인 사람의 관점에서는 실수이나 주인공 자신에게는 매우 현명한 행위 <성공담> * 주인공의 능력과는 달리 우연과 행운으로 성공하는 이야기 |
범인담 | * 평범한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야기 * 가장 현실성을 띠며, 대체로 체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역사적 인물의 이야기 * 결연담, 출세담, 치부담, 보은담 등 |
초인담 | * 주인공이 보통 사람의 수준을 넘는 유별난 능력이 있는 사람 * 능력의 성격에 따라 명의담, 명복담, 명풍담, 이인담, 장사담, 명공담 등으로 나뉨 |
(3) 민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
승자 | * 대체로 한자 문화로부터 소외되어 농업이나 어업 등 일차적 생산업에 종사하던 피지배대중인 민중 |
주인공 | * 대체로 행운을 얻는 인물 - 우연히 어쩌다가 한 일이 엄청난 보상으로 이어져, 부자도 되고 결혼도 잘해 행복한 가정을 이룩하는 것 * 착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노라면 언젠가는 의외의 행운이 온다는 낙천적인 향유층의 의식을 반영 |
성공 | * 주인공이 이룩하는 성공은 결혼과 치부 - 삶의 질과 양을 개선하고 증진하는 요소 <결혼> * 자신의 수명을 간접적으로 연장하는 행위 * 인간 삶의 양에 해당 <치부> * 삶을 윤택하게 하는 요소 *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 |
특징 | * 한국민담에 나타나는 윤리의식은 생활체험에 바탕을 둔 것 * 다른 사람의 평가를 중시하는 신화나 전설의 주인공의 삶과는 차이가 있음 |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
'한국문학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6. 고전시가 (52) | 2023.01.09 |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5. 한문학 2 (62) | 2023.01.09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4. 한문학 1 (48) | 2023.01.08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3. 구비문학 3 (43) | 2023.01.08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1. 총설 (42)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