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 6 장 고전시가
1. 서론
시가 | * 한국어로 지어 노래한 시 작품 |
고전시가 | * 상고시대부터 19세기까지의 시가 |
특징 | * 음악과 함께 지어지고 향유되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음악과 분리되었음 - 율격적 형식성의 구체화 - 언어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음악성인 율격을 갖춤 * 구비문학과의 관계가 매우 긴밀함 - 최초의 시가는 단순한 형태의 구전문학 - 구비문학인 민요와 매우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음 |
시대적 전개 | |
상고 | *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등 * 대체로 민요로 향유되어 독특한 형식은 없었음 * 제의적인 목적이나 서정 표출을 위한 노래가 특별히 양식화되지 않은 채로 향유되었음 |
신라 | * 향가 * 양식화된 고전시가의 처음 - 노래의 형식성을 갖춘 정형성을 지님 - ‘향찰’이라는 독특한 표기를 채택하여 문자로 기록됨 * 개인 서정시로 창작되어 시가와 민요가 분리되기 시작함 |
고려 | * 속요, 경기체가 |
조선 | 악장 * 조선 건국 초기에 건국의 기쁨과 왕조의 번성을 송축하는 내용을 지님 * 궁중에서 연희되는 음악에 맞추어 노래하고자 했음 시조 * 간결하고 압축된 단형 양식 * 3장 45자 안팎의 짤막하면서도 균형을 갖춘 정형성을 지님 가사 * 두 마디씩 짝을 이루면서 길이는 제한 없이 길어질 수 있는 장형 양식 * 조선 후기로 지칭되는 17세기 이후의 변화 - 시조와 가사가 파격적으로 장형화하는 경향을 보임 - 내용에 있어서 일상의 외설스럽고 좀스러운 일까지 노래하는 등, 소재나 제재가 다양해짐 - 시가문학의 담당층이 널리 확대되고 시가와 음악이 분리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줌 |
2. 상고시가 및 향가
1) 상고시가
주된 특징 |
* 삼국시대 이전의 노래 * 특별한 양식으로 형성되었다고 하기 어려움 * 한자로 짤막하게 뜻만을 기록하고 있어 그 본디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움 * 노래가 불린 내력이 함께 전하고 있어서 그 성격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줌 |
<구지가> | *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 기록되어 전해짐 * 거북에게 머리를 내놓으라고 위협한 짤막한 노래 <성격> * 주술적인 노래 - 위협적인 노래를 해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소원을 이룸 * 출산 기원의 노래 - 거북의 머리 모양이 남성의 성기와 흡사한 모양을 하고 있음 - 이 노래를 매개로 사람이 태어났음 * 본디 노동요였던 것이 나중에 설화 속에 끼워진 것 * 동요와 흡사한 놀이의 노래 * 《삼국유사》의 <수로부인>에 나오는 <해가>와 매우 흡사 |
<공무도하가> | 머리가 하양 미치광이 * 무당이 되려다가 성공하지 못한 사람 * 무당의 권능이 떨어져서 죽음에 이르게 된 사람 * 술에 취한 주신 * 당시 민중의 생활상을 반영한 것 - 미치광이의 행색과 그 아내가 슬프게 울며 노래했다는 점 - 삶의 곤궁함이 죽음에 이르게 한 것 * 불가항력적인 죽음 앞에서 애끓는 정서를 드러낸 이별의 노래 |
<황조가> | * 《삼국사기》에 그 유래와 노랫말이 전함 <성격> * 외로움을 노래한 서정시 * 정치적인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노래한 것 * 본디 사랑하는 사람을 구하는 노래가 나중에 유리왕 이야기에 삽입된 것 * 수렵생활의 사회로부터 농경생활의 사회로 옮겨 가는 과정을 말해주는 것 |
문학적 의의 |
* 모두 노래로 전해지다가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는 점 * 의식적인 노래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주술 또는 제의 중심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음 * 시가의 기능과 성격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음 <구지가> * 노동이나 놀이에 노래가 수반되었다는 전 통성과 보편성을 보여줌 <공무도하가>, <황지가> * 인간 본연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전 통성과 보편성을 보여줌 |
2) 향가
정의 | * 신라시대에 생겨나 고려 때까지 이어진 노래 * 6세기부터 12세기까지의 7세기 동안에 발전과 변모를 보이다가 사라진 문학적 양식 |
명칭 | * ‘우리 노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 * ‘사뇌가(詞腦歌)’ → 향가 중에서도 열 줄짜리의 향가 |
작품 | * 현재 남아 전하는 작품은 모두 25수 《삼국유사》 * 14수 * 형식, 내용, 지은이가 다양 《균여전》 * 11수 * 균여대사 한 사람이 지은 <보현시원가> |
양식 | * 향찰로 표기되어야만 향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님 - 노래로 창작되어 가창되고 전승되었으며, 나중에 그것을 기록하는 데 향찰이 사용되었음 * 작자가 매우 다양했기 때문에 그 내용도 매우 다양했음 |
양식적 | * 한 작품을 이루는 행수에 따라 넉 줄짜리, 여덟 줄짜리, 열 줄짜리의 세 가지 형식이 있음 |
성격 | 넉 줄짜리 특징 * 가장 단순한 형태와 내용 <서동요> * 동요와 참요의 성격 <도솔가> * 산화공덕을 바치면서 불렀다는 단순한 형태의 의식요 <헌화가> * 서정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으나 <해가>와 관련 있는 무가 <풍요> * 흙을 나르면서 불렀다는 짧은 노동요 여덟 줄짜리 특징 * 넉 줄에 다시 넉 줄을 더한 모습을 보여 주는 형식 <모죽지랑가> * 화랑을 찬양하고 추모한 노래 <처용가> * 고려 <처용가>와 관련 있는 무가적 성격을 지닌 노래 열 줄짜리 특징 * 여덟 줄짜리에 다시 두 줄이 추가된 형식 * 덧붙여진 두 줄의 첫머리에 오는 ‘아아’ 등의 감탄사를 양식화 - 구조적으로 단단한 양식성 - 시상의 정서적 고양과 전환을 보임으로써 시의 완결성을 추구 <혜성가>, <찬기파랑가>, <안민가>, <원가>, <우적가>, <제망매가>, <원왕생가>, <도천수관음가>, <보현시원가> 11수 |
열 줄 짜리 향가 |
시상의 전개; ‘3구 6명’, ‘차사사뇌격’ 첫째 - 넷째 줄 다섯째 - 여덟째 줄 아홉째 - 열째 줄 * 처음 두 부분의 병렬 혹은 전개 → 마지막 부분의 고양과 전환 * 시적 대상을 자신의 내면에 정서화 * 서정적 구조와 완결성을 구현 |
쇠퇴 이유 |
* 불교가 민중으로부터 귀족들의 것으로 옮아갔기 때문 * 주요 작자층이었던 화랑이 사회적으로 쇠잔해 버렸기 때문 * 귀족이나 승려 등 일부 특수 계층으로 향유층이 제한되었기 때문 * 한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문자 행위로서의 문학이 중시되었기 때문 |
3. 고려가요
1) 속요
정의 | * 민속가요 * 고려시대의 우리말 노래 가운데서 경기체가를 제외한 나머지 |
<특징> | * 당대에 널리 향유되었음 * 대체로 민간가요적인 성격을 보여줌 * 조선 초기까지 궁중에서 연행되었음 * 남녀 간의 애정에 관한 것이 많고, 그 정서의 표출에 거리낌 없이 대담함 *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등의 악서들에 의해 전해짐 * 각기 매우 다양한 성격과 모습을 지니고 있어서 두드러진 양식성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음 <공통적 특성> * 독특한 여음 혹은 후렴구의 존재 - 음악에 맞추어 흥을 돋우기 위해 - 한 편의 노래로서 형식적 동질성을 갖추기 위해 * 감탄사로 보이는 표현의 존재 - 노래의 정감을 높이기 위해 |
형식 | 단련체 * 작품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정읍사>, <정과정>, <사모곡>, <상저가>, <유구곡> 분련체(연장체) * 여러 연이 이어지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음 * 속요의 나머지 대부분 |
제재 | * 부모에 대한 애정 * 노래하는 자체의 즐거움 * 변치 않는 사랑과 지속적인 그리움 * 사랑의 결핍 또는 결여를 충족하고자 하는 심리적인 기미 |
성격 | 민요적 속성 * 노랫말에 속요적인 특성이 드러남 * <상저가>, <사모곡>, <가시리> 등 민요 → 궁중 연희의 악곡 * 궁중 연희의 악곡에 맞추기 위해 노랫 말이 바뀐 것 * <쌍화점>, <만전춘>, <청산별곡> 무가계통 * <처용가> 개인 창작 가요 * <정과정> |
2) 경기체가
정의 | * 13세기 초에 <한림별곡>을 시작으로 출현해서 조선시대까지 그 명맥이 유지되었던 시가양식 |
특징 | 명칭 *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 혹은 ‘경기하여(景幾何如)’라는 구절이 되 풀이 되는 것을 두고, 이를 줄여서 붙인 명칭 내용 * 선비들이 학식과 체험을 노래하는 것 * 글, 경치, 기상 등 |
한계 | * 한자 표기로 된 사물의 나열에 후렴구를 덧붙이는 정도의 융통성 없는 형식성 * 정서적 기미를 표현하는 데 부절적 |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
'한국문학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8. 고전산문 (48) | 2023.01.10 |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7. 고전시가 2 (69) | 2023.01.10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5. 한문학 2 (62) | 2023.01.09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4. 한문학 1 (48) | 2023.01.08 |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3. 구비문학 3 (43)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