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강의

국어국문학, 한국어문학, 교육학 등 한국문학강의 요점 요약 정리 8. 고전산문

롤라❤️ 2023. 1. 10. 15:56
반응형

제 8장 고전산문


1. 서론

정의 * 1894년 갑오경장 이전에 창작된 ‘국문소설’ 및 ‘국문으로 쓰여진 교술산문’
국문
소설
* 최초의 국문소설은 허균이 창작한 《홍길동전》
- 사회성을 뚜렷이 갖는 작품으로 출발
* 17세기는 국문소설의 발흥기

<발흥한 이유>
* 여성 독자층의 형성
* 국문의 광범위한 보급
* 오래 전부터 창작되어 온 한문소설 창작 경험의 축적
* 임진왜란 이후 초래된 서민의 자아 각성 및 새로운 문학환경의 조성
국문으로
쓰여진
교술산문
* 국문 독자층의 요구에 따라 발전

<종류>
* 청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견문한 것을 기록한 글 → ‘연행록’
* 유배의 경험을 기록한 글
* 궁중의 비사를 기록한 글
* 유람 기행문
국문소설
판소리계
소설
<정의>
* 광대들에 의해 가창된 구비서사시인 ‘판소리’로부터 소설화된 일군의
작품들

<특징>
* 구어체 소설로 서민적 생기와 발랄함을 느낄 수 있음
* ‘근원설화 → 판소리 → 소설’이라는 공통된 성립과정
- 판소리의 소설로의 전환은 18세기 이후
* 판소리 사설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으나, 그 작자를 알 수 없음
* 조선 후기 사회가 안고 있던 핵심적 문제들을 내용으로 삼고 있음

<여타의 국문소설>
주인공 * 영웅이나 재자가인
주인공의성격
* 시종일관 도덕적 풍모를 갖춘 인물
* 선인과 악인이 명백히 구분되어 있음

내용
* 주인공이 스스로 초인적인 능력을
발휘하거나 도사의 도움으로 적대
자를 물리침으로써 선과 질서를
회복하고 부귀를 누리는 것

<판소리계 소설>
* 실제의 삶 속에 존재할 만한 인물들
* 도덕적 인물로만 이상화되어 있지
않고, 자신의 욕망과 관련한 비속
한 면모도 잘 보여줌

* 천편일률적으로 권선징악만을 표
방하지 않고, 신분이 다른 남녀의
애정 문제ㆍ탐관오리 문제ㆍ지배
층의 횡포에 대한 하층민의 슬기
로운 대응ㆍ빈부 문제 등
가문
소설
정의
* 한 가문의 몇 대에 걸친 이야기나 몇몇 가문이 혼인을 통해 서로 얽히면
서 파란을 빚는 이야기를 긴 편폭으로 펼쳐 보이는 소설

특징
* 연작이 많고, ‘대장편’으로서의 규모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대부분
* 중세 유교사회의 ‘가문의식’와 대단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

가문의식과 가문소설

가문의식의강화
* 17세기 후반 이래 가문의식은 더욱 강화되어 왔음

정치적
* 몇몇 가문이 정권을 독차지하는 현상이
일반화되었음
* 사대부층에서 가
부장적 질서를 강
화하고 옹호함으
로써 지배체제를
유지하고자 함

사회적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지배체
제가 이완되거나 해체되는 양상을 보임

<가문소설에의 반영>
* 거의 모든 가문소설이 가부장적 가문질서의 수립과 가문의 창달에 초점

 

2. 국문소설의 형성과 발전

허균의 《홍길동전》
허균의
사상
* 봉건도덕의 굴레로부터 인간본성의 회복 및 인간이 지닌 개성의 긍정과 감정의 해방
* 조선왕조의 인재 등용 방식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
- 서얼 출신의 사회적 진출을 가로막는 것은 자연법상 부당하다는 논지
구조 * 우리나라 전래의 신화 및 전설에서 발견되는 ‘영웅의 일대기’

《홍길동전》 
주인공
* 천상과 관련을 짖지 않음
* 어떤 원조자의 도움을 받지 않음
* 스스로 현실을 헤쳐 나가는 면모
* 주인공이 주체적으로 운명을 개척

<후대의 영웅소설>
* 천상인의 하강
* 하늘과 관련을 맺는 도사의 도움
* 운명론적 전개
특징 * 높은 문제의식과 예술성을 지니고 있음
* 주제와 문제의식은 당대의 역사적 현실에 기초하고 있음
- 16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농민 저항의 역사적 현실의 반영
의의 * 심각한 주제의식과 그 사상ㆍ예술적 성취
* 우리나라 소설사의 새로운 경지를 열어 보인 것
* ‘군도’를 통해 지배층과 농민의 대립을 반영하고 있음
* 당시 사회의 또 다른 모순이었던 ‘적서차별’을 그 핵심적 주제로 삼고 있음
한계 * 홍길동으로 하여금 병조판서의 지위에 만족하고 조선을 떠나 율도국의 왕이 되게 하는 결말
* 홍길동이 추구한 ‘인격의 실현’은 농민이나 노비를 포함한 민중의 인격 실현은 아니었음
⇒ 신분제도의 ‘모순 일반’에 대한 인식에는 이르지 못했고, 지배층 내의 문제인 적서
차별의 모순만을 제한적으로 인식했음
김만중의 《구운몽》
김만중
의 사상
구조 * 선계와 현실세계의 이중구조
- 천상적 질서와 지상적 질서 사이에는 순환적 관계가 성립
* 꿈의 형식, 즉 환몽구조
- 우리나라 서사문학의 한 전통으로 전해 내려오던 ‘꿈의 형식’을 수용

주제 * 귀족적 이상주의를 잘 구현한 작품
* 성진의 삶과 양소유의 삶에 대한 긍정
<성진의삶>
* 양소유의 삶 저너머에서 ‘존재의 근원적 의미’를 추구
* 양소유의 삶이 한갓 통속적인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게 만드는 역할

<양소유의삶>
* 성진의 삶을 한층 절실하면서도 반성적 깊이를 갖는 것으로 만드는 역할
의의 * 다채롭고 풍부하며 흥미진진
* 국문소설의 발달에 심대한 영향을 끼침
- 영웅소설이나 가문소설의 창작에 적지 않은 영향
* 불교적 인생관을 바탕으로 삶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탐색했음

 

3. 판소리계 소설

정의 * 조선 후기 서민예술의 정화라 할 수 있는 판소리가 소설화한 것 (19세기)
특징 ① 판소리 사설의 문학적 특성의 전이
- 율문체의 문장, 당대 서민층이 쓰던 생활어
② 소재나 주제의 다양성
③ 해학적이거나 풍자적인 표현방식
④ 수많은 이본의 존재, 이본 내용의 다양성
⇒ 조선 후기 서민층의 성장한 의식이 잘 반영되어 있음; 강한 현실주의적 성향
《춘향전》
기본적
특징
* 연애담이면서도 연애담에 그치지 않는 심각한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음
- 연애담 속에 당대 사회의 주요한 모순과 사회ㆍ역사적 동향을 반영
* 작품 전체를 통해 봉건적 신분관계에 대한 반대, 인간평등의 요구를 줄기차게 제기하고 있음
작품의
내용
춘향과 관련된 내용
,‘춘향’>
* 관기였으면서도 스스로 관기이기를 거부
* 자기 마음에 드는 한 남성을 택해 결혼하고자 하는 생각을 지님
<춘향의사랑>
* 평소 지녔던 신분 해방의 욕구 및 자신의 인간적 감정을 충실히 좇음
*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현존의 사회관계에 대한 도전
<춘향의수청거부>
* 변사또의 민중 수탈에 대한 비판 및 봉거주의에 대한 반대
* 조선 후기 민중의 정치적 입장을 반영
* 당대 민중의 세계관의 정점에 도달
→ 기생 신분이면서도 기생이기를 단호히 거부한 춘향의 행위는 ‘인간해방’의 의
미를 내포

변사또와 관련된 내용

변사또 
* 조선 후기 탐관오리의 전형

변사또의등장 
* ‘춘향ㆍ이몽룡ㆍ변사또’의 삼각관계를 형성

변사또의수청강요 
* 춘향의 인간적 요구를 짓밟는 행위


의의 * 18세기를 전후한 조선 후기 민중의 세계관과 정치적 이상의 반영
- 봉건주의에 반대하면서 인간평등과 인간해방을 요구
* 전환기 민중의 세계관을 미학적으로 승화시켜 표현
- ‘결연 → 이별 및 항거 → 재회’라는 미적 체계 안에서 당시 민중의 정치적 이상을 내포

 

4. 가문소설

정의 * 한 가문의 여러 대에 걸친 파란만장한 이야기나 몇몇 가문이 결혼을 통해 서로 읽히면
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는 이야기를 주된 내용으로 삼는 소설군
특징 * 작품 분량이 대단히 방대함
* 독자층은 상층의 사대부 부녀나 궁중의 여인들
특성 * 상층 사대부 여성 독자의 취향과 요구를 반영
① 주인공은 문벌을 자랑하는 상층 귀족 출신의 남녀
* 특정한 한 쌍의 남녀보다는 여러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대부분
② 궁극적 지향점은 가문의 무한한 번영과 가부장적 질서의 회복
* 가문적 질서를 확립하고 가문의 화합을 달성하는 과정을 공통적으로 그림
③ 전개 과정은 많은 종류의 핵심적인 갈등
* 두 남녀의 결연을 가로막는 존재와 두 남녀 사이의 갈등
* 남편의 사랑을 독점하기 위한 ‘처-처’ 혹은 ‘처-첩’ 간의 갈등
* 계모와 전실 소생 자식 간의 갈등
- 계모와 전실 소생 아들 간의 갈등은 그 본질에 있어서 가장권의 계승을 둘러싼 것
④ 가정과 궁정, 가정사와 국가사의 밀접한 관련
⑤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중구조, 또는 천상계의 존재
* 《구운몽》에서 마련된 전통의 계승으로서, 귀족적 이상주의를 드러냄
완월회맹연》
제목의
의미
* ‘완월대 연회에서의 굳은 약속’
- 온갖 난관과 장애에도 불구하고 이 맹약에 따라 다섯 쌍의 남녀가 부부로 결합하는 과정
특징 * 맹약과 관련된 남녀 주인공의 운명뿐만 아니라, 그 주변 인물들의 삶과 운명에 대해서
도 대단히 집요한 탐구를 하고 있음
주제 <중세적 질서를 떠받치는 가장 핵심적 이념>
지극한효성
* 유교의 전통적 교의를 충실히 따른 것
* 중세적 지배이념을 옹호하거나 그 회복을 꾀하고자 하는 지향
형제간의우애
* 인성ㆍ인중ㆍ인웅 사이의 관계
* 이복형제 간에도 불구하고 서로 돈독한 우애를 나눔
왕실에대한충성
* 정잠ㆍ정인성ㆍ정인웅 등의 거듭된 출정과 입공
* 정씨 가문의 인물들은 황제가 가장 신임하는 충신들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① 보수적 지향
② 현실 반영의 측면
- 조선 후기에 들어와 일부다처제와 가부장제에 토대를 둔 지배층의 봉건적 가족관계가
커다란 모순을 노정하게 된 현실을 반영
③ 여성 작자의 출현
- 독자층인 상층 여성은 독자에 그치지 않고 직접 자기네의 기호에 맞는 가문소설을 창작

 

5. 소설 이외의 산문문학

특징 * 조선 후기에는 한글로 쓰여진 교술산문이 상당수 창작되었음
주된
작품
* 궁중에서 일어난 비통한 사건의 전말을 기록한 것
《계축일기》  
* 광해군 5년인 1613년
에 광해군이 부왕 선
조의 비인 인목대비
와 대비의 아들 영창
대군에게 왕위찬탈의
혐의를 씌워, 인목대
비는 서궁에 유폐하
고 영창대군은 살해
한 사건
《인현왕후전》
* 숙종 15년인 1689년
에 숙종의 비인 인현
왕후가 후궁 장씨의
무고로 폐위되어 서인
이 되었다가 5년 후에
다시 복위된 사태
《한중록》
* 영조 38년인 1762년
에 영조가 아들 사도
세자를 뒤주에 가두
어 굶어 죽인 사건
 
《한중록》
구성 * 상호 연관성을 갖는 네 개의 독자적인 글
특징 * 일종의 자전적 회고록
* ‘한’의 미학을 그 기저에 깔고 있음 → 슬픔의 절제와 내면화
문학적
성취
* 가려져 있는 역사적 진실
* 인물의 성격에 대한 뛰어난 묘사
* 인물들이 빚어내는 갈등의 생생한 재현
의의 * 유려하고 전아한 문체로 당대 궁중의 풍속을 그림 → ‘궁정문학’
* 작자의 비극적 체험 + ‘한’의 정서를 내면화

 

6. 결론

《홍길동전》
* 우리나라 최초의 국문소설
* 의적소설이자 역사소설
- 근ㆍ현대 문학인《임꺽정》이나 《장길산》같은 작품으로 계승
* 영웅소설로 불리는 일군의 작품들에 큰 영향을 미침
* ‘농민문제와 서얼문제’라는 16,7세기 조선의 사회적 모순을 그림

 

《구운몽》
* 심오한 깊이와 서사적 장대함을 획득
* 당시 사대부의 귀족적 이상을 표현
* 선계와 현실계의 이중구성을 통한 불교적 인생관의 형상화
* 후대의 영웅소설이나 가문소설에 영향을 미침

 

《완월회맹연》
* 무려 180책이나 되는 거작
* 가문소설의 제반 특징을 잘 보여줌
* 정씨 가문의 번성과 내부적 갈등을 3대에 걸쳐 도도하게 펼쳐 보이고 있음
* 근ㆍ현대 소설의 ‘가족사 소설’인 《삼대》와 《토지》로 연결됨

 

《한중록》
* 자전적 회고록 → 작가가 직접 겪은 왕실의 비극적 사건을 서술
* 우리나라 교술산문 가운데서 백미에 해당되는 작품
* 근대 전기문학(
傳記文學)으로 이어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