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정신역동 이론의 발전
1 추동 이론과 자아심리학
1) 삶의 추동과 죽음의 추동
□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생물적 기본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동기화됨, .
□ 음식이나 성적 욕구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충동은 신경계 내에 에너지가 형성되도록 만듦.
- 프로이트는 이러한 심리성적 에너지를 리비도(libido) 라고 불렀으며 리비도가 높을 때 ,
불안의 형태를 취하는 심리적 불편함이 야기된다고 주장.
- 만일 리비도가 검열 받지 않은 채 계속 증가하게 되면 정신건강을 위협할 수 있음, .
- 따라서 이 에너지를 방출하여 편안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유일한 길은 생물적 충동을
만족시키는 행동을 수행하는 것.
□ 그런데 충동은 잠시 휴지기를 가질 뿐 결코 식을 줄을 모르기 때문에 어떤 만족도 그저 일시적일 뿐임.
□ 불안은 추동이 지나치게 높으며 회복할 수 없는 심리적 손상을 야기할 정도로 위협적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적응적 경고 시스템으로 작동함
□ 프로이트의 추동 개념은 많은 측면에서 댐에 물이 차오르는 것과 같음.
□ 상류는 끊임없이 댐에 물을 공급하며 물의 흐름은 결코 그치지 않을 것이기에 댐은 하류로,
물을 서서히 방출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함.
□ 만일 댐이 정기적으로 물을 방류하지 않는다면 물이 차올라 댐이 넘쳐 하류지역에 홍수를,
일으킬 위험이 있음 그리고 수위가 높아질수록 위협도 커짐. .
□ 수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게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은 수위를 점검하여 수위가 댐
꼭대기까지 차오르는 것을 경고해주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 이 유추에서 물은 리비도이며 경고 시스템은 불안
▣ 프로이트가 제안한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추동
① 삶의 추동 또는 성 추동(life drive )
- 삶의 추동은 프로이트에게 있어 가장 유명한 추동.
- 이 추동은 음식과 물 그리고 성적 생식과 같은 기본적인 생존과 쾌락주의적 즐거움을 반영.
- 삶의 추동은 자신의 삶을 유지시키며 그 삶을 후속 세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짐.
- 리비도란 삶의 추동이 생성하는 에너지를 말함.
② 죽음의 추동(Death Drive)
- 삶의 추동만을 가지고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한 프로이트는
1920년에 출판한 책 쾌원리를 넘어서(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에서 죽음 추동을
첨가하게 되었음.
- 전쟁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외상 사건을 경험하는 사람은 그 경험을 의식에서 되새기기
십상이라는 사실에 주목한 프로이트는 사람들이 죽고자 하는 무의식적 소망을 가지고
있으나 평상시에는 삶의 추동이 이러한 소망을 가라앉힌다고 결론 내렸음.
- 그는 죽음 추동이 생성하는 에너지를 타나토스(thanatos) 라고 불렀음
2) 방어기제
(1) 기능
□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
□ 방어기제는 특정 상황에서 초래되는 불안 을 직면하지 않아도 되게 함 하지만 특정‘ ’ .
방어기제들을 자주 지속적 현실과 무관하게 사용할 시 현실을 회피하는 패턴 형성 =>
내담자 문제의 시작 (병리적)
(2) 특징
□ 불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 개인 내면에서 무의식적으로 개발된 방법
□ 현실이나 불안을 직시하지 않고 현실부정 왜곡 내적 체험의 차단을 통해 불안처리
(3) 종류
종류 | 의미 | 예시 |
억압 | 고통스럽거나 수용할 수 없는 경험 충동 생각 기억 감정 등을 의식에서 밀어내는 기제, |
외상적 사건에 대한 기억제거, 고통의 해리 |
부정 | 억압과 유사 생각이나 느낌 외에 보는. 것까지도 왜곡하거나 자각하지 않은 기제 |
가족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그 사건 발생 및 사망 자체를 부정 |
반동형성 | 원래의 욕구와는 극단적으로 반대되는 행동을 하는 것 |
미워하는 사람에게 과도하게 헌신하는 행동 |
투사 | 자신이 수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생각의 기원을 타인에게 돌리는 것 돌리는 것 타인에 대한 나의 의심과 분노를 나에 대한 타인의 공격성과 적대성 때문으로 |
자신이 누구를 미워할 때 그가 자신을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도 그를 미워한다는 경우, 강하나 억압된 부도덕한 성적 충동이 있는 부인이 모든 남자는 믿지 못할 사람이라고 주장하는 경우이다. 자신의 실패를 남의 탓으로 돌리는 것' ' |
전치 | 자신의 감정을 상대적으로 안전한 대상에게 쏟아내는 것 |
직장상사에게 위협을 느낀 직원이 집에 가서 자녀에게 화내는 것 |
퇴행 |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서 이전의 발달단계로 돌아가는 것 |
학교에 처음 등교하는 아동이 부모에게 매달리거나 손가락을 다시 빨기 시작하는 것 |
합리화 | 실패 민망한 상황에서 겪는 불안을, 경감시키려고 핑계를 만드는 것 |
시험을 망친 학생이 시험문제가 어려웠다거나 불공평하다고 하는 것 |
주지화 | 정서적인 주제가 나왔을 때 직접 다루지, 않고 추상적인 사고를 통해 간접적으로 다루는 것 |
가족이 죽었을 때 상실의 고통을 느끼기보다 죽음의 의미와 삶의 목적에 대한 추상적 생각에 심취하는 것 |
2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
1) 대상관계 이론의 발전
□ 대상이란 주체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주체가 관계를 형성하는 어떤 것‘ ’
□ 주체와 어떤 정서적 색조가 가미된 관계를 형성하는데 정서적 경험을 할 수 없는 어떤 것은,
대상으로 기능하지 못함 대상은 일반적으로 사람이지만 사물이나 일 등도 대상의 기능을 함. ,
□ 대상관계라는 개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프로이트였지만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이 개념에,
다른 의미가 부여되었음.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인간을 본능적 추동 에 의해 지배되는 자기중심적인(drive)
개체로 보고 욕구만족 충동발산 긴장이나 불안 감소 등의 개인내적, , (intrapsychic)
심리과정을 중시함.
□ 이에 비해 대상관계이론에서는 타자와의 관계 형성 및 심리적인 교류를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로 전제함.
□ 따라서 타자에 대해 자기의 욕구충족 수단 이상이며 자기가 정서적인 유대를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의 의미가 부각됨
□ 대상관계에서의 대상이란 단순히 타자 혹은 그에 대한 경험이나 기억만이 아니라
자아구조의 하나인 내적 대상 을 포함하는 개념‘ ’ .
- 내적 대상은 과거 대인관계경험을 반영하며 현재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침.
- 과거 대인관계경험들이 남긴 여러 이미지들이 혼입되어 대상표상 즉 대상을 바라보는,
내면의 창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
□ 전통적 정신분석에서는 자아구조의 발달에 있어서 본능적인 추동의 영향을 강조하고
개인내적 심리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관계인물과의 실제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함.
□ 이에 비해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오이디푸스 갈등 남근기 이전의 심리발달에 관심을 두고
생애초기 양육자와의 관계 경험이 자아구조의 형성 병리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룸.
- 따라서 대상관계이론에서는 생물학적 요소인 추동에 의한 발달의 중요성은 감소하게
되었고 유아와 부모사이의 관계 그리고 초기 관계에서의 장애 등이 더욱 강조되었음, .
- 하지만 대상관계이론가들 사이에서도 초기 관계경험뿐만 아니라 추동이 어느 정도 개인의
성격구조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보임
(1) 대상 과 대상표상
□ 대상은 주체의 사랑이나 미움을 받는 사람이나 장소 사물 환상을 의미 즉 개인 자기 이 감정을
투여한 어떤 것 타인이든 무생물이든 생각이나 환상을 포함
□ 대상표상이란 대상을 자신 자기 안에 상(image) 로 떠올린 것을 뜻함
(2) 자기 와 자기표상
□ 자기란 스스로가 느끼는 자신과 관련된 의식적이고 무의식적인 정신적 표상(representation).
□ 자기표상은 어떤 대상표상과 짝 지워지느냐에 따라 자기와 구별됨
(3) 자기 - 대상 : 대상관계 단위
□ 자기표상(self representations) 과 대상표상(object representations) 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관계 구성단위로 불리는 관계 안에서 존재
2) 분리-개별화 이론
□ 유아의 심리적 탄생에서 서서히 전개되는 심리내적 발달 단계들을 일컫는 말러 의 용어
□ 이 용어는 발달에 대한 이론 과정 그리고 단계 모두에 사용됨, .
□ 분리 - 개별화 단계 앞에는전 단계가 있는데 이것은 커다란 중요성을 가짐
□ 비교적 외부 자극에 덜 반응하는 정상적 자폐 단계 (탄생 시부터 10-12주까지) 와 어머니와의
특별한 정서적 애착을 확립하는 정상적 공생 단계 (6주에서 1년)
□ 어머니 유아의 공생 이라는 말은 유아가 어머니와 자신을이중 단일체로 경험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유아의 행동에 바탕을 둔 추론으로부터 나왔음, .
□ 이러한 공생 안에서는 자기와 대상이 거의 정서적으로 구별되지 않음.
□ 어머니는 유아 자신의 자기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유사 확장체(quasi-extension) 로 지각됨
좌절과 만족이 교차함에 따라 유아는 차츰 외부에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됨
□ 어머니와의 공생적 관계는 어머니에 대한 특정 미소 반응으로 나타남.
□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의식적인 태도와 특히 어머니의 무의식적인 태도는 유아의 자기 및 대상
세계에 대한 관념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됨
□ 분리 개별화 단계의 시작 (24개월까지 지속되는) 은 공생이 절정에 이른 시기인 5-6개월에 일어남 .
□ 분리는 아동이 어머니와의 공생적 이중 단일체로부터 벗어나는 심리내적 과정을 말함.
□ 이 과정은 자기로부터 독립된 어머니의 정신적 표상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대상관계 발달을 포함.
□ 개별화는 아동이 자신의 개별적 특성을 구별하고 그래서 자기가 대상으로부터 구별된 일련의,
자기 표상들로서 드러나는 심리내적 과정을 말함.
말러의 분리 - 개별화 4단계
① 분화 5-6개월 ~ 10개월까지 단계
- 이 단계 동안에 유아는 점차적으로 세상에 대해 커다란 관심을 가지며 더 많은 인식을
가짐 마치 공생적 단위로부터 부화 하는 것과 같은 행동을 보임. ‘ ’
② 연습 10개월 ~ 15개월 단계
- 이 단계 동안 유아는 출현하는 인지력 운동기술을 시험하고 연습하고 신체적 분리의,
경험과 그것의 심리적 결과에 대해 익숙해짐.
- 감정적 연료를 충전하기 위해 어머니를 필요로 함 특히 자신들이 지쳤을 때
- 이 단계의 주된 기분은 의기양양함.
- 걸음마 아기는 자신의 전능함에 대한 믿음이 절정에 달하는데 이것은 모성적 전능함에
대한 믿음의 정도와 비례
③ 재접근 16개월 ~ 24개월 단계
- 아동이 어머니 공생적 결합 와 머무르고 싶은 소망과 분리된 개인으로서의 자율성에
대한 소망 간의 심리내적 위기를 해결하는 단계.
- 인지 발달과 함께 걸음마 아기는 어머니와 자신이 분리되었으며 자신이 어머니를,
통제할 수 없다는 고통스런 사실을 인식하게 됨.
- 아동은 이제 어머니를 찾기 위해 능동적으로 대응.
- 그리고 어머니를 통제하기 위해 강압적인 행동을 함 분리 불안을 다시 경험하고 자신이.
전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는 걸음마 아기는 자존감을 상실하고 연습 단계의 전능감을 상실, .
- 이 시기에 아동이 보이는 양가감정과 서로 상반되는 경향은 보다 현실적인 자기감을
발달시키고 자신의 자율성에 대한 믿음을 개발시킴에 따라 천천히 가라앉음
④ 대상 항상성 (24개월 ~ 30개월 단계)
- 이 시기에 아동은 어머니의 정신 표상의 특질과 기능을 인식.
- 리비도적 대상 항상성을 확립한다는 것은 어머니의 정신 표상이 확고해짐으로 인해
어머니가 실제로 없더라도 어머니가 실제로 있는 것처럼 위안을 줄 수 있음을 의미.
- 어머니의 심리내적 표상은 심지어 아동이 어머니에게 화가 났거나 얼마 동안 떨어져
있더라도 긍정적인 특성이 쉽게 변화되지 않음
3) 컨버그(Otto Kernberg)의 자아심리학적 대상관계 이론
□ 컨버그는 대상관계 이론 발달 이론 전통적인 프로이드 본능 이론을 혼합하여 하나의
이론으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했음.
□ 여러 이론을 통합하여 인간의 심리적 병리를 설명하고 진단상의 확신과 일관성 있는 치료
기법을 제시했다는 점에 가치를 둠.
□ 특히 경계선과 자기도취적 병리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갖도록 한 그의 이론은 오늘날의
논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컨버그가 프로이드의 전통적 용어를 사용하기는 했지만 그는 분명 대상이 추동에 앞선다고
믿고 있고 사람을 본능에 따르는 사회적인 존재로 간주,
□ 대상관계에 대한 중요성보다 자아가 일차적이고 과정이라는 구조적 모델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각하였음.
- 구조는 관계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믿었음
4) 자기 심리학(self psychology)
□ 정신분석학의 분파로 시작되어 자기대상과의 경험을 통한 건강한 자기의 발달과 주관적,
□ 경험에 대한 공감을 강조하는 심리학 이론
□ 미국의 심리학자 하인츠 코헛(Heinz Kohut) 에 의해 정립된 이론으로 자기애적 성격장애 ,
□ 환자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점차 자기 개념에 초점을 맞추며 자기심리학 이론을 발전시켜 나갔음
□ 이드 자아 초자아의 자기구조론과 성적 욕망 무의식적 추동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정신분석학과는 달리 자기심리학에서는 발달 단계에서 자기대상과의 관계를 강조함
- 개인은 자신과 동일시하고 자신의 주관적 경험에 대해 반응해줄 수 있는 대상이 있을
때에만 통합적인 자기를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봄.
□ 이런 점에서 자기심리학은 대상관계이론과 유사점을 가지며 내담자의 경험에 대한 공감을,
중요시한다는 측면에서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와 공통점을 보임
□ 초기 발달기 아동은 완전하고 강력한 존재로서 부모를 이상화시키면서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이를 이상화 자기 대상 욕구 라고 함‘ ’ .
- 프로이트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통해 아동과 이성 부모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춘 데
반해 자기심리학에서는 부모와의 이상화를 통해 안정감 및 높은 자아 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다고 봄.
□ 아동은 또한 부모의 인정을 통해 자신이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반영적 자기 대상 욕구 라고 함‘ ’ .
- 이 욕구가 충족되면 아동은 과대적 자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 건강한 발달을 이루게
됨 반대로 욕구가 좌절되면 낮은 자존감을 갖게 되고 지나치게 과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 자신과 비슷한 생각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는 동반적, ‘
자기대상 욕구 도 있음’
□ 자기심리학의 관점에서 치료자는 환자가 수용 받지 못했던 욕구들을 재 경험하는
자기대상으로서 기능하고 이때 환자가 경험하는 정서를 면밀히 관찰하여 반응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함
- 이를 통해 환자는 치료자가 제공하는 자기대상 기능을 내재화하고 비로소 독립적이고,
안정적인 자기를 형성하는 자기대상 전이 를 할 수 있게 된다‘ ’ .
□ 자기심리학은 이드심리학 자아심리학 대상관계 이론과 함께 정신분석의 주요 학파가
되었으며 이러한 이론들과의 통합적 적용을 통하여 개인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 제공함
- 또한 이러한 다양한 학파들의 발달과정과 이론적 논쟁에 대해 연구하고 어느 하나의,
이론에 편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교정신분석학 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등장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2. 인지치료 (48) | 2023.03.10 |
---|---|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1. 정신역동 심리치료의 실제 (53) | 2023.03.09 |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19. 인지영역별 신경심리검사 (68) | 2023.03.08 |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18. 인지기능장애와 관련되는 신경병리 (52) | 2023.03.08 |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17. 행동평가의 방법 2 (55)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