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28. 이미지와 명제의 종합

롤라❤️ 2023. 3. 29. 09:06
반응형

28. 이미지와 명제의 종합

 

1) 반대되는 2가지 견해
이중부호이론 (지식은 이미지와 상징이라는 2가지 부호로 표상된다) vs 명제이론 (지 
식은 이미지 형태나 단어 혹은 다른 상징형태가 아닌 내재된 명제에서만 표상된다)
Finke의 시각적 심상에 대한 이론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기술된 발견들을 재검토 해보고자 함
이미 이미지 표상과 관련해서 핀케의 첫 3가지 준거를 언급했었음 심적회전 이미지크기의 
변화 이미지 주사에 대한 연구들 
그러나 모호한 그림과 친숙하지 않은 사물의 심적조작과 관련된 연구들에서는 지각 = 심상 으로 보기엔 한계가 있음 


2) 부수현상과 요구특성
Margaret Intons-Peterson:  심상연구 결과들은 요구특성(demand characteristics) 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
- 즉 암묵적으로 실험자의 기대가 참가자들에게 전달되어 그렇게 반응하도록 영향을 미쳤다는 것임,


3) Johnson-Laird의 심적 모형
 Johnson-Laird는 심적 표상이 명제 심적 모형 혹은 이미지라는 3가지 중 어느 것도 취할 
수 있다고 하면서 일종의 대안적인 통합을 시도하였음
- 이미지 + 언어+  …
- Johnson-Laird는 명제란 의미를 완전히 추상적으로 표상한 것이며 이는 언어적으로 ,
표현이 가능하다고 보았음 (※언어적 표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다른 인지심리학자들의
주장과 구별 짓게 하는 결정적 준거가 됨)
- 심적 모형은 개인이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구성한 지식구조를 말함

⋅이 모형은 경험에 대해 개인이 갖고 있는 암묵적 이론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그
정확성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예 : 백인을 보고 어른과 아이가 갖게 되는 심적 모형이 다르기 때문에 행동이 다른 것임 

- 이미지는 훨씬 더 구체적인 표상임 특정 사물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보이는 많은 지각적 세부특징을.
포함하고 있음예 고양이가 탁자아래에 있다 는 문장은 명제언어적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로서 
심적 모형일반적인 고양이나 탁자에 대한 모형 아마도 원형을 닮은 것에 대한 모형 형성으로서 
그리고 이미지특정 탁자 아래 특정 위치에 있는 특정 고양이의 이미지로서 표상될 수 있음 
실험 A그룹에게 공간적 배열 사물의 정확한 위치 에 대해 정확히 묘사해주었고 B그룹에게 
불명확한 공간배열 사물 위치를 애매하게 제시함 을 묘사해주었음 예) 워싱턴 위치에 대한 
묘사는 버지니아 주의 알랙산드리아와 메리랜드 주의 볼티모어 사이에 있다 는 것이고 불명확한 묘사로는 태평양과 대서양 사이에 있다 라는 것임‘ ’ )
- 결과 A그룹 : 위치를 설명해준 말 자체는 잘 기억하지 못했으나 묘사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공간 정보를 추론해냄 = 참가자들이 정보에 대한 심적 모형을 만들었음을 시사
- 그들이 묘사된 말 자체를 잘 회상하지 못했다는 사실은 그들이 심적 표상을 위해 언어적
묘사보다는 심적 모형에 더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임
- B그룹 : 묘사에 포함되지 않은 공간 정보를 거의 추론 X, 오히려 위치를 설명해준 말 자체를 더 잘 기억함
연구자들은 불명확한 기술을 들으면 수많은 심적 모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심적 모형을 추론하지는 않았다고 보았음 대신 불명확한 기술을 언어적 
표현이 가능한 명제로 표상하는 것이라 함
- 지식표상의 형태로서 심적 모형에 대한 개념은 다양한 인지현상 예) 시지각 기억 문장이해 
추론 등 에 널리 적용되어 왔음)
실제로 Johnson-Laird는 추론에 심적모형을 적용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음
심적 모형을 사용하면 시각적 심상만으로 설명이 안 되는 것들이 설명 가능함
- 선천적 맹인 연구 한 번도 시지각을 경험한 적이 없기 때문에 그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한 적이 없음 ➜ 일반인 vs 맹인 ➜ 일반인은 일반적인 지도 주사 과제를 주고 

맹인은 만져서 위치와 지형을 알 수 있는 지형도를 사용하여 지도의 심적 이미지를
형성하게끔 하여 실험하였음 또한 이미지 크기과제에서는 맹인 참가자들에게는 다양한.
크기의 다양한 일반적 물체를 상상해보라고 하였음 ➜ (결과) 맹인은 모든 과제에서 

일반인에 비해 느리게 반응하였지만 반응패턴은 일반인과 유사
- 즉 맹인들도 먼 거리보다는 가까운 거리에 대해 반응해야 할 때 반응시간이 짧았고 작은, ,
대상에 대한 질문보다는 큰 대상에 대한 질문에 더 빨리 반응하였음 최소한 어떤 
면에서는 공간적 심상이 시지각과 실제로 유사한 표상에 관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데,
촉각적 심상의 사용은 심상의 또 다른 양상을 시사)
- 이미지표상은 청각적 양식 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 ’
실험참가자들에게 고양이 울음소리에서 시계의 똑딱거리는 소리로 이동하는 것보다는
고양이의 낮은 울음소리에서 높은 음의 전화벨소리로 심적 이동을 하는 데 더 시간이
오래 걸렸음
또한 자극들 간 변별과 관련해서 고양이 울음소리가 시계소리보다 더 낮은음이라
판단하는 경우 두 자극간 상대적 유사성이 높은 경우 고양이 울음소리가 전화벨( )
소리보다 더 낮은 음이라 판단하 경우 두 자극간 상대적 유사성이 낮은 경우 보다 더 시간이 오래 걸렸음


4) 신경심리학적 증거
(1) 기능의 국재화
뇌의 특정 영역 손상은 언어와 같은 상징 조작기능에 영향을 주는 반면 다른 영역의 손상은,
얼굴인식과 같은 이미지 조작기능에 영향을 줌
- 우반구 손상 → 시각적 기억 시지각의 기능적 결함과 관련,
- 좌반구 손상 → 기억 언어 이해의 손상과 관련, 

심상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뇌손상 환자나 분리뇌 환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
- 우반구 지각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공간 특성에 대한 지식을 표상하고 조작하는데 더 효율적:
- 좌반구 언어 혹은 다른 상징적 지식을 표상하고 조작하는 데 더 효율적:
아날로그 심상기능과 상징적 명제 기능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있다면 좋겠지만 아직 그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만한 연구는 없음


(2) 시각적 이미지 vs 공간적 이미지 
시각적 심상 색 모양 등 이 공간적 심상 깊이차원 거리 방향 등 과는 다르게 표상된다는 증거 
- L.H 사례: 머리 부상으로 좌우 흑두엽과 우측 측두엽 우측 하전두엽 영역에 뇌 손상이 
생겼고 그 이후 시각 공간적 이미지를 표상하는 능력 모두 손상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L.H.
시각 능력은 정상이어서 어떤 그림을 보고 따라 그릴 순 있었지만 재인을 할 수 없었음
- 시각적 심상을 요구하는 질문에 대해 언어적 반응을 요구하면 매우 어려워했으나,
공간심상과제는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능력을 보였음

시지각과 관련된 뇌 영역을 시각적 심상과 관련된 뇌 영역과 비교하기 위해 ERP(사건관련 
전위 연구도 수행해보았음)
- 시지각과정동안 ERP신호는 일반적으로 후두엽 영역에서 증가함 만약 시지각 심상이  
시지각과 유사하다면 시각적 심상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후두엽에서의 ERP 신호도 유사하게 증가할 것임
- 조건1 구체적인 단어 목록 예 고양이 을 읽으라 함 
조건2 그 단어를 읽으면서 사물을 상상해보라 함 단어는 200ms 제시하였고 ERP→
신호를 측정해봄
결과 450ms 비슷하다가 그 이후에는 읽기과제만 수행한 조건보다 심상을 사용한 
조건의 후두엽 신경 반응이 훨씬 크게 나타났음
- 왜 초기엔 차이가 없었을까? 물리적 감각 정보까지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 (450ms전까지
이처럼 신경심리학적 증거들은 사물의 형태 색 원근감 등과 같은 시각적 표상과 3차원 
배열과 같은 공간적 구조에 대한 표상 둘 다 인지구조에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줌
- 명제적 표상 역할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여기에서도 사물의 이름 이름에 의한 사물인식 과 
속성 사물의 특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 에 대한 지식이 사물 그림에 대한 명제적・상징적

지식을 불러일으킨다고 언급할 수 있음
- 그러나, 방향 회전 이나 이미지 크기에 대한 조작은 사물에 대한 이미지적이고 
아날로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할 것임 ➜∴ 두 표상 형식 모두 지식 사용을 요구하는

특정한 종류의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임

 

사는게 짜증날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