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29. 공간적 인지와 인지 지도

롤라❤️ 2023. 3. 29. 13:47
반응형

29. 공간적 인지와 인지 지도

 

1) 쥐, 벌, 인간
실제로 지도나 위성사진 등을 통해 전체를 본 적이 없을 때에도 우리는 주변의 물리적
환경을 탐색하거나 그와 상호작용한 것에만 기초하여 심상지도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함
▶ 인지 지도(cognitive map): 물리적 환경에 대한 내적표상을 공간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인지 지도라고 함
- 인지 지도는 우리 외부 환경에 대한 특별한 공간적 세부특징을 모방하는 내적표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임
▶ 인지 지도에 대한 초기연구 연구: Edward Tolman
⋅ Tolman은 쥐가 미로를 어떻게 학습하는지 관찰하였음
쥐를 3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함 

▶ 단순히 쥐들은 여기서 오른쪽으로 돌고 저기서 왼쪽으로 돌아야지! 라는 식으로 학습한 게 
아니라 그보다는 쥐들은 미로에 대한 내적 표상인 인지 지도를 학습한 것이라 함.
▶ 이 실험을 통해 Tolman은 행동 유발하는 내적 표상의 중요성을 주장한 한 사람이 됨
▶ 수십년 후 매우 단순한 생물체조차도 인지 지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짐,
▶ 예) 벌들이 꿀이 있는 위치를 발견하고 벌집으로 돌아올 때 벌의 행동을 연구해본 결과 
외관상으로 벌들은 음식이 있는 곳에 가기 위해 이미지 지도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벌들에게 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어느 정도 상징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고 함 구체적으로 다른 의미를 표상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춤을 추는 것처럼 보임 
▶ 인지 지도를 만들 때 사용하는 3가지 지식 유형 

① 지표(landmark)지식 어떤 위치에서의 특별한 세부특징에 대한 정보를 뜻함
이미지표상과 명제표상 모두에 근거할 수 있음
②경로(route-road)지식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움직이기 위한 특정 경로를 포함함
절차지식과 서술지식 모두에 기초함
③측량(survey)지식 지표 간 추정된 거리와 관련이 있음
측량지도에 있는 것과 유사하며 명제적 혹은 이미지적으로,
표상됨 예) 수치적으로 구체화된 거리 

▶ 이처럼 사람들은 지도의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표상을 위해 아날로그 부호와 명제적 부호를 모두 사용하고 있음


2) 심적 지름길
▶ 우리가 3가지 지식유형 (지표 경로 측량지식) 을 사용할 때 거리의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적 지름길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임
- 심적 지름길 =인지적 책략= 휴리스틱 (흔히 어림짐작법 rules of thumb)
- 예) 지표지식과 관련해서 지표의 밀도는 때때로 어떤 영역에 대한 우리 심적 이미지에 
영향을 줌 구체적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지표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추정된 거리도 함께.
증가함 즉 일정한 거리에 지표가 많이 있을수록 그 거리의 추정치 거리에 대한 판단 도 
함께 증가하는 식으로 사람들은 심적 이미지를 왜곡함)
물리적 거리에 대한 추정 (예: 도시 거리) 에서 경로지식은 측량지식에 비해 더 중요한 가치를 갖는 것으로 보이는데 심지어 지도를 보며 심적 이미지를 형성할 때도 그러함,
- 구체적으로 사람들에게 특정 도시들이 지도에 있는지 답하도록 물어봤을 때 두 도시가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경우보다 경로상 더 가까운 경우에 더 빠른 반응시간을 보였음
▶ 사람들이 인지 지도를 조직할 때 발견법을 사용한다는 것은 이미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질문에 답할 때에는 명제적 지식이 이미지 지식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함
▶ 어떤 상황에서는 개념적인 정보가 심적 이미지의 왜곡을 유도하는 것처럼 보임 이러한.
상황에서는 이미지 전략 보다 명제전략이 사람들의 반응을 더 잘 설명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이러한 왜곡은 심적 지도의 세부특징들을 조직화해서 각도 선 모양이 실제로 
있는 것보다 더 간결하고 추상적인 기하학적 형태로 표상되게 함

① 직각편파
(right-angle bias)
사람들은 교차점 (예 거리교차로) 을 보면 실제 각을 이루는 것보다 
더 직각에 가깝다고 표상하는 경향이 있다
예) 찾아오는길 을 검색해보면 대부분 직각으로 표시 
② 대칭발견법
(symmetry heuristic)
사람들은 모양 (예) 주 또는 국가) 을 실제보다 더 대칭적이라고 
표상하는 경향이 있다
③ 회전발견법
(rotation heuristic)
조금 기울어져 있는 형태나 경계를 표상할 때사선 사람들은 그 이미지를 
실제보다 더 수직에 가깝거나 수평에 가깝다고 왜곡하는 경향이 있다
④ 정렬발견법
(alignment heuristic)
사람들은 약간 배열에서 벗어난 지표와 경계를 그들의 심적
이미지를 왜곡시킴으로써 실제보다 잘 배열되어 있다고
표상한다 (즉 우리가 일련의 그림이나 사물들을 일렬로 정렬하는 
방식을 왜곡한다)
⑤ 상대적 위치 발견법
(relative-position
heuristic)
사람들은 실제의 공간적 배열보다는 지표나 경계가 위치하는
맥락에 대한 개념적 지식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심적 이미지를 왜곡함으로써 특정한 지표와 경계의 상대적
위치를 표상하는 경향이 있다

▶ 상대적 위치발견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기 위해 눈을 감고 미국 지도를 떠올려 보자!
네바다 주의 리노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의 서쪽에 있는가? 동쪽에 있는가? 
- 대다수 사람들은 새니에고가 리노의 서부에 있다고 대답하였음.
- 즉 우리의 인지 지도는 아래 그림에서의 (a)와 닮았음 그러나 실제로는 (b)처럼 . 
샌디에고는 리노의 동부에 위치함
▶ 의미적 ・ 명제적 지식 혹은 신념 은 세계지도의 이미지적 표상에 큰 영향을 미쳤음
- 개국 개 지역 학생들에게 세계지도를 그려보라고 한다면 아시아 학생들조차 대부분 
유럽 중심의 세계지도를 그렸음 많은 미국인들은 미국 중심 관점에서 일부 학생들은
자신의 나라를 중심으로 놓고 강조하면서 지도를 그렸음
- 게다가 대부분 학생들은 더 잘 알려진 국가는 조금 더 크게 그리고 덜 알려진 국가는
조금 작게 그리는 왜곡을 보였음
▶ 의미범주에 대한 명제적 지식이 지도의 이미지적 표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 연구
- 거리평가에 있어서 의미적 군집화의 영향을 연구해보았음
- 실험 참가자들에게 많은 건물이 표시된 지도를 보고 다양한 쌍의 빌딩 간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평정해보라고 하였음 → 덜 유사한 지표에 대해선 긴 거리로 유사한 지표에 
대해서는 실제보다 짧은 거리로 거리를 왜곡하는 경향을 보였음
- 학생들이 실제로 살고 있는 도시의 심적 지도에서 조차 유사한 왜곡이 있음을 발견함


3) 텍스트지도
- 언어적 묘사로부터 인지 지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인지 지도는 그래픽 지도를 보고
형성한 것 만큼이나 정확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음
▶ Tversky는 자신이 참여자로서 가상의 상황에 놓여있다고 했을 때 관찰자였을 때보다
명제적 정보가 심적 조작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졌음
- 그러나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그 답은 아직 모름
- 인지 지도와 관련한 여러 연구에서 심상 구성은 지각과 유사한 과정과 명제적 표상에
의존하는 과정 모두에 관여할 수 있다고 주장함
▶ 명제 Vs 이미지에 대한 논쟁이 전통적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지는 미지수임
- 명제와 이미지가 상호배타적으로 여겨져서 둘 중 어느 표상이 더 옳은가? 하는 질문이 나오기도 함
- 그러나 두 표상은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서로 보완적 관점에서 봐야한다는 것이 대다수 입장 

 

속도를 줄일 수 밖에 없는 과속 방지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