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285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6. 전통적 기억 모형의 인지적 구조

16. 전통적 기억 모형의 인지적 구조 1) 기억의 구조와 가정 ▶ 심리학자들은 기억상실증 환자, 뛰어난 기억력을 가진 사람, 일반적 기억능력을 가진 사람 등을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기억에 대한 자료들을 모을 수 있었음 ▶ 이런 자료들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기억을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구분하였음 2) 감각 저장소(sensory store) (1) 역할 ▶ 매우 짧은 순간 동안 비교적 한정된 양의 정보를 저장함 ▶ 정보가 들어오는 최초의 저장소(시각, 청각, 촉각 등) ▶ 시지각 정보가 처음에 아이콘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영사 저장소(iconic store) 이라고 부르기도 함 ※아이콘(icon: 뭔가를 표상하는 시각적 이미지) ▶ 예) 어두운 곳에서 발광체로 자신의 이름을 허공에 써 보면, 실제로 발..

인지심리학 2023.03.21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5. 기억 측정에 사용되는 과제

15. 기억 측정에 사용되는 과제 1) 기억의 정의 ▶ 기억이란 과거 경험에 대해 그 정보와 지식을 계속 유지하고, 그것을 현재 되살려 필요한 작업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거 경험 정보를 간직하고 인출하는 과정) 2) 기억과제 구분 (1) 회상과제 vs 재인과제 회상과제 재인과제 - 기억으로부터 회상(recall)을 요구하는 과제 - 어떤 사실이나 단어, 혹은 다른 여러 항목들을 기억해보라고 요구하는 과제 - 예) 빈칸 채우기 과제 - 사전에 학습한 항목들을 검사단계에서 재인(recognition)하여 골라내거나 식별하는 과제 ▶ 사람들은 대부분 재인과제에서 더 월등한 수행을 보이는 편임 - 약 2000개의 그림을 재인할 수는 있으나 회상은 불가능하다는 실험 연구가 있음 ▶ 회상과제는 재인..

인지심리학 2023.03.20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4. 색채지각 이론

14. 색채지각 이론 1) 색이란 무엇인가 (1) 색채 지각의 기능 ▶ 색채지각은 한 물체를 다른 물체와 구분하는 것을 크게 촉진하는데, 특히 복잡한 환경에서 특정 물체를 찾아내는 능력이 크게 촉진됨 - 생존에서 매우 중요함(원숭이는 살기 위해 노란색 바나나를 찾아내야 하는데 색맹이라면? ▶ 한 실험에서 사람들은 일상적이지 않은 색 과일을 지각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림 (2) 우리는 무슨 색깔을 지각하는가? ▶ 빨강, 노랑, 초록, 파랑을 적절히 조합하면 우리가 지각하는 색상을 다 만들 수 있음 - 4가지 색으로 조합된 색 말고도 [채도] 조절을 통해 더 다양한 색을 만들 수 있음 - 색상환(동그란 표) 파랑, 초록, 노랑, 빨강 이 순서는 가시 스펙트럼 순서에 대응됨 ▶ 가장 짧은 파장은 파랑, 중간파..

인지심리학 2023.03.20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3. 시지각 심리2 (움직임 지각, 3차원 지각, 얼굴 지각)

13. 시지각 심리2 (움직임 지각, 3차원 지각, 얼굴 지각) 1) 움직임 지각 (1) 움직임을 보는 두 가지 방식(셰링턴의 유입이론, 헬름홀츠의 유출이론) ▶ 움직임을 지각하는 것은 눈(망막)으로 탐지하는 것인가? ▶ 머리(뇌)에서 눈의 움직임을 탐지해서 시키는 것인가? 셰링턴의 유입이론 = 안구 근육 신호이론 헬름홀츠의 유출이론 = 뇌 신호이론 Ÿ 잔상 경험 후, 눈을 다른 쪽으로 돌려도 한 동안 잔상이 따라 다니지 않는가 Ÿ 안구 근육을 움직이면 망막 내 이미지 움직여서 지각 가능하다고 주장 Ÿ 망막상 이미지 움직임은 안구 근육 움직임과 비교되는 것이 아니라 [안구 근육]에게 움직일 것을 지시하는 뇌의 신호와 비교되는 것이라 주장 Ÿ 눈위를 눌러 만지면서 눈알을 움직인다 해서 움직임 지각하는 건 ..

인지심리학 2023.03.19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2. 시지각 심리1 (시각피질, 공간 시각, 색 시각)

12. 시지각 심리1 (시각피질, 공간 시각, 색 시각) 1) 시각피질 ▶ V1 영역 = 1차 시각피질 = 머리 뒤편 후두엽에 위치 ▶ 1차 시각피질은 점 보다 선분에 더 반응함을 발견(예: 한 세포는 수직선분 혹은 수평선분에서 약 15도 기울어진 선분에 가장 활발하게 반응, 또 다른 세포는 수평선분에 더 반응 등등) ▶ 단순세포, 복합세포, 초복합 세포 등 - 단순세포 : V1 많은 세포들의 수용장은 흥분영역과 억제영역이 따로 있는데 흥분 영역에 떨어지는 빛의 정도와 억제 영역에 떨어지는 빛의 정도를 더해서 어떤 자극에 대해 이 세포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 - 복합세포 : 단순세포처럼 특정 방향 선분에 가장 잘 반응하지만 수용장은 흥분/억제 영역이 따로 없기 때문에 어떤 방향에 ..

인지심리학 2023.03.19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1. 시각 개념

11. 시각 개념 1) 보기의 첫 걸음 (1) 눈의 구조 ① 각막 - 빛이 눈으로 들어오는 투명한 창, 휘어있는 렌즈 같은 기능 - 눈의 초점 기능 중 3/4은 각막, 1/4만 수정체 ② 수정체 - 망막 위에 빛을 모으는 일을 함 - 표면이 휘어 있고 빛이 느리게 투과되는 특징이 있음 → 빛이 수정체에서 굴절됨 빛이 각막을 통과할 때 벌어지는 일의 예시: Q. 빛이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지나갈 때 휘어지는 이유? - 모래해변을 따라 포장도로에서 운전을 한다고 생각해보세요.(A지점) - 포장도로에서는 4개 바퀴가 바닥에 꽉 물려 반듯하게 나가다가 오른쪽 앞 바퀴가 모래에 닿는 순간(B지점) 왼쪽 바퀴는 여전히 포장도로에 꽉 물려 강하게 앞으로 진행하는 반면 오른쪽 바퀴는 모래에 물려 느슨하게 앞으로 진..

인지심리학 2023.03.18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0. 기타 지각 이론

10. 기타 지각 이론 1) 지각에 대한 하향적 접근은 구성적 지각이다. ○ 하향적 접근에서는 구성적, 개념 주도적으로 지각을 한다고 보는 입장 ○ 하향적 접근에서 본 지각은 상위수준의 사고력이 지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기 때문에‘지적 지각’이라고도 알려져 있음 - 예: 색채 비율에 따라 바나나 사진 색깔이 달라져도 ‘노란색’으로 지각함 2) 얼굴역전효과(face inversion effect) (1) 얼굴 재인은 다른 대상재인과정과 다름 ○ 피아노, 의자 같은 사물을 거꾸로 제시하면 똑바로 제시했을 때와 재인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음 ○ 그러나. 얼굴은? 거꾸로 재시하면 재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2) 얼굴 재인과 대상 재인이 다른 이유 ○ 여러 얼굴들에 대한 인간의 오랜 경험에 의해서 대상 재인..

인지심리학 2023.03.18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9. 형태 재인 모형

9. 형태 재인 모형 1) 지각에 대한 상향・하향적 접근에 대한 이해 (1) 게슈탈트 심리학자들 ○ 각 개별 실체 < 전체(형태, 패턴)를 지각한다고 주장하는 것일까? 상향이론(bottom up theory) 하향이론(top-down theory) - 지각의 하위 단계인 물리적인 자극 (예: 형태나 패턴)수준에서 시작해 조직화 원리나 개념과 같은 상위 수준 인지과정까지 다루는 접근법 - 상향적 접근 = 직접적 지각을 의미 - 형판이론, 원형이론, 세부특징이론, RBC 이론 등 -머릿속 기억하고 있던 지식이나 지각과 관련된 기대가 지각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서 시각 자극과 같은 하위 감각 정보 처리로 이어지는 과정을 강조 - 미리 예상하고 있는 것이 중요 → 어떤 사물을 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면 실제 그..

인지심리학 2023.03.17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8. 지각 종류

8. 지각 종류 1) 착시 (1) 생활 속에서 볼 수있는 착시 ☞ 무엇이 보이는가? - 실제로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게 지각됨(삼각형) = 착시현상 - 착시현상은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는 불가능한 형태까지 지각하게끔 함 ☞ 옆 그림의 계단을 따라 정상에 다다를 때까지 올라가보세요! - 이 계단은 이라 부르는 착시 그림으로 비록 정상에 다다를 수 없게 순환하도록 되어 있지만 항상 정상을 향해 올라가고 있는 것으로 지각됨 - 착시의 존재는 우리가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지각하는 것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줌 ☞ 우리가 지각하는 것이 감각기에 도달하는 감각 자극의 본래 형태와 다를 수 있음 (2) 지각 항상성 ☞ 어떤 물체가 비치는 모습이 바뀌어도 그것을 일정한 것으로 인지하는 현상 ☞ 예..

인지심리학 2023.03.17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7. 지각 개념

7. 지각 개념 1) 지각의 정의 (1) 지각 ○ 환경자극으로부터 받아들인 감각을 재인하고 조직화하고 이해하는 일련의 과정 (2) 지각과정: 자극 → 반응에 이르는 전 과정 ○ 예: 수용기처리 단계에서 나무 각 부분의 색, 결, 형태다 다르기 때문에 각기 다른 방식으로 빛을 반사함 ○ 반드시 지각 과정이 7단계 순서로 이뤄지는 것은 아님 - ‘한 참을 보니 나무구나’ vs ‘딱 봐도 나무네’ 2) 지각과정의 7단계 (1) 자극(단계1과 2) ○ 변형원리 - 자극과 자극에 의해 생성된 반응은 환경자극과 지각 사이에 변형되고 변화한다는 원리 - 나무에서 빛이 반사되어 나오는 것은 지각 중심원리 중 하나인 변형원리임 - 빛이 나무에 부딪혀 반사되어 사람 눈에 들어올 때 첫 번째 변형이 일어남(날씨, 나무 속 ..

인지심리학 2023.03.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