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285

남원 도통동 수플레가 맛있다는 내돈내산 수플레 카페 내돈내산 방문 후기

오픈시간 : 11시 마감시간 : 22시 일요일 정기 휴무 주 소 : 전라북도 남원시 역재1길 14 남원 나름 맛집 검색 하면 나오는 서남만찬 등이 위치한 남원의 번화가?에 위치한 도통동 수플레 팬케이크에 얼마나 자신있는지 가게이름을 수플레라고 지었습니다. 수플레 만드는데 20분이 걸린다고 합니다. 주차하기가 참 힘들어서 불법주차를 그냥 해야한다. 길도 좁아서 재수없으면 긁고 지나가도 할말없다. 저도 차를 길에 세워두고 차 긁히고 테러 당하진 않을까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입구부터 이런 포토스팟이 있다. 나도 별 처럼 빛나보고 싶다. 가게 면적은 18평이라고 한다. 많이 좁은 편이다. 봄이 다왔지만 아직 크리스마스 분위기가 남아있다. 구석구석 다양한 인테리어를 시도 했다. 인형이 귀엽다. 이런 귀여운..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6. 인지신경과학적 차원에서의 주의

6. 인지신경과학적 차원에서의 주의 1)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 인지심리학+인지과학의 이론과 방법으로 뇌, 행동, 그리고 인지의 관계를 연구함 □ 인간의 신경해부 구조가 지각, 기억, 주의, 학습과 같은 인지 과정에 어떤 제약을 주는지 밝혀내고자 함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법(PET), 기능자기 공명영상법(fmri), 뇌손상법, 뇌파 측정기법 등을 사용하여 주의 및 주의와 관련된 표상들을 처리하는 심리적 과정들(mental processes)의 배후에 어떤 신경망이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했음 전대상회에 있는 집행기가 작업기억을 지원하는 전두엽, 정향주의를 지원하는 두정엽, 그리고 시각 세부특징을 추출하는 후두엽의 정보처리를 조정하고 있다. 2) 인지 신경 과학적 접근 ..

인지심리학 2023.03.15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5. 선택적 주의 이론

5. 선택적 주의 이론 1) 선택적 주의 연구의 기본 패러다임 (1) 칵테일 파티 효과 ○ 칵테일 파티처럼 여러 사람의 목소리와 잡음이 많은 상황에서도 본인이 흥미를 갖는 이야기는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현상 ○ 방해가 되는 다른 대화들이 있어도 하나의 대화를 계속 쫓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며, 이 과정에서 선택적 주의가 필요한 것임 ○ 칵테일 파티 효과를 처음 언급한 연구자 콜린 체리(Colin Cherry)가 실제로 수많은 칵테일 파티를 돌아다닌 것은 아님 (2) 미행하기(shadowing) 과제를 사용하여 연구 과제: 두 개 다른 메시지를 들으면서 하나의 메시지만을 곧바로 따라 말하는 과제 그룹 1 (양이 청취 제시, Binaural Presentation) 그룹 2 (양분 청취 제시, Dichoti..

인지심리학 2023.03.15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4. 주의 이론

4. 주의 이론 1)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때 나타나는 3가지 주된 기능 (1) 신호 탐지: 특정한 자극 출현을 탐지해야하는 것처럼 경계와 탐색이 포함되는 기능 (2) 선택적주의: 어떤 자극에 주의를 하고 다른 것들은 무시하는 기능 (예: 카페음악 무시하고 책 읽기) (3) 분할된 주의: 한 번에 두 개 이상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조정하기 위해 가능한 주의 자원을 신중하게 할당하는 기능 (예: 블루투스 음악 선정하면서 운전하기) 2) 신호탐지이론 (1) 신호탐지 매트릭스: 신호, 즉 표적자극을 탐지하고자 할 때 4가지 경우의 수가 있음 신호 신호를 탐지함(Yes) 신호를 탐지 못함(No) 있음 (Signal) 적중(Hit) 탈루, 탈락(miss) 없음 (Noise) 오경보(False alarm) 정기..

인지심리학 2023.03.14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3. 주의의 특성

3. 주의의 특성 1) 주의의 특성과 정의 (1) 특성(3가지): 전의식처리, 통제처리와 자동처리, 습관화 (2) 정의 □ 주의: 우리 감각과 저장된 기억, 다른 인지적 과정들을 통해 엄청난 양의 정보로부터 제한된 양의 정보를 집중적으로 처리하도록 해주는 수단(예: 내 주변에 있는 수많은 자극들 속에서 나는 공부를 해야만 하므로 영상과 교재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 □ 주의 = 의식적 과정 + 무의식적 과정 □ 주의하는 내용은 내가 자각(awareness)할 수 있는 범위 안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감각 + 기억 + 사고과정 → 주의(의식이 있는 통제처리+자동처리) → 행동 □ 인간은 제한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의를 통해 엄청난 정보들 중 주의를 둔 몇 개 정보만을 골라서 기억할 ..

인지심리학 2023.03.14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2. 인지 신경과학

2. 인지 신경과학 1 신경계 구조 1) 신경세포(뉴런)와 시냅스 (1) 신경세포(뉴런:neuron) ○ 인간의 몸과 마음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계의 가장 기본적 단위 ○ 뉴런은 신경계 내 전기신호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함 ○ 뉴런의 대부분은 복잡한 인지 처리를 담당하는 대뇌 신피질에 집중되어 있음 ○ 뉴런은 세포체와 수상돌기, 축색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세포체 Ÿ 세포핵을 포함하고 있으며 뉴런의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역할 Ÿ 수상돌기와 축색돌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 수상돌기 Ÿ 다른 뉴런으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고 세포체는 정보들을 통합함 Ÿ 학습할 때 새로운 신경 연결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수상 돌기의 복잡성이나 세분화가 증진됨 축색돌기 Ÿ 세포체에서 뻗..

인지심리학 2023.03.13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인지심리학 요점 요약 1. 서론

1. 서론 1 인지심리학 정의와 범주 1) 정의와 범주 (1) 넓은 의미의 정의 ☞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 (2) 좁은 의미의 정의 ☞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환경과 자신에 대해 알게 할 수 있고 지식을 갖추게 할 수 있는가’, ‘그러한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여 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각종 과제들을 수행해낼 수 있게 하는가’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심리학의 한 분야 ☞ 인간이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하는 과정 = 인지과정 ⇒ 이런 과정은 두뇌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가능함 ☞ 인지심리학: 인지(인간이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하는 인지과정)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물리학이나 생물학, 생리학에서처럼 실험 및 가설검증과 같은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과학 (3) 인지(認知, 앎, Cognit..

인지심리학 2023.03.13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6. 긍정심리학

26. 긍정심리학 1 긍정심리학 연구의 주요 쟁점 1) 긍정심리학이란? ☞ 인간 마음의 밝은 면을 규명해서 북돋우려는 심리학의 한 분야 ☞ 20세기 동안 정신의학자들은 프로이트 등의 영향으로 마음의 부정적인 면에만 몰입한 경향이 있었음 이러한 경향에 대해 반성하고 마음의 밝은 면을 규명해서 북돋우려는 심리학의 새로운 분야 2) 하버드 성인발달 연구 (1) 연구기간 : 1938 ~현재 (2) 연구대상 : 하버드대 2학년생 & 보스턴 빈민가 아이들, 총 724명의 남성 (3) 연구방법 ☞ 연구대상의 직업 가정 생활 건강 등 인생사를 장기간 추적 연구하는 종단연구 (평생 동안에 걸친 발달추세를 연구) ☞ 2년 마다 심층면접 (설문 인터뷰) 주치의 의료기록 혈액 검사 뇌 사진 촬영 아내와 자녀 인터뷰 (4) 교..

임상심리학 2023.03.12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5. 건강심리학

26. 건강심리학 1 건강심리학의 관점 1) 건강심리학의 정의와 발전 배경 (1) 정의 ○ 건강에 대한 정의 - 세계보건기구(1948) 는 건강 을 "단지 질병이나 병약의 부재가 아닌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 의 완전한 상태" 로 정의 이러한 정의는 건강심리학자에게 있어 핵심적인 건강 개념. - 건강을 질병 부재의 개념으로 정의하기보다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안녕 간의, 균형을 완성시키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 많은 사람들은 건강의 최적의 상태를 일컬을 때 안녕(wellness) 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 건강심리학(health psychology) - 사람들이 건강을 어떻게 유지하는지 왜 질병에 걸리는지 병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인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자 함 ○ 건강심리학..

임상심리학 2023.03.12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5. 집단치료의 구성과 집단치료의 과정

25. 집단치료의 구성과 집단치료의 과정 1 집단치료의 구성 1) 집단치료자의 자질 □ 자기 수용 (강점과 약점) □ 개방적 태도 (새로운 경험과 다양한 유형의 삶과 가치를 수용 집단원의 도전에 대하여 방어적이지 않고 자신과 집단원의 감정을 탐색하는 기회로 삼음) □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 □ 유머 감각 (새로운 조망 기회 제공) □ 자발적 모범 (모델링 촉진) □ 공감적 이해 능력 집단원의 감정을 함께 느끼고 언어/ 비언어적 행동으로 나타냄 □ 심리적 에너지 심리적 에너지가 충만한 집단치료자는 집단원 스스로 통찰력을 갖게 돕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하며 일상생활에 적용하도록 적극 격려함 새로운 경험 추구 다양한 문화와 삶의 경험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개방적인 자세를 취함 □ 창의성 집..

임상심리학 2023.0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