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

심리학과, 상담학과, 임상심리사 2급, 정신보건 등 임상심리학 요점 요약 25. 건강심리학

롤라❤️ 2023. 3. 12. 09:46
반응형

26. 건강심리학

1 건강심리학의 관점
1) 건강심리학의 정의와 발전 배경
(1) 정의
건강에 대한 정의
- 세계보건기구(1948) 는 건강 을 "단지 질병이나 병약의 부재가 아닌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 의 완전한 상태" 로 정의 이러한 정의는  
건강심리학자에게 있어 핵심적인 건강 개념.
- 건강을 질병 부재의 개념으로 정의하기보다는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안녕 간의,
균형을 완성시키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 많은 사람들은 건강의 최적의 상태를 일컬을 때 안녕(wellness) 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 건강심리학(health psychology)
- 사람들이 건강을 어떻게 유지하는지 왜 질병에 걸리는지 병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인 영향요인들을 이해하고자 함
○ 건강심리학 연구 주제
- 사람들이 건강하게 살고 질병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치료기법을 개발하거나 이와
관련된 주제
- 예) 건강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흡연이 암이나 심장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계속 담배를 피우는지와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가질 수 있음.
- 건강에 나쁜 습관을 이해하는 것은 금연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치료방법을 세우는
데 유용함
- 건강심리학은 건강 증진과 유지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좋은,
건강습관을 갖게 할지 규칙적인 운동을 어떻게 증진시킬지 사람들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 
어떻게 미디어 캠페인을 계획할지와 관련된 주제들
- 건강심리학자들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심리학적 측면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
▷ 스트레스가 높은 직종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스트레스가 그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수 있음.
▷ 이미 질병에 걸린 사람들에게 그들이 받고 있는 치료를 잘 따를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 건강심리학자는 또한 병원학(etiology) 및 건강 질병 기능장애(dysfunction, 역기능)  
간의 상관관계에 중점을 둠.
- 병원학은 질병의 근원 혹은 원인을 말함 특히 알코올 섭취 흡연 운동 안전벨트 착용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법과 같이 건강 질병 역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적 사회적 
요인들에 관심을 기울임
- 건강심리학자는 건강관리체계 의료보험제도 및 보건정책 형성을 
분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함 그들은 건강관리 증진을 위한 권고안을 개발하기.
위해 건강기관과 건강 전문가들이 사람들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요약하면 건강심리학은 건강 증진 질병의 예방 및 치료 그리고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정책의 평가와 변경을 초래하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 연구

 

(2) 발전 배경
○ 르네상스의 시작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의학 기술에서 큰 진전이 있었음 이러한 진전은.
1600년대 현미경의 발명과 부검과학의 발달을 포함 
○ 이 발전 덕분에 의료인들은 각기 다른 질병과 연관된 신체기관들을 볼 수 있게 되었음.
○ 세포병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질병의 체액 이론은 잠재워졌음 의료행위는 점차 실험 결과를.
더 신뢰하게 되었으며 건강과 질병의 원인으로 정신적 요인보다는 신체적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음
○ 과거의 미신을 깨트리려는 시도에서 의사들은 질병의 진행과정에서 어떠한 정신의 역할도
인정하지 않으려 했음
○ 대신에 그들은 진단과 치료적 권고의 기저를 주로 기질적 병리와 세포병리에 중점을 두었음.
○ 이러한 결과로 초래된 생의학적 모델(biomedical model) 은 지난 300년 동안 대부분의 건강  
전문가들의 사고를 지배해왔음.
○ 생의학적 모델은 모든 질병을 생화학적 불균형이나 신경생리적인 병리와 같은 비정상적인
신체적 육체적 과정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심리적 사회적 과정은 질병 진행과정에 
크게 상관이 없다고 추정.
○ 생의학적 모델의 문제점
- 생의학적 모델 : 왜 질병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지 않은가?
▷ 질병을 세포가 기능하지 못하거나 화학적 불균형 상태라고 단순화시킴
▷ 정신 신체의 이원론을 따르면서 사회 및 심리적 과정들이 몸 전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것을 인지하는 데 실패함
▷ 건강의 개념을 건강을 증진시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질병을 없애는 것만
강조함
▷ 건강 관련 실무자들이 직면한 여러 궁금증에 대해 답하지 못함


2) 생물심리사회 모델
(1) 생물심리사회 모델 이란 (biopsychosocial model)
○ 생물심리사회 모델 은 정신과 신체가 모두 건강과 질병에 결정(biopsychosocial model)
○ 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
○ 이 모델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 전제 은 건강과 질병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 
○ 의 상호작용 결과라는 것(Keefe, 2011).
○ 생의학적 관점은 현대 심리학의 출현과 특히 전환 히스테리(conversion hysteria,
전환 장애와 유사) 에 대한 Freud(1856~1939)의 초창기 업적과 함께 변하기 시작했음 
○ Freud 에 따르면 특정한 무의식적 갈등은 심리적 갈등의 억압이 신체적 장애로 상징화 되어
나타날 수 있음 비록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더 이상 건강심리학에서 중심이 되지 않지만 
정신신체의학 분야의 출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음
○ 현대에는 모든 질병이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을 알게 됐으며 특정 갈등이나,
○ 성격 유형이 질병을 일으키는 데 충분하지 않다고 믿음.
- 일반적으로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질병이 발병하기 때문임

- 이러한 요인으로는 높은 스트레스 낮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사회적 · 심리적 요인 등과 결합된 생물학적 병원체 (바이러스성 혹은 세균성 염증과 같은) 를 
포함할 수 있음


(2) 생물심리사회 모델의 장점
○ 건강과 질병에 대한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생의학적 모델의 단점을 어떻게 극복하는가?
○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 모두 건강과 질병에 중요한, ,
결정요인이라고 주장.
○ 사회적 지지와 우울증과 같은 거시적 수준의 과정과 세포장애나 화학적 불균형과 같은
미시적 수준의 과정 모두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을 하여 건강과 질병의,
상태를 좌우함(Suls & Martin, 2011)
○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건강과 질병 모두를 중요시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건강은. ,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들에 주의를, ,
기울임으로써 성취되는 것

(3) 생물심리사회 모델의 임상적 의의
○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환자를 접하는 실제적인 임상장면에도 유용.
○ 우선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적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진단과정에서 
개인의 건강 혹은 질병을 평가하는 데 유용함.
- 치료방안은 세 가지 요인 모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음
○ 생물심리사회 모델은 환자와 의료진과의 관계의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함.
- 환자와 의료자의 효율적인 관계는 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치료효과 및 질병 회복,
속도를 증진시킴


3) 취약성-스트레스 모델(vulnerability–stress model)
○ 장애에 걸리기 쉬운 개인적 특성인 취약성과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상호작용하여 정신장애가 유발된다는 입장

- 취약성이란 특정 장애에 걸리기 쉬운 개인적 특성으로 생물학적 유전적 인지적 소인, ,
모두를 포함하게 되며 이에 더하여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된 신체적,
심리적 특성까지도 포함하는 것 취약성은 성격과 같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속성으로.
끊임없이 주변 환경이나 스트레스와 상호작용을 하게 됨 예를 들면 생물학적 부모 중 한.
사람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다면 고혈압이 발병할 확률은 45%나 되며 생물학적 부모
모두가 고혈압을 가질 경우에는 가능성이 90%로 급증(Taylor, 1995) 반면 심리사회적 .
스트레스란 심리적 부담을 야기하는 외부 사건을 의미 여기에는 부모의 사망 이혼 실직 
전쟁 천재지변 등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모두가 포함됨,


4) 심리신경면역학(psychoneuroimmunology)
○ 의학 영역 안에서 면역기능과 심리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여러 가지 연관의 메커니즘을
해명코자 1970년대 이후부터 급속히 발전하여 온 학문
○ 생활 스트레스 등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다양한 질환의 이환과의 관련성에 대하여는 수많은
연구로부터 지지되고 또한 스트레스가 면역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하여 질환을 낳는다고
생각하게 되어 탄생한 학문영역.
○ 셀리(H.Selye) 의 업적을 효시로 하여 엔겔(G.L.Engel) 프리드먼(S.B.Friedman) 등에 의하여 발전되어 왔음

2 건강심리학자의 활동과 건강심리학적 개입


1) 건강심리학자의 훈련 과정
○ 건강심리학 대학원 교육 과정에서 통상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Brannon, Feist, &
Updegraff, 2014)
- 행동 건강 및 질환 관련 생물학과 의학적 지식,
- 행동 건강 및 질환 관련 인지 및 정서적 기제,
- 행동 건강 및 질환 관련 개인차,
- 행동 건강 및 질환 관련 사회적 정책과 환경 그리고 문화,
- 실험 설계 및 연구 방법론
- 심리 측정 및 평가
- 학제 간 협력 이슈 및 윤리적 문제


2) 건강심리학 분야의 직업
○ 건강심리학자들의 대표적인 활동영역은 병원이나 클리닉과 같은 임상건강 영역
○ 임상심리학자들이 주로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리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임상건강심리학자들은,
위궤양 고혈압 및 천식 등 정신신체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과 암 통증 등 통증관리가 필요한,
환자들 그리고 당뇨와 알츠하이머 치매 등 만성질환자에게 심리 서비스 제공
○ 임상건강심리학자들이 제공하는 심리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두통 환자에게 약물 대신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시키거나 만성 통증 혹은 소화계통의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의학적 처방에 잘 따르도록 행동적인 중재 기법을 실시하는 것


3) 일반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심리학적 개입


(1) 건강심리학적 개입의 유형
○ 의료관리 상담 건강심리학자가 제공하기보다는 의료 및 임상 장면에서 의사나 임상가가:
제공하는 것으로 건강 문제와 관련된 정보를 끌어내기 위해서 간단한 질문을 하고 그에,
따라서 정보를 제공하고 행동 변화를 위한 처방만을 함
○ 환자 교육 심리 교육이라고도 불리움 확장된 범위의 의료인이나 비의료인들이 실시하게: .
됨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이론적인 내용을 교육시킴.
○ 건강 증진 상담 건강한 생활 양식과 건강 행동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예방적: ,
의미가 있음 재발 방지 교육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건강 중심 심리치료 심리치료에 대한 훈련을 받은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가 실시하는:
것으로 건강 문제에 대한 교육과 함께 정신과적 심리 상담처럼 구조화된 방식으로 접근


(2) 건강심리학적 개입의 단계
○ 참여 단계 환자의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필요 상담 회기 내에서 내용을 혼자: .
연습하고 기록하는 등 노력 필요 상담 초기에는 이러한 동기 상태를 평가하고 동기 강화.
상담도 필요할 수 있음
○ 평가 단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여 치료에서 촉진 요인인지 방해 요인인지:
파악해야 함 그리고 환자의 정서적 상태와 성격 패턴을 파악해 질환이 이와 관련되는지.
확인해야 함 환자를 지지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함.

○ 중재 단계 이 단계에선 증상을 경감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목표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
환자가 자신의 행동을 좀 더 적응적으로 변화시킴 가장 두드러지는 증상에 초점을 맞추고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됨
○ 유지 단계 중재 패턴을 유지하고 재발을 막아야 하며 환자의 치료자에 대한 지나친: ,
의존이 있다면 독립을 하도록 도와야 함


4) 다양한 질환에 대한 건강심리학적 개입
○ 건강심리학자들은 다양한 장애를 가진 환자의 치료를 돕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심리
○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상담 수행
○ 건강심리학자들은 직장인의 건강습관을 증진시키는 직장 기반치료개입을 개발하고 의료계에,
종사하기도 하여 건강과 의료서비스 제공을 증진시키는 기관에서 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