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이론과 실제

임상 심리, 상담, 지도 등 상담이론과 실제 요점 요약 정리 11. 인지치료

롤라❤️ 2022. 7. 28. 14:18
반응형

11. 인지치료

▩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CT): Aaron T. Beck, Donald H. Meichenbaum


*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의 대표적인 접근으로는 Aaron T. Beck의
인지치료(CT), Albert Ellis의 합리적정서적행동치료(REBT), Donald H. Meichenbaum의
인지행동치료(CBT) 등이 있다.


1. 인간관과 주요개념


1) 인간관
① 인지치료의 개념
㉠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써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상담 접근을 포괄하여 지칭
㉡ 벡에 의해 개발된 우울증에 대한 인지치료를 나타내는 것
- 원래 인지치료 이론은 우울증을 치료하는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불안과 공포증 등을
포함한 정서적 문제 전반, 그리고 사람들의 성격적 문제를 치료하는 이론으로까지 확장
② 인간관
㉠ 인간의 여러 측면 중 감정이나 행동도 중요하지만 인지, 즉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 인간은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2) 주요 개념
㉠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
- 어떤 사건에 당면하여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으로, 만일 이러한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인
내용일 경우 심리적 문제로 이어진다.
- 사람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심리적 문제는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했을 때 자동적으로 떠올리는
부정적 내용의 생각들로 인해 발생한다.
- 이는 사람들의 경험 속에서 여러 가지 환경적 자극과 심리적 문제 사이에 자동적 사고라는
인지적 요소가 개입되어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자동적 사고는 구체적이며 축약되어 있으며, 아무리 비합리적인 내용이라 할지라도 자동적
사고는 거의 의심 없이 믿어진다.
-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자동적 사고(인지삼제)
‘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다.’와 같은 자신에 대한 비관적 생각
‘나의 미래는 절망뿐이다.’와 같은 앞날에 대한 염세주의적 생각
‘세상은 나를 받아주지 않는다.’, ‘세상은 매우 살기 힘든 곳이다.’와 같은 세상에 대한 부정적
생각
- 예, 한 남성이 사랑하는 여성과 헤어지고 나서 겪게 되는 우울 증상은 이별 사건에서
직접적으로 유발된 것이라기보다는 그의 머릿속에 어떤 생각들을 자동적으로 불러일으키는
과정을 거쳐 발생한 것이라고 본다.

 

㉡ 역기능적 인지도식(dysfunctional cognitive schema)
ⓐ 인지도식은 세상을 살아오는 과정 속에서 자신의 삶에 관한 이해의 틀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 개인이 가진 인지도식은 그가 살아온 삶을 반영하는 응축된 생각의 덩어리이며, 여기서의
문제는 살아오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내용들로 구성된 역기능적 인지도식으로 인해 심리적 문제에
매우 취약하기 쉽다는 것이다.

▷ 역기능적 인지도식: 현실 적응에 도움이 되지 않는 내담자의 기본적인 생각의 틀과 그 내용을
일컫는 용어


ⓒ 심리적 문제 상황을 유발할 수 있는 역기능적 인지도식
- 인간으로서의 내 가치는 타인의 평가에 달려 있다.
- 여자든 남자든 외모가 출중하고 똑똑하며 돈이 많지 않으면 행복해지기 어렵다.
- 다른 사람의 사랑 없이는 내가 행복해질 수 없다.
-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나약함의 표시이다.
- 사람들이 언제 나에게 등을 돌릴지 모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믿을 수 없다.
- 절반의 실패는 전부 실패한 거나 다름없다.
- 인정을 받으려면 항상 일을 잘 해야만 한다.

 

㉢ 인지적 오류(cognitive errors)
ⓐ 인지적 오류란 자신의 현실을 제대로 지각하지 못하거나 그 의미를 왜곡하여 받아들이는
인지 왜곡을 말한다.

▷ 인지적 오류 * 출처: 이장호 외, 2008
어떤 사람이 어릴 때부터 다른 사람들에게 거부당한 경험이 여러 번 있어서 그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갖게 되었다고 생각해 보자. 아마도 그 사람의 마음은 지금 교제하고 있는 이성이 자신을
거부하지나 않을까 하는 노심초사의 심정일 것이다. 그래서 상대방의 일거수일투족을
예의주시하면서 ‘거부의 단서’를 찾는 데 온갖 신경을 쏟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상대방이
실제로는 차가 막혀서 약속 시간에 늦게 도착했는데도 ‘아, 저 사람이 드디어 나에게 싫증이
났구나.’라고 결론을 내리는 것은 쓰라린 거부의 경험들로 점철된 과거 경험을 가진
당사자로서는 어쩌면 피할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 예에서 ‘상대방에게 거부당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 이유는 과거의 경험들을 통해 차곡차곡
쌓아 온 인지도식 때문이다. 거부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은 넓게는 인간관계 전반에, 좁게는
친밀한 인간관계에 대해 거부와 관련된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다. 즉, ‘사람들은 언젠가는 나를
버릴 것이다.’, ‘사람들은 믿을 수 없다.’ 등과 같은 내용의 인지도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지도식을 밑바탕에 깔고 있는 사람들은 한편으로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여러 사건의
의미를 왜곡해서 지각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다른 한편으로는 어떤 사건에 접했을 때 부정적인
내용의 자동적 사고들을 떠올리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 결과는 심리적 문제의 경험이다.


ⓑ 유형
- 이분법적 사고(흑백논리)
사건의 의미를 이분법적인 범주 중의 하나로 해석하려는 오류로, 사건을 흑백논리로 사고하고
해석하거나 경험을 극단으로 범주화하는 것이다.
예, 타인이 나를 사랑하느냐 미워하느냐의 둘 중 하나로만 생각할 뿐 중립지대를 인정하지 않음

- 임의적(자의적) 추론
어떠한 결론을 내릴 때 충분한 증거가 없음에도 최종적인 결론을 성급히 내려 버리는 오류이다.
예, 여자 친구가 여러 가지 바쁜 상황으로 인해 연락을 자주 못하자, ‘이제 그녀가 나를 멀리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이별을 준비하는 경우

 

- 과잉일반화
한두 번의 단일 사건에 근거하여 극단적 신념을 가지고 일반적 결론을 내려 그와 무관한
상황에도 그 결론을 적용하는 오류이다.
예, 한두 번의 실연으로 ‘항상’, ‘누구에게나’ 실연당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 선택적 추상화(정신적 여과)
상황이나 사건의 주된 내용은 무시하고 일부 특정 정보에만 주의를 기울여 사건 전체의 의미를
해석하는 오류이다.
예, 발표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도 한 두 명의 부정적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여 실패했다고 단정하는 경우

 

- 극대화(의미확대) 및 극소화(의미축소)
사건의 의미나 중요성을 지나치게 과장하거나 축소하는 오류이다.
예, 한번 낙제점수를 받은 것을 가지고 ‘내 인생은 이제 끝이다.’라고 생각하거나 과수석을
차지하고도 ‘어쩌다가 운이 좋아서 그렇게 됐겠지.’라고 생각하는 경우

 

2. 상담목표와 과정


1) 상담 목표
ⓐ 내담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도록 사고의 편견이나 인지 왜곡을 제거하고, 내담자의
문제행동에 바람직한 대안을 찾도록 돕는다.
ⓑ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 행동을 적절한 정서와 적응적 행동으로 변화시킨다.

2) 상담 과정
ⓐ 내담자가 자신의 머릿속을 순간순간 스치고 지나가는 자동적 사고에 주의를 기울이고
인식하게 하여, 자신의 생각을 들여다보고 그것이 정서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게
한다.
ⓑ 상담자는 자동적인 사고를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는 사고로 변화시키도록 격려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이 지니고 있는 인지적 오류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역기능적인 가정들이 어떤
것인지 실제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 상담은 이러한 역기능적 가정들을 재구성함으로써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부적응적인 도식을
변화시키는 단계까지 진행된다.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행동적인 과제를 부여하는 방법도 병행한다.

▷ 인지치료의 상담절차 * 출처: 이장호 외, 2008
① 내담자가 호소하는 심리적 문제를 구체화하여 내담자와 상의하여 상담목표로 정한다.
② 심리적 문제에 인지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음을 내담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인지치료의 기본
원리를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③ 내담자의 현재 삶에서 심리적 문제를 불러일으키는 환경적 자극과 자동적 사고를 내담자와
함께 탐색하고 조사한다.
④ 환경적 자극에 대한 내담자의 해석 내용 즉, 자동적 사고의 현실적 타당성을 따져 본다.
⑤ 환경적 자극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대안적 해석을 탐색해 보고 이를 기존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와 대치한다.
⑥ 환경적 자극을 왜곡되게 지각하도록 만드는 보다 근원적인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들을
탐색하여 확인한다.
⑦ 역기능적 인지도식의 내용을 현실성, 합리성, 유용성 측면에서 검토한다.
⑧ 더욱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적 인지를 탐색하여 내면화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3. 상담기법과 적용


1) 상담기법
① 불안감소법
㉠ 이완훈련(relaxation training): 몸에 전체적으로 도움이 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수의근의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것으로, 다른 인지행동 기술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한다.
㉡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인체의 생리적 변화에 대한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바이오피드백에 연결된 작은 전극을 내담자의 신체에 부착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 체계적인 탈감화 혹은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불안을 야기하는 자극에
직면하도록 긍정적 강화를 제공하며 두려워하는 부정적 결과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함으로써 부적응적 행동을 소멸시키는 것이다.
㉣ 감각기관에의 노출(interceptive exposure): 내적인 신체 단서에 대해 극단적인 해석을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탈감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노출치료이다.
㉤ 홍수요법(flooding): 노출치료 중 하나로서 가장 불안을 많이 일으키는 자극에 내담자를
즉각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이다.
㉥ 전정기관의 탈감각화 훈련(vestibular desensitization): 환경적인 단서에 의해 현기증, 불균형,
어지러움, 오심, 이명, 흐린 시야, 두통과 같은 운동성 장애를 야기하는 공황발작을 가진
내담자에게 적용하는 노출치료이다.
㉦ 반응예방 또는 반응차단(response prevention): 불안 감소반응 없이 불안을 야기하는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② 인지 재구성법
㉠ 사고와 감정의 감시법(monitoring thought and feeling): 5가지 기록 형식(상황, 감정, 상황에
반응하는 자동적 사고, 보다 합리적 반응, 결과)을 이용해서 내담자의 자기 인식을 증진시키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감시하는 것을 돕는 방법이다.
㉡ 증거 탐문(questioning the evidence): 내담자와 상담자가 특정 믿음을 뒷받침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거를 검토해 보는 것으로, ‘그 생각에 대해 어떤 증거를 가지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
㉢ 대안 검토(examing alternatives): 내담자가 자신의 강점과 대처자원에 기초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 탈파국화(decatastrophizing): 내담자가 상황의 비극적 성질을 과대평가하는 것을 깨닫게 하기
위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은 무엇인가?’, ‘그것이 정말 일어난다면 그렇게 끔찍할
것인가?’, ‘다른 사람은 그 사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사용할 수 있다.
㉤ 재구성(reframing): 내담자의 상황이나 행동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전략으로, 문제의 다른
측면에 초점을 두거나 내담자가 다른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 사고 중지(thought stopping): 역기능적인 사고의 진행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 ‘중지(stop)’라고
외치거나 내담자가 멈춤 표지판, 벽돌을 쌓은 벽 등을 상상함으로써 내담자의 생각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③ 새로운 행동의 학습법
㉠ 모델링 또는 대리학습(modeling): 새로운 행동패턴을 형성하고 기존의 기술을 증대시키거나
회피행동으로 감소시키는 데 사용되는 전략이다.
㉡ 행동형성(shaping): 바람직한 행동에 가깝게 행하면 이를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 토큰경제(token economy):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토큰, 패스, 점수 등을 줌으로써
내담자에게 보상해 주는 것이다.
㉣ 역할극(role play): 내담자로 하여금 문제가 되는 행동을 연기하게 하고 그 행동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 사회기술훈련(social skill training): 사회기술은 학습되는 것이며 교육을 통해 훈련을 시행한다.
㉥ 혐오요법(aversion therapy): 부적응적인 행동이 일어났을 때 혐오자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담자가 원하지 않지만 지속되는 부적응적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 임시계약(contingency construction): 어떤 행동이 변화되어야 하며 그 행동에 어떤 결과가
따르게 되는지에 대해 내담자와 상담자 간에 이루어지는 형식적 계약이다.

 

④ 마이켄바움의 인지행동수정
㉠ 행동변화법
ⓐ 1단계: 자기관찰
-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시작단계이다.
- 내담자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 생리적 반응, 대인관계에서의 반응에 대한 높은 민감성이 요구된다.

 

ⓑ 2단계: 새로운 내적 대화의 시작
- 내담자는 초기 계약에 따라 자신의 부적응적 행동을 알아차리는 것을 배우고 적합한 행동
대안에 주목하기 시작한다.
-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자신의 내적 대화를 변화시키는 것을 배우게 되며, 새로운 내적 대화는
새로운 행동을 유도하고, 이는 내담자의 인지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 3단계: 새로운 기술의 학습
- 효과적인 대처기술을 내담자에게 가르치고 그것을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행하는 단계이다.
- 내담자들이 새롭게 학습한 기술을 한 번 사용해 보는 것으로 그치느냐 혹은 계속 사용하느냐는
그들이 새롭게 시도해 본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하여 자신에게 말하는 것에 달려 있다.

 

㉡ 대처기술 프로그램
ⓐ 개념적 단계
-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상담관계 수립이 가장 중요하다.
- 상담자는 이 초기단계 동안 내담자의 협조를 구하고, 함께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의 본질을
검토한다.
ⓑ 기술 획득과 시연 단계
-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스트레스 상황에서 다양한 행동적, 인지적 대처기법을 적용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둔다.
- 내담자는 두려움을 유발하는 것들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구체적인
상황을 학습한다.
-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훈련한다.
ⓒ 적용과 수행 단계
- 내담자는 치료 상황에서 뿐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도 조심스럽게 변화하고 이를 유지한다.
- 이때 내담자들이 단지 자신에게 새로운 것을 말하는 것만으로는 변화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 내담자는 자기 진술을 연습하여 실제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1. 척도내용: 간편하고 신뢰도가 높은 대표적인 척도
2. 우울증의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신체적 증상영역을 포함하는 21문항으로 구성
3. 특징: 우울증상의 정도 측정(증상의 정도를 표현하는 구체적인 진술문에 응답하도록 함)
4. 실시방법: 자기보고식, 자신의 상태를 4개의 문장 중 하나에 표시하도록 함
5. 점수의 범위: 0-63점(0-9: 우울하지 않은 상태, 10-15: 가벼운 우울 상태, 16-23: 중간의 우울
상태, 24-63: 심한 우울 상태)
6. 문항의 예:
0 나는 슬프지 않다
1 나는 슬프다
2 나는 항상 슬프고 기운을 낼 수 없다
3 나는 너무 슬프고 불행해서 도저히 견딜 수가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