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도시와 건축

교양, 도시공학, 건축, 방통대 등 세계의 도시와 건축 요약정리 2. 서울 근대 도시건축의 전개와 변화

롤라❤️ 2022. 8. 28. 12:57
반응형

2장 서울 근대 도시건축의 전개와 변화

1한국 근대 건축 도입 과정: 개항 이후 급속하게 서구 근대건축 유입(형태적 완성품)

1-1한국 근대건축의 특수성: 근대적 발전+식민화의 이중성 =>한국 근대건축 평가 기준

1. 한국 근대 시작은 강화도 조약(1876, 최초 근대적+타율적 불평등 조약)

-3개 항구개방(부산·인천·원산)+치외법권+무관세 무역인정, 서구세력(미국·영국)과 조약 체결

-관제개혁 단행(1880), 일본과 청나라에 시찰단 파견(외국 문물 수용 목적)

-대한제국수립(1897)+자주적 발전 시도 =>철도·전화·전신·학교·공장 설치·설립

2. 일본이 한일의정서(1904)+1차 한일협약·을사늑약(1905) 강제하여 대한제국 식민화

-새로운 사회적 기능시설 및 근대적 건축물 도입(우편국·전화국·학교·상업시설)

-급격한 정세 변화 속에서 근대 건축 시작, 건축물 종류·방식·주체 등 다양한 속성 보유

3. 개항(1876) 기점+서구 건축문화 유입(한국 근대건축 시작), 특징은 수입된 완제품

서양의 근대건축은 고대·중세·근대의 역사적 시기 구분법을 준용하여 지칭하는 용어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구조와 생산기술의 급격한 변형에 영향을 받은 건축물을 의미

-19세기 시작된 아르누보·데스틸·바우하우스 등의 근대건축운동 이후의 건축물을 지칭

건축계획과 공간, 사회적 상황(건축기술 반영) 등을 고려하지 않은 구축된 형태 도입

-한국 근대기 건축계획에서 형태적 측면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정착

4. 기존의 건축문화와 전혀 다른 문화적·의식적 충격+식민지 근대의 이중성 표현

근대건축의 이질적인 재료와 계획+외관 ==>일반인들에게 의식적 변화 발생

-근대의 새로운 시설들은 기존 동아시아의 봉건체제 재편과 자본주의 확산에 기여

일본에서 먼저 학습된 서구의 근대건축 보급, 식민지배체제의 안정과 문명화 선전

-독립 이후 근대건축물이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사라지는 비운 형성

1-2개항기 서구건축의 도입 과정과 유형: 19세기 후반 개항 전후(개항장 조계지 중심)

1. 근대적 상업 시설 및 주거·외교공관·종교·학교, 정부 주도의 공장·행정 시설 등 건축

-양관·종교·학교, 부국강병(공장), 근대적제도 개편(기능시설), 전통건축 개량 순으로 도입

-일본+서구열강 통상수교조약에 의한 개방+치외법권+조계설정 후 근대건축 수입 시작

2. 19세기 중반~20세기까지 서구 근대건축 도입 과정을 4가지로 구분

외국인들이 지은 일상 건축물과 각종 공관 건축물(도성 서울에 주로 건립)

-최초의 일본 관리청(1877), 일본영사관(1884, 원산·인천) =>외관은 서양식+구조는 일본식

-1900년 이후 서양 열강들의 공사관·영사관 설립

한불조약(1886) 이후 종교 건축물(선교사+가톨릭), 외국인들이 상업 목적 건물 건립

-종현 주교관(1890), 용산신학교(1891), 최초의 교회당 약현성당(1892), 명동성당(1898)

외국인들에 의한 민간 상업 목적 건물로 1900년 이후 대도시와 개항장에 건축

-정동 손탁호텔(1903), 한미전기사옥(1900), 인천 제임스존스턴 별장(1905)

서구 근대적 문물의 유입에 대한 정부의 대응으로 나타난 결과물(갑오개혁+을미개혁 단행)

-1894년 관창 건물 건축(근대무기 공장 번사창, 서양식 주화 제조를 위한 전환국)

-대한제국 선포 이후(1897) 근대적 도시로 정비, 궁궐 내 석조전·정관헌 등 근대식 건물 축조

3. 조적조 방식 건축물(벽돌+돌이 주된 재료), 서양식 목구조와 비늘판벽(트러스) 사용

양식적 측면에서는 절충주의 건축으로 개항장과 수도 서울에 국한(전국적 확산 미비)

건설의 주체와 목적 대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건축(자국의 건축양식 선택 사용)

-왕궁(서구 모방+신고전주의 양식), 종교시설은 선교모국에 따라(바로크·신고딕·콜로나얼 양식)

서구 제국주의국가 건축양식 재현(영국·프랑스·미국·러시아·독일), 인도 건축양식(베란다)

-일본이 서구 건축을 자국에 맞게 수정·개발한 유사 서구식 건축인 의양풍 건축 유입

 

1-3탁지부 건축소의 설립과 근대 건축의 확산

1. 을사늑약 강체 체결(1906) 이후 정부 재정 담당인 탁지부 산하 건축소 설립

-관아 시설 건립 증가(일제 식민 지배 준비), 탁지부 건축소(명목상 대한제국 정부 산하기구)

-일본인이 근대적 제도와 시설 도입, 전국적 보급 추진+근대건축물 전국적 확산

2. 조직명은 조선건축소(1906 창설), 탁지부와 재정관계로만 이어진 공사전문기구

한일병합(1910) 때까지 각부의 중앙청사와 전국 각지 행정관서·공공·산업시설 공사 집행

-임시세관공사부까지 흡수하여 각지의 항만토목공사 관장한 근대 시기 한국 내 최대 관영공사

-한국인 위주 관제였으나 한일신협약 체결 후 일본인 관리로 대체(탁지부 차관 겸임+실권 장악)

건축소는 한국에서 근대건축도면을 작성하고 건물을 생산한 최초의 기관

-실무부서(공사부)에서 건축·토목설계 및 시공업무 전담+연와제조소 설치(벽돌생산)

-건축공사와 항만의 토목 및 기계설비공사, 건설자재 생산공장 설치 운영

탁지부 청사(2층 벽돌조·중정형 평면), 대한의원 본관(2층 벽돌조), 평리원(2층석조)

-내부청사(2층 벽돌조), 농상공부 청사(2층 벽돌조) 등 식민통치시설 전용 보급

-지방에는 산업시설(재판소·재무서·경찰서·관사·홍삼제조소)+항구 세관·항만매축 토목공사 수행

3. 건축물의 유형은 순수 서양식 건축물, 일본이 변형시킨 의양풍 건축물로 구분

-광통관·대한의원 본관·부산세관은 서구 건축양식 모방하여 계획적 완성도 상승

-지방의 재판소·경찰서 등은 저렴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목조 의양풍 양식으로 계획

-지방은 기존 전통건축물의 내외부를 근대적으로 수선하여 근대시설 공간으로 사용

4. 건축소는 한국 근대기 최대의 관영공사기구로서 서구의 건축양식·건설기술 도입 통로

-식민지 통치 준비를 위한 일제의 준비 작업 일환이라는 이중성으로 평가

5. 1910년 일제 강점기 시작과 함께 서양식 근대건축물 전국으로 급속하게 보급

탁지부 건축소 업무를 승계한 조선총독부 산하 회계국 영선과에서 계획 및 시공

식민통치 시설(조선은행·조선총독부·경성부청·대법원), 근대적 기능(조선호텔·서울역)

-1930년 이후 미스코시 백화점, 단성사, 명치좌(명동국립극장), 화신백화점 등 상업 시설 보급

 

2근대 건축의 전개와 건축기술의 유형

 

2-1근대 건축기술의 여러 양상: 완성품+건축물에 맞는 건축기술도 함께 도입

1. 건축물 생산의 주체와 그 의도에 따라 서구의 근대건축기술을 무질서하게 수입

근대건축사 연구의 주된 관심사는 근대건축물 계획의 기반이 되는 근대건축구법

-시설의 재료는 목재·벽돌(1876년 개항 이후 사용), 철근콘크리트·철골(1920년 중반 사용)

주 구조재(목재·벽돌), 철근콘크리트(건축물 기초·층간 보·바닥판)를 병용하여 사용

-근대 초기의 양식건축구법은 양식의 목조와 벽돌조구법

-근대 건축구법은 내력 벽체를 구조체로 사용, 전통 목조의 기둥-보 구조방식과 차이점 형성

2. 한국재정시설강요(1910)의 관립공사 내역=>도입 초창기에 사용된 서구 건축기술 확인

탁지부 건축소에서 진행한 47건의 시공 내역 기재(1906~1910)

-목조건축물(31)이 벽돌조 건축물(14)에 비해 다수 계획되었음을 확인

-벽돌조 건물은 대부분 중앙 관청 청사, 화재 대비를 위해 벽돌조로 계획(연초공장·창고)

건축구법의 판단기준은 하중을 분담하는 구조부의 재료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

-근대시기의 신축된 시설들의 구조재는 다양한 재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

*수직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는 기둥 및 벽체 등의 수직구조부

*상층의 하중을 수직구조부로 전달하는 바닥판··도리 등의 수평구조부

*우수 등의 외부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지붕구조 등으로 분류

양식목조구법은 수평구조(목재 보수직구조(목조 내력벽지붕구조(목조 트러스)=>목재 사용

-벽돌조구법은 수직내력벽은 벽돌, 층간 보·바닥판·지붕은 목조 ==>벽돌과 목재의 병용구조

-철근콘크리트 사용 방식은 철근콘크리트가 활용되는 부분이 어디냐에 따라 다양한 유형 형성

2층 이상의 벽돌구조법 건축물에서 목조로 된 수평구조부를 철근콘크리트로 대신 사용(1920)

-지붕구조까지 철근콘크리트를 활용한 평지붕 계획, 현관 외부의 포치·창호 상부 인방에 활용

-철근콘크리트를 수평구조부에 사용 =>내진 성능에 주목 =>간토 대지진 이후 각광받기 시작

3. 조선과 건축에 철근콘크리트의 사용과 장점에 대한 논설 기재(1923)

*경성재판소 청사 구조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기둥 사이의 벽은 벽돌~~

*평양사범학교 본관 구조는 철근콘크리트벽돌조, 경성여자사범학교 본관 구조는 벽돌조

-근대건축 구조에 대한 표현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

 

2-2양식목조구법과 근대 도시건축의 기반: 식민통치시설 보급으로 도시 경관 변화(1910)

1. 1918(양식목조구법 계획만 시행) //1919~1923(양식목조구법에서 벽돌조구법으로 전환)

-1934년 이후 철근콘크리트 혼용 벽돌조구법 보편화

2. 양조목조구법은 현재의 2×4 공법과 유사(경골목구조)

벽체의 뼈대를 구성하는 규격화된 수직부재+샛기둥과 가새로 연결=내력벽체 제작 방식

-일본(막부 말기·메이지·다이쇼 시기에 목조구법에 대한 서양기술 도입) =>탁지부에 의해 도입

단점(화재예방·방한·유지수선비용 불리), 장점(저렴한 가격의 재료+빠르게 건축)

-조선을 대륙진출의 기지로 개발+대규모 재편 목적+재정적 한계로 양식목조구법 선택

-조선총독부 건축표준에 반영(허식을 줄이고 관비 절감+실용 지향~~설계)

조선총독부 청사 증축공사에서 양식목조구법 사용 확인(1910) =>강점 이후 가장 먼저 시행

-르네상스 양식의 2층 목조 건물인 통감부 청사를 계승(1907), 사무 공간 부족으로 증축

3. 양조목조구법은 근대 시설이 요구하는 공간적 변이를 구조 모듈의 조정을 통해 수용 가능

-구조 관련 계획 치수들이 3의 배수 척으로 형성(양식목조구법계획에서만 확인=특징)

-서구에서 계획된 공간 개념들을 적용하기 편리했기 때문으로 추정

-건물 외곽선이 필요에 따라 전후로 조정되어 복잡한 외벽 형성 =>양식목조구법 특징

4. 양식목조구법으로 계획된 관립시설은 피식민지배민에게 동화+문명화 선전을 수행하는 장소

외관은 선진 일본 문명의 발현체로서의 의미, 관립시설 입면을 비늘판벽으로 공통되게 구성

1910년 이전과의 차이는 인천세관의 입면 계획 변경에서 확인(탁지부 건축소 설계->변경·건립

-1910년 이전은 목조구법에 외관은 서구 르네상스식·신고전주의·네오바로크 양식 모사

1910년 강점 이후는 서구 양식을 개조한 비늘판벽 유사(의양풍) 서양풍 건축입면으로 교체

-두드러진 특징은 중앙부 강조 =>권위성 확보 주된 장치(박공··첨탑을 주로 활용)

-한국 근대건축물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었던 입면 의장 방식

5. 1918년 이후 일제강점기 양식목조건물 마감에 비늘판벽+미장 재료(모르타르) 사용

1910년 중반까지 비늘판벽 마감, 1910년 후반 마르타르 바름 방식 사용(방한재료)

-조선총독부의 정치적·경제적 의도(저렴한 비용+식민통치를 위한 시설 건립)가 원인으로 작용

-1917년 시멘트 생산 공장 대규모로 설립(평양)+생산량 증가했기 때문

1918년 박공면을 단순한 벽체로 막고 창문을 계획하는 방식 보편화

-모르타르 사용과 박공면 계획방식의 변화로 다른 구법과 차이 없는 외관 형성

 

3서울의 근대건축과 근대성

 

3-1근대 건축의 이미지와 모더니즘 건축

1. 문명화를 상징하는 근대건축물은 전통건축물과 다른 외관·차이 형성

-1915·1929년 건축 박람회를 통해 근대건축 이미지 선전 =>자국의 발달된 산업화 과시

-최초 만국박람회 개최(1851, 런던) =>세계 각지에서 개최(박람회 시대 형성, 19~20세기)

-1907년 최초로 경성박람회 개최,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박람회, 조선대박람회 등 개최

2. 제국주의적 전시는 주요 전시관의 건축을 통해 구체화, 식민통치 성과·선진성·근대성 표현

식민통치 5주년 기념(1915)하여 경복궁 남쪽 일곽에서 조선물산공진회 개최

-르네상스 양식 및 르네상스 양식에 세제션 양식을 가미한 것으로 양식의 통일감 유지

-르네상스 양식은 가장 권위적이고 고급스러운 양식 =>주요 관공서에 널리 사용

-세제션 양식1915년 일본에 유입된 가장 최신의 서구건축양식

-르네상스·세제션 양식은 일제의 우월성 표현+서구의 제국과 동일시하는 태도

근정전·교태전·경회루 등의 전통궁궐 건축물을 공진회의 오락·접대장으로 사용

-선진 일본전시관과 대비되는 전근대성을 상징하는 민속적 건축양식으로 이용

3. 서구의 건축양식이 곧 선진화·근대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수용

일제 시정 20주년 기념 조선박람회 직영관을 조선양식(전통건축양식)으로 통일하여 사용

-일본인의 이국적인 취미 만족, 일본인의 시각에서 박람회 계획, 조선의 타자화

-지방·기업특설관은 지방색 표출, 새로운 건축디자인 채용(모더니즘), 이국적 건축양식 사용

근대건축 이미지는 1930년대 모더니즘 건축(국제주의 건축양식)이 보편화되면서 강화

-외관·평면에서 이전의 양식주의 건축과 대비, 양식주의 건축에서 절충적 경향을 거치며 시작

-모더니즘 건축 수용의 가장 큰 특징은 선진성 표상과 건축에서의 합리성 추구로 설명

-절충적 경향은 양식주의 건축과 모더니즘 건축의 부분적 특성을 갖춘 중간적인 건축 성격

1920년대 이후 근대화와 경제 활성화+건축물 대량 신축, 새로운 용도 건축물 등장

-철근콘크리트·타일 등 새로운 재료 도입, 민간 건축 성장과 동시에 건축양식의 변화 진행

4. 1930년대 양식주의 건축으로부터 탈피(민간 사무소 건축의 대량 보급이 원인)

모더니즘 건축으로 양식변화에 중요 원인은 일체식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보편화

-개방적·효율적 공간구성·캔틸레버(외팔보), 수평창·모서리창·수평띠창 등 새로은 표현 가능

모더니즘 건축 보급+상업 건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한국인 건축가 등장

-경성공업전문학교(1916)설립되면서 소수의 한국인이 건축과 졸업(60=박길룡·박동진)

-박길룡은 경성박람회 설계 참여, 건축사무소설립(조선생명보험사옥·경성제국대학본부·화신백화점 설계)

-박동진은 보성전문학교 본관 등 학교 관계 건축물 계획, 국외 교육자(박인준·강윤)

 

3-2근대 도시주거의 흐름: 한국 근대건축의 중요한 이슈는 주거건축의 변화

1. 도시 인구 증가함과 동시에 서구와 일본 주택 수입으로 전통주거건축에 변화 발생

-근대는 한국인의 생활이 전통 한옥에서 현대의 아파트로 바뀌게 된 계기로 작용

-서울에 건립된 근대 주거건축의 형태는 일식주택(일본인 관사), 도시형 한옥·문화주택·영단주택

2. 일본인 관사 1910년 급속 증가, 전형적인 일본 주택 양식으로 건립

전통의 일식 주택에 서양식 공간 현관·복도·응접실을 가미한 일양절충식 주택

-겨울이 추운 한국의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온돌방을 덧붙는 한일양절충식 주택으로 변모

조선전래 주택의 개선문제 논의(1920, 가족제도·의식주+생활개선, 위생·난방설비·부엌개량)

-서구의 주택+일양절충식 주택의 영향, 동아·조선일보 창간 후 대중에게 확산

-조선건축회에서 각종 현상 공모안 시행, 주택발전 방향 제시+현재의 주택이 생겨난 계기 마련

개선주택 설계도안 현상 모집 시행(1922), 서구의 근대적 생활방식을 조선 중류 가정에 반영

-문화주택(평화기념동경박람회) 영향 받아 거실중심·현관·실내 변소 도입·벽돌식 구조 당선

3. 서양식 외관의 주택을 지칭하는 문화주택 개념으로 연결(문화와 주택이 결합)

문화주택도안전람회+조선박람회에서 문화주택 실물을 전시하여 대중에게 소개

-기존 주택과의 차별성(빨간·파란기와 채택+하얀 모르타르+테라스·파고라 설치)

-철근콘크리트··유리 등 근대를 상징하는 건축 재료 사용(욕실·부엌·화장실 구비)

건축가들이 편하고 위생적인 모던하우스 문화주택을 지향해야 할 주택으로 제시

-1970년대 양옥이라는 단어 사용 전까지 문화주택은 서양식 주택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

4. 도시 내 전통한옥에도 영향을 주어 주택공급업자에 의해 도시형 개량 한옥 보급 시작(1920)

-자형 평면+도로+대문, 공사비 절약(서까래=부연, 소로=장식효과), 도시근로자 대상(마당축소)

-마루가 유리문을 통하여 내부 공간화, 사랑채 대신 셋방==>현재의 북촌한옥마을

-북촌은 근대기 서구 주택 문화가 전통 주택의 변화에 미친 영향과 그 대응을 보여주는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