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론

사회복지사, 복지직 등 시험 필독! 의료사회복지론 요약 정리 4. 의료사회사업의 역사적 발전과정 정리

롤라❤️ 2022. 9. 3. 20:05
반응형

4. 의료사회사업의 역사적 발전과정 정리

1. 의료사회사업의 기원
비조직적인 봉사 : 종교적인 이념으로 구호가 필요한 개인이나 가정에게 정신적 또는 재정적 도움을
줌에 있어서 병원형태의 수도원에 질병자들을 수용보호하는 데서 그 기원이 있다. 특히 John Wesley는
최초로 자선진료소를 설치하였고 또 자선조직협회를 조직하였다.
간호사들의 봉사 활동 : 19세기 간호사들은 환자를 위하여 단순한 질병보조자외에 환자의 개인 및 가정
문제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다. 1869년 New York에서 간호사가 빈민환자의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을 위로
하고 환자로 인해 생긴 문제에 관여하는 봉사활동이 있었고 1887년 Boston과 Chicago에서 조직적인 봉
사활동이 시작되어 점차적으로 의료사회사업의 형태적 서비스가 전개되었다.
부녀봉사원들의 활동 : 1875년 자선조직협회의 Charles S. Lock 경의 선도적인 역할로 조직된 것이 1895
년 왕립시료병원에서 처음 채택되어 시행. Almoner는 의료사회사업가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Almoner의 주 업무는 환자의 병원비 지불능력, 구빈법으로서 구제대상의 적격여부 규정 및 통보, 입원이
필요한 환자에 대해서는 무료진료소에 의뢰하는 일 등 이다.
정신병 환자의 사후지도 : 1880년초 영국의 사회복지단체가 주동이 되 정신병원서 퇴원한 환자를 대상
으로 사회복지시설 등에 알선하고 지역사회에 적응하도록 직장을 알선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의과대학생들의 봉사활동 : 1902년 Baltimore에 John Hopkins 대학의 Charles P. Emerson 박사는 의대생들
에게 자선기관에서 봉사활동을 하게 하였다.

 

2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1) 서양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1) 중세기 의료에 대한 사회사업적 개입
- 14세기 : 영국, 교회 중심 수도원
구빈원 설립
빈민, 장애자, 노인, 질환자 수용 보호
- 1601년 : 영국, 엘리자베스 구빈법 제정, 구빈행정체계 확립, 빈민의 분류 및 차등대우

(2) 1900년 전후 의료사회사업 활동
방문간호사활동
- 환자 방문간호, 환자가족 위로, 환자문제 상담
- 의사들이 환자를 이해하도록 가교 역할
부녀봉사원 활동
- 영국 부녀봉사원(Lady Almoner) 자선조직 결성
* 알모너(Almoner) : 구호품 분배자, 병원의료사회사업 담당자
- 환자들의 자선 적격여부 사정
- 빈곤 환자들에 대한 경제적 원조 문제 처리
사회복지단체의 정신질환자 사후지도

- 1880년초 영국, 사회복지단체 중심 퇴원 정신질환자 돌봄
- 거처 없는 불우환자 : 사회복지시설, 요양원, 위탁가정 알선
- 퇴원환자 지도 : 직업알선, 지역사회 적응 등
의과대학생들의 봉사활동
-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지역사회 봉사 프로그램
- 의학교육 : 환자들의 사회적, 정신적, 경제적 문제 이해 필요성 강조

2) 영국의 의료사회사업 발달
1875년 록(Lock)경, 런던 자선조직협회 결성
- 부녀봉사원(Lady Almoner) 선발 활동
임무 : 의료비 지불능력여부 파악, 구빈법 적용대상자 선별, 실비환자 진료의뢰 등
- 의료체계의 조직화 : 환자의 사정방법, 치료비 지불 방법 등
- 1895년 왕실시료병원에 Almoner 채용 주장
1905년 커민스(Cummins), 성 토마스(St. Thomas) 병원의 Almoner
- 주변 환경 불결로 인한 질병(결핵) 유행, 위생교육 생활환경 개력 노력
- 의사와 사회사업가의 이해와 협력 중요시 함
- 부녀봉사원들에 대한 교육 실시 및 양성

3) 미국의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1905년 캐봇(Cabot), 매사추세츠병원 의료과장
- 환자의 개인적 문제
사회적 환경을 질병의 원인으로 인식
- 의료사회사업가 채용(Pelton: 간호사)
의료사회사업가의 임무 부여
- 환자의 가정 및 사회적 조건들을 보고
- 환자들이 의사의 지시를 이행하도록 함
- 병원과 지역사회 조직 또는 기관과의 연계
1906년 캐논(Cannon), Pelton 후임으로 임명
- 병원 사회서비스과장 직책 (1914년)
- 초기에는 병원조직 및 지역사회 자원과 친밀한 간호사들이 의료사회사업가로 주로 활동
1900년대 초 의료사회사업의 주요 업무
- 결핵퇴치 노력에 개입 : 환자가 가족과 장기간 분리(심리적 문제 대처)
- 열악한 작업환경 개선 및 위생교육
- 미혼 임산부 교육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자원 연계
미국 사회복지사협회 조직
- 1918년 : 미국 병원사회사업가협회 결성
- 1926년 : 정신보건사업가협회 결성
- 1955년 : 사회복지 관련 협회 통합,
전국사회복지사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NASW) 발족
1930년대 이후
- 1929년 : 세계 대공황, 직업상실, 걱정, 불안, 공포로 우울증 환자 증가
의료사회사업에 정신분석학(정신상태의 변화) 개입 → 정신의료사회사업이 발달하게 됨
- 1933년 : 연방긴급구제법 제정
- 1935년 : 사회보장법 제정(공적 서비스 확대 → 의료사회사업가 수요 증가)

- 1965년 : 메디케어(Medicare) 및 메디케이드(Medicaid) 실시 → 요양기관 확대 →의료사회사업가 수요
증가

4) 한국 의료사회사업의 발달
(1)태동기
고려시대 제11대 문종(1046~1083년): 빈민의 병자를 구호 요양하기 위해 개경과 서경에
의료구제기관으로 동
서 대비원 창설
고려시대 16대 예종(1112년): 혜민국 창설 à 일반시민에 대한 의료기관의 기능 수행, 빈민환자에게 의
약, 의복을 내주고 무료로 치료
조선시대: 빈곤한 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자선이나 구제 시행, 혜민국이 혜민서와 활약서로 나
누어서 설치됨.
근대적 의미의 의료사회복지: 1883년 세브란스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여전
도회 회원의 활동, 일제강점기의 의료사회복지 기록

현대적 의미의 의료사회복지실천이 시작: 1958년 한노병원, 세브란스병원에서 의료사회복지실천이 시
작되면서부터임

(2) 도입기
1964년 세브란스 병원, 1966년 성모병원, 계명의대 부속, 동산의료원, 1968년 예수병원, 고려병원, 중
앙대 부속병원 등에서 의료사회복지 업무 시작
1959년 원주기독병원(극빈환자의 입원치료를 경제적으로 원조하기 위하여 나환자촌 진료와 간질환자
순회진료 등, 일찍부터 지역사회주민을 위한 사업전개)
1971년에는 한강성심병원, 안양정신병원, 혜동의원 정신과 등에서 사회복지업무가 이루어짐.
이 시기에는 법률적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사회복지사가 선교사들에 의해 비조직적으로 채용되어 의
료사회복지사가 아닌 행정직원 혹은 병원 내 부서원으로서 자리를 잡는 특성을 보여줌.

(3)제도화기
1973년 대통령령 제 6863호(「 의료법」 시행령 제24조2항 5호)에 의해 종합병원에 사회복지사 채용규정
마련(의료사회복지 법적 인정)
1973년 ‘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가 설립
1977년 의료보험 실시와 더불어 정신의료사회복지 수
가가 인정.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상담활동에 대한 보
험수가 청구가 가능해짐. 이로 인해 정신과를 중심으로
한 단과 병원에서 사회복지사 채용이 증가함.
1981년 ‘ 병원 표준화 심사’ 제도 도입, 1983년 의료사
회복지부문은 병원 표준화 심사제도에 포함됨으로써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는 계기 마련.
제도화기(1971~1990) 중요 내용
1973년 - 대통령령 제6863호에 의해 종합병원에 사회복지사의 채용규정 마련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설립
1977년 - 의료사회보험제도의 도입으로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상담활동에 대한 보험 수가 청구 가능
1983년 - 병원표준화 심사제도에 의료사회사업부문이 포함

(4) 전문화 및 확장기(1991~)
1990년 이후 -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등으로 인한 중· 대형병원의 등장
WTO 체제에 따른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제
골수이식 실시기관 등의 인정기준에 사회복지사 포함
1994년 - 재활의학적 사회사업수가 인정
1995년 -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요원의 양성
1990년 이후 의료사회복지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도가 시행되어 의료사회복지가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2009년부터 본격적인 수련제도 시행)
1995년 : 의료서비스 평가제도 도입
2001년 : “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로 개명
의료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 확대
- 장기이식
암환자에 대한 개입
- 호스피스 프로그램
- 화상환자, 절단환자, 당뇨환자, 심장환자 등 개입
- 퇴원계획팀, 임상연구위원회, 질병관리위원회 등 팀워크 활동

 

3. 의료사회사업의 가치와 전망
1) 의료사회사업의 전문적 요건
의료사회사업가들이 의료복지 서비스를 실천하는데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은 다음과 같다.
① 의료사회사업 전문직의 실천행동의 가치가 명백해야 하는데 의료사회사업에서는 사회사업의 일반가
치와 보건 및 의료분야의 특수한 가치가 요청
② 전문직으로의 필수요건은 지식체계인데, 의료사회사업은 사회사업의 일반적인 지식은 물론, 보건 및
의료, 질병에 관한 지식, 의료문제에 관계되는 사회생태학, 스트레스, 성격이론, 개인, 가족, 집단 등의
발달이론, 그리고 보건 및 의료분야의 의료사회사업실천에 가장 효과적인 지식을 기반
③ 전문적인 교육을 통하여 갖추어진 가치와 지식을 바탕으로 임상경험을 통해서 습득되는 기술
의료사회사업은 1차적 대상문제인 질병으로 파생되는 심리사회적, 사회복귀적인 재활 등의 문제에 관한
지식과 이를 다루고 도울 수 잇는 전문적인 기술, 임상의 다원적인 접근방법을 습득하는 교육과 수련이
요망되고, 이런 기술을 활용하는 기본적인 철학이나 신념이 확립되어지기를 요구하고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현장에 있는 의료사회사업가들이 전공 기본서적을 보거나, 임상사례발표 그리고 슈퍼비젼 등 현임
훈련을 통해 자질향상에 노력하고 있으며, 임상사회사업가들이 현장에 재직하면서 대학원과정을 수료하
여 초심자 수련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Hamilton 이 제안하는 전문사회사업가의 자격기준은 ① 인간에 대한 관심 ② 조화적인 태도 ③ 편견없는
원만성 ④ 객관적인 고찰 ⑤ 자기지각 등이다.

또한, 사회사업가로서 의료, 보건 영역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은 아래와 같은 면에서 훈련되고 교육
되어야 한다.
① 과학성(지식+객관성) : 의학, 약학, 간호학과 같이 학문적인 이론이 전문직업인으로서 발전시킬 수 있
는 지식체계로서, 사회사업의 전문지식, 행동과학(생물과학, 정신과학, 사회과학)등의 과학적인 지식 체
계 등이다.
② 기술성(지식+수련+감수성):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수련 즉, 임상경험을 통한 기술의 완전한 소화력과
그 능숙성을 의미한다.
③ 인격성(인격의 성숙): 타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 대상자의 행동, 정서에의 관여, 자기의 인격상, 장단
점, 반응, 자기통찰 그리고 자기문제 해결 능력,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건강한 성장을 통한 완
성된 인격 등을 의미한다.

2) 의료사회사업의 지식
가치와 지식은 사상과 행동체계에 관련된다. 따라서 가치와 지식은 사회사업가가 중재활동을 할 때에
가치 또는 지식에 기반을 둘 것인지 또는 지식과 가치를 결합한 것에 기반을 둘 것인지를 구별하는데
중요한 것이며, 그 활동의 결과가 비효과적, 비목적적이며 또는 유해한 것이 되지 않도록 하는 데도 중
요한 것이다. 의료사회사업가가 가지고 있어야 할 보편적인 지식은 다음과 같다.
① 질병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신체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여러 기제에 대한 지식
② 어떠한 병이든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발생학적, 역동학적인 접근을 통한
전인적인 인간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지식
③ 치료과정에서 치료와 관련해서 생기는 부차적인 것의 역동성과 그 내용에 관한 지식
④ 의료팀과 지역사회의 밀접한 관계를 통하여 효과적인 치료활동을 위한 지식
⑤ 지역사회자원을 동원하여 질병예방과 치료 나아가서는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계획과 자원조직과 동원
에 관한 지식 등이다.

3) 전망
현대에 와서 보건의료서비스는 의
주 다음가는 제 4의 생활필수품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현대의료기술
의 발전과 전문화라는 보다 다원적인 의료진을 구성하여 환자를 신체적인면 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요소를 포함한 전인적인 인간으로 볼 수 있도록 요망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위
하여 의료복지의 필요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국민은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때나 개체로서의 천부적 자유를 중심으로 한 자유권
을 누리는데 있어서 건강이 그 기본 요건이 된다. 또한 보건의료서비스는 사회의 질서유지와 안녕 그리
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요인이므로 의료의 사회화, 의료의 공공재화, 의료비부담의 사회
화, 의료업무의 사회 조직화, 의료시설의 민주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회문제로서의 질병과 의
료문제는 기본적으로 사회과학적인 규명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에서의 조사연구나 평가

를 통하여 의료관계자와 국민대중이 손을 잡고 광범위한 보건운동을 전개해야 하며, 이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정책적 보호의 정비와 확충에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이런 의미에서 의료
사회사업은 의료의 사회적 보호로서 의료보험이나 의료보호 및 의료부조의 충실과 그 정비에 정책적으
로 개입하게 될 것이다.
의료사회사업가들이 하는 일
-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사고, 치료동기 강화
- 가족과 협의 간병체계 원조
- 환자
가족 심리적 어려움 : 정서적 지지
- 경제적 어려움 : 후원기관 연결, 환자의 직장협조, 언론사 모금 연계 등
- 장애 아동에 대한 특별 프로그램, 특수교육정보 제공
- 지역사회 자원 연계(아동학대 예방센터 등)
- 퇴원 후 문제(학대)상황 노출 예방
- 퇴원 후 재활모임 또는 프로그램 참여 안내 등

4) 의료사회사업가의 역할
① 심리
사회적 치료자의 역할
: 개인력 검사, 개별상담, 집단치료, 가족치료 등 동원의 방법을 이용하여 심리
사회적 안정을 가져오게
한다.
② 원조자의 역할
: 경제적 원조, 사회복귀 원조, 퇴원계획 참여, 정보제공 등 원조자의 역할을 수행
③ 서비스 조정자의 역할
: 병원의 지역사회 자원체계 관리, 전문가간 기능의 조정 등의 역할을 수행
5) 병원사회사업가의 업무분야
병원사회사업(Hospital Social Work)은 병원 내 의료팀의 일원으로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지원
- 심리
사회적인 문제 상담
- 부부문제
가족문제 상담
- 질병에 대한 부적응 및 치료거부 환자 상담
- 장기입원으로 인한 문제 상담
- 임종환자 상담
- 미혼모
불임부부의 입양 상담
- 배우자 학대
아동 학대성폭력자살기도 등의 위기 상담
- 퇴원을 앞둔 환자의 사회복귀 및 재활 상담
- 노인성 질환 환자와 가족문제
- 현대인의 정신건강문제
- 환자의 경제적 문제
- 지역사회와의 연계
- 병원사회사업 관련 정책적 문제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