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치료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롤라❤️ 2022. 9. 18. 19:22
반응형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목차>

01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발달배경

02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기본 원리

03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주요 개념

 

 

1.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의 발달배경

1.1 이론 발달 배경

1) 보웬(Bowen), 그는 누구인가?

- 미국 테네시(Tennessee)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정신과 의사

정신분열증 아동 치료 가족에 대한 중요성 인식

-(-) 간 공생 관계 발견

미성숙한 어머니는 감정적 욕구를 채우기 위해 아이와 공생 관계를 맺음

- 가족치료 기법 개발 + 가족치료 이론 정립에 큰 업적 남김

 

보웬의 이론적 기여

1) 정신분석적 접근 & 체계적 접근 사이의 교량적 역할

2) 가족을 다세대 현상으로 봄

- 다세대에 걸친 가족체계의 분석을 통해 현재 가족의 문제를 파악

3) 정신질환 이라는 말보다 정서질환 이라는 용어로 대체 사용

4) 우리 삶에 만성불안(chronic anxiety)’ 은 항상 존재한다고 가정

· 만성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은 분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봄(연속적 사고)

2.1 기본 원리

1. 기본 원리

1) 기본원리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이론은 정서 모델에 기초

정서 : 인간을 움직이게 하고 생존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힘

연합성(togetherness) & 개별성(individuality) 으로 분류

연합성 . 가족 안에서 서로 정서적으로 얽혀 지내고자 하는 속성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고 연결되어 서로의 자극에 민감 하게 반응하는 생물학적인 힘
개별성 . 가족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하는 속성
자신의 삶의 방향을 스스로 정하고 추진하는 생물학적인 힘

 

)

-자녀 간 공생 관계: 분화되지 않은 가족자아집합체를 더 강화

가족의 기능이 역기능적으로 됨 예

 

. 가족

분화되지 않은 자아덩어리 / 다세대 간 분석과 역사적 관점 통해 이해될 수 있다고 봄

. 보웬은 -자 공생 관계에 대한 틀로부터 6+2가지 주요 개념 완성

자아분화, 삼각관계, 핵가족의 정서체계, 가족투사과정, 다세대 전수과정, 출생순위 + 정서적 단절, 사회적 정서과정

. 의 개념들은 독립된 개념 x, 서로 맞물려 있는 개념

 

3.1 주요 개념

1. 자아분화 (differentiation of self)

1) 개념 정의

. 자아분화 : 보웬 가족치료이론의 치료 목표 & 성장 목표

. 정의 : 어린아이가 어머니와의 융합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의 정서적 자주성을 향해 나아가는 장기적인 과정이며, 세대를 거쳐 재생산

정신 내적 측면 지적 기능이 정서적 기능에서 얼마나 분화되어 있는가
의미(분화된 사람 : 사고 vs. 감정의 균형)
대인 관계적 측면 확고한 자아를 발달시키지 못하고 거짓자아가 많은 비중 차지하며, 일관된 신념 부족, 독립된 행동 x(미분화된 사람 : 자율성, 자주성 부족하며, 타인과 융합하려는 경향 보임)

. 정신 내적인 측면 < 대인관계적 측면 중시

 

. 자아분화수준의 정도

: 참자아(solid self) vs. 거짓자아(pseudo self)의 비례로 나타냄

참자아
(solid self)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를 가지며, 타인과의 관계 or 외부 영향으로부터 쉽게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가짐
거짓자아
(pseudo self)
주변의 상황이나 압력, 감정에 의해 자신의 모습이라고 믿는 자아

 

. if 거짓자아 > 참자아

자신의 감정, 태도, 생각 등 자신의 입장 표현 x, 관계에 따라 자신의 모습 바꾸는 등 비일관된 가치 or 신념 가짐

불안 or 변화 경험 시, 정서적 반응의 지배를 받아 충동적으로 행동하며, 개인의 변화를 시도하는 능력을 상실

. But 자아분화수준 정서질환 or 정신병리를 측정하는 기준

. 자아분화수준 성숙수준

. 자아분화

개인의 자아가 가족자아 집합체에서 얼마나 분화되어 있는가를 사정하기 위한 이론적 척도로 활용

모든 사람을 하나의 연속선상에서 범주화하는 방법으로 사용

정상(normal) 개념은 x

(: 자아분화 정도가 낮아도 스트레스 없이 일상 생활하는 경우도 )

 

2) 자아분화 지표

. 가족들이 가지고 있는 감정이 자신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정도

. 가족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지 않으면서도 그들에게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정도

.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그 집단이나 가족의 일원으로서 남아있을 수 있는 정도

. 불일치, 적대감, 소외에 직면하면서도 정직하게 남아있을 수 있는 정도

. 다른 사람들의 책임에 얽혀 들어가지 않으면서 그들을 책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정도

.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감을 잃지 않으면서도 그들과 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

. 반사적인 감정행동을 하지 않고 지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정도

 

3) 자아분화 수준별 특성

이론적 자아분화의 범위 - 0 ~ 100 까지 단계적으로 구분

0~25: 감정과 사고의 융합이 심하며, 감정 상태에 따라 감정반사 행동을 함.

-> 일상생활이 어려움

25~50: 인정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있으며, 좌절 시 불안한 감정반사 행동을 함.

-> 갈등 회피, 의존적, 자율적 능력 부족

50~75: 사고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는 편이지만, 불안 정도가 높으면 일시적으로 융합 경향 보임

75~100: 명확한 가치와 신념을 가지며, 목표지향적 & 융통성과 자율성을 가짐

 

2, 삼각관계 (triangles)

1) 개념 정의

. 가족 내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는 정서적 역동방식

. 어떤 두 사람이 사물이나 제3의 인물을 자신들의 정서적 문제에 끌어들이는 형태

) 부부가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자녀를 끌어들여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

상처받기 쉬운 성향을 가진 자녀가 선택되며, 이 자녀는 다양한 측면에서 부적응 양상 보임

. 삼각관계 형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 : 불안

. 가족 안에서 더 이상 삼각관계를 만들 수 있는 인물을 찾을 수 없을 때, 가족 이외의 사람 or 활동과 형성하기도 함

) 부부갈등이 심한 경우 취미생활에 몰두

삼각관계로의 이동과정

3. 핵가족 정서체계 (nuclear family emotional system)

1) 개념 정의

. 가족들이 감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정도

부부의 분화 수준에 따라 정서 분위기 결정

초기에는 미분화된 가족자아 덩어리(undifferentiated family ego mass)로 표현

이후 핵가족정서체계로 대체 사용

. 원가족과 분화되지 못한 부모

원가족과 정서적 단절을, 생식가족과 융합 속에서 안정을 찾고자 함

융합으로 인해 공동자아가 불안정하게 유지(특히 자존감이 낮은 경우)

부부 간 정서적 거리감 증가 / 자녀에게 문제 투사

부부의 분화수준이 높을 경우

- 정서적 융합은 & 부부관계 내에서 신뢰와 성실, 상호 존중 등의 요인에 의해 분화가 더욱 강화

부부의 분화수준이 낮을 경우

- 상대에 대한 감정적 의존욕구 & 상대가 만족시켜주지 못할 때 불만과 두려움 고조

 

핵가족의 정서체계가 강한 4가지 경우

정서적으로 유리된 상태 : 부부 사이가 감정적으로 멀어지며 감정반사 행동

부부 중 한 사람이 신체적 or 감정적으로 역기능 또는 부적응 상태

부부 간의 충돌이 잦고, 갈등이 심해 주변 사람 중 누구든지 부부갈등 인식

부부 간에 가지고 있는 문제를 자녀 중 한 사람 or 여러 자녀들에게 투사

 

. 핵가족 정서체계 내의 미분화로 인한 정서적 불안정을 다루는 기제 의미

가족들이 자신의 불안을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투사하는 과정

아분화수준이 낮은 가정의 경우 투사 경향이 심함

. 투사 대상이 된 자녀 역시 자아분화가 낮게 이루어지게 됨

미분화의 과제는 세대를 걸쳐서 전수

. 투사의 대상이 되는 자녀는 부모와 삼각관계 형성

가족의 역기능적 순환고리는 지속적 반복

 

4. 다세대 전수과정(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1) 개념 정의

. 세대를 통해 가족의 정서과정이 전이되는 것

. 미분화 가족 문제 특정인에게 투사 또다시 미분화 등 미분화 상태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

. 미분화 상태가 세대 간 전이되면 정신분열증 or 정서적 질환 앓게 될 가능성

=> 정신분열증 or 역기능의 문제는 가족체계에서 누적된 자아의 미분화의 결과

 

5. 출생순위(birth order)

1) 개념 정의

. 윌터 토만의 출생순위에 관한 이론을 적용

다른 환경의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출생순위가 같으면 비슷한 성격을 가짐

) 장남 or 장녀 - 권위적, 규칙 집착 예

. but 토만은 생물학적 출생순위 중시 vs. 보웬은 기능적인 출생순위 고려

출생순위와 불안 관계 관찰

)

첫째 자녀가 사망 or 질병으로 장남 노릇을 못할 경우, 차남이 장남역할

형제의 나이차이가 8살 이상이 난다면, 첫째 자녀는 외동이 특성

가족체계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기능적 출생순위)가 중요

 

6. 정서적 단절 (emotional cutoff)

1) 개념 정의

. 친밀한 관계를 맺어 생활해야 할 사람들끼리 정서적으로 어떠한 네트워크도 가지 않으려는 것 정서적 의존성과 불안이 높은 가족 안에서 발생

. 정서적으로 단절된 상태로 지내는 이유

관계를 맺음으로써 자신의 주체성을 잃게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불안이 가중되어 정서적 긴장 상태를 유발하기 때문

. 과거로부터 단절이 심할수록 자신의 결혼생활에서 부모의 가족문제를 과장하려는 경향이 많음

)

원가족과의 정서적 단절의 예: 충동적으로 결혼을 선택한 사람

원가족에서 벗어난다 하더라고 진정한 독립 x, 원가족에서의 문제를 재연

 

7. 사회적 정서과정 (social emotional process)

1) 개념 정의

.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관계가 가족구성원들의 정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가족투사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됨)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사회관계 훈련을 받게 되면 분화수준

사회에서 지속적 스트레스 & 자신의 독립된 생각대로 행동 못하면 분화수준

. 사회적 퇴행 : 불안에 의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위기에 빠지는 상황

사회적, 정서적 과정의 부정적인 결과물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