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가족상담 및 치료
※ CONTENTS
01.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0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03.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1.1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인간의 스트레스 증가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복잡한 관계망
역기능적인 가족환경으로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가족원
=> 가족상담 및 치료의 필요성
*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한 상담 내용 → 가족문제 多
*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한 상담 내용 → 가족문제 多
출처: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 가족문제에 대한 접근법
1) 과거: 가족 내에서만 문제 접근
→ 가족 내에서만 해결 방법 찾음
→ 한 개인의 희생(주로 여성)으로 문제 해결
2) 현재: 전문적인 조언, 심리적 지지, 조정과 타협 등을 통해 가족의 건강성과 잠재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요구됨
⇒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가 요구됨
* 정신장애 환자에 대한 접근법
1) 과거 1950년대 중반까지
→ 정신장애를 호소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가족과 격리
→ 심리치료자나 정신과 의사를 중심으로 개인 상담이나 치료를 주로 해옴
(∵ 정신장애의 원인: 개인 기질의 문제, 과거 부모-자녀관계의 문제로 봄)
← 현재 생활하고 있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에 관심 ↓
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 치료법
← 정신장애는 다른 사람과의 건강하지 못한 상호작용에서 발생
→ 치료자와 환자 간 사적인 관계를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고 봄
2) 과거 1950년대 중반
→ but 개인상담 및 치료를 통해 호전된 사람도 가족이나 학교로 돌아가면 다시 부적응 상태에 빠지는 경우 ↑
→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
3) 개인상담 및 치료의 한계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친 요인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 연구 ·부부상담
·소집단 역동성 ·아동지도운동 ·사회복지사 실습
=> 가족 상담 및 치료의 효과와 실용성을 인식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됨
1.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What is Family?
(1) 가족은 하나의 사회체계이며 부부, 부모자녀, 형제자매 등은 그 하위단위로써 존재
(2) 가족생활은 고정된 현상이 아닌,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포함
(3) 가족은 독특성과 보편성을 지님
(4)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의 정신적, 신체적 질병에 대해 완충작용 함
(5) 가족이 갖고 있는 자원에 따라 환경의 영향력은 달라짐
출처: 정현숙.유계숙(2007). 『가족관계』. 서울:신정. p. 21.
1) 개인이 보이는 증상은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이 가지고 있는 증상과 상호작용한 결과” 라는 결론 도출
2) 가족상담 및 치료
- 단순한 개인상담의 연장으로 볼 수 없음
- 가족원과의 심리적, 관계적 측면과 여기서 파생된 면을 다루는 점에서 개인상담과 차별화
3) 개인문제는 가족병리현상의 결과임을 인정
→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접근
→ 목표: 가족의 기능 회복이나 강화를 위해 가족의 의사소통기술, 가족체계의 경계 만들기 등을 통해 대인관계의 질적 변화를 꾀함
4) 개인 상담
① 주 관심이 개인이며, 개인의 변화를 목적으로 삼음
→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 해결, 증상 완화
② 개인상담에서도 가족을 중시하나 단지 개인의 행동을 설명 하는 배경으로만 인식
〔표 1〕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차이
개인 상담 | 가족 상담 |
. 문제가 개인에게 있다고 봄 . 개인의 문제와 원인에 따라 이론적 접근이 달라짐 ① 행동주의: → 잘못된 학습으로 문제를 일으킴 ② 정신역동: → 성장과정에서의 내적 갈등이 문제이며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치료가 이루어짐 ③ 인지치료: → 개인이 생각하는 내용과 과정의 왜곡이 문제를 일으킴 |
. 개인이 속한 체계의 문제가 그 개인을 통해 표현된다고 봄 . 가족상담에서 다루는 것은 ‘관계’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일부분이 아님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하나의 기법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문제를 보는 관점이 다름 . ‘지금-여기’ 에 초점 (cf. 개인상담은 과거사에 초점) |
출처: 「가족상담 및 치료」 교재, p. 9.
1.3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 향상
->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 해결에 주력
※ 가족상담 및 치료의 예
- 가족에 관한,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것
- 가정생활과 관련된 사항(자녀양육, 결혼, 가계, 소비, 주거문제, 시간관리 등을 포함한 문제중심 상담)
- 가족원 간 심리 상담 등
2) 가족상담 및 치료를 실시해야 할 상황
3) 가족상담이 부적합한 경우
출처: Jongsma, Jr, A. & Dattilio, F. (2006). 신선인, 김순천, 서혜석,
송유미, 이규영, 이미영 옮김(2006). 『가족 치료 및 상담 치료계획서』. 서울:신정.1) 과거 1950년대 중반까지
→ 정신장애를 호소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가족과 격리
→ 심리치료자나 정신과 의사를 중심으로 개인 상담이나 치료를 주로 해옴
(∵ 정신장애의 원인: 개인 기질의 문제, 과거 부모-자녀관계의 문제로 봄)
← 현재 생활하고 있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에 관심 ↓
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 치료법
← 정신장애는 다른 사람과의 건강하지 못한 상호작용에서 발생
→ 치료자와 환자 간 사적인 관계를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고 봄
2) 과거 1950년대 중반
→ but 개인상담 및 치료를 통해 호전된 사람도 가족이나 학교로 돌아가면 다시 부적응 상태에 빠지는 경우 ↑
→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
3) 개인상담 및 치료의 한계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친 요인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 연구 ·부부상담
·소집단 역동성 ·아동지도운동 ·사회복지사 실습
=> 가족 상담 및 치료의 효과와 실용성을 인식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됨
1.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What is Family?
(1) 가족은 하나의 사회체계이며 부부, 부모자녀, 형제자매 등은 그 하위단위로써 존재
(2) 가족생활은 고정된 현상이 아닌,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포함
(3) 가족은 독특성과 보편성을 지님
(4)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의 정신적, 신체적 질병에 대해 완충작용 함
(5) 가족이 갖고 있는 자원에 따라 환경의 영향력은 달라짐
출처: 정현숙.유계숙(2007). 『가족관계』. 서울:신정. p. 21.
1) 개인이 보이는 증상은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이 가지고 있는 증상과 상호작용한 결과” 라는 결론 도출
2) 가족상담 및 치료
- 단순한 개인상담의 연장으로 볼 수 없음
- 가족원과의 심리적, 관계적 측면과 여기서 파생된 면을 다루는 점에서 개인상담과 차별화
3) 개인문제는 가족병리현상의 결과임을 인정
→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접근
→ 목표: 가족의 기능 회복이나 강화를 위해 가족의 의사소통기술, 가족체계의 경계 만들기 등을 통해 대인관계의 질적 변화를 꾀함
4) 개인 상담
① 주 관심이 개인이며, 개인의 변화를 목적으로 삼음
→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 해결, 증상 완화
② 개인상담에서도 가족을 중시하나 단지 개인의 행동을 설명 하는 배경으로만 인식
〔표 1〕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차이
개인 상담 | 가족 상담 |
. 문제가 개인에게 있다고 봄 . 개인의 문제와 원인에 따라 이론적 접근이 달라짐 ① 행동주의: → 잘못된 학습으로 문제를 일으킴 ② 정신역동: → 성장과정에서의 내적 갈등이 문제이며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치료가 이루어짐 ③ 인지치료: → 개인이 생각하는 내용과 과정의 왜곡이 문제를 일으킴 |
. 개인이 속한 체계의 문제가 그 개인을 통해 표현된다고 봄 . 가족상담에서 다루는 것은 ‘관계’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일부분이 아님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하나의 기법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문제를 보는 관점이 다름 . ‘지금-여기’ 에 초점 (cf. 개인상담은 과거사에 초점) |
출처: 「가족상담 및 치료」 교재, p. 9.
1.3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 향상
->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 해결에 주력
※ 가족상담 및 치료의 예
- 가족에 관한,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것
- 가정생활과 관련된 사항(자녀양육, 결혼, 가계, 소비, 주거문제, 시간관리 등을 포함한 문제중심 상담)
- 가족원 간 심리 상담 등
2) 가족상담 및 치료를 실시해야 할 상황
3) 가족상담이 부적합한 경우
출처: Jongsma, Jr, A. & Dattilio, F. (2006). 신선인, 김순천, 서혜석,
송유미, 이규영, 이미영 옮김(2006). 『가족 치료 및 상담 치료계획서』. 서울:신정.→ 정신장애를 호소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가족과 격리
→ 심리치료자나 정신과 의사를 중심으로 개인 상담이나 치료를 주로 해옴
(∵ 정신장애의 원인: 개인 기질의 문제, 과거 부모-자녀관계의 문제로 봄)
← 현재 생활하고 있는 가족과의 상호작용에 관심 ↓
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로저스의 내담자 중심 치료법
← 정신장애는 다른 사람과의 건강하지 못한 상호작용에서 발생
→ 치료자와 환자 간 사적인 관계를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고 봄
2) 과거 1950년대 중반
→ but 개인상담 및 치료를 통해 호전된 사람도 가족이나 학교로 돌아가면 다시 부적응 상태에 빠지는 경우 ↑
→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
3) 개인상담 및 치료의 한계에 대한 논의에 영향을 미친 요인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 연구 ·부부상담
·소집단 역동성 ·아동지도운동 ·사회복지사 실습
=> 가족 상담 및 치료의 효과와 실용성을 인식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됨
1.2 개인상담과 가족상담
What is Family?
(1) 가족은 하나의 사회체계이며 부부, 부모자녀, 형제자매 등은 그 하위단위로써 존재
(2) 가족생활은 고정된 현상이 아닌, 변화와 연속성을 동시에 포함
(3) 가족은 독특성과 보편성을 지님
(4) 건강한 가족은 가족원의 정신적, 신체적 질병에 대해 완충작용 함
(5) 가족이 갖고 있는 자원에 따라 환경의 영향력은 달라짐
출처: 정현숙.유계숙(2007). 『가족관계』. 서울:신정. p. 21.
1) 개인이 보이는 증상은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이 가지고 있는 증상과 상호작용한 결과” 라는 결론 도출
2) 가족상담 및 치료
- 단순한 개인상담의 연장으로 볼 수 없음
- 가족원과의 심리적, 관계적 측면과 여기서 파생된 면을 다루는 점에서 개인상담과 차별화
3) 개인문제는 가족병리현상의 결과임을 인정
→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접근
→ 목표: 가족의 기능 회복이나 강화를 위해 가족의 의사소통기술, 가족체계의 경계 만들기 등을 통해 대인관계의 질적 변화를 꾀함
4) 개인 상담
① 주 관심이 개인이며, 개인의 변화를 목적으로 삼음
→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 해결, 증상 완화
② 개인상담에서도 가족을 중시하나 단지 개인의 행동을 설명 하는 배경으로만 인식
〔표 1〕 개인상담과 가족상담의 차이
개인 상담 | 가족 상담 |
. 문제가 개인에게 있다고 봄 . 개인의 문제와 원인에 따라 이론적 접근이 달라짐 ① 행동주의: → 잘못된 학습으로 문제를 일으킴 ② 정신역동: → 성장과정에서의 내적 갈등이 문제이며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치료가 이루어짐 ③ 인지치료: → 개인이 생각하는 내용과 과정의 왜곡이 문제를 일으킴 |
. 개인이 속한 체계의 문제가 그 개인을 통해 표현된다고 봄 . 가족상담에서 다루는 것은 ‘관계’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일부분이 아님 . 가족상담은 개인상담의 하나의 기법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문제를 보는 관점이 다름 . ‘지금-여기’ 에 초점 (cf. 개인상담은 과거사에 초점) |
출처: 「가족상담 및 치료」 교재, p. 9.
1.3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1)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 향상
->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 해결에 주력
※ 가족상담 및 치료의 예
- 가족에 관한,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것
- 가정생활과 관련된 사항(자녀양육, 결혼, 가계, 소비, 주거문제, 시간관리 등을 포함한 문제중심 상담)
- 가족원 간 심리 상담 등
2) 가족상담 및 치료를 실시해야 할 상황
3) 가족상담이 부적합한 경우
출처: Jongsma, Jr, A. & Dattilio, F. (2006). 신선인, 김순천, 서혜석,
송유미, 이규영, 이미영 옮김(2006). 『가족 치료 및 상담 치료계획서』. 서울:신정.
4) 가족상담 및 치료를 실시할 때 지켜야 할 기본원리
※ 기본원리
① 가족문제를 한 사람(I.P.)의 정신병리적 관점에서 보기보다는 가족원 간의 관계성에서 파악
I.P. (Identified Patient): 상담 및 치료 상황에서 지목된 환자는 그 사람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 가족의 병리 현상으로 인해 환자로 지목된 것에 불과
② 어느 일방이 원인을 제공, 그에 따라 다른 한 사람이 문제를 호소 or 문제 행동을 표출하는 것이 아닌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
→ 순환적 인과론(circular causality)에 초점
※‘선형적 인과론(linear causality)’과 ‘순환적 인과론(circular causality)’
(1) 선형적 인과론
선형적 인과론: 어떠한 원인에 의해 결과가 일어난다고 생각하는 것
예)
① 남편이 술을 마시기 때문에 아내가 잔소리를 한다고 주장 했을 때,
남편이 술을 마신다 => 아내가 잔소리를 한다
② 아내가 잔소리를 하기 때문에 남편이 술을 마신다고 주장 했을 때,
아내가 잔소리를 한다 => 남편이 술을 마신다
(2) 순환적 인과론
- 행동의 원인을 직선적 인과관계로 바라보는 데에는 한계 있음
→ 상호작용 과정에 주목(가족 공유 책임 → 가족단위 개입)
순환적 인과론으로 도식화하면
← 가족원 누구도 비난하지 않으면서 가족문제를 중재할 수 있는 방법
→ 가족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이 됨
③ 주로 현재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상담을 진행
④ 보다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가족의 생태 변화와 가족의 구체적인 행동 변화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함
⑤ 가족 안에서 무슨 문제가 발생하고 어떤 갈등이 있는가도 중요하지만, 그로 인해 어떤 결과를 낳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가족들에게도 인식시키도록 함
⑥ 상담자는 가능한 한 과거와는 다른 행동을 시도할 수 있도록 조력
5)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제
6) 가족상담 및 치료의 목표: 관계와 가족체계의 기능 향상
- 가족의 역기능적인 문제 해결에 주력
①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 여러 모순된 가치관이나 의미를 부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듣는 이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정확하게 전달하지 않았으면서도 그 뜻이 전달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듦
② 속박
- 가족 내 하위체계 간 구분이 안 되어 개개인의 삶에 관심이 지나치고 가족 하위체계의 독립성을 인정해 주지 않음
→ 이런 가정 환경에서는 자율성 결여되고 자아정체감 확립도 늦어짐
③ 유리
- 가족원 간 경계가 지나치게 분리되어 서로에게 소원하고 감정적으로도 분리된 경우
④ 가족신화
- 특정 가족원이 공유하고 있는 가족에 대한 비합리적인 신념이나 기대로, 자기기만적 기제의 하나
→ 가족신화를 토대로 자기들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유형을 정당화 시키려고 함
· 가족신화
예)
“ 부부끼리는 비밀이 있어서는 안 된다 ”
“ 가족은 항상 화목해 보여야 한다 ”
“ 부부싸움은 불화의 증거이므로 이상적인 부부는 싸워서는 안 된다 ”
→ 가족신화는 응집성과 안정성을 보장하여 개인에게 방어기제와 같은 기능을 하기도 함
→ 가족 구성원이 체계에서 분리하려고 할 때 파괴적으로 작용
출처: 김유숙(2002).「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p. 335.
7) 가족체계이론
. 가족을 역동적, 사회적인 유기체로 파악
. 가족 안에서 각 개인의 역할이 전체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보여줌
. 개인의 문제를 개별적인 현상이 아닌, 가족 구성원의 상호관계와 전체분석을 통해 이해된다고 봄
. 하위체계의 변화는 다른 하위체계의 변화를 유발하고 변화시킴
(1) 공헌점
. 가족 현상을 분석하는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
. 환경의 변화를 강조
. 순환적 인과론의 가능성을 제고
→ 원인과 결과를 배제하고, 연쇄적 행동반응이 일어나는 전제 과정에 주목
(2) 비판점
. 여권주의자
① 가정 내의 남성과 여성의 권력 차이를 간과
② 상대적으로 권력이 적은 여성, 아동, 소수인종 및 장애자 집단에 민감하지 못하다는 주장
. 개념들이 지나치게 추상적,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비판
. 일반화된 이론 → 특수상황에 적용할 때 어려움
(3) 가족체계 유형을 살펴보는 이유
① 개인의 병리나 부적응 - 단지 가족 구성원 한 사람과 관련된 것이 아닌 전체가족의 정서적 왜곡 때문에 발생된 것으로 간주
② 가족상담을 할 때, 가족의 역동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파악 하는 것은 매우 중요
예) 가족의 기능, 문제점 파악
③ 이러한 정보는 향후 상담 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
→ 상담자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갖게 됨
(4) 체계로서의 가족이 갖는 특성
- 가족체계는 상호의존성과 상호작용성을 가짐
- 가족은 명백하거나 모호한 규칙의 지배를 받는 체계
- 가족은 환경의 요구와 자극에 대한 부정적 또는 긍정적 순환과정(feedback)을 통해 전체로서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경향
- 가족체계는 성과, 연령, 역할과 세대에 따라 다양한 하위체계로 분류
- 가족체계는 하위체계 간 경계를 유지할 때, 가족원의 기능이 가장 잘 발휘
- 가족을 체계로 본다는 것 → 가족원 개인의 특성에 초점 (x), 가족의 상호작용 과정에 초점을 둔다는 의미
- 살아 있는 체계는 그 자체로 존재하면서도 자기 경계선 밖의 환경과 끊임 없이 상호작용
- 가족체계의 개방성과 폐쇄성 → 외부체계에서 들어오거나 외부체계로 내보내는 정보의 흐름이나 상호교류를 허용하는 정도를 나타냄
- 체계가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개방성과 폐쇄성 간에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함
'가족상담 및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6. 구조적 가족치료 (3) | 2022.09.20 |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5. 전략적 가족치료 (8)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4.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2 (3) | 2022.09.19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3.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5) | 2022.09.18 |
사회복지사, 심리, 상담치료 등 가족상담 및 치료 요약 정리 2.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 (4) | 2022.09.18 |